KR200329439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39Y1
KR200329439Y1 KR20-2003-0021135U KR20030021135U KR200329439Y1 KR 200329439 Y1 KR200329439 Y1 KR 200329439Y1 KR 20030021135 U KR20030021135 U KR 20030021135U KR 200329439 Y1 KR200329439 Y1 KR 200329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resin
ion exchange
housing
filter cartrid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열
Original Assignee
유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열 filed Critical 유진열
Priority to KR20-2003-002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4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in which the adsorbent properties of the ion-exchanger are involved, e.g. recovery of proteins or other high-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7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water soft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2Flow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가 충전된 필터카트리지를 단순히 하우징 상단의 상부커버를 열고 교환하는 것만으로, 내부에 설치된 필터의 세척이나 교환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배관라인으로부터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하단에 원수입구(11)와 연수출구(12)가 구비된 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원수입구(11)와 연수출구(12) 사이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15)를 포함하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원수입구(11)와 이온교환수지(15)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며 원수를 전처리하고 이온교환수지(15)를 재생시키는 필터카트리지(20)와, 이 필터카트리지(20)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0)의 상단에 상부커버(1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20)는 내부에 중공부(21a)를 갖는 통형의 여과체(21)와, 이 여과체(21)의 중공부(21a)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 및 상기 여과체(21)의 개방끝단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의 쏟아짐을 막고 적어도 한쪽은 여과체(21)를 통과한 여과수가 이온교환수지(15)를 향하여 흐름에 지장이 없는 마감재(2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연수기{soft water maker}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체의 내부에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이온교환수지 재생재가 충전된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이온교환수지와 반응시켜 원수로부터 칼슘이나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경수성분을 제거하여 원수를 온천수와 같은 연수로 만드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연수기는 무수히 많은 것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수기 중에서 발췌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9801호에는 바닥의 카트리지좌에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벽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로 향하는 원수관과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의 배수관에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며, 본체에 커버를 씌워 모든 내장물을 보호한 것에 있어서, 바닥에 소금통용 통좌와 전처리 카트리지체결용 카트리지좌 및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용 카트리지좌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통좌에 안장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용의 소금통과; 카트리지좌에 장착되는 전처리 카트리지와; 원수의 전처리과정 또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과정을 선택하는 3방 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수기는 하우징의 원수관(원수입구)으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전처리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칼슘이온 등의 경수성분이 제거됨에 따라 연수로 만들어진 후 본체의 연수출구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연수기를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이온교환수지의 입자에 원수의 금속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이러한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재생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수기에 있어서는 2개의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와 소금통 및 전처리 카트리지가 제각기 설치 구성되는바 본체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비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해선 소비자가 소금통의 상단이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된 마개를 열고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와 별도로 마련된 소금통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인 특수 염화나트륨(정제 염)을 주기적으로 일일이 투입하여야 했으며, 또한 소금통에 어느 정도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재를 투입하여야 하는지 알 수 없는 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내부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가 충전된 필터카트리지를 단순히 하우징 상단의 상부커버를 열고 교환하는 것만으로, 내부에 설치된 필터의 세척이나 교환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배관라인으로부터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필터카트리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원수입구
12: 연수출구 13: 상부커버
13a,14a: 안착 홈 14:지지 링
15: 이온교환수지 16: 원수유입관
17: 그물 망 20: 여과체
21a: 중공부 22: 이온교환수지 재생재
23: 마감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에 원수입구와 연수출구가 구비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수입구와 연수출구 사이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원수입구와 이온교환수지사이에 별도로 마련되며 원수를 전처리하고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필터카트리지와, 이 필터카트리지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우징의 상단에 상부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통형의 여과체와, 이 여과체의 중공부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재 및 상기 여과체의 개방끝단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의 쏟아짐을 막고 적어도 한쪽은 여과체를 통과한 여과수가 이온교환수지를 향하여 흐름에 지장이 없는 마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필터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하단에 원수입구(11)와 연수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엔 나사결합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상부커버(13)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중간부분의 지지 링(14)에 의해 상/하부공간으로 구획되되 상부공간엔 필터카트리지(20)의 설치되고 하부공간엔 이온교환수지(15)가 충전되는 것이며, 상기 원수입구(11)에서 지지 링(14)을 관통하여 필터카트리지(20)의 설치공간에 이르기까지 원수유입관(16)이 설치되고 상기 연수출구(12)에는 이온교환수지(15)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그물 망(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링(14)에는 중간에 필터카트리지(20)의 하단을 수용하는 안착 홈(14a)이 형성되고 그 중앙엔 적어도 하나이상의 구멍을 갖는 영구자석(18)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영구자석(18)은 여과수를 자화시켜 자화수를 얻기 위해서이다.
