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620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620B1
KR101837620B1 KR1020140162380A KR20140162380A KR101837620B1 KR 101837620 B1 KR101837620 B1 KR 101837620B1 KR 1020140162380 A KR1020140162380 A KR 1020140162380A KR 20140162380 A KR20140162380 A KR 20140162380A KR 101837620 B1 KR101837620 B1 KR 10183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
reverse osmosis
filte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374A (ko
Inventor
권태성
이수영
문형민
강상현
박병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21,30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46339B2/en
Priority to PCT/KR2015/001494 priority patent/WO2015126107A1/ko
Priority to CN201580010050.0A priority patent/CN106029210A/zh
Priority to EP15751867.1A priority patent/EP3117892B1/en
Publication of KR2015010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01D2313/501Permeate storag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여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된 후 배출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고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여과부와 저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부재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재에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거나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하우징에 유입되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유입된 물을 처리한 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로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유입된 물을 여과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정수기 이외에도 유입된 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탄산수기나,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이온수기도 있다.
한편, 수처리를 위해서 정수기에 포함되는 정수필터로 역삼투압필터가 있다. 역삼투압필터에 물이 유입되면, 일부의 물은 여과되어 정수가 되고 나머지는 여과되지 못하여 생활용수가 된다. 그리고, 역삼투압필터에 의해서 여과되어 역삼투압필터에서 배출되는 정수는 역삼투압필터에 유입되는 물보다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정수기는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에서 정수필터의 하나로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정수는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물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된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때 정수의 추출위치가 제한되었다.
예컨대, 물탱크에 연결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가 물탱크의 저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야만,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물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낮은 압력으로 정수가 유입되더라도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서지탱크를 물탱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서지탱크인 물탱크로부터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고 역삼투압필터의 여과효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물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여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 여과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저장부재와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고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여과부와 저장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하우징으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하우징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역삼투압필터와 하우징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1몸체부; 및 제1몸체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재와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몸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는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라인, 생활용수라인에서 분기된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드레인분기라인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유출입라인이 각각 연결되며, 제2몸체부는 역삼투압필터와 저장부재에 연결되는 정수라인에서 분기된 배출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물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배출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유출입라인과 드레인분기라인이 연결되도록 하고,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라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물배출부재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유출입라인과 생활용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제1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위치에 따라 유출입라인이 드레인분기라인 또는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되도록 하는 플런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제1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압력차에 따라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생활용수라인과 드레인분기라인 및 유출입라인이 각각 연결되며 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제2몸체부에 연결되고 가압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압력전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플런저에 접촉하며 압력전달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제2몸체부의 압력을 받도록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제1다이아프램;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플런저에 접촉하도록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제2다이아프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에는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며, 연결유로에는 압력전달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에는 물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배출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정수라인의 압력에 따라 여과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유입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단밸브에는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라인과 정수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1정수필터; 를 더 포함하며, 자동차단밸브에는 연결라인과 정수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압필터 사이의 정수라인에는 제1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에는 제2정수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곳과 유로전환밸브 사이의 상기 배출라인에는 제2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재에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거나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하우징에 유입되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배출되는 물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에 정수가 가득 찬 경우를 나타낸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6은 도5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8은 도7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저장부재에 정수가 가득 찬 경우를 나타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 저장부(300) 및, 유로전환밸브(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
여과부(200)는 역삼투압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는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원수라인(LRW)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여과부(200)에 공급될 수 있다.
원수라인(LRW)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VRD)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공급원에서의 원수공급압력이 소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 원수는 감압밸브(VRD)를 지나면서 소정 압력으로 감압된 후 여과부(20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상기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1정수필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정수필터(220)에는 전술한 원수라인(LRW)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는 제1정수필터(220)에 의해서 먼저 여과된 후 역삼투압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될 수 있다.
