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683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683B1
KR102037683B1 KR1020120155528A KR20120155528A KR102037683B1 KR 102037683 B1 KR102037683 B1 KR 102037683B1 KR 1020120155528 A KR1020120155528 A KR 1020120155528A KR 20120155528 A KR20120155528 A KR 20120155528A KR 102037683 B1 KR102037683 B1 KR 10203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ving
line
purified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826A (ko
Inventor
문형민
강상현
이현철
윤성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6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필터(210)를 포함하여 유입된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 또는 배출되는 저장부재(310)와 상기 저장부재(310)가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본체부재(320)를 포함하는 저장부(300); 및 상기 여과부(200)와 저장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어 상기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부재(32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어 상기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출밸브(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유입된 물을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로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가 있다. 또한, 수처리장치는 정수기 이외에도 유입된 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탄산수기나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이온수기도 있다.
한편, 정수기에 포함되는 정수필터에는 역삼투압필터가 있다. 역삼투압필터에 물이 유입되면 일부의 물은 여과되어 정수가 되고 나머지는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가 된다. 또한, 역삼투압필터에 의해서 여과되어 역삼투압필터에서 배출되는 정수는 역삼투압필터에 유입되는 물보다 압력이 낮아진다.
그리고, 정수기는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의 하나로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역삼투압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는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물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된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낮은 압력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때 정수의 추출위치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물탱크에 연결되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나 파우셋 등의 배출부재가 물탱크의 저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낮은 압력으로 정수가 유입되더라도 소정 압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서지탱크를 물탱크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물탱크로부터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여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고 역삼투압필터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 여과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 또는 배출되는 저장부재와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본체부재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여과부와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재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출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에는 원수의 유입을 위한 원수라인과 정수의 배출을 위한 정수라인 및 생활용수의 배출을 위한 생활용수라인이 연결되며, 저장부재는 정수연결라인에 의해서 정수라인에 연결되고, 본체부재는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밸브는 정수라인이 연결되는 정수유입구, 배출부재가 연결되는 정수배출구, 가압수유입구, 유출입구 및, 드레인라인이 연결되는 드레인구가 구비된 하우징; 및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위치에 따라 유출입구와 드레인구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정수유입구와 가압수유입구가 정수배출구와 유출입구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밸브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정수유입구와 정수배출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유로; 가압수유입구와 유출입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2연결유로; 및 유출입구와 드레인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3연결유로; 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밸브는 밸브부재에 연결되며 손잡이부재가 구비되어 밸브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재에는 원수가 유출입되고, 배출밸브는 저장부재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본체부재로부터 원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유입구에는 원수라인에 연결되는 원수분기라인이 연결되고, 유출입구에는 생활용수라인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 다음의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분기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재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고, 배출밸브는 저장부재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본체부재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유입구에는 생활용수라인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 다음의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되는 제1생활용수분기라인이 연결되고, 유출입구에는 생활용수밸브 전의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생활용수분기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정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는 제1복합정수필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라인에는 별도의 정수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는 제2복합정수필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정수 저장시를 나타내며, 도6은 정수 배출시를 나타낸다.
도7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은 정수 저장시를 나타내며, 도8은 정수 배출시를 나타낸다.
도9는 도5와 도7의 정수 저장시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10은 도6과 도8의 정수 배출시의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배출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는 여과부(200), 저장부(300) 및, 배출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는 전술한 역삼투압필터(210)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정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 이외에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복합정수필터(220)일 수 있다.
제1복합정수필터(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 전에 배치되어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복합정수필터(220)는 침전필터와 프리카본필터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정수필터일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라인(LC)에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삼투압필터(210) 이외에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다른 정수필터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복합정수필터(220)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수라인(L1), 정수라인(L2) 및, 생활용수라인(L3)이 연결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수라인(L1)의 일측은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원수라인(L1)의 타측은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전술한 제1복합정수필터(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원수라인(L1)을 통해 여과부(200)에 유입될 수 있다.
원수라인(L1)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감압밸브(VP)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밸브(VP)에 의해서 원수의 압력이 소정의 원하는 압력으로 낮아진 후 여과부(20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과부(200)의 제1복합정수필터(220)에 유입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라인(L2)의 일측은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수라인(L2)의 타측은 후술할 배출밸브(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 유입된 원수는 여과부(200)의 제1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로 된 후 정수라인(L2)을 통해 후술할 배출밸브(400)까지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400)의 작동에 의해서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수라인(L2)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정수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라인(L2)에 연결되는 별도의 정수필터는 제2복합정수필터(230)일 수 있다. 제2복합정수필터(230)는, 예컨대 포스트카본필터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정수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정수라인(L2)에 연결되는 정수필터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복합정수필터(230)에 한정되지 않고,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3)의 일측은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라인(L3)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되어 생활용수라인(L3)을 유동할 수 있다.
