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81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81B1
KR101866981B1 KR1020110146063A KR20110146063A KR101866981B1 KR 101866981 B1 KR101866981 B1 KR 101866981B1 KR 1020110146063 A KR1020110146063 A KR 1020110146063A KR 20110146063 A KR20110146063 A KR 20110146063A KR 101866981 B1 KR101866981 B1 KR 10186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tank
tank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383A (ko
Inventor
김성현
문형민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역삼투압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는 메인탱크와, 상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재유입되도록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폐수통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오염 특히, 수질 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 중에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농도가 진한 쪽에 압력을 가하여 고농도의 용액 속의 용매인 물이 삼투막을 통과하여 저농도쪽으로 이동토록 하는 인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정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한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메인탱크에 수용된다.
이후, 사용자가 추출코크를 작동시키면 메인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추출되어 사용자가 정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멤브레인 필터에서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를 그대로 배수해 버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수도전 등과 직접 연결되므로, 사무실이나 공장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도전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공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무실 미관 등을 이유로 별도의 배관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수도전이 멀리 설치된 경우에는 수도전과 직결되는 형식의 정수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활용수를 다시 여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생활용수의 낭비가 적은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계속된 여과로 인해 농축된 생활용수를 필터부로 공급하지 않을 수 있게 함으로써 필터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생활용수를 재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품질의 정수 공급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역삼투압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는 메인탱크와, 상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재유입되도록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폐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폐수통과, 상기 급수탱크를 연결하는 폐수관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 후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의 연결부에는 밸브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정수기는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와 상기 밸브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관에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코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폐수통으로 배수가 시작되는 물의 양은 만수위의 20% ~ 50%일 수 있다.
상기 폐수통과 상기 급수탱크를 연결하는 폐수관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밸브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폐수통은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경우 수두차에 의해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모두 폐수통으로 배수시킴으로써 고농축된 생활용수가 필터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농축된 생활용수가 다시 급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품질의 정수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일예로서, 필터부(110), 메인탱크(120), 급수탱크(130), 폐수통(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10)는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역삼투압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멤브레인 필터(114)를 구비한다.
한편, 필터부(110)는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여 정수하고, 생성된 정수를 메인탱크(120)로 공급한다.
이러한 필터부(110)는 일예로서, 복합필터(112), 멤브레인 필터(114) 및 후카본 필터(116)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필터(112)는 급수탱크(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5 미크론 정도의 미세한 필터를 통해 먼지, 찌꺼기,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며, 활성탄의 흡착방식을 이용하여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염소 성분 등을 제거한다.
즉, 복합필터(112)는 세디먼트 필터와 선카본 필터를 하나와 필터로 구성한 필터이다.
또한, 멤브레인 필터(114)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 이온성 물질,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멤브레인 필터(114)의 내부에는 역삼투막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납,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물론 나트륨, 각종 병원균 등을 걸러낸다.
그리고, 멤브레인 필터(114)에는 상기한 물질이 함유된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드레인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
후카본 필터(116)는 물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 색소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필터부(110)가 상기한 3가지 필터(112,114,116)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필터부(110)에 구비되는 멤브레인 필터(114)를 제외하고는 필요에 따라 필터가 추가되거나 필터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의 종류가 전혀 다를 수 있다.
더하여, 상기한 3가지 필터의 배치 순서 또한 변경 가능할 것이다.
메인탱크(120)는 필터부(110)를 통과한 정수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즉, 메인탱크(120)는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물을 정수관(121)을 통하여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탱크(120)에는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탱크(120)는 정수기의 사용에 따라 온수탱크 및/또는 냉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메인탱크(120)에는 추출코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탱크(130)는 필터부(110)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며, 멤브레인 필터(114)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재유입되도록 멤브레인 필터(114)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급수탱크(130)는 필터부(110)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134)에 의해 필터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탱크(130)와 복합필터(112)는 공급관(13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탱크(13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도전이 없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 물을 필터부(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채워 넣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폐수통(140)을 이용하여 급수탱크(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관(134)에는 급수탱크(130)로부터 정화될 물이 복합필터(1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펌프(P)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펌프(P)에 의해 급수탱크(130)에 저장된 물은 공급관(134)으로 유동되어 복합필터(112)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펌프(P)는 필터부(110)로 물을 공급하거나 급수탱크(130)로 생활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면 그 설치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생활용수관(136)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급수탱크(130)는 생활용수관(136)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114)의 드레인부(114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 필터(114)로부터 생성되는 생활용수는 생활용수관(136)을 통해 급수탱크(13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수위감지부(132)는 급수탱크(13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센서(132a)와, 급수탱크(13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2 센서(1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132a)는 급수탱크(130)에 충진된 물이 만수위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2 센서(132b)는 급수탱크(130)의 배수를 위한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제1 및 제2 센서(132a, 132b) 이외에도 추가적인 센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일정부피의 용기를 통하여 급수탱크(13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 센서(132a)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센서(132b)의 설치위치는 급수탱크(130)의 배수를 위한 수위에 대응되도록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일예로서, 급수탱크(130)의 만수위 때의 저장량이 10L 인 경우 제2 센서(132b)는 5L 때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급수탱크(130)의 배수를 위한 기설정된 수위는 변경 가능하며, 급수탱크(130)의 총 저장량의 20% ~ 50% 일 때의 수위일 수 있다.
