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5274A1 -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5274A1
WO2017155274A1 PCT/KR2017/002437 KR2017002437W WO2017155274A1 WO 2017155274 A1 WO2017155274 A1 WO 2017155274A1 KR 2017002437 W KR2017002437 W KR 2017002437W WO 2017155274 A1 WO2017155274 A1 WO 20171552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flushing
filter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4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형민
정대중
이병필
조성곤
강상현
윤성한
엄주혁
강대식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293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2254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2824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37718A/ko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84,11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85441B2/en
Priority to EP17763535.6A priority patent/EP3427807B1/en
Publication of WO20171552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5274A1/ko
Priority to US17/532,591 priority patent/US1179414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01D2313/903Integrated control or detec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2Forward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processes water and supplies it to a user.
  • the water purifier supplies water to a user after filtration, electrolysis to make alkaline water, or carbon dioxide in water to make carbonated water.
  • 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a water filter for filtering water.
  • 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a reverse osmosis filter having a reverse osmosis membrane as a water filter.
  • the reverse osmosis filter is divided into the non-filtration side and the filtration side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 water flows into the non-filtration side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filtered, and the water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is drained into domestic wat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purified water by filtering incoming water, extracting the generated purified water, measuring a flow rate of purified water extracted per unit time, and extracting the purified water.
  • flushing the filter unit us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and draining the flushed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outlet of the filter unit may include generating the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cumulative flow rate at the time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based on the flow rate, the discharge of the living water generated in the purified water generation step is blocked.
  • the water purifier filter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aw water inlet to generate purified water,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purified water outlet, and discharges the living water generated in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domestic water outlet.
  • Filter unit for discharging through,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discharged per unit time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ort, the flushing unit and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input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outlet and the raw water inlet to flush the filter using the purified water
  • the creep phenomenon can be more efficiently improved by flushing the reverse osmosis filter using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en the flow rate of the extracted purified water exceeds a preset flow rate.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en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flow rat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flushing tank.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ushing operation.
  • FIG. 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recovery rat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flushing a filtering unit of FIG. 7.
  •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to 12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to 1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8 to 2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purifier 100 may include a filter unit 110, a flow sensor 120, a flushing unit 130, and a controller 140. Further, in the water purifier 100, a raw water flow path 1 for introducing raw water, a purified water flow path 2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a living water flow path 3 for discharging living water, and a discharged water for discharge A flushing flow passage 4 and a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for the flushing to the filter unit 110 are provided, and a valve 10, 30, 40, 50 or a check valve is provided at one point on each flow passage. 135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If necessary, an inlet pump 21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a point on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for example, the inlet valve 50 and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3, so that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10. You can do it smoothly.
  • the filter unit 110 may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raw water flowing from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filter unit 110 is a raw water inlet 111 connected to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purified water outlet 112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2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the living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It may include a living water discharge port 113 connected to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to discharge.
  • the filter unit 110 may be a reverse osmosis filter.
  • the flow rate sensor 120 may be disposed in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2, and may detect a flow rate of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ort 112 of the filter unit 110.
  • the flow sensor 120 may detec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per unit time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and may output the detected flow rate value to the controller 140.
  • the flushing unit 130 is for cleaning the filter unit 110, and store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ort 112, and provides the stored purified water to the filter unit 110 through the raw water inlet 111. Can be.
  • the flushing unit 130 stores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purified water outlet 112 of the filter unit 110, the flushing tank for provid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raw water inlet 111 of the filter unit 110 131, a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132, a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3, and a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4.
  • the flush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3 and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4 to prevent the back flow of raw water.
  • the valve 135 may further include.
  • the flushing pump 22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point on the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to smoothly supply the purified water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flushing operation.
  • the flush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a flushing flow path 4, and a flushing valve 40 for discharging the water flushed from the filter unit 110 to the outside.
  • the first living water valve 20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living water and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for blocking the living water may be disposed in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flushing unit 13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a detailed operation of the flush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raw water by introducing raw water into the filter unit 110 and extract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raction port.
  • the controller 140 may flush the filter 110 to improve the lifespan and the RO creep phenomenon of the filter 110.
  • the controller 140 may block the discharge of the living water when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extracted at the time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means the cumulative flow rate from the start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to the completion of the extraction.
  • the preset flow rate may be a flow rate at which the change in the TDS value of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10 is within a preset range even when the discharge of the living water is blocked.
  • the preset flow rate may be Can be determined by prior experiment.
  • the predetermined flow rate may be proportional to the capacity of the filter unit.
  • the controll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and the like. It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 the memory may be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thereof.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en the flow rate of the extracted purified water exceeds a preset flow rate.
  •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a cumulative flow rate at the time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based on a flow rate of purified water per unit tim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120 (eg, 0.5 liter). ) Or more, the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and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may be controlled to discharge the living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1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when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flow rate.
  • the controller 140 may calculate a cumulative flow rate at the time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based on a flow rate of purified water per unit tim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120 (eg, 0.5 liter). When less tha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living water by controlling the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and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may set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of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is closed to a default setting.
