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27A - 냉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27A
KR20110008627A KR1020090066050A KR20090066050A KR20110008627A KR 20110008627 A KR20110008627 A KR 20110008627A KR 1020090066050 A KR1020090066050 A KR 1020090066050A KR 20090066050 A KR20090066050 A KR 20090066050A KR 20110008627 A KR20110008627 A KR 2011000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water
water
coo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강병일
이수영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627A/ko
Publication of KR2011000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200), 상기 정수 탱크(200)와 연결관(240)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240)을 통해 상기 정수 탱크(200)와의 자연 수압차에 의해 상기 정수 탱크(20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냉수 탱크(300), 및 상기 냉수 탱크(300)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40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240)에는 상기 정수 탱크(200)에서 상기 냉수 탱크(300)로의 물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기 냉수 탱크(300)에서 상기 정수 탱크(200)로의 물의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 탱크의 물이 정수 탱크로 역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냉각 시스템의 전력이 낭비되지 않고, 또한 순환 방식의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냉각이 이루어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정수 탱크, 냉수 탱크, 연결관, 냉각관, 열전 소자

Description

냉정수기{COL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시키는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방법으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안전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정수의 기능에 더하여, 정수를 온수로 가열하거나 냉수로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온 정수기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는 히터(12)가 내장되는 온수 탱크(10), 원수가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정수 탱크(20), 정수탱크(20)와 세퍼레이트 보드(30)로 분리된 냉수 탱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수기는 각각의 탱크(10, 20, 40)들에 연결된 유로(52, 54, 56, 58)들과, 유로들에 장착되는 밸브(62, 64, 66, 68)들을 포함한다.
온수 탱크(10) 내부의 히터(12)는 전력 제어부(16)를 통해 전원 공급부(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정수 탱크(20)는 정수 입수구(22)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를 온수 탱크(10)와 냉수 탱크(40)로 공급한다. 냉수 탱크(40) 는 콤프레셔 방식의 냉각 시스템이 적용된 냉각 코일(42)을 구비하여 정수가 냉각되게 한다.
온수 탱크(10), 정수 탱크(20), 냉수 탱크(40)에는 온수 유로(58), 정수 유로(54), 냉수 유로(56)가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가 코크 또는 버튼을 누르면, 온수 추출 밸브(68), 정수 추출 밸브(64), 냉수 추출 밸브(66)가 열리게 되고 각각의 유로들을 통해 정수 출수구로 원하는 온도의 정수가 배출되게 된다.
세퍼레이트 보드(30)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퍼레이트 보드(30)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홀을 통해 정수 탱크(20)의 물이 냉수 탱크(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40)의 물이 냉각되어 4℃ 정도를 유지하면 물의 밀도가 최대가 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40)의 물이 정수 탱크(20)의 물과 섞이지 않는다.
그러나, 밀도차에 의해 정수 탱크(20)의 물과 냉수 탱크(40)이 물이 분리된다 하더라도, 정수 탱크(20)와 냉수 탱크(40)가 다수의 홀을 통해 연통되어 있어서 정수와 냉수의 온도 구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약간의 난류에도 쉽게 정수와 냉수가 섞일 수 있고, 정수와 냉수가 섞이면 냉수 탱크(40)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므로 이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 시스템이 가동되어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40)에 냉각 코일(42)을 설치하여 냉각하는 방식은 냉각 코일(42)을 냉수 탱크(40)의 전체 공간에 설치하지 않는 한 냉각 코일이 접촉하는 부분만 국부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냉각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정수 탱크의 물이 냉수 탱크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면서도 냉수 탱크의 물이 정수 탱크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냉각 시스템의 전력이 낭비되지 않는 냉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수 탱크의 물이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냉각되는 냉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상기 정수 탱크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정수 탱크와의 자연 수압차에 의해 상기 정수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냉수 탱크, 및 상기 냉수 탱크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상기 정수 탱크에서 상기 냉수 탱크로의 물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기 냉수 탱크에서 상기 정수 탱크로의 물의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정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는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정수 탱크에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 시스템은, 입수구와 출수구가 모두 상기 냉수 탱크에 연결된 냉각관, 상기 냉수 탱크의 물이 상기 냉각관을 통해 순환되도록 구동하는 펌프, 상기 냉각관을 흐르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냉각 부재는 열전소자의 흡열측 단자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측 단자에는 열전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의해 방열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수 탱크의 물이 정수 탱크로 역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냉각 시스템의 전력이 낭비되지 않는다.