폐수통(140)은 급수탱크(130)에 연결되며, 수위감지부(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은 폐수통(140)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폐수통(140)은 폐수통(140)에 채워진 물을 비운 후에 급수탱크(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폐수통(140)은 폐수관(142)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통(140)은 급수탱크(130)에서 배출되는 생활용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폐수통(140)의 부피가 급수탱크(130) 부피의 1/2로 설정되는 경우, 급수탱크(130)의 배수 수위 이하의 물을 모두 수용할 수 있고, 폐수통(140)을 이용하여 급수탱크(130)에 물을 2번 공급함으로써 급수탱크(130)를 채울 수 있게 된다.
한편, 폐수통(140)은 급수탱크(130)와 폐수관(142)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폐수관(142)은 상기한 공급관(134)에 연결된다.
즉, 급수탱크(130)로부터 유출된 관은 공급관(134)을 거쳐 폐수관(142)으로 유입된 후 최종적으로 폐수통(14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폐수관(142)과 공급관(134)은 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P)의 후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탱크(130)에 기설된 수위의 물이 수용되는 경우 펌프(P)에 의해 급수탱크(130)로부터 물이 배수되어 폐수통(14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폐수관(142)과 공급관(134)이 연결된다.
또한, 폐수관(142)와 공급관(134)의 연결부에는 밸브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부재(144)는 삼방변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밸브부재(144)는 급수탱크(1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급수탱크(1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필터부(110)의 복합필터(112)로 공급되는 경우에 밸브부재(144)는 폐수관(142)과 공급관(134)의 연결부를 폐쇄하여 물이 복합필터(112)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급수탱크(1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은 폐수관(142)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급수탱크(1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폐수통(140)으로 유입되는 경우 밸브부재(144)는 폐수관(142)과 공급관(134)이 연통되도록 하며, 물이 복합필터(112)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폐수관(142)에는 폐수관(142)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지를 감지하는 유동감지센서(14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감지센서(146)는 제어부(C)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유동감지센서(146)는 폐수관(142)을 통해 물이 유동하는 경우와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신호를 제어부(C)에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유동감지센서(14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급수탱크(130)의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에는 상기한 밸브부재(144), 펌프(P), 및 수위감지부(13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작동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C)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자동 배수 운전이 진행됨을 표시하는 제1 램프(152)와,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보충할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2 램프(15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이 폐수통(140)으로 배수되는 경우 제1 램프(152)가 점등되고, 이후 급수탱크(130)로부터의 배수가 완료되면 제1 램프(152)가 소등되는 동시에 제2 램프(154)가 점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보충하여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탱크(130)에 연결되는 공급관(134)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1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급수탱크(130)의 배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배수밸브(1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채운 뒤 일정시간 사용 후 수동으로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배수한 뒤 원수를 채울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이 기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물을 폐수통(140)으로 모두 배수함으로써, 필터부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즉,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이 기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멤브레인 필터(114)로부터 더 이상의 생활용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고농축된 생활용수가 희석된 물을 배수함으로써, 고농축된 생활용수에 의한 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가 급수탱크(130)에 보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품질의 정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만수위까지 채운다. 이후, 급수탱크(130)에 저장된 물은 정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작동 중 급수탱크(130)에는 멤브레인 필터(114)로부터 유출되는 생활용수가 유입된다.
한편, 일정시간 정수기(100)가 사용되면,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이후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는 수위감지부(132)의 제2 센서(132b)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까지 낮아진다.
그리고, 제2 센서(132b)가 설치된 부분까지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제2 센서(132b)는 제어부(C)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제2 센서(132b)는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이 만수위의 20% ~ 50%의 수위를 가지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서, 급수탱크(130)의 전체 수용량이 10L인 경우 제2 센서(132b)는 5L의 물이 수용된 경우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C)는 제2 센서(132b)로부터의 신호가 송달되면, 펌프(P)를 가동하는 동시에 밸브부재(144)를 제어하여 공급관(134)와 폐수관(142)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C)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램프(152)를 점등하여 자동 배수 운전이 수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급수탱크(130)에 수용되는 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관(142)을 통해 폐수통(150)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동감지센서(146)에 의해 폐수관(142)을 통해 물이 폐수통(150)으로 유동되는지가 감지될 수 있다.
이후, 유동감지센서(146)에 의해 폐수관(142)을 통한 물의 유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유동감지센서(146)는 제어부(C)에 신호를 송출한다.
이 신호에 따라 제어부(C)는 펌프(P)의 구동은 정지되고, 밸브부재(144)는 폐수관(142)과 공급관(134)의 연결부를 폐쇄한다.