상기 필터카트리지(20)는 한쪽이 막혀 중공부(21a)를 갖는 통형의 여과체(21)가 마련되고 이 여과체(21)의 중공부(21a)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가 충전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체(21)의 개방끝단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의 쏟아짐을 막는 마감재(23)가 고정된다. 이 마감재(23)는 지지 링(14)의 안착 홈(14a)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여과체(21)를 통과한 여과수가 이온교환수지(15)를 향하여 흐름에 지장이 없는 그물 망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여과체(21)는 한쪽이 막혀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면과 같이 양단이 모두 개방된 통형으로 마련하여 한쪽끝단을 별도의 마감재로 막을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23)에서 그물 망은 평탄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여과수 내지 연수를 균일하게 흐르도록 유도하는 돔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3)에는 지지 링(14)과 마찬가지로 여과체(21)의 상단을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커버(13)의 안착 홈(13a)은 여과체(21)의 조립여건에 따라 세팅돌기로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수기는, 하우징(10)하단의 원수입구(11)를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유입관(16)을 거쳐 하우징(10)의 상부공간인 필터카트리지(20)의 외측으로 유입되고 필터카트리지(20)의 여과체(2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이렇게 여과 처리된 여과수에 의해 여과체(21)내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인 특수 염화나트륨(정제 염)이 용해되면서 지지 링(14)을 거쳐 하우징(10) 하단의 연수출구(12)를 향하여 흐르게 된다.
이렇게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인 특수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여과수가 하우징(10)하부의 이온교환수지(15)를 통과하면서 이 이온교환수지(15)의 표면에 붙어있는 각종 이물질을 세척해줌으로써, 상기 이온교환수지(15)를 재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체(21) 하단의 마감재(23)인 그물 망은 상부로 볼록한 돔형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가 여과수에 용해되어 하측으로 흐를 때 균일하게 흐르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이온교환수지(15)를 재생시킨 연수는 하우징(10)하단의 그물 망(17)과 연수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연수기는 하우징(10) 내부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15)의 재생을 위한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인 특수 염화나트륨이 여과체(21)의 내부에 미리 충전되어있는바, 하우징(10)상단의 상부커버(13)를 열고 필터카트리지(20) 설치공간에 여과체(21)내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가 충전된 필터카트리지(20)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연수기와 같이, 상기 이온교환수지(15)를 재생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소금통의 상단이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된 마개를 열고 이온교환수지 카트리지와 별도로 마련된 소금통에 정제 염을 주기적으로 일일이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게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하단의 원수입구(11)와 원수유입관(16)을 통하여 하우징(10)상부의 필터카트리지(20) 설치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여과체(21)를 통과하여 여과됨과 더불어, 상기 이온교환수지 재생재(45)가 여과수에 용해되어 상기 이온교환수지(15)를 통과하면서 각 이온교환수지 입자에 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므로 상기 이온교환수지(15)의 세척 및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연수기에 의하면, 내부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가 충전된 필터카트리지를 단순히 하우징 상단의 상부커버를 열고 교환하는 것만으로, 내부에 설치된 필터의 세척이나 교환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배관라인으로부터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내부에 충전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하단에 원수입구(11)와 연수출구(12)가 구비된 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원수입구(11)와 연수출구(12) 사이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15)를 포함하는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원수입구(11)와 이온교환수지(15)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며 원수를 전처리하고 이온교환수지(15)를 재생시키는 필터카트리지(20)와, 이 필터카트리지(20)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0)의 상단에 상부커버(1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20)는 내부에 중공부(21a)를 갖는 통형의 여과체(21)와, 이 여과체(21)의 중공부(21a)에 충전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 및 상기 여과체(21)의 개방끝단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재(22)의 쏟아짐을 막고 적어도 한쪽은 여과체(21)를 통과한 여과수가 이온교환수지(15)를 향하여 흐름에 지장이 없는 마감재(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23)는 균일한 흐름을 유도하도록 하는 돔형의 그물 망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15) 상단위치의 하우징(10)에 지지 링(14)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링(14)과 상부커버(13)에 필터카트리지()를 유동 없이 지지하도록 하는 안착 홈(14a,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2003-0021135U 2003-07-02 2003-07-02 연수기 KR200329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35U KR200329439Y1 (ko) 2003-07-02 2003-07-02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35U KR200329439Y1 (ko) 2003-07-02 2003-07-02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39Y1 true KR200329439Y1 (ko) 2003-10-10

Family

ID=4941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135U KR200329439Y1 (ko) 2003-07-02 2003-07-02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90B1 (ko) * 2010-06-30 2017-05-24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연수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090B1 (ko) * 2010-06-30 2017-05-24 코웨이 주식회사 휴대용 연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9439Y1 (ko) 연수기
KR100462231B1 (ko)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200328073Y1 (ko) 연수기
JP4747116B2 (ja) 濾過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浄水器
JPH09267092A (ja) 浄水器の補助フィルタ装置
JP4305942B2 (ja) 浄水器付水栓
KR100464124B1 (ko) 필터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200403387Y1 (ko)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KR100396904B1 (ko) 연수기
CN212269540U (zh) 一种可更换过滤罐的软水机
KR20100008472A (ko) 정수기의 필터모듈 및 그 체결구조
KR20040074184A (ko) 연수기
KR100922144B1 (ko) 가정용 연수기
KR200231557Y1 (ko) 연수기
KR100374005B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KR200287663Y1 (ko) 필터 내장형 연수기
KR100531107B1 (ko) 필터기 및 염수기가 교환설치 가능한 연수기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220435Y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KR100429286B1 (ko) 연수기
KR20150141365A (ko) 연수기용 필터조립체
KR100367239B1 (ko) 정수기용 활성탄 필터하우징
JP2004082067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