또한, 순환 방식의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냉각이 이루어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정수 탱크와 냉수 탱크는 하나의 센서만으로 수위가 조절될 수 있어 부품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정수기는 필터부(100), 정수 탱크(200), 및 냉 수 탱크(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필터부(100)는 침전 필터(120), 프리 카본 필터(140), 멤브레인 필터(160), 포스트 카본 필터(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침전 필터(120)는 원수 중의 미세한 입자를 제거할 수 있고, 프리 카본 필터(140)는 잔류 염소나 냄새 유발 물질 및 휘발성 유기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필터(160)는 중금속을 포함한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과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고, 포스트 카본 필터(180)는 냄새를 제거하고 물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는 정수 공급관(190)을 통해 정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정수 탱크(200)에는 정수 추출관(220)과 연결관(240)이 설치된다. 정수 추출관(220)에는 정수 추출 밸브(222)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수 탱크(200)의 물이 정수 추출관(220)을 통해 추출되어 음용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에 설치된 연결관(240)은 냉수 탱크(300)로 연결된다. 즉, 연결관(240)의 일단은 정수 탱크(200)에 설치되고 연결관(240)의 타단은 냉수 탱크(300)에 설치되어,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는 유체 연통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관(240)에는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이 설치된다.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은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부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정수 탱크(200)에서 냉수 탱크(300)로 정수가 흐르도록 하고, 반대로 냉수 탱크(300)의 냉수가 정수 탱크(200)로 흐르는 것은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은 공지된 기술적 사항이므로 여기에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는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각 탱크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에 수위 센서(260)를 설치하여 정수 탱크(200)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는 연결관(24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정수 탱크(200)의 수위 만큼 냉수 탱크(300)의 수위가 유지되므로, 냉수 탱크(300)에는 별도의 수위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수위 센서(260)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부를 통해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냉수 탱크(300)에는 냉각 시스템(400)이 설치되어 냉수 탱크(300)의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300)에는 냉수 추출관(320)이 설치되고, 냉수 추출관(320)에는 냉수 추출 밸브(322)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냉수 추출 밸브(322)를 조작하여 냉수 탱크(300)의 물을 냉수 추출관(320)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냉수 탱크(300)에 설치되는 냉각 시스템(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300)에는 냉각관(420)이 설치된다. 냉각관(420)의 입수구와 출수구는 모두 냉수 탱크(300)에 연결된다. 냉각관(420)의 도중에는 펌프(440)가 설치되어 냉각관(420)을 통해 냉수 탱크(300)의 물이 순환되도록 한다.
또한, 냉각관(420)에는 열전소자(460)의 흡열측 단자에 부착된 냉각 부재(462)가 설치된다. 냉각 부재(462)는 열전소자(460)의 흡열측 단자와 냉각관(420)과의 열교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열전소자는 전원이 공급되면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따라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발열된다. 열전소자의 구체적 원리와 동작은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전소자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열전소자(460)의 발열측에는 열전소자(460)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464) 및 방열판(464)에 의해 방열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466)이 배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정수기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수돗물 등의 원수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한 필터부(100)를 거치면서 필터링된 후 정수 공급관(190)을 통해 정수 탱크(200)로 유입된다. 정수 탱크(200)에 정수가 채워지면, 사용자가 정수 추출 밸브(222)를 조작하여 정수 추출관(220)을 개방함으로써 정수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에 정수가 채워질 때, 정수 탱크(200)에 설치된 연결관(240)을 통해 정수 탱크(200)의 물이 냉수 탱크(300)로 이동한다.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는 동일한 높이로 나란히 설치되므로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는 동일하게 된다. 한편, 정수 탱크(200)에 설치된 수위 센서(260)가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 높이까지 정수가 채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정수 탱크(200)의 수위가 조절됨으로써 냉수 탱크(300)의 수위도 동일하게 제어된다.
냉수 탱크(300) 내에 물이 채워지면 펌프(440)와 열전소자(460)에 전원이 공급되어 냉수 탱크(300) 내의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즉, 펌프(440)가 구동하여 냉수 탱크(300) 내의 물이 냉각관(420)을 통해 순환되고, 냉각관(420)을 흐르는 물은 열전소자(460)의 흡열측 단자에 부착된 냉각 부재(462)에 의해 냉각된다. 이와 같이, 냉수 탱크(300) 내의 물이 순환 방식으로 냉각되므로, 종래의 냉정수기에서 냉각 코일에 의해 국부 냉각하는 경우보다 냉각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냉수 탱크(300) 내의 물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되면 사용자는 냉수 추출 밸브(322)를 조작하여 냉수 추출관(320)을 개방함으로써 냉수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수 탱크(300)의 물을 추출하여 냉수 탱크(300)의 수위가 낮아지면 정수 탱크(200)와의 자연 수압차에 의해서 정수 탱크(200)의 물이 연결관(240)을 통해 냉수 탱크(300)로 유입된다. 냉수 탱크(300)로 유입된 물은 냉각 시스템(400)에 의해 순환 냉각되므로, 냉수 탱크(300) 내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냉수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 탱크(200)의 물을 추출하여 정수 탱크(200)의 수위가 낮아지면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의 수압차가 발생하지만,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에 의해 냉수 탱크(300)의 냉수가 정수 탱크(200)로 흘러들어가지는 않고, 수위 센서(260)가 이를 감지하여 정수 공급관(190)을 통해 정수 탱크(200)로 정수가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정수 탱크(200) 내에는 항상 일정한 양 의 정수가 유지된다. 종래의 냉정수기에서는 냉수 탱크의 물이 세퍼레이트 보드의 홀을 통해 정수 탱크로 역류하여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냉정수기에서는 냉수 탱크의 물이 정수 탱크로 역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정수 탱크(200)와 냉수 탱크(300)는 하나의 센서만으로 수위가 조절될 수 있어 부품수가 적고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냉수 탱크(300)의 물이 정수 탱크(200)로 역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냉각 시스템(400)의 전력이 낭비되지 않는다. 또한, 순환 방식의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냉각이 이루어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정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필터부 200 정수 탱크
220 정수 추출관 222 정수 추출 밸브
240 연결관 242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
260 수위 센서 300 냉수 탱크
320 냉수 추출관 322 냉수 추출 밸브
400 냉각 시스템 420 냉각관
440 펌프 460 열전 소자
462 냉각 부재 464 방열판
466 냉각팬

