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221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221A
KR20230160221A KR1020230158974A KR20230158974A KR20230160221A KR 20230160221 A KR20230160221 A KR 20230160221A KR 1020230158974 A KR1020230158974 A KR 1020230158974A KR 20230158974 A KR20230158974 A KR 20230158974A KR 20230160221 A KR20230160221 A KR 2023016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line
line
sterilizing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5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221A/ko
Publication of KR2023016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직수식 수처리장치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구비된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정수배출라인과, 냉각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냉수배출라인과, 가열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온수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출수가 이루어지는 직수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유입된 물을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로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가 있다. 이러한 정수기 이외에도 유입된 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탄산수기나,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이온수기도 수처리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는 여과된 정수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을 저장탱크와 추출부재 사이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탱크식 수처리장치(정수기)와,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출수가 이루어지는 직수식 수처리장치(정수기)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탱크식 수처리장치는 저장탱크에 장기간 저장된 정수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어 위생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에 살균수를 공급하여 저장탱크를 살균소독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탱크식 수처리장치는 저장탱크의 살균에 사용한 살균수를 저장탱크 하단과 연결된 드레인유로로 바로 배출하므로 저장탱크 후단의 유로를 살균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살균처리방법은 탱크식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직수식 수처리장치에 적합한 살균처리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67194호(2014.06.0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정수의 추출이 가능한 직수식 수처리 장치에 적합한 살균소독의 구성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살균수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정수, 냉수, 온수 등을 출수하기 위한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를 살균소독할 수 있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직수식 배출라인부의 정수배출라인뿐만 아니라 추출부재까지 살균소독할 수 있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냉수생성부나 온수생성부의 살균과는 독립적으로, 추출부재의 살균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추출부재의 살균소독, 정수배출라인 및 추출부재의 살균소독, 냉수생성부나 온수생성부의 살균소독을 별도로 수행하여 살균소독시간을 고려하여 살균주기를 서로 달리할 수 있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추출부재의 단부를 살균소독할 수 있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구비된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정수배출라인과, 냉각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냉수배출라인과, 가열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온수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포함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살균수는 상기 추출부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직수식 수처리장치는, 상기 추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드레인라인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추출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직수식 수처리장치는, 상기 추출부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드레인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드레인용기에 수용된 살균수에 잠기어 살균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재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추출부재에는 상기 정수배출라인을 통하여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주기마다 살균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는,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추출하기 위한 살균수 공급라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 공급라인은 상기 추출부재와 연결될 수 있으나, 추출부재와 연결되지 않는 별도로 유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는 상기 정수배출라인과 냉수배출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냉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물을 상기 추출부재로 공급하거나, 드레인라인으로 배출하도록 유로전환을 하는 배출측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배출라인과 냉수배출라인은 합류되어 배출연결라인을 이루고, 상기 배출연결라인은 상기 추출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연결라인에는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물을 상기 추출부재로 공급하거나, 드레인라인으로 배출하도록 유로전환을 하는 배출측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수생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생성부는 상기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통하여 살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생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통하여 살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생성부 및/또는 온수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제2 주기마다 살균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설치함으로써 살균수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을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직수식 배출라인부의 배출라인뿐만 아니라 추출부재까지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냉수생성부나 온수생성부의 살균이 가능하며, 냉수생성부나 온수생성부의 살균과는 독립적으로 추출부재의 살균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추출부재의 살균소독, 정수배출라인 및 추출부재의 살균소독, 냉수생성부나 온수생성부의 살균소독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살균소독시간을 고려하여 살균주기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추출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드레인용기를 통하여 추출부재의 단부를 살균소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수배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장치의 각각의 작동상태에서의 유로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추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추출모드를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3은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배출라인 및 추출부재를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4는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추출부재를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수배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수배관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의 각각의 작동상태에서의 유로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추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추출모드를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9는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냉수배출라인을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10은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정수배출라인 및 추출부재를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며,
도 11은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수배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기로 한다.