제1정수필터(2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또한, 여과부(200)에는 제1정수필터(220) 이외에도 다른 정수필터도 포함될 수 있으며,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다른 정수필터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역삼투압필터(210)는 정수라인(LPW)에 의해서 후술할 저장부(300)에 포함되는 저장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라인(LPW)을 유동하여 저장부재(3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는 생활용수라인(LLW)에 의해서 후술할 유로전환밸브(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LW)을 유동하여 후술할 저장부(300)에 포함되는 하우징(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저장부재(3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생활용수라인(LLW)으로부터 드레인라인(LD)이 분기될 수 있다. 드레인라인(LD)에는 생활용수밸브(VLW)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라인(LD)에는 후술할 유로전환밸브(400)에 연결되는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하우징(320)으로부터 배출되어 저장부(300)의 하우징(320)과 유로전환밸브(400)를 연결하는 유출입라인(LEI)을 유동한 생활용수가 드레인분기라인(LDS)과 드레인라인(L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정수라인(LPW)으로부터 분기된 배출라인(LE)은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부재(500)에 연결될 수 되도록 후술할 유로전환밸브(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물은 정수라인(LPW)과 배출라인(LE) 및 유로전환밸브(400)를 통해 물배출부재(500)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LE)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수필터(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라인(LE)을 통해 배출될 때, 제2정수필터(230)에 의해서 여과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배출라인(LE)에 구비되는 제2정수필터(2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라인(LE)에 구비되는 정수필터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라인(LPW)으로부터 분기되는 곳과 유로전환밸브(400) 사이의 배출라인(LE)에는 제2체크밸브(CV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체크밸브(CV2)와 물배출부재(500) 사이의 배출라인(LE)의 일부와, 후술할 유로전환밸브(400)와 물배출부재(500)를 연결하는 연결배출라인(LCE)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저장부(300)에 포함되는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400)가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을 계속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자동차단밸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단밸브(240)는 정수라인(LPW)의 압력에 따라 여과부(200)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동차단밸브(240)에는 원수라인(LRW) 또는 연결라인(LC)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단밸브(240)에는 정수라인(LPW)이 연결될 수 있다.
도5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도록 정수가 유입되거나 저장부재(310)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 예컨대 원수라인(LRW) 또는 연결라인(LC)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자동차단밸브(240)가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가득 찬 경우에는,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 예컨대 원수압력의 60%에 해당하는 압력에 도달하여, 자동차단밸브(240)가 닫힐 수 있다. 그러므로, 여과부(200)에 원수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자동차단밸브(2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수라인(LPW)의 압력에 따라 여과부(200)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자동차단밸브(240)와 역삼투압필터(210) 사이의 정수라인(LPW)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CV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가득 찬 경우에, 드레인라인(LD)을 통해 역삼투압필터(210)에 존재하는 물이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정수라인(LPW)에 존재하는 물이 역삼투압필터(210)로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단밸브(240)가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
저장부(300)는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10)는 저장부재(310)와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재(31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저장부재(3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부재(3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라인(LPW)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320)은 전술한 저장부재(31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가 유입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가 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320)에는 후술할 유로전환밸브(400)에 연결되는 유출입라인(LEI)이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
유로전환밸브(400)는 여과부(200)와 저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저장부(300)의 하우징(320)으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저장부재(310)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압필터(210)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정수가 배출되는 물배출부재(500)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400)는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20)에 저장된 생활용수가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을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분기라인(LDS)을 유동한 생활용수는 드레인라인(LD)에 유입되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배출부재(500)는 닫혀 있기 때문에,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PW)을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4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가 물배출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유출입라인(LEI)과 생활용수라인(LLW)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LW)과 유출입라인(LEI)을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하우징(3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는 물배출부재(500)가 열려 있기 때문에, 정수라인(LPW)과 배출라인(LE)를 통해 물배출부재(50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정수는 물배출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410)와 제2몸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부(410)는 역삼투압필터(210)와 하우징(320)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몸체부(410)에는 전술한 생활용수라인(LLW)과 드레인분기라인(LDS) 및 유출입라인(LEI)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부(410)에는 생활용수라인(LLW)이 연결되는 생활용수포트(411)와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되는 드레인포트(412) 및 유출입라인(LEI)이 연결되는 유출입포트(4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410)에는 플런저(4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런저(430)는 위치에 따라 유출입라인(LEI)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분기라인(LDS)에 연결되도록 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몸체부(410)에는 플런저(4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414)는 전술한 생활용수포트(411)와 드레인포트(412) 및 유출입포트(4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부(414)는 생활용수라인(LLW)와 드레인분기라인(LDS) 및 유출입라인(LEI)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부(410)에는 가압부(44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440)는 제1몸체부(410)와 제2몸체부(420)의 압력차에 따라 플런저(4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몸체부(410)에는 전술한 이동부(414)와 후술할 제2몸체부(420)에 연결되는 압력전달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440)는 제1몸체부(410)의 압력전달부(415)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4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41)와 제1다이아프램(442) 및 제2다이아프램(44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441)는 플런저(430)에 접촉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41)에는 제2다이아프램(443)이 구비되어 플런저(430)에 접촉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441)는 간접적으로 플런저(43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부재(441)는 도3에 도시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플런저(430)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다.
