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61A -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 Google Patents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61A
KR20160014161A KR1020140095771A KR20140095771A KR20160014161A KR 20160014161 A KR20160014161 A KR 20160014161A KR 1020140095771 A KR1020140095771 A KR 1020140095771A KR 20140095771 A KR20140095771 A KR 20140095771A KR 20160014161 A KR20160014161 A KR 20160014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weight
tank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김도현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161A/ko
Publication of KR2016001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물 저장 탱크는, 유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물이 배출되는 탱크 본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입수 밸브,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밸브 및 상기 입수 밸브 또는 상기 배출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 본체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탱크 본체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WATER STORAGE TANK AND ICE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저장 탱크 또는 얼음 저장 탱크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얼음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탱크는 소정의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 탱크의 만수위 또는 만빙위까지 저장되는 물 또는 얼음의 양에 비해 사용자의 사용량이 많지 경우, 물 또는 얼음이 저장 탱크에 장시간 체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수필터 등에 의해 수처리된 물이나, 이를 이용해 생성된 얼음이라 할지라도 세균이 증식할 수 있어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량에 따라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조절할 수 있는 저장 탱크가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73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또는 얼음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 탱크의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량에 따른 맞춤 정량을 저장할 수 있는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를 제공한다.
또한, 무게 감지부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사용량에 따라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조절함으로써 물이나 얼음의 장시간 보관에 따른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 저장 탱크를 제안한다. 상기 물 저장 탱크는, 유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물이 배출되는 탱크 본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입수 밸브,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밸브 및 상기 입수 밸브 또는 상기 배출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 본체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탱크 본체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 본체에 저장되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만수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무게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탱크 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음 저장 탱크를 제안한다. 상기 얼음 저장 탱크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생성된 얼음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얼음이 배출되는 탱크 본체, 상기 탱크 본체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성가 얼음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무게가 기준 무게가 되는 경우, 상기 제빙부의 얼음 생성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얼음 배출량에 따라 상기 기준 무게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 또는 얼음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 탱크의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량에 따른 맞춤 정량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 감지부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물 또는 얼음의 사용량에 따라 만수위 또는 만빙위를 조절함으로써 물이나 얼음의 장시간 보관에 따른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는 탱크 본체(100), 입수 밸브(VI), 배출 밸브(VO)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 본체(100)에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11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고, 탱크 본체(100)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120)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110)는 입수관(TI)에 의해서 물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수관(TI)에는 입수 밸브(VI)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입수 밸브(VI)가 개방되면, 물 공급원의 물이 유입구(110)를 통해 탱크 본체(1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배출구(220)는 배출관(TO)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TO)에는 배출 밸브(VO)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 밸브(VO)가 개방되면, 탱크 본체(100)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탱크 본체(10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탱크 본체(1000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부재(1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 본체(1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입되어 저장된 후 배출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물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탱크 본체(100)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기 위해 탱크 본체(1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200)는 전술한 입수 밸브(VI)와 배출 밸브(VO)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 밸브(VI)와 배출 밸브(VO)를 개폐하여 탱크 본체(100)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배출 밸부(VO)를 개방하여 탱크 본체(1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탱크 본체(100)의 수위가 소정의 요구되는 수위, 즉, 만수위가 되지 않으면, 입수 밸브(VI)를 개방하여 탱크 본체(1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저장 탱크는 탱크 본체(100), 제어부(200) 및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저장 탱크는 입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탱크 본체(100)에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11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고, 탱크 본체(100)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12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탱크 본체(100)는 도 1의 탱크 본체(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물 사용량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탱크 본체(100)의 만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무게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탱크 본체(1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수위일 때의 물의 무게가 1Kg이고, 현재 물의 무게가 600g 이면, 제어부(200)는 입수 밸브(VI)를 조절하여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는 물이 1 Kg이 될 때까지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물 무게의 변화량에 따라 탱크 본체(100)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물의 무게 변화량이 증가하는 경우, 만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물의 무게 변화량이 감소하는 경우, 만수위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12시간 동안의 물의 무게의 변화량에 따른 배출 정도가 기준 배출 정도 또는 이전에 산출된 무게 변화량에 따른 배출 정도 보다 큰 경우, 만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물의 무게를 기준으로 만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물의 배출 정도가 증가하는 경우, 이전의 만수위에 대응하는 물의 무게가 1Kg 인 경우, 배출 정도에 따라서, 1.5 Kg 또는 2 Kg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만수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하루 중 물 사용량(또는 배출 정도) 즉, 물 무게의 변화량을 저장하여 물 사용량이 많은 시간에는 만수위가 높아지도록 조절하고, 물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는 만수위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입력부(400)는 사용자로부터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는 만수위의 높이 또는 이에 대응되는 물의 무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400)를 통해 현재 물 사용량에 알맞은 물 저장 탱크의 만수위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무게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탱크 본체(100)에 저장되는 물의 만수위를 입력부(400)에 의해 입력되는 만수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량 또는 선택에 따라 물 저장 탱크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물 저장 탱크에 물이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물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에 세균이 증식하지 않기 때문에 물 저장 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 탱크는 제빙부(500), 탱크 본체(600), 무게 감지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얼음 저장 탱크는 기준 무게 입력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부(500)는 얼음을 생성하여 탱크 본체(600)의 유입구(610)로 제공할 수 있다.
탱크 본체(600)는 유입구(610)와 배출구(6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600)는 유입구(610)를 통해 얼음이 유입되어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고, 탱크 본체(600)에 저장된 얼음은 배출구(62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 본체(6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음이 유입되어 저장된 후 배출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무게 감지부(7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에 따라 제빙부(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탱크 본체(800)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에 기초하여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800)는 미리 설정된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기준 무게가 1Kg 인 경우, 이를 현재 무게 감지부(700)에 의해 감지된 탱크 본체(600)에 저장된 얼음의 무게와 비교함으로써 만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0)는 현재 탱크 본체(600)에 저장된 얼음의 무게가 기준 무게 이상인 경우, 제빙부(500)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8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된 얼음의 무게가 기준 무게 이하로 줄어든 경우,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가 기준 무게가 될 때까지 제빙부(5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8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 무게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얼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얼음 배출량에 따라 기준 무게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800)는 얼음 무게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사용자의 얼음 사용량에 따라 만빙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800)는 12시간 동안의 얼음의 무게 변화량에 기초하여 12시간 동안의 얼음 배출량 즉, 얼음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얼음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또는 이전에 산출된 사용량 보다 큰 경우, 기준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만빙위 즉,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800)는 상기 얼음 사용량이 기준 사용량 또는 이전에 산출된 사용량 보다 작은 경우, 기준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즉,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800)는 하루 중 얼음 사용량 즉, 얼음의 무게 변화량을 주기적으로 저장하여 얼음 사용량이 많은 시간에는 기준 무게를 높임으로써 얼음 저장량이 높아지도록 조절하고, 얼음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는 기준 무게를 낮춤으로써 얼음 저장량이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기준 무게 입력부(900)는 사용자로부터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즉, 만빙위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기준 무게 입력부(9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고 가능하다.
또한, 기준 무게 입력부(9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양(예컨대 “매우 많음”, “비교적 많음”, “적당함”, “비교적 적음” 및 “매우 적음” 등)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800)는 탱크 본체(600)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준 무게가 되도록 제빙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600: 탱크본체
110, 610: 유입구
120, 620: 배출구
130: 덮개
200, 800: 제어부
300, 700: 무게 감지부
400: 입력부
500: 제빙부
900: 기준 무게 입력부
TI : 입수관
TO : 배출관
VI : 입수밸브
VO : 배출밸브