생활용수라인(L3)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생활용수밸브(VD)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VD)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가 소정의 작동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밸브(VD) 전의 생활용수라인(L3)에 존재하는 생활용수의 압력과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 존재하는 생활용수의 압력은 다를 수 있다. 즉, 생활용수밸브(VD) 전의 생활용수라인(L3)에 존재하는 생활용수의 압력이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 존재하는 생활용수의 압력보다 높게 된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는 체크밸브(CV)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로 생활용수가 역류하지 않을 수 있다.
저장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310)와 본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 저장부재(310)에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 저장부재(310)는 저장된 정수는 저장부재(3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310)는 정수연결라인(L2')에 의해서 정수라인(L2)에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재(3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저장부재(31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출입되거나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가 유출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는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밸브(400)는 여과부(200)와 저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정수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배출밸브(400)에 의해서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32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본체부재(32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재(412a)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재(310)에 저장되는 정수의 압력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의 압력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출부재(4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410)과 밸브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4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4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410)에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유입구(411), 정수배출구(412), 가압수유입구(413), 유출입구(414) 및, 드레인구(415)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라인(L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라인(L2)을 유동한 정수가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배출구(412)에는 배출부재(412a)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 정수유입구(411)와 정수배출구(412)가 연결될 때, 정수라인(L2)을 유동하여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 정수가 정수배출구(412)와 배출부재(4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구(415)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드레인라인(L4)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 여과부(200)의 역삼투암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드레인구(415)와 드레인라인(L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재(420)는 하우징(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위치에 따라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는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를 연결하거나,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는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와 가압수유입구(413)가 정수배출구(412)와 유출입구(414)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재(420)는 제1연결유로(421), 제2연결유로(422) 및, 제3연결유로(4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유로(421)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와 정수배출구(41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유로(421)는 일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유로(4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와 정수배출구(412)가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제2연결유로(422)는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와 유출입구(414)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유로(422)도 일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유로(4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와 유출입구(414)가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3연결유로(423)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유로(423)는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3연결유로(42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밸브(400)는 회전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43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부재(4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4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부재(4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재(431)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재(320)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 배출밸브(400)는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저장부재(300)의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원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가압수유입구(413)에는 원수라인(L1)에 연결되는 원수분기라인(L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에는 생활용수라인(L3)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분기라인(L3')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는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라인(L1)에 유입된 원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제2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되거나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가 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는 정수라인(L2)을 유동하여 정수연결라인(L2')을 통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유입되고 저장된다.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2)을 통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정수유입구(411)까지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가 밸브부재(42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는 대부분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유입되고 저장된다.
그리고, 원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분기라인(L1')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까지 유동할 수 있지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가 밸브부재(42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는 대부분 여과부(200)에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3)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유출입구(414)에 유입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밸브부재(420)의 제3유로(423)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러므로,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유출입구(414)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의 제3유로(423)와 드레인구(415) 및 드레인라인(L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는 정수가 유입되어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재(320)에 존재하는 원수는 가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에 연결된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되고, 생활용수라인(L3)을 유동하여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된 생활용수분기라인(L3')에 유입된다. 그리고, 생활용수분기라인(L3')을 유동한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0)의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3)을 통해 저장부재(300)의 본체부재(320)로 유동하지 못하고 대부분 생활용수분기라인(L3')에 유입되어 생활용수분기라인(L3')을 유동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는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과부(200)의 제1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구비된 개폐밸브(V)는 폐쇄된다.
이에 따라, 원수라인(L1)에 유입된 원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원수라인(L1)에 연결된 원수분기라인(L1')에 유입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분기라인(L1')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가압수유입구(413)에 유입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가 밸브부재(420)의 제2유로(422)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에 유입된 원수는 밸브부재(420)의 제2유로(422)와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를 통해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에 연결된 생활용수분기라인(L3')에 유입된다.
