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790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790A
KR20240050790A KR1020220130626A KR20220130626A KR20240050790A KR 20240050790 A KR20240050790 A KR 20240050790A KR 1020220130626 A KR1020220130626 A KR 1020220130626A KR 20220130626 A KR20220130626 A KR 20220130626A KR 20240050790 A KR20240050790 A KR 2024005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purified
water outlet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준
문현석
이상영
유근상
한두원
박정철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790A/ko
Publication of KR2024005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식으로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와,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와,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를 가열해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와, 상기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온수가 흐르는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 및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및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가 구비된 출수부 및 상기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로 흐르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식으로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입수된 원수를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정수로 여과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정수기는 여과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서 온수나 정수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정수, 온수 및 냉수가 흐르는 유로에 스케일(scale)과 같은 이물질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스케일로 인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용수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94172호에 개시된 종래의 정수기에는 저장탱크, 냉수조 및 온수조를 포함하는 수조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정수기는 세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2가지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첫 번째 방식은 정수가 저장된 수조부에 세정약품을 투입해서 세정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세정수를 이용해서 수조부를 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조부를 세정할 경우 정수, 온수 및 냉수가 흐르는 유로 상에 형성된 스케일의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정약품을 수조부에 투입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세정 과정이 종료되었으므로 세정약품에 의한 세정 작용 완료 여부를 사용자나 관리자가 직접 판단하게 되어 세정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되는 문제도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방식은 수조부에 세정약품을 투입하는 것이므로 수조부가 구비되지 않는 직수형 정수기에 대하여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두번째 방식은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부에서 필터를 분리하고 세정약품이 저장된 세정약품용기를 체결한 후 원수를 공급해서 세정약품을 용해시키면서 세정수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정수기 내부의 필터를 제거해야 하므로 세정약품용기를 체결하기 위해 정수기를 일부 분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를 제거한 후 원수를 이용해서 세정수를 생성함에 따라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정수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세정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더 나아가 필터부에 복수 개의 필터가 구비되고, 일부 필터는 남겨두고 나머지 필터를 세정약품용기로 교체한 후 세정수를 생성한다고 하더라도 공급되는 원수가 교체된 나머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정수의 청정도가 저하되고, 이러한 정수를 이용해서 생성된 세정수에는 이물질이 일부 남아있게 되어 세정 과정에서 여전히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세척수는 세정약품용기를 기준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어느 일 방향으로 흐르면서 편도로만 세척이 가능하고, 출수부로 이동한 세척수는 출수부를 통해 배출되거나, 출수부 직전의 드레인으로 배출됨에 따라 세척 범위가 적다는 문제도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130972호에는 종래의 정수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정수장치에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전기탈이온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와 유기산 필터를 포함하는 살균세정부가 구비되며, 유기산 필터를 통해 생성된 살균세정수가 전기탈이온 필터 내부로 유동하면서 경도성 스케일 및 바이오 필름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케일을 제거할 경우 정수장치 내부에 유기산 필터가 위치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정수장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정수장치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산 필터의 수명이 종료되어 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유기산 필터가 정수장치 내부에 위치하므로 정수장치를 분해해서 교체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유기산 필터를 직접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99563호에 개시된 종래의 정수장치에는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와 유입되는 원수로 디스케일 용액을 생성하는 디스케일 키트가 결합되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정수장치의 경우에도 디스케일 키트가 필터부에 결합되므로 정수장치 내부에 디스케일 필터가 위치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정수장치 내부 공간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정수장치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지 않으며, 디스케일 키트가 정수장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디스케일 키트를 직접 설치 및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9417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13097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99563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나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부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를 이용해서 세척수를 생성하므로 세척수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개폐 부재를 통해 투입구를 쉽게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한 후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세척수 생성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므로 온수 출수 유로부 및 온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를 통해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생성부의 온수 출수 포트로 유입되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온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가 제1 정수 유로 부재를 통해 제1 분기 유로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가 여과부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1 스케일 저장 유로를 통해 출수부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1 스케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까지 경유하면서 정수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로 회수된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나 냉수가 출수되는 출수부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를 이용해서 세척수를 생성하므로 세척수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므로 냉수 출수 유로부 및 냉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를 통해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생성부의 냉수 출수 포트로 유입되어 냉수 생성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냉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가 제2 정수 유로 부재를 통해 제2 분기 유로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가 여과부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2 스케일 저장 유로를 통해 출수부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2 스케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까지 경유하면서 정수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로 회수된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와,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와,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를 가열해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와, 상기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온수가 흐르는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 및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및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가 구비된 출수부 및 상기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정수 유로부와 연결된 제1 정수 입수 포트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연결된 온수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포트로 유입된 후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 유로부는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와 연결되는 제1 정수 유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로 유출된 상기 세척수가 흐르는 제1 분기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유로에는 상기 출수부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스케일 