  •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maintains the shut-off state, and when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input generates and extracts purified water according to the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umulative flow rate of the extracted purified water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flow rate. 140 may control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to discharge the living water to the outside.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flushing tank.
  •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132 to flus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extraction port 112 of the filter unit 110. ) Can be stored.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ushing operation.
  •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water inlet valve 50 to filter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110 when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low rate set in the flushing tank 131 is stored in the flushing tank 131.
  • the control unit may block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3 and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134 to provid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flushing tank 131 to the raw water inlet 111 of the filter unit 110.
  •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and the flushing valve 40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shing flow path 4.
  • FIG. 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recovery rat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 which blocks living water according to the cumulative flow rate at the time of extracting purified water once, does not block the living water regardless of the cumulative flow rate (b). It can be seen that the recovery rat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 the water purifier to which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to be described later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may be applied to,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later.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tep of flushing the filtering unit of FIG.
  •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raw water by introducing raw water into the filter unit 110 according to the integer extraction input (S100).
  • the generated integer may be extract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2 (S200).
  • the flow rate sensor 120 may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extracted per unit time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By controlling the 30 and the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it is possible to block the discharge of living water (S500).
  •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and the fourt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may be controlled to release the water discharge block (S550).
  •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is closed is the default setting
  • the discharge of the living water is blocked (S500)
  • the state of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is left as it is.
  • the maintenance that is,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and the release of the living water discharge is released (S550)
  • the second living water valve 30 may be opened to allow the living water to be discharged.
  • controller 140 may flush the filter unit 110 using the integ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10 (S600).
  • the flushing step (S600), as shown in FIG. 8, stores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110 in the flushing tank 131 (S610) and stores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flushing tank in the filter unit ( It may include a step (S620) of supplying the raw water inlet 111 of 110.
  •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fourth flow path switching valve 136 to drain the flushed water to the outside (S700).
  • FIG. 9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0 to 1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purifier 200 includes a filter unit 210, 210 ′, 210 ′′, a flushing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nd a discharge unit 250. ) May be included.
  • the filter unit 210, 210 ′, 210 ′′ may filter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 the filter unit 210 may be a reverse osmosis filter 210, and may include a pretreatment filter 210 ′ and a post treatment filter 210 ′′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respectively. have.
  •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may be partitioned into the non-filtration side 215 and the filtration side 216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214 as shown in FIG. 9.
  •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210 may be partitioned into the non-filtration side 215 and the filtration side 216 by being provided inside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n a roundly dried state.
  •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divided into the non-filtration side 215 and the filtration side 216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21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may be used.
  •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and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raw water flow path 1 may introduce water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 the flushing water that flushes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flushes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drains to the outside.
  •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valve 50.
  • Intake valve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0.
  •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as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9 to 12, although the inlet valve 50 is shown to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the position of the inlet valve 5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inlet valve 5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may be provided with a living water valve 30.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living water not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drained to the outside by the living water valve 30, or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flushed as shown in FIG. 12. One flushing water can drain to the outside. 9 to 12 illustrate that both the living water and the flushing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on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but the living water and the flushing flow path are separately discharged so that the living water and the flushing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separate flow paths. In this case, a valve may be installed in each flow path.
  •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2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side 216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filtered water may pass through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214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 the filter unit 210, 210 ′, 210 ′′ may have a pretreatment filter 210 ′ as shown in FIG. 9 in addition 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described above for filtration of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nd a post-treatment filter 210 ''.
  • a water filter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for filtration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er units 210, 210 ′ and 210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ell-known water filter may be included. Can be.
  •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a raw water supply source such as tap water, by an inlet line as shown in FIG. 9.
  •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tap water
  •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may be connected 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described above by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 the inlet valve 50 of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is opened by the control unit 240,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for example, the raw water is first pretreated through the inlet line as shown in FIGS. 10 and 11. Can be filtered.
  • the water filtered by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that is, the purifi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aftertreatment filter 210 ′′ may be connected 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by a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 the aftertreatment filter 210 ′′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250 by a water discharge line.
  • the discharge line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the purifi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210. '') And can be filtered.
  • the water that i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post-treatment filter 210 ′′ may be supplied to the user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250 by flowing the water discharge line.
  • the discharge part 250 may discharge water filtered from the filter parts 210, 210 ′, and 210 ′′, that is,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 the discharge part 25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parts 210, 210 ′ and 210 ′′, such as the post-treatment filter 210 ′′, by the water outlet line.
  • the water outlet valve 10 of the water outlet line When the water outlet valve 10 of the water outlet line is opened by the control unit 240, the wa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s 210, 210 ′ and 210 ′′ a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FIG. 10, that is,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250 and supplied to the user.
  • Discharge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line and the water filtered out of the filter unit (210, 210 ', 210' '), that is to remove the purified water, for example cock or facet (not shown), etc. It may include.
  •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section 2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ischarge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sections 210, 210 ', and 210' 'to the outside.
  • the flushing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 the flushing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filtration side 216 of the raw water flow path 1 and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connected to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as shown in FIG. 9. It may include a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assage 2, respectively.
