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144B1 - 가정용 연수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144B1
KR100922144B1 KR1020090054489A KR20090054489A KR100922144B1 KR 100922144 B1 KR100922144 B1 KR 100922144B1 KR 1020090054489 A KR1020090054489 A KR 1020090054489A KR 20090054489 A KR20090054489 A KR 20090054489A KR 100922144 B1 KR100922144 B1 KR 10092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change resin
ion exchange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이상진
(주)우신에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주)우신에프엠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09005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정용 연수기(2)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양측에 1차 필터체(12)와 2차 필터체(14)를 각각 장치하되,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부 유입구에는 제1 밸브(BV1)를 갖는 소금물 유입관(22)이 설치되고, 1차 필터체(12)의 제1포트에는 제2밸브(BV2)를 갖는 원수 유입관(24)이 설치되며, 1차 필터체(12)의 제2포트와 2차 필터체(14)의 제1포트 간에는 연통관(26)이 설치되며,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에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1 경유관(28)을 설치하되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이온교환수지 탱크(10)사이 제1경유관(28)상 위치에는 외부 노출된 제3밸브(BV3)가 형성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서 외부 돌출된 제1 경유관 배출구(28a)에는 제4 밸브(BV4)가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1 경유관(28) 위치에는 상부 출입구(30)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하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2 경유관(32)을 구비하되 제2 경유관(32)의 일단은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제3 밸브(BV3)간의 제1경유관(28)과 연통됨과 동시에 제5밸브(BV5)를 갖는 연결관(34)이 연결되며 제2 경유관(32)의 타단은 분기되어 제6밸브(BV6)를 갖는 연수배출 분기관(36)과 제7밸브(BV7)를 갖는 세척수배출 분기관(38)이 연결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2 경유관(32) 위치에는 하부 출입구(40)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Figure 112009037000812-pat00001
연수기, 가정용, 재생, 밸브, 역세척, 세척

Description

가정용 연수기{WATER SOFTNER}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수(센물)를 연수(단물)로 바꾸는 연수기중 가정용 연수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물이 유입되면 칼슘, 마그네슘, 철분 등의 양이온성분과 양이온성 중금속 등을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흡착제거하여 연수로 바꾸어 준다. 연수기에 들어 있는 이온교환수지는 양이온성분만을 제거하는 양이온 교환수지로서 나트륨이온 작용기가 붙어 있다.
연수기를 통한 완벽한 연수를 얻기 위해서는 수돗물과 이온교환수지의 접촉시간을 최대로 늘려 주어야 하며, 통상 공업적인 방법에서는 보다 완벽한 연수를 얻기 위해 80센티미터 이상의 수지층을 요구하고 있다.
통상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의 총용량이 10리터 이상일 경우 대용량으로 분류되고 그 총용량이 10리터 미만일 경우에는 소용량으로 분류된다. 대용량의 연수기는 주로 증류수 제조의 전처리 공정 및 해안가에서 사용하고, 소용량의 연수기는 주로 가정용으로 사용된다. 소용량 연수기의 특징은 설치와 이동이 간편하다는 것 이다.