저장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유로에는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스케일 배출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경유해서 상기 출수부로 다시 회수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출수부로 회수된 상기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와,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와,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를 냉각해서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와, 상기 냉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냉수가 흐르는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 및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및 냉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가 구비된 출수부 및 상기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정수 유로부와 연결된 제2 정수 입수 포트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연결된 냉수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포트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 유로부는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와 연결되는 제2 정수 유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로 유출된 상기 세척수가 흐르는 제2 분기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유로에는 상기 출수부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2 스케일 저장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유로에는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스케일 배출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경유해서 상기 출수부로 다시 회수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출수부로 회수된 상기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나 온수가 출수되는 출수부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를 이용해서 세척수를 생성하므로 세척수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개폐 부재를 통해 투입구를 쉽게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한 후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세척수 생성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므로 온수 출수 유로부 및 온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를 통해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생성부의 온수 출수 포트로 유입되어 온수 생성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온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가 제1 정수 유로 부재를 통해 제1 분기 유로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가 여과부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1 스케일 저장 유로를 통해 출수부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1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1 스케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까지 경유하면서 정수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로 회수된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나 냉수가 출수되는 출수부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를 이용해서 세척수를 생성하므로 세척수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므로 냉수 출수 유로부 및 냉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를 통해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생성부의 냉수 출수 포트로 유입되어 냉수 생성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냉수 생성부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가 제2 정수 유로 부재를 통해 제2 분기 유로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가 여과부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2 스케일 저장 유로를 통해 출수부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제2 분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가 제2 스케일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까지 경유하면서 정수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로 회수된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정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온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 및 정수 출수 유로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냉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 및 정수 출수 유로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정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온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온수 출수 유로부와 온수 생성부 및 정수 출수 유로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케이싱(10)과, 본체 케이싱(10)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W)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20)와, 원수(W)를 여과해서 정수(C1)를 생성하는 여과부(30)와, 정수(C1)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100)와, 정수(C1)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정수(C1)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200)와, 정수(C1)를 가열해서 온수(C2)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300)와, 온수(C2)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온수(C2)가 흐르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정수 출수 유로부(200) 및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각각 연결되고, 정수(C1) 및 온수(C2)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510)가 구비된 출수부(500)와,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원수 유로부(20)에는 유입된 원수(W)가 흐르며, 유입된 원수(W)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수(W)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고압 솔레노이드 밸브(NOS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부(30)는 원수(W)를 여과해서 정수(C1)를 생성하며, 이를 위한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부(3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3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정수(C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유로부(100)와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정수 유로부(100)에는 분기 밸브(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정수 유로부(100)를 통해 이동하는 정수(C1)는 분기 밸브(50)를 통해 정수 출수 유로부(200)로 이동하거나 후술할 냉수 생성부(600)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생성부(300)와 온수 출수 유로부(4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온수 출수 유로부(400)에는 온수(C2)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온수 밸브(60)가 구비될 수 있다. 출수부(500)에는 정수(C1) 및 온수(C2)가 출수되도록 출수구(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정수 출수 유로부(200)와 온수 출수 유로부(400)는 별도의 튜빙이나 배관으로 제한되지 않고, 출수부(500)에 연결되는 피팅일 수 있다. 즉, 출수부(500)의 내부에 정수(C1)나 온수(C2)가 흐르는 튜빙이나 배관을 모아서 모듈화하면 이러한 출수부(500)를 피팅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출수부(500)를 피팅으로부터 분리해서 교체하는 방식으로 튜빙이나 배관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는 정수(C1)나 온수(C2)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수용 파우셋일 수 있다. 또는,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는 출수부(500)와 별도로 구비된 출수용 파우셋과 연결되는 튜빙이나 배관일 수 있다. 즉, 출수부(500)에는 정수(C1)나 온수(C2)가 흐르는 튜빙이나 배관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튜빙이나 배관을 흐르는 정수(C1)나 온수(C2)는 별도로 출수용 파우셋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500)에는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통해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P)가 생성되도록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520)가 구비되고,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로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0)은 정수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면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케이싱(10)에는 내부 공간의 개폐를 위한 상부 커버(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커버(11)에는 출수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홈(12)이 구비되어 정수(C1) 또는 온수(C2)가 출수부(50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도록 구성된다. 출수부(500)에는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통해 유입된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로 흐르도록 내부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500)에는 스케일 제거 이후 회수된 세척수(P)가 수용되는 스케일 저장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케일 저장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P)는 출수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500)에는 정수(C1), 온수(C2) 및 냉수(C3)가 흐르도록 각각의 유로와 연통되는 포트(5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0)의 상부 커버(11)에 구비된 안착홈(12)에는 이러한 포트(560)가 관통 결합되는 포트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각각의 유로를 흐르는 정수(C1) 및 온수(C2) 뿐만 아니라 세척수(P)의 흐름도 제어할 수 있다.