Claims (6)

  1.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필터링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200),
    상기 정수 탱크(200)와 연결관(240)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240)을 통해 상기 정수 탱크(200)와의 자연 수압차에 의해 상기 정수 탱크(20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냉수 탱크(300), 및
    상기 냉수 탱크(300)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40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240)에는 상기 정수 탱크(200)에서 상기 냉수 탱크(300)로의 물의 흐름은 허용하고 상기 냉수 탱크(300)에서 상기 정수 탱크(200)로의 물의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 밸브 또는 체크 피팅(2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200)와 상기 냉수 탱크(300)는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 탱크(200)에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2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400)은, 입수구와 출수구가 모두 상기 냉수 탱크(300)에 연결된 냉각관(420), 상기 냉수 탱크(300)의 물이 상기 냉각관(420)을 통해 순환되도록 구동하는 펌프(440), 상기 냉각관(420)을 흐르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4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462)는 열전소자(460)의 흡열측 단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460)의 발열측 단자에는 열전소자(460)에서 방출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464)과, 상기 방열판(464)에 의해 방열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46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
KR1020090066050A 2009-07-20 2009-07-20 냉정수기 KR20110008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50A KR20110008627A (ko) 2009-07-20 2009-07-20 냉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50A KR20110008627A (ko) 2009-07-20 2009-07-20 냉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27A true KR20110008627A (ko) 2011-01-27

Family

ID=4361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50A KR20110008627A (ko) 2009-07-20 2009-07-20 냉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62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520A (ko) * 2012-12-17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KR101435107B1 (ko) * 2012-03-21 2014-08-29 주식회사 레보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블록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교체형 정수기
KR20160097758A (ko) 2015-02-10 2016-08-18 마상동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20160003156U (ko) 2015-03-11 2016-09-21 마상동 정수기용 저장탱크
KR20170017489A (ko) * 2015-08-07 2017-02-15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N107445217A (zh) * 2016-05-04 2017-12-08 Lg 电子株式会社 净水器
KR20210041875A (ko) 2019-10-08 2021-04-16 고정찬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정수기의 냉,온수공급장치
US11448423B2 (en) 2017-04-25 2022-09-20 Lg Electronics Inc. Hot liquid generation module for liquid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07B1 (ko) * 2012-03-21 2014-08-29 주식회사 레보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블록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교체형 정수기
KR20140078520A (ko) * 2012-12-17 2014-06-25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KR20160097758A (ko) 2015-02-10 2016-08-18 마상동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20160003156U (ko) 2015-03-11 2016-09-21 마상동 정수기용 저장탱크
KR20170017489A (ko) * 2015-08-07 2017-02-15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N107445217A (zh) * 2016-05-04 2017-12-08 Lg 电子株式会社 净水器
US10864468B2 (en) 2016-05-04 2020-12-15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CN107445217B (zh) * 2016-05-04 2021-11-09 Lg 电子株式会社 净水器
US11448423B2 (en) 2017-04-25 2022-09-20 Lg Electronics Inc. Hot liquid generation module for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20210041875A (ko) 2019-10-08 2021-04-16 고정찬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정수기의 냉,온수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627A (ko) 냉정수기
EP1817260B1 (en) Circulation-type apparatus for generating drinking water
MXPA04011566A (es) Ensamble de filtro de agua.
NZ583583A (en) Water treatment and bypass system with prevents untreated water flowing back into the treatment chamber
US11300333B2 (en) Cold water gener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EP1985589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KR100536614B1 (ko)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US7182858B2 (en) Multiple barrier filter apparatus
KR20150141038A (ko) 순간 냉각 및 순간 가열 방식을 적용한 정수기
KR101421155B1 (ko) 밀폐형 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수,정수시스템
KR20090040807A (ko) 정수 가열 장치
CN113167061A (zh) 旨在再循环水或排放不适合再循环的水的水再循环系统
WO2010117097A1 (ko) 근접 살균방식의 자외선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WO2005039735A1 (en)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US11148084B2 (en) Sterilization kit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06419561A (zh) 一种恒温节能集中式直饮水供给系统
KR200413957Y1 (ko) 산성수 유출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정수기
KR20130131965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20090025014A (ko) 정수기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US20240132386A1 (en) Water purifier
KR20140055170A (ko) 수처리 장치
KR102040685B1 (ko) 수처리장치
JP3236202U (ja) 飲用水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