Claims (10)

  1. 유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물이 배출되는 탱크 본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입수 밸브;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밸브; 및
    상기 입수 밸브 또는 상기 배출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탱크 본체로의 물의 유출입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탱크 본체의 만수위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물 저장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에 저장되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만수위의 높이를 조절하는 물 저장 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물의 무게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탱크 본체로부터의 물의 배출 정도를 산출하는 물 저장 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물의 배출 정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탱크 본체의 만수위가 높아지도록 하는 물 저장 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물의 배출 정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탱크 본체의 만수위가 낮아지도록 하는 물 저장 탱크.
  6.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생성된 얼음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며, 배출구로 얼음이 배출되는 탱크 본체;
    상기 탱크 본체에 저장되는 얼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 및
    성가 얼음의 무게에 따라 상기 제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얼음 저장 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무게가 기준 무게가 되는 경우, 상기 제빙부의 얼음 생성을 중단시키는 얼음 저장 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얼음 배출량에 따라 상기 기준 무게의 값을 조절하는 얼음 저장 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얼음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기준 무게의 값을 증가시키는 얼음 저장 탱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무게를 입력받는 기준 무게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 저장 탱크.

KR1020140095771A 2014-07-28 2014-07-28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KR20160014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71A KR20160014161A (ko) 2014-07-28 2014-07-28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71A KR20160014161A (ko) 2014-07-28 2014-07-28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61A true KR20160014161A (ko) 2016-02-11

Family

ID=5535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771A KR20160014161A (ko) 2014-07-28 2014-07-28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1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874A (en) * 2017-01-09 2018-10-03 Anthony Long Robert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268051B1 (ko) * 2021-03-22 2021-06-23 주식회사 주신산업 침매터널 누출 유량 측정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383A (ko) 2011-12-29 2013-07-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383A (ko) 2011-12-29 2013-07-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874A (en) * 2017-01-09 2018-10-03 Anthony Long Robert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GB2560874B (en) * 2017-01-09 2021-09-08 Anthony Long Robert Thermal management system having a thermal store comprising an ice slurry
KR102268051B1 (ko) * 2021-03-22 2021-06-23 주식회사 주신산업 침매터널 누출 유량 측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28239T3 (es) Unidad de control reequipable para un dispositivo de ablandamiento
JP2004265378A (ja) 電子制御温度調整弁
JP2010210181A (ja) 給湯システム
RU201315126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тела пациента
US2018014890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reservoir supply pump arrangement and water reservoir supply pump arrangement
KR20160014161A (ko) 물 저장 탱크 및 얼음 저장 탱크
JP2014129903A (ja) 蒸気式加湿器及びその排水制御方法
JP5235801B2 (ja) 給湯システム
JP5056293B2 (ja) 元止め式温水器システム
EP3825626A3 (en) Absorption chiller
US10152066B2 (en) Water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ll water level thereof
US9216894B2 (en) Drinking water server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0942910B1 (ko) 단위사업 저수장의 유입밸브 제어 방법
CA296936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liquid delivery system
CN107966999B (zh) 烹饪器具、流速控制方法和流速控制装置
KR101856980B1 (ko) 온수 공급 장치 및 상기 온수 공급 장치를 구비한 비데
JP5980066B2 (ja) 液化ガス供給装置
CN219471158U (zh) 排水系统
KR20120001491A (ko) 사출금형용 온도조절기
JP2871029B2 (ja) 給湯システムにおける水位センサの補正方法
US1073073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ccelerated dispensing
RU2686153C1 (ru) Водоподающая станция
KR100891416B1 (ko) 냉온수기 및 냉온 정수기의 냉온수 용량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용량 조절 방법
JP2007024330A (ja) 貯湯式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