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172A - 정수기의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172A
KR20110094172A KR1020110077129A KR20110077129A KR20110094172A KR 20110094172 A KR20110094172 A KR 20110094172A KR 1020110077129 A KR1020110077129 A KR 1020110077129A KR 20110077129 A KR20110077129 A KR 20110077129A KR 20110094172 A KR20110094172 A KR 2011009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tank
rins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225B1 (ko
Inventor
민들레
서광하
조민제
김영진
박병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2Directing the mixture to be filtered on to the filters in a manner to clean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의 세정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은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원수(原水)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수조부 및 상기 정수를 수조부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가 세정약품이 용해된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 공급 단계;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상기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세정수 배출 단계; 세정수 배출 완료를 감지하여 상기 수조부가 헹굼수를 공급받는 헹굼수 공급 단계; 및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상기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수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정수기의 세정 및 헹굼 작업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코디의 방문 없이도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세정방법{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수기의 내부 구성에 축적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와 유사한 물품으로 이온수기 등이 있다.
상기 정수기를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여과식은 저장된 물이 중력으로 세라믹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방식이며, 직결여과식은 수도꼭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고, 이온교환수지식은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이용하여 물속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을 분리·제거하는 방식이며, 증류식은 물이 끓을 때 생기는 수증기를 식혀서 정수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역삼투압식은 압력으로 물이 반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불순물을 걸러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수기의 구성은,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 사용시간 또는 사용량에 따라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며, 정수기 내부 구성품, 특히 물이 지나거나 저장되는 구성품에는 물때, 오염물질 등이 쌓이게 되어 소비자가 음용하는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수기의 청소는 정기적으로 정수기 구매자의 가정 또는 업체 등을 방문하여 필터교체뿐만 아니라 정수기 구성품의 청소를 해주는 사람(소위, '코디'라 함)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 코디에 의한 정수기 세정 방법은, 세정 약품을 상기 수조부에 투여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종료된다.
또한, 수조부에 잔류하는 약품 성분 제거는, 코디가 소비자에게 수조부의 물을 공급하여 한번 비우고 사용할 것을 고지하여 소비자에 의해 행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 세정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정수기의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필터연결부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경우 세정 약품이 수조부에 투여되므로 상기 필터연결부에 쌓인 오염물질, 물때 등은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투여된 세정 약품에 의한 세정 작용 완료 여부를 일정 시간 경과 여부 또는 코디의 직관에 의해 판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코디는 시계를 항상 살펴야 하거나, 직관에 의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세정 정도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세정 약품이 포함된 물을 배출시킨 후 소비자가 코디의 말을 무시하고 바로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세정 약품 냄새가 섞인 물을 마시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소비자에게 서비스 불만족 또는 제품 불만족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세정 약품에 의한 청소 작업 및 헹굼 작업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 작업 및 헹굼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대기과정을 없애고 약품투입 과정의 불편함이 제거된 정수기의 세정방법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은,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원수(原水)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수조부 및 상기 정수를 수조부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가 세정약품이 용해된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 공급 단계;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상기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세정수 배출 단계; 세정수 배출 완료를 감지하여 상기 수조부가 헹굼수를 공급받는 헹굼수 공급 단계; 및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상기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수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단계는, 상기 수조부에 세정약품을 투입하고, 상기 수조부에 물을 공급해 세정약품을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단계는,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를 분리하고 세정약품이 저장된 세정약품용기를 체결하는 세정약품용기 체결 단계 및 상기 세정약품용기에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정약품이 상기 원수에 의해 용해되어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는 상기 수조부에 만수위까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원수의 도입 전에 상기 수조부에 잔류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 배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 완료 후 상기 세정약품용기를 분리하고 필터를 체결하는 필터 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 개의 필터들이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부들과 상기 체결부들를 직렬로 연통시키는 필터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세정약품용기는 상기 체결부들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나머지 체결부들에는 각각의 체결부에 연결된 필터연결부들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캡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약품용기는 상기 원수가 가장 먼저 지나는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 완료 후 상기 세정약품용기를 분리하고, 프리카본(pre-carbon)필터 및 포스트카본(post-carbon)필더를 포함하는 필터를 체결하는 필터 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각각 연통되며 정수를 냉수 및 