이러한 연수기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성분이 다 소멸되어 물의 양이온성분과는 더 이상 교환할 수 없게 되는데, 이 때가 되면 이온교환수지를 반드시 재생하여야만이 연수기의 제기능을 지속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법으로는 이온교환수지를 염화나트륨액에 담그기, 염화나트륨을 이온교환수지 상부층에 넣은 후 물 붓기, 이온교환수지를 꺼내어 세척한 후 염화나트륨으로 통수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법은 완벽한 재생법은 아니다. 그 이유는 이온교환수지와 이온들 사이에 가역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나트륨이온이 흡착되어 있는 양이온성분들을 100% 제거하지 못하는데에 기인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법 중에서는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한 후 염화나트륨액으로 통수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이렇게 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며 또 대용량에서 가능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소용량인 가정용 연수기에서 이온교환수지를 효과적이고 가능한 한 제대로 재생되게 하고 사용자가 번거롭지 않게 재생할 수 있는 가정용 연수기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용량인 가정용 연수기에서 이온교환수지를 효과적이고 가능한 한 제대로 재생되게 하고 사용자가 번거롭지 않게 재생할 수 있는 가정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전처리인 역세척을 행하고 재생과 세척을 편리하고 순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연수의 정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가정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주도적으로 필터의 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고 질 좋은 연수가 공급되게 하는 가정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내장된 하우징을 사용자가 간편 도구로 쉽게 조립해체 및 조립 조작할 수 있고 필터의 손쉬운 교환으로 필터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해주는 가정용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정용 연수기에 있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양측에 1차 필터체(12)와 2차 필터체(14)를 각각 장치하되,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부 유입구에는 제1 밸브(BV1)를 갖는 소금물 유입관(22)이 설치되고, 1차 필터체(12)의 제1포트에는 제2밸브(BV2)를 갖는 원수 유입관(24)이 설치되며, 1차 필터체(12)의 제2포트와 2차 필터체(14)의 제1포트 간에는 연통관(26)이 설치되며,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에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1 경유관(28)을 설치하되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이온교환수지 탱크(10)사이 제1경유관(28)상 위치에는 외부 노출된 제3밸브(BV3)가 형성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서 외부 돌출된 제1 경유관 배출구(28a)에는 제4 밸브(BV4)가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1 경유관(28) 위치에는 상부 출입구(30)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하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2 경유관(32)을 구비하되 제2 경유관(32)의 일단은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제3 밸브(BV3)간의 제1경유관(28)과 연통되고 제5밸브(BV5)를 갖는 연결관(34)이 연결되며 제2 경유관(32)의 타단은 분기되어 제6밸브(BV6)를 갖는 연수배출 분기관(36)과 제7밸브(BV7)를 갖는 세척수배출 분기관(38)이 연결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2 경유관(32) 위치에는 하부 출입구(4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 출입구(30)에는 여과망(48)을 갖는 통수체결구(50)가 체결고정되고, 하부 출입구(40)에는 여과망(46)을 갖는 사방 분기관체(42)가 체결되며, 각 사방 분기관체(42)는 유체 토출시 와류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막혀 있고 원주길이방향으로 세공(44)들이 배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통관(26)은 이온교환수지 탱크(10) 내부를 수봉 관통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제1 내지 제7 밸브(BV1)~(BV7)는 수동조작을 위한 노 브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1차 필터체(12)에는 부직포필터(18)가 내장되며 2차 필터체(14)에는 카본필터(20)가 내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용량인 가정용 연수기에서 이온교환수지를 효과적이고 가능한 한 재생효율을 높이는 제대로 된 재생을 하고 사용자가 연수기의 재생 및 사용에 있어 번거롭지 않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연수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가정용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탱크 부분을 단면처리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연수기(2)는 사용자의 밸브조작을 통해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전처리인 역세척을 행하고 그후 재생과 세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번거롭지 않으면서도 연수의 정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연수기(2)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우측에 1차 필터체(12)를 장치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좌측 에 2차 필터체(14)를 장치한다.
1차 필터체(12)와 2차 필터체(14)에는 부직포필터(18)와 카본필터(20)가 각각 내장되며, 1차 및 2차 필터체(12)(14)의 하우징은 투명케이스로 되어서 내장된 부직포필터(18)와 카본필터(20)의 사용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1차 필터체(12)와 2차 필터체(14)에 내장된 부직포필터(18)와 카본필터(20)가 사용만료 시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1차 필터체(12) 및 2차 필터체(14)의 하우징은 상측 마개부와 조립식으로 체결구성된다.
이러한 1차 및 2차 필터체(12)(14)의 투명재질 하우징 구조는 사용자가 필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주도적으로 필터의 교환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고 질 좋은 연수가 공급되게 해줄 수 있으며, 또 1차 및 2차 필터체(12)(14)의 마개부의 조립 구성은 필터 내장된 하우징을 사용자가 간편 도구로 쉽게 조립해체 및 조립 조작할 수 있고 필터의 손쉬운 교환으로 필터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해줄 수 있다.