즉, 정수(C1)나 온수(C2)가 출수되는 출수부(500)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520)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P)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30)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C1)를 이용해서 세척수(P)를 생성하므로 세척수(P)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520)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500)에는 투입구(520)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53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부재(530)는 투입구(520) 내면에 밀착 배치되며, 사용자가 개폐 부재(530)를 쉽게 분리 또는 설치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부재(530)의 둘레에는 정수(C1), 온수, 냉수(C3) 및 세척수(P)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540)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부재(530)를 분리하면 출수부(500) 내부가 개방되고, 출수부(500)의 내부에는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 공간(550)이 형성된다. 투입 공간(550)을 통해 투입되는 디스케일 물질은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통해 유입된 정수(C1)에 용해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세척수(P)가 생성된다. 출수부(500)에는 정수(C1), 온수(C2) 및 냉수(C3)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 공간은 투입 공간(550)과 연통되므로 수용 공간에 정수(C1)가 수용된 상태에서 디스케일 물질이 투입되면 디스케일 물질이 정수(C1)에 용해되면서 세척수(P)가 생성되고, 생성된 세척수(P)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 또는 후술할 냉수 출수 유로부(700)로 흐르면서 스케일을 제거한 후 수용 공간으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즉, 수용 공간은 스케일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부재(530)를 통해 투입구(520)를 쉽게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한 후 투입구(520)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세척수(P) 생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온수 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된 온수(C2)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를 경유해서 출수부(500)로 이동하나,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온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가 향상된다. 이때,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로 이동하도록 온수 밸브(60)를 개방하게 되면 원수(W)의 압력이 정수(C1)를 통해 세척수(P)로 전달되면서 세척수(P)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온수 생성부(300)는, 정수 유로부(100)와 연결된 제1 정수 입수 포트(310)와,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연결된 온수 출수 포트(320)를 포함하고,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온수 출수 포트(320)로 유입된 후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온수 생성부(300)에는 정수(C1)가 수용되는 온수 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정수 유로부(100)와 연결된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를 통해 온수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온수 하우징 내부에서 가열된 온수(C2)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연결된 온수 출수 포트(320)를 통해 온수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온수 생성부(300)에는 온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C1)를 가열하도록 히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온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C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도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터는 판상형(plate type) 히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수 하우징에 수용된 정수(C1)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판상형 히터는 온수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연장 형성됨으로써 패키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상형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가열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온수 생성부(300)에는 별도의 온수 드레인 포트(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수 드레인 포트(330)를 통해 세척수(P)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온수(C2) 생성을 위해서는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를 통해 정수(C1)가 온수 하우징 내부로 이동하고, 정수(C1)가 가열되면서 생성된 온수(C2)는 온수 출수 포트(320)를 통해 온수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게 되나,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온수 생성부(300)의 온수 출수 포트(320)로 유입되어 온수 생성부(300)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를 통해 유출(온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됨으로써 온수 생성부(300)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P)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 유로부(100)는 제1 정수 입수 포트(310)와 연결되는 제1 정수 유로 부재(110)를 포함하고, 제1 정수 유로 부재(110)에는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로 유출된 세척수(P)가 흐르는 제1 분기 유로(11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정수 유로 부재(110)에는 온수 생성부(300)로 이동하는 정수(C1)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밸브(7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정수 입수 포트(310)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P)가 제1 정수 유로 부재(110)를 통해 제1 분기 유로(111)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P)가 여과부(30)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1 분기 유로(111)에는 출수부(500)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스케일 저장 유로(1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케일 저장 유로(112)에는 출수부(500)로 이동하는 세척수(P)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가 정수(C1)나 온수(C2)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수용 파우셋인 경우 세척수(P)는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출수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분기 유로(111)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P)가 제1 스케일 저장 유로(112)를 통해 출수부(500)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케일 