온수로 저장하는 냉수조와 온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는 상기 저장탱크, 냉수조 및 온수조에 각각 만수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는,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세정 완료를 알리는 헹굼 완료 알림 단계; 및 상기 배출부에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배수호스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공급 단계는 상기 정수를 상기 수조부의 만수위까지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배출 단계 완료 후 외부로 세정모드 완료를 알리는 헹굼 완료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헹굼 완료 알림 단계는, 시각, 청각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의하면, 정수기의 세정 및 헹굼 작업이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코디의 방문 없이도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디의 입장에서도 정수기의 세정을 위한 방문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업무효율성이 상승하게 되며, 세정작업에 드는 수고가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세정 작업이 수시로 행해질 수 있으므로, 약품의 저장된 세정약품용기의 단품 판매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업체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수배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세정수 공급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
도 4는 도 2에서 세정수 배출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헹굼수 공급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
도 6은 도 2에서 헹굼 완료 알림 단계의 일 예를 추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세정수 공급 단계를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헹굼수 공급 단계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발명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리 명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발명 사상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수배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10)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20)와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수조부(30)와 상기 수조부(30)의 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수도수, 저장통 등과 같은 수원(水原)에서 도입된 원수(原水)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21)와, 상기 필터(21)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23)와 상기 필터(21)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수조부로 공급되게 상기 체결부(23)를 통해 상기 필터(21)와 연통시키는 필터연결부(25)가 형성된 필터헤드(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21)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21a),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21b),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c)(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및 포스트카본 필터(21d)(post-carbon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21)는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와 나노필터(nano-filtration filter)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21a)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21b)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21c)는 0.001㎛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한다.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21d)는 프리카본 필터(21b)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한다.
상기 필터헤드(27)에는 상기 필터(2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필터(21)를 직렬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필터헤드(27)는 수원과 상기 수조부(3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헤드(27)는, 상기 필터(21)가 결합되는 체결부(23)와 상기 필터(21)를 통과한 물이 다음 필터(21)로 공급되게 연결시켜 상기 체결부(23) 각각이 직렬로 연결되게, 관형태로 구비되는 필터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원(11)과 상기 필터부(20)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어 상기 필터(21)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오염물질은 미리 제거하는 프리필터(26)와 상기 필터부(20)로의 원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원수공급밸브(24)와 프리필터(26)의 상태 및 프리필터(26)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부(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공급밸브(24)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콕 밸브(cock valve) 등으로 마련되거나,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필터부(20)를 지나면서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저장탱크(31)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31)에는 저장된 정수가 소정의 양이 되면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플로트밸브(float valve)(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1)에는 저장된 정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저장탱크(31) 외에 상기 저장탱크(31)와 각각 연통되게 구비되는 냉수조(33)와 온수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조(33)는 상기 저장탱크(31)의 하부에 상기 저장탱크(31)와 일체로 또는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가 공급되도록 정수공급홀(32a)이 형성된 구획판(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35)는 상기 저장탱크(31)와 별개로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31)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상기 구획판(32)으로부터 연장된 정수공급관(36)을 통해 정수를 공급받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공급관(36)에는 상기 온수조(35)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제어하는 온수량제어밸브(36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수조(33)에 저장되는 냉수의 양은 상기 플로트밸브(34)에 의해, 상기 온수조(35)에 저장되는 온수의 양은 상기 온수량제어밸브(36a)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조(33)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33b)(예를 들어, 증발기 등)가 감겨져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조(35)의 외부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35b)가 감겨져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교환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33b)와 상기 히터(35b)가 상기 냉수조(33)와 상기 온수조(35)의 내부에 마련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는 각각 그에 저장된 냉수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3a,35a)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33b) 및 