제1다이아프램(442)은 제2몸체부(420)의 압력을 받도록 가압부재(44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다이아프램(443)은 플런저(430)에 접촉하도록 가압부재(44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40)는 가압부재(441)와 제1다이아프램(44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가압부재(441)는 제2다이아프램(443)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플런저(430)에 접촉하지 않고 직접 플런저(430)에 접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압부(4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몸체부(4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몸체부(410)와 제2몸체부(420)의 압력차에 따라 플런저(4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 플런저(4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1)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431)가 플런저(430)의 상측에 구비되어 플런저(430)의 상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430)의 상측에는 탄성부재(431)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포트(411)까지 유동한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힘이 작용하여 플런저(430)가 하강될 때,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작용하는 힘이 약하다고 하더라도, 탄성부재(431)의 탄성력이 함께 작용하여 플런저(430)가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420)에 형성된 후술할 연결유로(421)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에 가해지는 힘이,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보다 커지게 되면, 플런저(430)가 상승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430)의 상측이 탄성부재(431)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구성에서는,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에 가해지는 힘이,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과 탄성부재(431)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합보다 큰 경우에만, 플런저(43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하지 않는 때에, 제2몸체부(420)의 연결유로(421)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에 힘이 가해져서 플런저(430)가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런저(430)의 작동이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431)는 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30)의 상측을 탄성지지할 수도 있지만, 플런저(430)의 하측을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탄성부재(431)가 플런저(430)의 상측과 하측을 모두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런저(43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3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플런저(43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판스프링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몸체부(420)는 제1몸체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부(420)는 저장부재(310)와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몸체부(420)에는 전술한 배출라인(LE)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420)에는 물배출부재(500)에 연결되는 연결배출라인(LCE)이 연결될 수 있다.
제2몸체부(420)에는 배출라인(LE)과 연결배출라인(LCE)이 연결되는 연결유로(4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유로(421)의 일측에는 배출라인(LE)이 연결되고 연결유로(421)의 타측에는 연결배출라인(LCE)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로(421)에는 제1몸체부(410)의 압력전달부(415)에 연결되는 연결구멍(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몸체부(420)의 연결유로(421)의 압력이 연결구멍(421a)을 통해 전술한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몸체부(4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421)와, 제1몸체부(410)의 드레인포트(412)와 유출입포트(413)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평행하도록, 제1몸체부(410)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배출라인(LE)과 연결배출라인(LCE)과의 연결의 편의를 위해서 경사지게, 예컨대 직각이 되도록 제1몸체부(4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몸체부(420)의 연결유로(421)와, 제1몸체부(410)의 드레인포트(412)와 유출입포트(413)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어떠한 각도나 특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제2몸체부(420)와 제1몸체부(41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몸체부(410)와 제2몸체부(420)는 원통이나 정사각통 또는 직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물배출부재(5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정수라인(LPW)의 압력은 소정 압력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단밸브(240)가 열려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라인(LRW)을 통해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원수라인(LRW)에 유입된 원수는 갑압밸브(VRD)를 거쳐서 제1정수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제1정수필터(220)에서 여과된 원수는 역삼투압필터(210)에 유입되며, 역삼투압필터(210)에 유입된 원수 중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PW)을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계속 저장되면, 저장부재(310)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부재(310)에 연결된 정수라인(LPW)에서 분기된 배출라인(LE)의 압력과 배출라인(LE)에 연결된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유로(421)의 압력도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로(421)의 압력에 의해서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에 가해지는 힘이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보다 커지게 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30)가 유출입라인(LEI)과 드레인분기라인(LDS)이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 즉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하우징(320)에 존재하던 생활용수는 유출입라인(LEI)을 유동하여 드레인분기라인(LDS)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계속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될 때, 저장부재(310)에 정수의 압력 이외에 다른 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역삼투압필터(210)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LW)을 유동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생용수포트(411)까지만 유동하거나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될 수 있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가득차면,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단밸브(240)가 닫혀서 원수라인(LRW)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역삼투압필터(210)에 존재하는 물이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제1체크밸브(CV1)에 의해서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단밸브(240)가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정수가 가득찬 상태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배출부재(500)가 열리면,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라인(LPW)을 유동하고 배출라인(LE)에 구비된 제2정수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제2정수필터(230)에서 여과된 정수는 배출라인(LE),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유로(421) 및, 연결배출라인(LCE)를 통해 물배출부재(500)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는 물배출부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물배출부재(500)를 통한 정수의 배출에 의해서, 정수라인(LPW)의 압력이 소정 압력 미만으로 낮아지면, 자동차단밸브(240)가 열릴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원수라인(LRW)을 통해 유입되어 제1정수필터(220)에서 여과될 수 있다.