상기의 1차 필터체(12)에서는 유입 원수에서 찌거기와 모래 등을 여과시켜주고 2차 필터체(14)에서는 1차 필터체(12)를 거친 여과수에서 나는 비린네 및 잡냄새를 제거해주며, 2차 필터체(14)를 거친 물은 이온교환수지 탱크(10)으로 유입된다.
이온교환수지 탱크(10)는 금속재의 본체하우징을 가지며 내실에는 좁쌀모양의 수많은 이온교환수지(16)들이 반정도 채워져 있다. 이온교환수지(16)에는 수많은 작용기가 있는데, 새로운 이온교환수지(16)에는 나트륨이온형태로 붙어 있지만, 계속적으로 수돗물과 같은 경수가 통수되면 나트륨이온성분들이 물의 양이온성분들과 교환되면서 점차 떨어져나가게 된다. 나트륨이온성분들과 물의 양이온성분들의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수돗물과 같은 경수가 연수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부 유입구에는 제1 밸브(BV1)를 갖는 소금물 유입관(22)이 설치되고, 1차 필터체(12)의 제1포트에는 제2밸브(BV2)를 갖는 원수 유입관(24)이 설치되며, 1차 필터체(12)의 제2포트와 2차 필터체(14)의 제1포트 간에는 연통관(26)이 설치되게 구성한다. 이때 연통관(26)은 이온교환수지 탱크(10) 내부를 수봉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외부로 양측 돌출된 연통관(26) 부분은 1차 및 2차 필터체(12)(14)의 상측 마개부와 결합된다.
또한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에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1 경유관(28)을 설치하되,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이온교환수지 탱크(10)사이 제1경유관(28)상 위치에는 외부 노출된 제3밸브(BV3)가 형성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로부터 외부로 연장 돌출된 제1 경유관 배출구(28a)에는 제4 밸브(BV4)가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1 경유관(28) 위치에는 상부 출입구(30)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하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2 경유관(32)을 구비하는데, 제2 경유관(32)의 일단은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제3 밸브(BV3)간의 제1 경유관(28)과 연통됨과 동시에 제5밸브(BV5)를 갖는 연결관(34)이 연결되며, 제2 경유관(32)의 타단은 분기되어서 제6밸브(BV6)를 갖는 연수배출 분기관(36)과 제7밸브(BV7)를 갖는 세척수배출 분기관(38)이 연결된다. 그 리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2 경유관(32) 위치에는 하부 출입구(40)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에는 제1 경유관(28)의 상부 출입구(30)과 제2 경유관(32)의 하부 출입구(40)가 형성된다.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 상측에 위치한 상부 출입구(30)는 여과망(48)을 갖는 통수체결구(50)가 체결고정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하측에 위한 하부 출입구(40)에는 여과망(46)을 갖는 사방 분기관체(42)가 체결 구성된다.
도 5에서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 상부 출입구(30)에 체결되는 통수 체결구(50)의 분리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6은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 하부 출입구(40)에 체결되는 사방 분기관체(42)의 분리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7은 사방 분기관체(42)에 관련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평단면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 하부 출입구(40)에 체결되는 사방 분기관체(42)는 유체 토출시 와류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막혀 있고 각 통체의 원주길이방향으로 세공(44)들이 수평배열 형성되게 구성한다.
도 5의 통수 체결구(50)의 여과망(48)과 사방 분기관체(42)의 여과망(46)은 좁쌀같은 알갱이의 이온교환수지(16)는 통과되지 못하는 메쉬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정용 연수기(2)의 각부에 설치된 제1 내지 제7 밸브(BV1)~(BV7)는 수동조작을 위한 노브를 가진다.
본 발명의 변형 일예로 제1 내지 제7 밸브(BV1)~(BV7)는 역세척, 재생, 세척, 연수 정상사용모드에 따라 자동 밸브제어가 제어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 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부도 제어부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재생전 수행한 역세척모드에서의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재생 후에 세척모드에서의 상태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52"는 수압계이고, "54"는 설치 브라켓이다.