[수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장치의 각각의 작동상태에서의 유로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여과부(200), 살균수 생성부(400), 직수식 배출라인부(300), 추출부재(500) 및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 구비된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400); 상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정수배출라인(PL1)과, 냉각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냉수배출라인(PL2)과, 가열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온수배출라인(PL3)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300);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재(500);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연결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살균수 공급라인(SL) 및 연결관 부재(CL)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한편, 살균수 공급라인(SL)은 살균수 생성부(400)와 관련되므로 살균수 생성부(400)의 설명 부분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하며, 추출부재(500)는 직수식 배출라인부(300) 및 살균수 생성부(400)의 설명 부분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과부(200)]
여과부(200)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 및 후카본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200)에 구비되는 정수필터의 개수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처리 필터(210)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세디먼트 필터와 프리카본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처리 필터(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기능을 가진 복합필터로서 구성될 수 있지만, 2개의 필터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디먼트 필터는 원수공급라인(L1)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상의 부유 물질, 모래 등의 고형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프리 카본필터는 세디먼트 필터를 통과한 물을 공급받아 활성탄의 흡착 방식을 통해 물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암물질, 합성세제, 살충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염소(예를 들어, HOCl 또는 ClO)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멤브레인필터(220)는 전처리 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를 추가로 여과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처리 필터(210)에서는 비교적 큰 이물질이 여과되고 멤브레인필터(220)에서는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멤브레인필터(220)는 정수라인(L2, L3)에 의해서 전처리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라인(L2)에는 원수차단밸브(NOS)가 구비되고, 정수라인(L3)에는 피드밸브(FV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원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면, 원수차단밸브(NOS)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차단밸브(NOS)가 개방되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피드밸브(FV1)가 개방되면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멤브레인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멤브레인필터(220)는 추출부재(500)에서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UF멤브레인(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역삼투 멤브레인필터의 경우 출수유량이 적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직수식 수처리장치(100)에 적합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멤브레인필터(220)로서 역삼투 멤브레인필터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후카본필터(230)는 멤브레인필터(220)에서 여과된 정수를 추가로 여과할 수 있다. 예컨대, 후카본필터(230)에서는 냄새유발물질이나 세균 등이 여과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후카본필터(230)는 정수라인(L4)에 의해서 멤브레인필터(220)에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필터(220)에서 여과된 정수가 후카본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후술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300) 및 추출부재(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직수식 배출라인부(300)]
직수식 배출라인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여과부(200)와 추출부재(500) 사이에 위치하며, 정수연결라인(L6)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연결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연결라인(L6)은 정수라인(L5)에 의해서 여과부(200)의 후카본필터(230)에 연결된 피드밸브(V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밸브(V1)가 개방되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식 배출라인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정수배출라인(PL1)과, 냉각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냉수배출라인(PL2)과, 가열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온수배출라인(PL3)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정수배출라인(PL1), 냉수배출라인(PL2) 및 온수배출라인(PL3)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처리장치(100)의 기능 구현을 위하여 이들 배출라인 중 일부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라인(PL3)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배출라인(PL1), 냉수배출라인(PL2) 및 온수배출라인(PL3)이 모두 구비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수배출라인(PL1)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위하여 정수배출라인(PL1)에는 정수배출밸브(WV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온의 정수 추출을 선택하면, 원수차단밸브(NOS), 피드밸브(FV1), 피드밸브(V1), 정수배출밸브(WV1)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연결라인(L6), 연결포트(C2), 연결포트(C3)를 거쳐 정수배출라인(PL1)에 유입된 후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냉수배출라인(PL2)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냉수배출라인(PL2)에는 냉수배출밸브(WV2)가 구비되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수생성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생성부(340)는 내부에 냉수를 수용하는 탱크구조를 가지며, 원수가 유입되면 미리 수용되어 냉각된 냉수가 원수압에 의해 밀려서 외부로 배출되는 직수식 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식 냉수탱크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냉수 추출이 가능하도록 여과부(200)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수생성부(34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나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도시되지 않음) 등의 냉각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냉수생성부(340)는 빙축열 방식으로 냉각하는 빙축식 냉수생성수단을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빙축식 냉수생성수단은 내부에 수용된 물에 부분적으로 얼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빙축조를 구비하고, 냉수배출라인(PL2)이 빙축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냉수배출라인(PL2)을 흐르는 물이 빙축조에 수용된 빙축수와 열교환하여 냉수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냉수생성부(340)의 구성은 전술한 직수식 냉수탱크나 빙축식 냉수생성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수의 압력에 의해 냉수의 추출이 가능하다면 공지의 다른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각된 정수(냉수) 추출을 선택하면, 원수차단밸브(NOS), 피드밸브(FV1), 피드밸브(V1), 냉수배출밸브(WV2)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연결라인(L6), 연결포트(C2), 연결포트(C3)를 거쳐 냉수배출라인(PL2)에 유입된 후 