히터(35b)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조(35)를 상기 저장탱크(31) 및 냉수조(33)와 별개로 마련하는 이유는, 상기 히터(35b)에 의한 열이 상기 냉수조(33) 또는 저장탱크(31)에 영향을 주어 상기 냉수조(33)의 냉각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상기 저장탱크(31)에 저장된 정수에 오염물질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부(40)는, 상기 냉수조(33)와 온수조(35)에 각각 연결된 냉수배관(33c)과 온수배관(35c)을 개폐하는 개폐밸브(43,4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43,45)는, 콕 등과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밸브 외에 전기적인 입력을 받아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순서도이고, 도 3을 도 2에 있어서 세정수 공급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세정수 배출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2에 있어서 헹굼수 공급 단계의 일 예를 보인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2에서 헹굼 완료 알림 단계의 일 예를 추가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방법은, 세정수 공급 단계(110s), 세정수 배출 단계(130s), 헹굼수 공급 단계(150s), 헹굼수 배출 단계(170s)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정수 공급 단계(110s)는, 세정약품이 용해된 세정수를 상기 수조부(30)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는, 상기 수조부(30)에 세정약품을 투입하고, 상기 필터부(20)를 통해 도입되는 정수를 상기 수조부(30)에 공급하여 상기 세정약품을 용해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의 공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3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31), 냉수조(33) 및 온수조(35)에 각각 만수위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31)와 상기 온수조(35)를 연통시키는 정수공급관(36)에 구비된 온수량제어밸브(36a)를 개방시킨 채로 상기 온수조(35)가 만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수위센서(31a) 등으로 감지하고, 상기 온수조(35)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온수량제어밸브(36a)를 차단하고, 상기 저장탱크(31)의 만수위 여부를 판단한 후 저장탱크(31)의 만수위가 감지되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130s)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개시된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상기 수조부(30)가 세정수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지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수조부(30)의 형태, 정수기의 크기, 세정수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130s)는, 소정의 시간 경과를 감지하여 세정 완료를 외부에 알리는 세정 완료 알림 단계(133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를 수동으로 체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 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 완료 알림이 개시되면 상기 배출부(40)와 가정의 싱크대 등 배수구를 연결하는 배수호스(미도시)를 상기 배출부(40)에 결합시키는 단계(135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호스 연결 여부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반복적으로 세정 완료를 알리게 하여 세정수가 원치 않는 곳으로 배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정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수조부(30)에 헹굼수가 공급되는 단계(150s)가 행해진다.
여기서 세정수의 배출 완료 여부는, 수조부(30)에 공급된 세정수의 양과 배출속도를 감지하여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조부(30), 자세하게는, 상기 저장탱크(31), 온수조(35), 냉수조(33)에 각각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이들에 의해 감지된 신호로 배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헹굼수의 공급은 앞서 설명한 세정수 공급 단계(110s)에서 세정약품이 제거된 경우와 대동소이하므로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헹굼수 공급 단계(150s)는 상기 세정수 공급과 마찬가지로 상기 정수를 상기 수조부의 만수위까지 채워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헹굼수 공급이 완료된 후 소정이 시간이 경과된 후 헹굼수를 배출하고 정수기의 세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헹굼수의 배출 완료 여부의 판단 역시 상기 세정수 배출 완료 여부의 판단과 대동소이하므로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배출 단계(170s) 완료 후 헹굼 완료 알림 단계(181s)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헹굼 완료 알림 단계(181s)는 헹굼수의 배출 완료를 감지하여 외부로 헹굼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로 알리는 방법으로 시각 또는 청각적인 알림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시각적인 방법으로는, 발광소자(LED) 등과 조명수단을 점멸시켜 알리거나,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알리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청각적인 방법으로는, 비프음 등과 같은 소리를 발생시켜 외부에서 헹굼 완료를 인지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소리의 종류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도록 다양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mp3, wave, dcf, cda 화일 등을 직접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는 음원의 종류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헹굼 완료 알림 후 배출호스의 제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83s)를 수행한다. 배출호스의 제거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주기적으로 헹굼 완료 알림 단계(181s)를 반복하게 되며, 배출호스가 제거된 후 세정 작업이 모두 완료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세정수 공급 단계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에 있어서, 헹굼수 공급 단계를 보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정방법은, 세정수 공급 단계(210s), 세정수 배출 단계(130s), 헹굼수 공급 단계(250s), 헹굼수 배출 단계(170s)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나, 세정수를 공급하는 방법과 헹굼수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수의 공급은 상기 필터부(20)에 필터(21) 대신 세정약품이 저장된 세정약품용기를 체결하고 원수를 도입하여 세정수를 수조부(30)에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단계(210s)는, 상기 필터부(20)에서 필터(21)를 분리하고 세정약품이 저장된 세정약품용기를 체결하는 세정약품용기 체결 단계(211s)와, 상기 세정약품용기에 원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정약품이 상기 원수에 의해 용해되어 공급되는 단계(215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수의 도입 전에 상기 수조부(30)에 잔류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 배출 단계(213s)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세정수의 농도가 잔류하는 정수로 인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수의 공급은 상기 수조부(30) 즉, 저장탱크(31), 온수조(35) 및 냉수조(33)가 모두 만수위가 되는 시점까지 공급되며 이후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약품용기는, 상기 체결부(23)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나머지 체결부(23)는 각각의 체결부(23)에 연결되는 필터연결부(25)를 서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캡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약품용기는 