저장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P)는 출수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1 분기 유로(111)에는 세척수(P)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스케일 배출 유로(113)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와는 별도로 출수용 파우셋이 구비됨에 따라 출수부(500)에 튜빙이나 배관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세척수(P)는 제1 스케일 배출 유로(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분기 유로(111)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P)가 제1 스케일 배출 유로(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세척수(P)가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경유해서 출수부(500)로 다시 회수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30)를 통해 생성된 정수(C1)는 정수 유로부(100) 및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순차적으로 경유(① 흐름)하면서 출수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온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고, 이러한 세척수(P)는 정수 유로부(100) 및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순차적으로 경유(② 흐름)하면서 정수(C1)가 흐르는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하게 된다. 즉,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200)까지 경유하면서 정수(C1)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가 향상된다. 또한, 온수 생성부(300)를 이용해서 세척수(P)를 가열하게 되면 온수(C2) 유로 및 정수(C1) 유로의 스케일 제거 성능이 향상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수(P)가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로 다시 이동하는 방식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출수구(510)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출수구(510)에는 별도의 출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P)의 순환 흐름이 생성되도록 별도의 순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수(W)가 유입되지 않도록 원수 밸브를 차단하고, 출수구(510)에 구비된 출수 밸브도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이용해서 세척수(P)가 순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온수 밸브(60)만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동작시키면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를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온수 밸브(60) 뿐만 아니라 분기 밸브(50)까지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동작시키면 온수 출수 유로부(400)와 온수 생성부(300)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200)까지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냉수 출수를 위한 유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로서, 세척수가 냉수 출수 유로부와 냉수 생성부 및 정수 출수 유로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에 출수부로 회수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 케이싱(10)과, 본체 케이싱(10)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W)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20)와, 원수(W)를 여과해서 정수(C1)를 생성하는 여과부(30)와, 정수(C1)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100)와, 정수(C1)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정수(C1)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200)와, 정수(C1)를 냉각해서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600)와, 냉수(C3)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냉수(C3)가 흐르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정수 출수 유로부(200) 및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각각 연결되고, 정수(C1) 및 냉수(C3)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510)가 구비된 출수부(500)와,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정수 출수 유로부(200)와 냉수 출수 유로부(700)는 별도의 튜빙이나 배관으로 제한되지 않고, 출수부(500)에 연결되는 피팅일 수 있다. 즉, 출수부(500)의 내부에 정수(C1)나 냉수(C3)가 흐르는 튜빙이나 배관을 모아서 모듈화하면 이러한 출수부(500)를 피팅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출수부(500)를 피팅으로부터 분리해서 교체하는 방식으로 튜빙이나 배관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는 정수(C1)나 냉수(C3)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수용 파우셋일 수 있다. 또는,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는 출수부(500)와 별도로 구비된 출수용 파우셋과 연결되는 튜빙이나 배관일 수 있다. 즉, 출수부(500)에는 정수(C1)나 냉수(C3)가 흐르는 튜빙이나 배관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튜빙이나 배관을 흐르는 정수(C1)나 냉수(C3)는 별도로 출수용 파우셋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부(500)에는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통해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P)가 생성되도록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520)가 구비되고,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냉수 출수 유로부(700)로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체 케이싱(10), 원수 유로부(20), 여과부(30), 정수 유로부(100), 정수 출수 유로부(200) 및 출수부(500)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정수(C1)나 냉수(C3)가 출수되는 출수부(500)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520)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P)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30)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C1)를 이용해서 세척수(P)를 생성하므로 세척수(P)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520)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냉수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된 냉수(C3)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를 경유해서 출수부(500)로 이동하나,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냉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가 향상된다. 