제1정수필터(220)에서 여과된 원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필터(210)에 유입된 원수 중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정수라인(LPW)을 유동하여 제2정수필터(23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W)이나 드레인라인(LD)을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는 역삼투압필터(210)를 플러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생활용수포트(411)까지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생할용수가 플런저(430)의 일측,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30)의 상측에 힘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에 의해서 플런저(43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유로(421)를 유동하는 정수에 의해서 가압부(440)의 제1다이아프램(442)에 가해지는 힘보다 커지게 되면, 플런저(430)가 유출입라인(LEI)과 생활용수라인(LLW)이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생활용수라인(LLW)을 유동한 생활용수는 유출입라인(LIE)에 유입되고 유출인라인(LIE)을 유동하여 저장부(300)의 하우징(3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저장부(300)의 저장부재(310)에 저장된 정수는 계속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는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와 배출라인(LE)과 유로전환밸브(400) 및 물배출부재(500)의 연결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라인(LE)이 물배출부재(5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LE)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연결라인(LSC)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제2몸체부(420)에 형성된 연결유로(42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로(421)의 타측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부재(422)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배출라인(LE)의 압력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유로(421)로 전달되어 유로전환밸브(400)가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E)이 물배출부재(5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제2몸체부(420)에 형성된 연결유로(421)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배출라인(LE)으로부터 분기된 분기연결라인(LSC)이 연결유로(421), 예컨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로(421)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배출라인(LE)의 압력이 유로전환밸브(400)의 연결유로(421)로 전달되어 유로전환밸브(40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재에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거나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하우징에 유입되어서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정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정수가 배출되는 물배출부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에 역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역삼투압필터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감소되지 않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역삼투압필터 220 : 제1정수필터
230 : 제2정수필터 240 : 자동차단밸브
300 : 저장부 310 : 저장부재
320 : 하우징 400 : 유로전환밸브
410 : 제1몸체부 411 : 생활용수포트
412 : 드레인포트 413 : 유출입포트
414 : 이동부 415 : 압력전달부
420 : 제2몸체부 421 : 연결유로
421a : 연결구멍 422 : 폐쇄부재
430 : 플런저 431 : 탄성부재
440 : 가압부 441 : 가압부재
442 : 제1다이아프램 443 : 제2다이아프램
500 : 물배출부재 LRW : 원수라인
LC : 연결라인 LPW : 정수라인
LE : 배출라인 LSC : 분기연결라인
LLW : 생활용수라인 LD : 드레인라인
LDS : 드레인분기라인 LEI : 유출입라인
CV1 : 제1체크밸브 CV2 : 제2체크밸브
VRD : 감압밸브 VLW : 생활용수밸브
LCE : 연결배출라인

Claims (19)

  1.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여 원수가 여과된 정수와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저장되고 배출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가 내부에 구비되고 생활용수가 유출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여과부와 저장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생활용수가 유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생활용수가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부재로부터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역삼투압필터와 하우징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재와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라인, 상기 생활용수라인에서 분기된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드레인분기라인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유출입라인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역삼투압필터와 저장부재에 연결되는 정수라인에서 분기된 배출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제1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위치에 따라 상기 유출입라인이 상기 드레인분기라인 또는 생활용수라인에 연결되도록 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에는 물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저장부재에 정수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출입라인과 드레인분기라인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배출라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물배출부재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출입라인과 생활용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제1몸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압력차에 따라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상기 생활용수라인과 드레인분기라인 및 유출입라인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와 제2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압력전달부가 형성된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런저에 접촉하며 상기 압력전달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압력을 받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제1다이아프램;