냉수생성부(340)에 의해 냉각되어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온수배출라인(PL3)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온수배출라인(PL3)에는 온수배출밸브(WV3)가 구비되며,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생성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온수생성부(350)는 내부의 유로를 흐르는 정수를 가열유닛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순간가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열된 정수(온수) 추출을 선택하면, 원수차단밸브(NOS), 피드밸브(FV1), 피드밸브(V1), 온수배출밸브(WV3)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연결라인(L6), 연결포트(C2)를 거쳐 온수배출라인(PL3)에 유입된 후 온수생성부(350)에 의해 가열되어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배출라인(PL1)과 냉수배출라인(PL2)은 합류되어 배출연결라인(PLW)을 이루고, 상기 배출연결라인(PLW)은 추출부재(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배출라인(PL1)에서 배출되는 상온의 정수는 배출연결라인(PLW)을 거쳐 추출부재(500)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냉수배출라인(PL2)에서 배출되는 냉각된 정수는 배출연결라인(PLW)을 거쳐 추출부재(5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정수배출라인(PL1)과 냉수배출라인(PL2)이 합류하지 않고 추출부재(500)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연결포트(C3)에서 정수배출라인(PL1)과 냉수배출라인(PL2)이 분기되고, 연결포트(C3)에서 온수배출라인(PL3)이 분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분기되는 배출라인의 순서나 분기되는 구조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살균수 생성부(400)]
살균수 생성부(400)는 여과부(200)에 구비된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 복수 개의 정수필터가 포함된 경우에, 복수 개의 정수필터 중 적어도 일부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정수필터가 전처리 필터(210), 멤브레인필터(220) 및 후카본필터(230)인 경우에, 살균수 생성부(400)는 전처리 필터(210), 즉 일부의 필터만을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살균수 생성부(400)는 전처리 필터(210)의 후단에 연결된 정수라인(L2)에 연결포트(C1)를 통해 분기된 살균수 생성라인(L7)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살균수 생성라인(L7)에는 살균수 생성라인(L7)을 개폐하기 위한 피드밸브(FV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차단밸브(NOS)가 개방된 상태에서, 피드밸브(FV2)를 개방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라인(L2)과 살균수 생성라인(L7)을 유동하여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는 달리 살균수 생성부(400)에서는 전처리 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에서 여과된 정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전처리 필터(210)와 멤브레인필터(220) 및 후카본필터(230)에서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되기 전에 원수가 여과되는 여과부(200)의 정수필터의 개수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살균수 생성라인(L7)에는 살균수 생성부(400)에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정유량 밸브(CFV)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 생성부(400)와 정유량 밸브(CFV)는 일체화된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살균수 생성부(400)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본 명세서에서는 '살균수'가 살균과 세정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를 생성하는 전해 살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수 생성부(400)는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본 명세서에서는 전기분해라는 용어가 '산화환원반응'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하여 산화성 혼합물질(MO: Mixed Oxidant) 등 살균기능 및/또는 세정기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수 생성부(40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사이로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물속에 잔류된 미생물이나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를 통한 정수의 살균은 양극에서 미생물을 직접 산화시키는 직접산화반응과, 양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산화성 혼합물질(MO:Mixed Oxidant), 예를 들면 잔류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이 미생물을 산화시키게 되는 간접산화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살균수 생성부(400)는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 공급을 위하여 전술한 전해살균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약품을 투입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약품 살균기 등 공지의 다른 살균수 생성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와 연결된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통해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공급될 수 있다. 살균수 생성라인(L7)은 상기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과 후술하는 살균수 공급라인(SL)으로 분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과 살균수 공급라인(SL)의 분기 지점에는 유로전환밸브(FV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가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거쳐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배출라인(PL1, PL2, PL3)에 공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살균소독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원수차단밸브(NOS)와, 살균수 생성라인(L7)의 피드밸브(FV2)를 개방하고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를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 측으로 전환하고 살균수 생성부(4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거쳐 직수식 배출라인부(300)로 유입된 살균수는 정수배출밸브(WV1)의 개방에 따라 정수배출라인(PL1), 배출연결라인(PLW)을 거쳐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고, 냉수배출밸브(WV2)의 개방에 따라 냉수배출라인(PL2), 배출연결라인(PLW)을 거쳐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온수배출밸브(WV3)의 개방에 따라 온수배출라인(PL3)을 거쳐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공급된 살균수는 추출부재(500)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각각의 배출라인 및 추출부재(500)의 살균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배출라인의 살균처리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일부의 배출라인의 살균처리만 수행하고 나머지 배출라인의 살균처리는 수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는 추출부재(500)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드레인라인(DL1)으로 공급하도록 추출부재(50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관 부재(CL)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관 부재(CL)는 살균소독 작업시 추출부재(500)와 연결되며, 이외의 경우에는 추출부재(500)에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 부재(CL)는 살균소독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에 의해 추출부재(500)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드레인라인(DL1)에는 배수펌프(700)가 구비되어 드레인라인(DL1)을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라인(DL1)에는 역류방지밸브(CV1)가 구비되어 드레인라인(DL1)을 통해서 배수가 이루어질 때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배출라인에 살균수를 공급하여 살균소독 작업을 수행한 후에 살균소독된 배출라인에 잔류하는 살균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헹굼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헹굼작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 부재(CL)가 추출부재(5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재(500)에 