원수가 가장 먼저 지나는 체결부(23)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가 가장 먼저 지나는 체결부(23)에 체결된 세정약품용기를 통과한 세정수가 필터헤드(27)에 형성된 나머지 필터연결부(25)를 지나면서 그 내부를 세정하게 되므로 세정 효율을 높이는 이점을 가지며, 세정약품용기를 단품화하여 레이저 프리터의 토너카트리지처럼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고, 이 경우 코디의 방문이 없더라도 사용자가 손쉽게 세정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최근 추세로 인해 코디와 소비자가 세정을 위한 방문시간을 정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점, 코디의 방문 및 세정 작업 비용이 정수기의 판매가에 포함되는 점에 비추어 세정약품용기를 이용한 소비자에 의한 직접 세정은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헹굼수 공급 단계(250s)는 세정수 배출 단계(130s) 완료 후 상기 세정약품용기를 분리하고 필터를 체결하는 필터 체결 단계(251s)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세정약품용기에 잔류하는 세정수가 다시 수조부(3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터(21)에 의해 정화된 정수로 헹굼 작업이 진행되므로 헹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발명 사상에 대한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세정수를 정수가 저장되는 수조부에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단계;
    상기 세정수를 배출시키는 세정수 배출 단계;
    세정수 배출 후 상기 수조부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 단계; 및
    상기 헹굼수를 배출시키는 헹굼수 배출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에서 수조부에 공급된 세정수가 소정 시간 경과 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배출 단계에서 수조부에 공급된 세정수가 소정 시간 경과 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와 각각 연통되며 정수를 냉수 및 온수로 저장하는 냉수조와 온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는 상기 저장탱크, 냉수조 및 온수조에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 단계는 세정 완료를 알리는 세정 완료 알림 단계; 및
    상기 배출부에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배수호스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배출 단계는 헹굼 완료를 알리는 헹굼 완료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및 상기 수원과 필터부를 연결하는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에는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필터;
    상기 필터부로의 원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원수공급밸브; 및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밸브는 게이트 밸브, 콕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에는 저장된 정수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는 상기 저장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냉수조 사이에는 구획판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냉수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공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냉수조의 외부 둘레에 감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에는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온수조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온수조의 외부에 감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 및 온수조에는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와 온수조에는 각각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냉수배관 및 온수배관에는 각각 이들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방법.
KR1020110077129A 2011-08-02 2011-08-02 정수기의 세정방법 KR10135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29A KR101358225B1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의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29A KR101358225B1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의 세정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746A Division KR101185272B1 (ko) 2009-02-04 2009-02-04 정수기의 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172A true KR20110094172A (ko) 2011-08-22
KR101358225B1 KR101358225B1 (ko) 2014-02-05

Family

ID=4493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29A KR101358225B1 (ko) 2011-08-02 2011-08-02 정수기의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790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50791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50789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934B2 (ja) * 1998-08-17 2005-04-06 松下電工株式会社 浄水装置の洗浄方法
GB0205492D0 (en) 2002-03-08 2002-04-24 Otv Sa Water filter and treatment units
KR20050060046A (ko) * 2005-05-30 2005-06-21 안수길 다 기능성 정수기
KR100843154B1 (ko) *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790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50791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50789A (ko) 2022-10-12 2024-04-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225B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86B1 (ko) 샤워수 정화 및 재활용 장치 및 방법
RU258604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фильт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EP2435157B1 (en)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185212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KR101185272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US20190047878A1 (en) Residential grey water recycling system
JP2012528000A5 (ko)
KR101358225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KR101135951B1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KR10102772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866981B1 (ko) 정수기
JP2004167404A (ja) 浄水器
KR101564265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20110094169A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저수조의 세척방법
KR101364024B1 (ko)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CN205653258U (zh) 一种大通量净水器
KR101439830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135952B1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200389305Y1 (ko) 공기방울 자동 역세척 여과시스템
KR20110056160A (ko) 정수기 및 이 정수기의 자동 살균 방법
CN107512788A (zh) 水处理系统及净水机
TWM528781U (zh) 淨水系統
KR20110138332A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JP2011224468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