이제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재생모드를 수행하기 이전에 역세척모드를 수행한다. 역세척모드를 수행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재생시기가 된 이온교환수지(16)는 점액부착물이 둘러싸여 있어서 서로는 끈적끈적한 상태로 붙여있다. 그러므로 이온교환수지를 꺼내어 세척하지 않고서 염화나트륨으로 재생을 하게되면 재생효율이 많이 떨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역세척모드를 수행하여 와류를 통한 좁쌀알갱이와 같은 이온교환수지(16)들을 수중 부유되게 하여서 각 이온교환수지(16)를 둘러싸고 있는 점액부착물이나 탱크내 잔류 찌거기를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다.
역세척모드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우선 제1,제3,제6,제7밸브(BV1)(BV3)(BV6)(BV7)를 잠그고 제2,제5,제4밸브(BV2)(BV5)(BV4)를 열어서 약 3~10분간 바람직하게는 5분정도 역세척을 한다.
역세척모드에 따른 밸브 온/오프상태에 의해서 원수는 원수유입관(24), 제2밸브(BV2), 1차 필터체(12), 연통관(26), 2차 필터체(14), 연결관(34), 제5밸브(BV5), 제2 경유관(32)을 통과해서 하부 출입구(40)의 사방 분기관체(42)의 세공(44)들로 토출된다. 사방 분기관체(42)의 세공(44)들로부터 물이 토출됨에 따라 부상와류가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 만충전된 물에 반정도로 채워져 있던 좁쌀모양의 이온교환수지(16)들은 형성된 와류에 의해서 소용돌이 치면서 수중 부상된다. 이렇게 수중 부상된 이온교환수지(16)들은 낱개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되며 가라앉아있던 각종 잔류찌거기나 이온교환수지(16)에 둘러싸여 붙어 있던 부착물들도 이온교환수지(16)들간의 충돌이나 탱크내벽에 부딪히면서 떨어지게 된다.
수중에 뜬 잔류찌거기나 부착물들은 소용돌이치면서 자연스럽게 탱크내 중앙으로 모이며 역세척수와 함께 통수체결구(50)의 여과망(48)을 통과하여서, 상부 출입구(30), 제1 경유관(28), 제4밸브(BV4), 제1 경유관 배출구(28a)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5분 정도 역세척을 한 후에는 제2 경유관(32)상의 제5밸브(BV5)를 잠그고 이미 열려 있는 제4밸브(BV4)와 아울러 제7밸브(BV7)를 열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 채워진 역세척수를 바닥까지 배수되게 한다. 배수가 완료되면 제4,제7밸브(BV4)(BV7)도 잠근다.
이렇게 하면 역세척모드가 완료되며, 역세척모드 수행한 후에는 재생모드를 수행한다. 재생모드에 관련된 도면은 도 9이다.
재생모드에서는 우선 주입용기에 물 10L와 소금 2kg을 넣어 소금물을 만든다. 그 후 제1밸브(BV1)와 함께 제7밸브(BV7)를 열어 놓고, 소금물을 소금물 유입관(22)를 통해서 서서히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로 주입되게 한다.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에 주입된 소금물은 탱크내 수많은 이온교환수지(16)들과 접촉하면서 이온교환수지(16)에 둘러 쌓인 경도성분들이 소금물의 Na,Cl이온들과 반응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온교환수지(16)의 경도성분들이 분리된다. 그에 따라 이온교환수지(16)들은 처음처럼 재생하게 된다.
이온교환수지(16)들과 접촉한 폐소금물은 사방분기관체(42), 제2 경유관(32)의 하부출입구(40), 제2 경유관(32)의 제7밸브(BV7), 세척수배출 분기관(38)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렇게 배수후 잠궈진 제3밸브(BV3)와 함께 제1,제7밸브(BV1)(BV7)도 잠그고, 제2,제5,제4밸브(BV2)(BV5)(BV4)를 열어 놓는다. 이렇게 되면 원수는 원수유입관(24), 제2밸브(BV2), 1차 필터체(12), 연통관(26), 2차 필터체(14), 연결관(34), 제5밸브(BV5), 제2 경유관(32)을 통과해서 하부 출입구(40)의 사방 분기관체(42)의 세공(44)들로 토출된다. 그에 따라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는 물이 점차 차오르고 상측까지 채워지면 물은 상부 출입구(30)의 통수체결구(50), 제1 경유관(28)의 제4밸브(BV4), 제1 경유관 배출구(28a)를 통해서 배출된다.