정수를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살균수에 의한 살균은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5~7일)에 한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살균주기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는 살균수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추출하기 위한 살균수 공급라인(SL)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수 공급라인(SL)은 추출부재(500)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을 위하여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재(5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원수차단밸브(NOS)와, 살균수 생성라인(L7)의 피드밸브(FV2)를 개방하고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를 살균수 공급라인(SL) 측으로 전환하고 살균수 생성부(4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살균수 공급라인(SL)으로 유입된 살균수는 추출부재(500)의 살균에 제공되며, 추출부재(500)에 연결된 연결관 부재(CL)를 통해 드레인라인(DL1)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추출부재(500)의 살균처리는 별도의 살균수 공급라인(SL)을 이용하므로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살균과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재(500)의 살균처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전술한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의 살균보다 빠른 작업이 가능하므로 미리 설정된 짧은 주기마다 살균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부재(500)의 살균 주기는 예를 들어, 1일(24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 작업을 수행한 후에 추출부재(500)에 잔류하는 살균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헹굼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헹굼작업은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 작업이 종료되면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되 살균수 생성부(400)의 구동만을 중지시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추출부재(500)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연결관 부재(CL)가 추출부재(5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유로 구성과 같이 추출부재(500)에 정수를 공급함으로써 헹굼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살균수를 다른 용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출부재(500)에 연결관 부재(CL)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추출부재(500)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다른 용기에 받아 적절한 용도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에 의하면, 살균수 생성부(400)에 의해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구비되는 각종 배출라인을 살균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는 별도로 추출부재(500)만의 살균 처리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에 의하면, 추출부재(500)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짧은 제1 주기(예를 들어, 매일)마다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미리 설정된 제2 주기(예를 들어, 5일 ~7일)마다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구비되는 각종 배출라인, 그리고 이에 구비되는 냉수생성부(340)나 온수생성부(350)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의 변형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와 비교할 때, 도 5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온수배출라인(PL3)을 구비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살균수 공급라인(SL)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일부 구성요소의 삭제나 부가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의 유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살균수 공급라인(SL)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도 1의 유로전환밸브(FV3)는 단순히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으로의 유로를 개폐하는 피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수배관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의 각각의 작동상태에서의 유로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은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추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추출모드를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9는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냉수배출라인을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고, 도 10은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로 정수배출라인 및 추출부재를 살균하는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며, 도 11은 도 10은 살균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유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와 비교할 때,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의 제2 실시에는, 냉수배출라인(PL2)에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가 설치되고, 살균수 공급라인(SL)이 추출부재(500)와 연결되지 않고, 드레인용기(60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는 냉수배출라인(PL2)에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는 정수의 추출시에는 배출연결라인(PLW) 측과 연결되도록 유로가 전환되고, 살균작업의 수행시에는 드레인 연결라인(DLC) 측과 연결되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따라서, 냉수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냉수배출라인(PL2)으로 유입된 후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 배출연결라인(PLW)을 거쳐 추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에서 정수 및 온수 추출시 유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냉수배출라인(PL2) 살균작업시의 유로에 대해 살펴본다.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원수차단밸브(NOS)와, 살균수 생성라인(L7)의 피드밸브(FV2), 냉수배출라인(PL2)의 냉수배출밸브(WV2)를 개방하고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를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 측으로 전환하고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의 유로를 드레인 연결라인(DCL) 측으로 전환하고 살균수 생성부(4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라인(L7)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거쳐 냉수배출라인(PL2)으로 유입되어 냉수배출라인(PL2) 및 이에 설치된 냉수생성부(340)를 살균소독하게 된다. 이후, 살균수는 드레인 연결라인(DCL)을 통해 드레인라인(DL1)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수배출라인(PL2) 및 냉수생성부(340)에 잔류하는 살균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헹굼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여과부(200)의 유로를 통하여 냉수배출라인(PL2)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고, 냉수배출라인(PL2)에 공급된 정수는 냉수배출라인(PL2) 및 냉수생성부(340)를 헹군 후에 드레인 연결라인(DCL)을 통해 드레인라인(DL1)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추출부재(500) 살균작업시의 유로에 대해 살펴본다.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원수차단밸브(NOS)와, 살균수 생성라인(L7)의 피드밸브(FV2), 정수배출라인(PL1)의 정수배출밸브(WV1)를 개방하고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를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 측으로 전환하고 살균수 생성부(4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라인(L7)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을 거쳐 정수배출라인(PL1)으로 유입되어 정수배출라인(PL1), 배출연결라인(PLW) 및 추출부재(500)를 살균소독하게 된다.