이때, 세척수(P)가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로 이동하도록 냉수 밸브(90)를 개방하게 되면 원수(W)의 압력이 정수(C1)를 통해 세척수(P)로 전달되면서 세척수(P)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냉수 생성부(600)는, 정수 유로부(100)와 연결된 제2 정수 입수 포트(610)와,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연결된 냉수 출수 포트(620)를 포함하고, 제어부(40)는 세척수(P)가 냉수 출수 포트(620)로 유입된 후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냉수 생성부(600)에는 정수(C1)가 수용되는 냉수 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정수 유로부(100)와 연결된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를 통해 냉수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냉수 하우징 내부에서 냉각된 냉수(C3)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연결된 냉수 출수 포트(620)를 통해 냉수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냉수 생성부(600)에는 냉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C1)를 냉각하도록 냉각 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냉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정수(C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도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 부재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쿨링 코일이나, 열전 소자를 이용해서 정수(C1)를 냉각시키는 열전 모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 하우징에 수용된 정수(C1)를 냉각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냉수 생성부(600)에는 별도의 냉수 드레인 포트(6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수 드레인 포트(630)를 통해 세척수(P)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수 생성부(600)에는 정수 유로부(100)와 냉수 드레인 포트(630)를 연결하는 냉수 분기 유로(6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수(C3) 생성을 위해서는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를 통해 정수(C1)가 냉수 하우징 내부로 이동하고, 정수(C1)가 냉각되면서 생성된 냉수(C3)는 냉수 출수 포트(620)를 통해 냉수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게 되나,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냉수 생성부(600)의 냉수 출수 포트(620)로 유입되어 냉수 생성부(600)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를 통해 유출(냉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됨으로써 냉수 생성부(600)의 효과적인 스케일 제거 가능하고, 세척수(P)의 원활한 흐름을 통해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 유로부(100)는 제2 정수 입수 포트(610)와 연결되는 제2 정수 유로 부재(120)를 포함하고, 제2 정수 유로 부재(120)에는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로 유출된 세척수(P)가 흐르는 제2 분기 유로(121)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정수 입수 포트(610)를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P)가 제2 정수 유로 부재(120)를 통해 제2 분기 유로(121)로 흐르게 되어 세척수(P)가 여과부(30)로 역류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스케일 제거 과정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2 분기 유로(121)에는 출수부(500)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2 스케일 저장 유로(12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스케일 저장 유로(122)에는 출수부(500)로 이동하는 세척수(P)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에 구비된 출수구(510)가 정수(C1)나 냉수(C3)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수용 파우셋인 경우 세척수(P)는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출수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 분기 유로(121)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P)가 제2 스케일 저장 유로(122)를 통해 출수부(500)의 스케일 저장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외부 배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스케일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스케일 저장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P)는 출수구(5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2 분기 유로(121)에는 세척수(P)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스케일 배출 유로(123)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와는 별도로 출수용 파우셋이 구비됨에 따라 출수부(500)에 튜빙이나 배관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세척수(P)는 제1 스케일 배출 유로(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2 분기 유로(121)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P)가 제2 스케일 배출 유로(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정수기의 동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세척수(P)가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경유해서 출수부(500)로 다시 회수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30)를 통해 생성된 정수(C1)는 정수 유로부(100) 및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순차적으로 경유(① 흐름)하면서 출수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냉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고, 이러한 세척수(P)는 정수 유로부(100) 및 정수 출수 유로부(200)를 순차적으로 경유(② 흐름)하면서 정수(C1)가 흐르는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하게 된다. 즉, 세척수(P)가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200)까지 경유하면서 정수(C1) 유로의 스케일도 제거함으로써 정수기의 청정도가 향상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제어부(40)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세척수(P)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부(500)로 유입된 정수(C1)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생성된 세척수(P)는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수(P)가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로 다시 이동하는 방식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출수구(510)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출수구(510)에는 별도의 출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P)가 순환 흐름이 생성되도록 별도의 순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원수 밸브를 차단하고, 출수구(510)에 구비된 출수 밸브도 차단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이용해서 세척수(P)가 순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냉수 밸브(90)만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동작시키면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를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밸브(90) 뿐만 아니라 분기 밸브(50)까지 개방한 상태에서 순환 펌프를 동작시키면 냉수 출수 유로부(700)와 냉수 생성부(600) 뿐만 아니라 정수 출수 유로부(200)까지 경유한 후 출수부(500)로 회수된 세척수(P)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세척 범위가 증대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C1)나 온수(C2)가 출수되는 출수부(500)에 디스케일 물질 투입을 위한 투입구(520)가 별도로 구비되어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세척수(P)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정수기 내부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하며, 여과부(30)를 통과한 후 생성된 정수(C1)를 이용해서 세척수(P)를 생성하므로 세척수(P)의 청정도가 향상되어 스케일 제거 과정에서 또 다른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투입구(520)에 직접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 케이싱 11 : 상부 커버