제1 경유관 배출구(28a)로 물이 배출되어지면 바로 제2,제4밸브(BV2)(BV4)를 잠그고 15~30분 바람직하게는 20분 정도를 휴식한다. 이 휴식기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에 잔류된 소금기가 물에 우러나오도록 하며 이온교환수지(16)가 탱크내 바닥부터 쌓여서 자리를 잡도록 해주는 시기이다.
휴식기가 끝나면 세척모드를 수행한다.
세척모드에서는 제2,제3,제7밸브(BV2)(BV3)(BV7)를 열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이온교환수지(16)들 및 채워진 물에서 염분이 빠져 나오도록 세척을 하는 것이다.
제2,제3,제7밸브(BV2)(BV3)(BV7)를 열게 되면, 원수는 원수유입관(24), 제2밸브(BV2), 1차 필터체(12), 연통관(26), 2차 필터체(14), 제1 경유관(28)의 제3밸브(BV3), 제1 경유관(28)의 상부출입구(30), 통수체결구(50)를 통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 유입되며, 상기 탱크(10)에 유입된 물은 제2 경유관(32)의 사방분기관체(42), 하부 출입구(40), 제2경유관(32)의 제7밸브(BV7), 세척수 배출분기관(38)을 통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잔류 염분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러한 세척모드는 물에 섞여 있는 염분기가 거의 빠져나갈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세척모드가 완료되면, 제7밸브(BV7)를 잠그고 제6밸브(BV6)를 열어둠으로써 연수가 배출되는 연수 정상사용모드로 전환된다.
연수가 배출되는 연수 정상사용모드에 관련된 도면은 도 4이며, 방식은 하향식이다.
연수 정상사용모드에서 원수는 원수유입관(24), 제2밸브(BV2), 1차 필터체(12), 연통관(26), 2차 필터체(14), 제1 경유관(28)의 제3밸브(BV3), 제1 경유 관(28)의 상부출입구(30), 통수체결구(50)를 통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 유입되며, 상기 탱크(10)에 유입된 물(경수)는 이온교환수지(16)들의 적층부를 통과하면서 연수로 바뀌어지게 되며, 바뀌어진 연수는 제2 경유관(32)의 사방분기관체(42), 하부 출입구(40), 제2경유관(32)의 제6밸브(BV6), 연수 배출분기관(36), 그리고 샤워기나 수도꼭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연수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연수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정용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탱크 부분을 단면처리한 상태도,
도 5는 이온교환수지 탱크내 상부 출입구에 체결되는 통수 체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이온교환수지 탱크내 하부 출입구에 체결되는 사방 분기관체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사방 분기관체에 관련된 이온교환수지 탱크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재생전 수행한 역세척모드에서의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재생 후에 세척모드에서의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가정용 연수기 (10)-- 이온교환수지 탱크
(12)-- 1차 필터체 (14)-- 2차 필터체
(16)-- 이온교환수지 (18)-- 부직포필터
(20)-- 카본필터 (22)-- 소금물 유입관
(24)-- 원수유입관 (26)-- 연통관
(28)-- 제1 경유관 (30)-- 상부 출입구
(32)-- 제2 경유관 (34)-- 연결관
(36)-- 연수 배출분기관 (38)-- 세척수 배출분기관
(40)-- 하부 출입구 (42)-- 사방분기관체
(44)-- 세공 (46)-- 여과망

Claims (5)

  1. 가정용 연수기에 있어서,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양측에 1차 필터체(12)와 2차 필터체(14)를 각각 장치하되,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부 유입구에는 제1 밸브(BV1)를 갖는 소금물 유입관(22)이 설치되고, 1차 필터체(12)의 제1포트에는 제2밸브(BV2)를 갖는 원수 유입관(24)이 설치되며, 1차 필터체(12)의 제2포트와 2차 필터체(14)의 제1포트 간에는 연통관(26)이 설치되며,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에는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상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1 경유관(28)을 설치하되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이온교환수지 탱크(10)사이 제1경유관(28)상 위치에는 외부 노출된 제3밸브(BV3)가 형성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에서 외부 돌출된 제1 경유관 배출구(28a)에는 제4 밸브(BV4)가 형성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1 경유관(28) 위치에는 상부 출입구(30)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이온교환수지 