또한, 생활용수분기라인(L3')에 유입된 원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분기라인(L3')을 통해 생활용수분기라인(L3')이 연결된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다. 그리고,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 원수는 생활용수라인(L3)을 통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분기라인(L3')을 통해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 원수는 생활용수라인(L3)에 구비된 체크밸브(CV)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대부분 저장부(300) 쪽으로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된 원수에 의해서 본체부재(320)의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재(310)가 가압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연결라인(L2')을 통해 정수라인(L2)에 유입되고 배출밸브(400)의 밸브하우징(410)에 구비된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정수유입구(411)는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 정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와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 및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 배출부재(4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구비된 개폐밸브(V)는 폐쇄되기 때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연결라인(L2')에 의해서 정수라인(L2)에 유입된 정수는 역삼투압필터(210)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배출밸브(400) 쪽으로 유동한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밸브(400)는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본체부재(320)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가압수유입구(413)에는 생활용수라인(L3)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는 생활용수밸브(VD) 전의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저장시에는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라인(L1)에 유입된 원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제2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되거나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가 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는 정수라인(L2)을 유동하여 정수연결라인(L2')을 통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유입되고 저장된다.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2)을 통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정수유입구(411)까지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는 밸브부재(42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는 대부분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유입되고 저장된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밸브(VD) 전의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된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가압수유입구(413)까지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는 밸브부재(42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에서 배출된 생활용수는 대부분 생활용수라인(L3)을 유동하여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된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유출입구(414)에 유입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밸브부재(420)의 제3유로(423)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러므로,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유출입구(414)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의 제3유로(423)와 드레인구(415) 및 드레인라인(L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는 정수가 유입되어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재(320)에 존재하는 원수는 가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320)에 연결된 제2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다. 그리고, 생활용수라인(L3)을 유동하여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된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된다. 또한,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을 유동한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0)의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3)을 통해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되지 않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되어 유동하게 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수 배출시에는 배출부재(420)의 밸브부재(420)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라인(L1)에 유입된 원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제2복합정수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되거나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가 된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는 정수라인(L2)을 유동하여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된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정수유입구(411)는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 정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와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 및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 배출부재(4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에서 배출된 생활용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3)을 통해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에 유입된다. 역삼투압필터(210)에서 배출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3)을 유동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을 통해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 생활용수의 압력에 의해서 저장부(300) 쪽으로는 유동하지 못한다.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제1하우징(410)에 구비되는 가압수유입구(413)에 유입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가압수유입구(413)는 밸브부재(420)의 제2유로(422)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하우징(410)의 가압수유입구(413)와 밸브부재(420)의 제2유로(422)를 통해 하우징(410)의 유출입구(414)에 연결된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된다.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을 통해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다. 역삼투압필터(210) 쪽의 생활용수라인(L3)에는 체크밸브(CV)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을 통해 생활용수라인(L3)에 유입된 생활용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 쪽으로 유동하지 않고 대부분 저장부(300) 쪽으로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300)의 본체부재(320)에 유입된 생활용수에 의해서 본체부재(320)의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재(310)가 가압된다. 이에 의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연결라인(L2')을 통해 정수라인(L2)에 유입된다. 그리고, 정수라인(L2)에 유입된 정수는 정수라인(L2)을 통해 배출밸브(400)의 밸브하우징(410)에 구비된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출밸브(400)의 밸브부재(420)의 회전위치에서는 배출밸브(400)의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정수유입구(411)는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에 의해서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정수유입구(411)에 유입된 정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20)의 제1유로(421)와 하우징(410)의 정수배출구(412) 및 정수배출구(412)에 연결된 배출부재(4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배출밸브에 의해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부재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본체부재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역삼투압필터 220 : 제1복합정수필터
230 : 제2복합정수필터 300 : 저장부
310 : 저장부재 320 : 본체부재
400 : 배출밸브 410 : 하우징
411 : 정수유입구 412 : 정수배출구
412a : 배출부재 413 : 가압수유입구
414 : 유출입구 415 : 드레인구
420 : 밸브부재 421 : 제1연결유로