12 : 안착홈 13 : 포트홀
20 : 원수 유로부 30 : 여과부
40 : 제어부 50 : 분기 밸브
60 : 온수 밸브 70 : 유량 밸브
80 : 체크 밸브 90 : 냉수 밸브
100 : 정수 유로부 110 : 제1 정수 유로 부재
111 : 제1 분기 유로 112 : 제1 스케일 저장 유로
113 : 제1 스케일 배출 유로 120 : 제2 정수 유로 부재
121 : 제2 분기 유로 122 : 제2 스케일 저장 유로
123 : 제2 스케일 배출 유로 200 : 정수 출수 유로부
300 : 온수 생성부 310 : 제1 정수 입수 포트
320 : 온수 출수 포트 330 : 온수 드레인 포트
400 : 온수 출수 유로부 500 : 출수부
510 : 출수구 520 : 투입구
530 : 개폐 부재 540 : 밀봉 부재
550 : 투입 공간 560 : 포트
600 : 냉수 생성부 610 : 제2 정수 입수 포트
620 : 냉수 출수 포트 630 : 냉수 드레인 포트
640 : 냉수 분기 유로 700 : 냉수 출수 유로부
C1 : 정수 C2 : 온수
C3 : 냉수 P : 세척수
W : 원수

Claims (17)

  1.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
    상기 정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
    상기 정수를 가열해서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
    상기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온수가 흐르는 온수 출수 유로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 및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및 온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가 구비된 출수부; 및
    상기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정수 유로부와 연결된 제1 정수 입수 포트와,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연결된 온수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온수 출수 포트로 유입된 후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유로부는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와 연결되는 제1 정수 유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제1 정수 입수 포트로 유출된 상기 세척수가 흐르는 제1 분기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유로에는 상기 출수부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스케일 저장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유로에는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1 스케일 배출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경유해서 상기 출수부로 다시 회수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온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출수부로 회수된 상기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에 구비되고, 유입된 원수가 흐르는 원수 유로부;
    상기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유로부;
    상기 정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정수가 흐르는 정수 출수 유로부;
    상기 정수를 냉각해서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
    상기 냉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상기 냉수가 흐르는 냉수 출수 유로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 및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및 냉수가 외부로 출수되도록 출수구가 구비된 출수부; 및
    상기 각 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에는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정수에 디스케일 물질이 용해되면서 세척수가 생성되도록 상기 디스케일 물질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정수 유로부와 연결된 제2 정수 입수 포트와,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연결된 냉수 출수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가 상기 냉수 출수 포트로 유입된 후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를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유로부는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와 연결되는 제2 정수 유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수 유로 부재에는 상기 제2 정수 입수 포트로 유출된 상기 세척수가 흐르는 제2 분기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유로에는 상기 출수부에 구비된 스케일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제2 스케일 저장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유로에는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스케일 배출 유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세척수가 상기 정수 출수 유로부를 경유해서 상기 출수부로 다시 회수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출수 유로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상기 출수부로 회수된 상기 세척수가 반복적으로 순환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상기 세척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20130626A 2022-10-12 2022-10-12 정수기 KR20240050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26A KR20240050790A (ko) 2022-10-12 2022-10-12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626A KR20240050790A (ko) 2022-10-12 2022-10-12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790A true KR20240050790A (ko) 2024-04-19

Family

ID=9088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626A KR20240050790A (ko) 2022-10-12 2022-10-12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109069959A (zh) 水处理设备
CN105858826A (zh) 供水装置杀菌方法
KR102634086B1 (ko) 수처리장치
KR20230145972A (ko) 수처리장치
KR20110008627A (ko) 냉정수기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50790A (ko) 정수기
KR20230160221A (ko) 수처리장치
KR101293233B1 (ko) 정수기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20240050789A (ko) 정수기
KR20240050791A (ko) 정수기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US20240132386A1 (en) Water purifier
KR101491886B1 (ko) 정수기
KR101305329B1 (ko) 정수기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78248A (ko) 정수기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305330B1 (ko) 정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