탱크(10)의 하측 내부를 관통 경유하는 제2 경유관(32)을 구비하되 제2 경유관(32)의 일단은 2차 필터체(14)의 제2포트와 제3 밸브(BV3)간의 제1경유관(28)과 연통됨과 동시에 제5밸브(BV5)를 갖는 연결관(34)이 연결되며 제2 경유관(32)의 타단은 분기되어 제6밸브(BV6)를 갖는 연수배출 분기관(36)과 제7밸브(BV7)를 갖는 세척수배출 분기관(38)이 연결되며, 이온교환수지 탱크(10)내의 제2 경유관(32) 위치에는 하부 출입구(40)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 용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출입구(30)에는 여과망(48)을 갖는 통수체결구(50)가 체결고정되고, 하부 출입구(40)에는 여과망(46)을 갖는 사방 분기관체(42)가 체결되며, 각 사방 분기관체(42)는 유체 토출시 와류가 형성되도록 단부가 막혀 있고 원주길이방향으로 세공(44)들이 배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연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연통관(26)은 이온교환수지 탱크(10) 내부를 수봉 관통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연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7 밸브(BV1)~(BV7)는 수동조작을 위한 노브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연수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1차 필터체(12)에는 부직포필터(18)가 내장되며 2차 필터체(14)에는 카본필터(20)가 내장되게 구성함을 특징으 로 하는 가정용 연수기.
KR1020090054489A 2009-06-18 2009-06-18 가정용 연수기 KR10092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89A KR100922144B1 (ko) 2009-06-18 2009-06-18 가정용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89A KR100922144B1 (ko) 2009-06-18 2009-06-18 가정용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144B1 true KR100922144B1 (ko) 2009-10-19

Family

ID=4156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489A KR100922144B1 (ko) 2009-06-18 2009-06-18 가정용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238A (zh) * 2021-10-26 2021-12-28 盐城海德能水处理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软化水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03Y1 (ko) 2004-08-31 2004-12-23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003Y1 (ko) 2004-08-31 2004-12-23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238A (zh) * 2021-10-26 2021-12-28 盐城海德能水处理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软化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11036A (zh) 一种近零排放软化水设备及方法
JP4998842B2 (ja) 家庭用軟水装置
RU122649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модульная станция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KR100922144B1 (ko) 가정용 연수기
JP2012217975A (ja) 水処理システム
CN202538507U (zh) 新型软化水过滤池
KR101132645B1 (ko) 스케일 성분을 포함한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103128A (ko) 냉온 혼합형 하향식 자동화 연수기
CN102303930A (zh) 软水净水机
KR20080005511U (ko) 연수기의 재생장치
CN101407348A (zh) 一种多功能家用反渗透纯水机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CN201864629U (zh) 家用软水器
CA2386445A1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KR100554655B1 (ko) 연수기
KR200425783Y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KR200399265Y1 (ko) 연수기
KR100554657B1 (ko) 연수기
CN215048889U (zh) 一种水处理设备
CN204281436U (zh) 一种高水量冲刷膜滤芯的减少浓水浪费的净水机
CN105084564A (zh) 一种高水量冲刷膜滤芯的减少浓水浪费的净水机
CN108467139A (zh) 预处理软化再生辅助开放加盐系统及纯水机
KR200398459Y1 (ko) 연수기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346462Y1 (ko) 혼합 정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