이러한 정수배출라인(PL1) 및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짧은 주기(예를 들어, 매일)마다 냉수배출라인(PL2)나 온수배출라인(PL3)의 살균소독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추출부재(500)의 살균 처리를 위하여 드레인용기(6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용기(600)는 살균수 생성부(400)로부터 공급되어 추출부재(50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재(500)에 착탈되는 별도의 용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레인용기(600)는 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추출부재(500)의 살균시 추출부재(50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대로 수처리장치(100)에 드레인용기(600)가 미리 설치되고, 추출부재(500)의 살균시 추출부재(500)가 드레인용기(600) 측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부재(500)는 살균 처리시 드레인용기(600)에 수용된 살균수에 잠기어 살균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배출라인(PL1), 배출연결라인(PLW) 및 추출부재(500)의 유로뿐만 아니라 추출부재(500)의 단부까지도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추출부재(500)의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 요인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크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드레인용기(600)를 이용하면 추출부재(500)의 단부까지 살균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수배출라인(PL1), 배출연결라인(PLW) 및 추출부재(500)의 유로에 잔류하는 살균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헹굼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여과부(200)의 유로를 통하여 정수배출라인(PL1)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정수배출라인(PL1)에 공급된 정수는 정수배출라인(PL1), 배출연결라인(PLW) 및 추출부재(500)의 유로를 헹굴 수 있다. 이러한 헹굼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드레인용기(600)에 수용된 살균수를 미리 버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용기(6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온수배출라인(PL3)에 살균수를 공급하여 온수배출라인(PL3) 및 이에 설치된 온수생성부(350)의 살균소독도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살균수 추출시의 유로에 대해 살펴본다.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원수차단밸브(NOS)와, 살균수 생성라인(L7)의 피드밸브(FV2)를 개방하고 유로전환밸브(FV3)의 유로를 살균수 공급라인(SL) 측으로 전환하고 살균수 생성부(4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라인(L7)에서 생성된 살균수 공급라인(SL)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대상에 대한 살균처리에 살균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에 의하면, 살균수 생성부(400)에 의해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직수식 배출라인부(300)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을 살균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부재(500)의 내부 유로와 단부의 살균 처리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에 의하면, 정수배출라인(PL1)과 추출부재(500)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짧은 제1 주기(예를 들어, 매일)마다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미리 설정된 제2 주기(예를 들어, 5일 ~7일)마다 냉수배출라인(PL2) 및 이에 설치된 냉수생성부(340)를 살균 소독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장치(100)의 변형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와 비교할 때, 도 12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온수배출라인(PL3)을 구비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살균수 공급라인(SL)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일부 구성요소의 삭제나 부가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변형예의 유로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도 13에 도시된 변형예의 유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살균수 공급라인(SL)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도 7의 유로전환밸브(FV3)는 단순히 배출라인부 살균라인(L8)으로의 유로를 개폐하는 피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와 비교할 때,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가 배출연결라인(PLW)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는 상온의 정수 추출시 또는 냉수의 추출시 추출부재(500)와 연결되도록 유로를 전환하고, 정수배출라인(PL1) 또는 냉수배출라인(PL2)의 살균소독시 드레인 연결라인(DLC)과 연결되도록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또한,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시 배출측 유로전환밸브(FV4)는 추출부재(500)와 연결되도록 유로를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수처리장치(100)는 도 7의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정수배출라인(PL1)의 살균소독을 추출부재(500)의 살균소독과는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전처리 필터 220 : 멤브레인필터
230 : 후카본필터 300 : 저장부
340 : 냉수생성부 350 : 온수생성부
400 : 살균수 생성부 500 : 추출부재
600 : 드레인용기 700 : 배수펌프
CV1 : 역류방지밸브 CFV : 정유량 밸브
DL1 : 드레인라인 DLC : 드레인연결라인
FV1, FV2 : 피드밸브 FV3 : 유로전환밸브
FV4 : 배출측 유로전환밸브 L1 : 원수공급라인
L2, L3, L4, L5 : 정수라인 L6 : 정수연결라인
L7 : 살균수 생성라인 L8 : 배출라인부 살균라인
NOS : 원수차단밸브 PL1 : 정수배출라인
PL2 : 냉수배출라인 PL3 : 온수배출라인
PLW : 배출연결라인 V1 : 피드밸브
WV1 : 정수배출밸브 WV2 : 냉수배출밸브
WV3 : 온수배출밸브

Claims (14)