422 : 제2연결유로 423 : 제3연결유로
430 : 회전부재 431 : 손잡이부재
L1 : 원수라인 L1' : 원수분기라인
L2 : 정수라인 L2' : 정수연결라인
L3 : 생활용수라인 L3' : 생활용수분기라인
L3-1' : 제1생활용수분기라인 L3-2' : 제2생활용수분기라인
L4 : 드레인라인 LC : 연결라인
V : 개폐밸브 VP : 감압밸브
VD : 생활용수밸브 CV : 체크밸브
SP : 압력센서

Claims (13)

  1. 역삼투압필터(210)를 포함하여 유입된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200);
    상기 여과부(200)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 또는 배출되는 저장부재(310)와 상기 저장부재(310)가 내부에 구비되고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본체부재(320)를 포함하는 저장부(300); 및
    상기 여과부(200)와 저장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상기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부재(320)에 원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출밸브(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200)에는 원수의 유입을 위한 원수라인(L1)과 정수의 배출을 위한 정수라인(L2) 및 생활용수의 배출을 위한 생활용수라인(L3)이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재(310)는 정수연결라인(L2')에 의해서 상기 정수라인(L2)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재(320)는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정수라인(L2)이 연결되는 정수유입구(411), 배출부재(412a)가 연결되는 정수배출구(412), 가압수유입구(413), 유출입구(414) 및, 드레인라인(L4)이 연결되는 드레인구(415)가 구비된 하우징(410); 및
    상기 하우징(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정수유입구(411)와 가압수유입구(413)가 상기 정수배출구(412)와 유출입구(414)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밸브부재(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420)는
    상기 정수유입구(411)와 정수배출구(412)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1연결유로(421);
    상기 가압수유입구(413)와 유출입구(414)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2연결유로(422); 및
    상기 유출입구(414)와 드레인구(415)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3연결유로(423);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밸브부재(420)에 연결되며 손잡이부재(431)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부재(420)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재(4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320)에는 원수가 유출입되고,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상기 본체부재(320)로부터 원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부재(320)에 원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유입구(413)에는 상기 원수라인(L1)에 연결되는 원수분기라인(L1')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입구(414)에는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분기라인(L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320)에는 생활용수가 유출입되고,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면서 상기 본체부재(320)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본체부재(320)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유입구(413)에는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구비되는 생활용수밸브(VD) 다음의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제1생활용수분기라인(L3-1')이 연결되고,
    상기 유출입구(414)에는 상기 생활용수밸브(VD) 전의 상기 생활용수라인(L3)에 연결되는 제2생활용수분기라인(L3-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2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정수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제1복합정수필터(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라인(L2)에는 별도의 정수필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제2복합정수필터(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20155528A 2012-12-27 2012-12-27 수처리장치 KR10203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528A KR102037683B1 (ko) 2012-12-27 2012-12-27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528A KR102037683B1 (ko) 2012-12-27 2012-12-27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26A KR20140085826A (ko) 2014-07-08
KR102037683B1 true KR102037683B1 (ko) 2019-10-29

Family

ID=5173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528A KR102037683B1 (ko) 2012-12-27 2012-12-27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620B1 (ko) 2014-02-24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319641B1 (ko) * 2014-07-28 2021-11-0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283706B1 (ko) * 2014-07-28 2021-08-0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288070B1 (ko) * 2014-08-28 2021-08-10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312010B1 (ko) * 2014-08-28 2021-10-13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332233B1 (ko) * 2014-08-28 2021-11-29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396591B1 (ko) * 2014-12-30 2022-05-13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388904B1 (ko) * 2014-12-30 2022-04-2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977033B1 (ko) 2015-12-08 2019-08-2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CN108310978A (zh) * 2017-01-17 2018-07-24 3M创新有限公司 储水罐以及包括该储水罐的家用净水器
KR20220144535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44534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15101A (ko) * 2022-01-26 202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03B1 (ko) 2003-03-31 2005-07-07 노응석 역삼투정수기용 농축수 방출밸브
JP3756217B2 (ja) 1995-04-05 2006-03-1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装置
JP4767803B2 (ja) 2006-09-15 2011-09-07 株式会社環境向学 浄水装置
WO2011142476A1 (ja) 2010-05-12 2011-11-17 Kawakami Yoichi 吐水栓
KR101108103B1 (ko) 2009-01-09 2012-01-31 (주)피티에스 원수 자동 차단장치를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17B2 (ja) 1995-04-05 2006-03-1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装置
KR100499803B1 (ko) 2003-03-31 2005-07-07 노응석 역삼투정수기용 농축수 방출밸브
JP4767803B2 (ja) 2006-09-15 2011-09-07 株式会社環境向学 浄水装置
KR101108103B1 (ko) 2009-01-09 2012-01-31 (주)피티에스 원수 자동 차단장치를 갖는 정수기
WO2011142476A1 (ja) 2010-05-12 2011-11-17 Kawakami Yoichi 吐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826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683B1 (ko) 수처리장치
US11794146B2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CN107324525A (zh) 可调节tds值直饮净水器
KR101837620B1 (ko) 수처리장치
CN107106948B (zh) 水处理设备
CN104755156B (zh) 除污膜组件的运转方法
KR102622548B1 (ko) 수처리장치
KR20100084832A (ko) 드레인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얼음정수기
KR20130035546A (ko) 직수식 정수기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CN209835852U (zh) 水处理系统及净水设备
JP2020049447A (ja) 固形薬剤供給装置
CN212799750U (zh) 为ro膜滤芯原水侧提供纯水的水路结构
KR20180076121A (ko) 수처리장치
KR20180074851A (ko) 체크밸브가 내장된 ro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시스템
KR20110062463A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KR20130071010A (ko) 제균필터 재생장치와 이를 구비한 정수기 및 제균필터의 재생방법
CN216639072U (zh) 一种水路系统以及净水设备
RU2017130640A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20170077416A (ko) 미네랄공급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684103B1 (ko) 정수기
CN209348217U (zh) 一种全屋净水系统的集中处理装置
CN209411857U (zh) 水处理系统及储水装置、净水设备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