    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런저에 접촉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제2다이아프램; 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에는 상기 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에는 상기 압력전달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 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에는 물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배출라인이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정수라인의 압력에 따라 상기 여과부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유입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에는 상기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라인과 상기 정수라인이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필터에 연결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1정수필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단밸브에는 상기 연결라인과 정수라인이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압필터 사이의 정수라인에는 제1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라인에는 제2정수필터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곳과 상기 유로전환밸브 사이의 상기 배출라인에는 제2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40162380A 2014-02-24 2014-11-20 수처리장치 KR10183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21,301 US10946339B2 (en) 2014-02-24 2015-02-13 Water treatment apparatus
PCT/KR2015/001494 WO2015126107A1 (ko) 2014-02-24 2015-02-13 수처리장치
CN201580010050.0A CN106029210A (zh) 2014-02-24 2015-02-13 水处理设备
EP15751867.1A EP3117892B1 (en) 2014-02-24 2015-02-13 Water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47 2014-02-24
KR20140021447 201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74A KR20150101374A (ko) 2015-09-03
KR101837620B1 true KR101837620B1 (ko) 2018-03-14

Family

ID=5424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380A KR101837620B1 (ko) 2014-02-24 2014-11-20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46339B2 (ko)
EP (1) EP3117892B1 (ko)
KR (1) KR101837620B1 (ko)
CN (1) CN106029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2-08-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69769A (ko) 2021-06-21 2022-12-2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33B1 (ko) 2015-12-08 2019-08-2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WO2017155274A1 (ko) 2016-03-11 2017-09-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US10380127B2 (en) * 2017-02-13 2019-08-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ndidate search result generation
DE102018000676B4 (de) * 2018-01-23 2021-09-23 Ilja Dzampaj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Umkehrosmoseanlage
US11731366B2 (en) 2020-07-31 2023-08-2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to form electrical circuits on substrates
KR20220144535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20144534A (ko) 2021-04-20 2022-10-2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US11890674B2 (en) 2022-03-01 2024-02-06 Xerox Corporation Metal drop eject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inter and method of operation for forming support structures in 3D metal objec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91468U (zh) 2010-01-08 2010-09-29 宁波灏钻科技有限公司 纯水机节水阀及应用有该节水阀的纯水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17B2 (ja) 1995-04-05 2006-03-1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浄水装置
JP3877846B2 (ja) 1996-11-08 2007-02-07 エイトノット株式会社 浄水器
US6764595B1 (en) * 2000-03-15 2004-07-20 Kinetico Incorporated Fluid treatment system
KR100536614B1 (ko) 2004-05-14 2005-12-14 안보규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EP2659147A1 (en) 2010-12-28 2013-11-06 Aqualyng AS Device and methods for varying the geometry and volume of fluid circuits
KR20120131720A (ko) 2011-05-26 2012-1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기의 배수 장치
JP5220897B2 (ja) 2011-07-20 2013-06-26 シャープ株式会社 浄水器
KR20130073109A (ko) 2011-12-23 2013-07-03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37683B1 (ko) 2012-12-27 2019-10-2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446127B1 (ko) 2014-01-28 2014-10-07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91468U (zh) 2010-01-08 2010-09-29 宁波灏钻科技有限公司 纯水机节水阀及应用有该节水阀的纯水机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2-08-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69769A (ko) 2021-06-21 2022-12-2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7892A4 (en) 2017-04-26
US20170014769A1 (en) 2017-01-19
KR20150101374A (ko) 2015-09-03
EP3117892A1 (en) 2017-01-18
US10946339B2 (en) 2021-03-16
CN106029210A (zh) 2016-10-12
EP3117892B1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620B1 (ko) 수처리장치
US20190070559A1 (en)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2037683B1 (ko) 수처리장치
CN107106948B (zh) 水处理设备
KR102622548B1 (ko) 수처리장치
KR20130068157A (ko) 물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614247B1 (ko) 정수기
KR102365494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05042410A1 (en) A reverse osmosis water filtering system
CN212799750U (zh) 为ro膜滤芯原水侧提供纯水的水路结构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20180076121A (ko) 수처리장치
CN105523652B (zh) 净水设备
KR102573494B1 (ko) 수처리장치
KR102376116B1 (ko) 수처리장치
KR101440155B1 (ko) 역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역삼투압 방식 정수기
KR102388904B1 (ko) 수처리장치
CN107512788B (zh) 水处理系统及净水机
KR102640032B1 (ko) 수처리장치
CN204363763U (zh) 高压电磁阀及具有其的净水设备
KR102283706B1 (ko) 수처리장치
KR102319641B1 (ko) 수처리장치
CN111747486A (zh) 为ro膜滤芯原水侧提供纯水的水路结构
RU2017130640A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20200022867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