더하여, 제어부(C)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램프(152)를 소등함과 동시에 제2 램프(154)를 점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공급하여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탱크(130)에 수용된 고농축된 생활용수가 희석된 물을 폐수통(140)으로 모두 배수시킨 후 급수탱크(130)에 원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품질의 정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더하여, 고농축된 생활용수에 의한 필터부의 수명 단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일 예로서, 필터부(210), 메인탱크(220), 급수탱크(230), 폐수통(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에 구비되는 필터부(210), 메인탱크(220), 급수탱크(230), 폐수통(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구비되는 필터부(110), 메인탱크(120), 급수탱크(130), 폐수통(140) 및 디스플레이부(1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폐수통(240)과 급수탱크(230)를 연결하는 폐수관(242)은 급수탱크(230)로부터 필터부(210)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34)에 밸브부재(244)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폐수관(242)과 공급관(234)은 밸브부재(24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밸브부재(244)에 의해 급수탱크(2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필터부(210) 또는 폐수통(240)으로 선택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폐수통(240)은 급수탱크(2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밸브부재(244)에 의해 폐수관(242)과 공급관(234)이 연결되는 경우 수두차에 의해 급수탱크(230)에 수용된 물이 폐수통(2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폐수관(242)이 펌프(P)의 전단에서 공급관(234)에 연결되더라도 폐수통(240)이 급수탱크(23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수두차에 의해 물이 낙하하면서 폐수통(24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에 구비되는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구비되는 구성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 의해 구현되는 효과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200 : 정수기
110, 210 : 필터부
120, 220 : 메인탱크
130, 230 : 급수탱크
140, 240 : 폐수통
150, 2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역삼투압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는 메인탱크;
    상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재유입되도록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폐수통;
    을 포함하며,
    상기 폐수통과, 상기 급수탱크를 연결하는 폐수관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는 펌프 후단에서 연결되고,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의 연결부에는 밸브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와 상기 밸브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관에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코크가 연결되는 정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폐수통으로 배수가 시작되는 물의 양은 만수위의 20% ~ 50% 인 정수기.
  8.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역삼투압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멤브레인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는 메인탱크;
    상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며 상기 멤브레인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생활용수가 재유입되도록 상기 멤브레인 필터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폐수통;
    을 포함하며,
    상기 폐수통과 상기 급수탱크를 연결하는 폐수관은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필터부로 정화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밸브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폐수통은 상기 급수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상기 폐수관과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경우 수두차에 의해 상기 급수탱크에 수용된 물이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며,
    상기 폐수관에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폐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을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
KR1020110146063A 2011-12-29 2011-12-29 정수기 KR10186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63A KR101866981B1 (ko) 2011-12-29 2011-12-2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63A KR101866981B1 (ko) 2011-12-29 2011-12-29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83A KR20130077383A (ko) 2013-07-09
KR101866981B1 true KR101866981B1 (ko) 2018-06-14

Family

ID=4899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63A KR101866981B1 (ko) 2011-12-29 2011-12-2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61A (ko) 2014-07-28 2016-02-11 코웨이 주식회사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CN108128824A (zh) * 2018-01-14 2018-06-08 丁云广 净水机废水回收循环系统
KR20220169263A (ko) 2021-06-18 2022-12-2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738A (en) * 1998-03-16 1999-12-07 Lin; Shang-Chun Reverse osmosis water fountain machine with water saving device
KR200201836Y1 (ko) * 2000-05-09 2000-11-01 주식회사새한 농축수 재활용 타입의 가정용 정수기
JP2007105572A (ja) * 2005-10-11 2007-04-26 Teraoka Seiko Co Ltd 逆浸透膜式浄水装置
KR20100058946A (ko) * 2008-11-25 2010-06-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멤브레인 필터 생활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70Y1 (ko) * 2000-06-05 2000-11-15 곽정범 역삼투압 정수기의 폐수재활용장치
KR20100109157A (ko) * 2009-03-31 2010-10-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생활용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7738A (en) * 1998-03-16 1999-12-07 Lin; Shang-Chun Reverse osmosis water fountain machine with water saving device
KR200201836Y1 (ko) * 2000-05-09 2000-11-01 주식회사새한 농축수 재활용 타입의 가정용 정수기
JP2007105572A (ja) * 2005-10-11 2007-04-26 Teraoka Seiko Co Ltd 逆浸透膜式浄水装置
KR20100058946A (ko) * 2008-11-25 2010-06-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멤브레인 필터 생활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83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298B1 (ko) 이온교환장치의 제어방법
PL1748829T3 (pl) Filtr włóknowy typu grawitacyjnego
JP4706564B2 (ja) 浄水器
KR20160005319A (ko) 생활용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CN108623024B (zh) 净水器和净水系统
JP2007326065A (ja) 浄水器
KR20130062010A (ko) 미네랄 농도 조절가능한 정수기
CN113015690B (zh) 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101866981B1 (ko) 정수기
KR100927149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85272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JP5105036B2 (ja) 二元給配水システム
KR19990018165A (ko) 역삼투압 순환여과방식 정수시스템
JP2007326028A (ja) 浄水器
RU51521U1 (ru) Бытово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20100109157A (ko) 생활용수 재활용이 가능한 정수기
KR10163523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필터 세척방법
CN209940634U (zh) 一种可自动冲洗的饮水机
KR20110094172A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RU2681625C2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RU23477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CN110894104A (zh) 一种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