  1. 원수를 여과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구비된 적어도 일부의 필터를 통하여 여과된 정수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정수배출라인과, 냉각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냉수배출라인과, 가열된 정수를 원수의 압력에 의해 추출하기 위한 온수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직수식 배출라인부;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재; 및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구비되는 배출라인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수생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생성부는 상기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통하여 살균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살균수는 상기 추출부재를 통하여 배출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드레인라인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추출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관 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하는 드레인용기;
    를 추가로 포함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상기 드레인용기에 수용된 살균수에 잠기어 살균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의 살균을 위하여 상기 추출부재에는 상기 정수배출라인을 통하여 살균수가 공급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제1 주기마다 살균되도록 제어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추출하기 위한 살균수 공급라인;
    을 추가로 포함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공급라인은 상기 추출부재와 연결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는 상기 정수배출라인과 냉수배출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냉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물을 상기 추출부재로 공급하거나, 드레인라인으로 배출하도록 유로전환을 하는 배출측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는 상기 정수배출라인과 냉수배출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정수배출라인과 냉수배출라인은 합류되어 배출연결라인을 이루고,
    상기 배출연결라인은 상기 추출부재와 연결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결라인에는 상기 직수식 배출라인부에 공급된 물을 상기 추출부재로 공급하거나, 드레인라인으로 배출하도록 유로전환을 하는 배출측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생성부는 미리 설정된 제2 주기마다 살균되도록 제어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라인에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온의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생성부가 구비되며,
    상기 온수생성부는 상기 배출라인부 살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수를 통하여 살균되는 직수식 수처리장치.
KR1020230158974A 2015-12-30 2023-11-16 수처리장치 KR20230160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8974A KR20230160221A (ko) 2015-12-30 2023-11-16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298A KR102605654B1 (ko) 2015-12-30 2015-12-30 수처리장치
KR1020230158974A KR20230160221A (ko) 2015-12-30 2023-11-16 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98A Division KR102605654B1 (ko) 2015-12-30 2015-12-30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221A true KR20230160221A (ko) 2023-11-23

Family

ID=59355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98A KR102605654B1 (ko) 2015-12-30 2015-12-30 수처리장치
KR1020230158974A KR20230160221A (ko) 2015-12-30 2023-11-16 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298A KR102605654B1 (ko) 2015-12-30 2015-12-30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5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150B1 (ko) * 2018-06-15 2024-05-10 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KR20220114217A (ko) 2021-02-08 2022-08-17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온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194A (ko) 2012-11-22 2014-06-05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94B1 (ko) * 2011-05-25 2019-02-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기기
KR20130003538A (ko) * 2011-06-30 2013-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437995B1 (ko) * 2012-09-10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
KR101507860B1 (ko)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194A (ko) 2012-11-22 2014-06-05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100A (ko) 2017-07-10
KR102605654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42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906344B1 (ko) 수처리 장치
KR20230160221A (ko) 수처리장치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KR20120079002A (ko) 전해살균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621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70074641A (ko) 수처리장치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102462650B1 (ko)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세척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WO2012063583A1 (ja) 浄水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消毒殺菌方法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203768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101987801B1 (ko) 수처리장치
KR20140126894A (ko) 정수기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826622B1 (ko) 생수 처리 장치
KR20170074643A (ko) 수처리장치
KR101886237B1 (ko)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CN216303534U (zh) 一种制剂用纯化水机微酸消毒系统
KR20120133704A (ko) 수처리기기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