  •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235 to allow water to flow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 a first check valve 235 to allow water to flow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 the water flowing in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flows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and flushes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as shown in FIG. 12. I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passage (3).
  •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be provided with a flushing valve (not shown) other than the first check valve 235 described above.
  • the flushing valv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be closed by the controller 240.
  • the flushing valve of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be opened by the controller 240 only when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flushed.
  • the controller 240 may allow the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o flow into the flushing unit 230 and flush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have.
  • water having a low TDS concentration for example, similar to the TDS concentration of the filtration side 216, is also present on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 the water of the filtration side 216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by osmotic pressure, even when the water is not filtered in the filter units 210, 210 ′ and 210 ′′ including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t may not move to this non-filtration side 215.
  • the TDS concentration of the water present on the filtration side 216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may not be increased.
  • water having a low TDS concentration may be discharged and supplied to the user even at the beginning of the filtration.
  • water having a high TDS concentration may be discharg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ltration so as not to be supplied to the user.
  • the control unit 240 is the aforementioned inlet valve 50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lter unit 210, 210 ′, 210 ′′, and the aforementioned outlet valv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unit 250. Each of whi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10.
  • the controller 240 opens and closes the water inlet valve 50 and the water outlet valve 10 at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so that the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flushed with the flushing unit 230, for example, the flushing unit 230. It may be made to flow to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 the controller 240 closes the water discharge valve 10 after the filtered water, that is,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50, and the predetermined first setting of the filter unit 210, 210 ', 210' '. After a time, the inlet valve 50 may be closed.
  •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for example, raw water
  •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flows into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through the inlet line and is filtered as shown in FIG. 10. Can be.
  • Water filtered from the pretreatment filter 210 ′ ie, purified water, may flow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introduced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210 ′′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and the water that has not been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the living water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ost-treatment filter 210 '' may be filtered by the post-treatment filter 210 '' to flow the water discharge lin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250 to be supplied to the user.
  • the control unit 240 After the water, that is, the purified water, filtered from the filter units 210, 210 ′ and 210 ′′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250 by a predetermined amount desir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240 firstly shows the method shown in FIG. 11. Likewise, the water outlet valve 10 may be closed.
  • water that is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and flows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that is,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210 ′′, and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of the flushing unit 230 ( 5) can be introduced.
  • the controller 240 may close the water inlet valve 50.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e,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of the flushing unit 230 is flushed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as shown in FIG.
  •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at is,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first set time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a time when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water capable of flushing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may flow into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of the flushing unit 230. .
  • the first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tim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necessary to flush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 the water flowing into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s flushed with the flushing water as shown in FIG. 12 after flushing the non-filtration side 2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It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flushing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240 for a predetermined second predetermined time.
  • the controller 240 may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30 after a predetermined second predetermined time after closing the inlet valve 50.
  • the second sett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time as long as the reverse osmosis filter 210 can be sufficiently flushed.
  • FIG. 1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4 to 1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200 and the flushing unit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9 to 12, the flushing tank 331
  • the flushing tank 331 The difference is that it includes more.
  • the flushing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flushing tank 331 as shown in FIG. 13.
  • the flushing tank 331 may be connected to the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As shown in FIG. 15, the flushing tank 331 may store water filtered from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that is, purified water. In addition,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as shown in FIG. 16 may be discharged from the flushing tank 331 to flush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 the water filtered by the pretreatment filter 310 ′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is introduced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310 ′′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and filtered, and not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 Poor water that is, living water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water filtered by the post-treatment filter 310 ′′ may be supplied to the user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350 by flowing the water discharge line.
  • the control unit 340 is first shown in FIG. 15.
  • the water outlet valve 10 can be closed.
  •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and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that is, the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310 ′′, and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of the flushing unit 330 ( 5) can be introduced.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flow through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and be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 the controller 340 may close the water inlet valve 50.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of the flushing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flow passage 5 and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for flushing as shown in FIG.
  •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that is, may be introduced to the non-filtration side 3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 the first set time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a time when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water capable of flushing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may be introduced into and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of the flushing unit 330. Can be.
  • the first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time as long as it is necessary to flush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 the water flowing into the non-filtration side 3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is flushed through the non-filtration side 3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and then, as shown in FIG. 16,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I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 controller 340 may close the water valve 30 after the predetermined second set time after closing the inlet valve 50 to allow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to be flushed for the second set time.
  • the second sett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time as long as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can be sufficiently flushed.
  • an air layer may be always present in the flushing tank 331 of the flushing unit 330 as shown in FIGS. 14 to 16.
  • the flushing tank 33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337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5, the air inside the flushing tank 331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is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by the second check valve 337. have.
  • the pressure of the air layer Filtered water which is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may be discharged from the flushing tank 331.
  •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flushing tank 331 flows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flow passage 5 and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for flushing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verse osmosis filter 310 Can be flushed
  • FIG. 1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8 to 2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purified water for flushing the water purifier 200 and the flushing unit 4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the flow path 5 is connected and the flushing unit 430 further includes a flushing tank 431.
  • the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of the flushing unit 430 is the non-filtering side 4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as shown in FIG. 17. It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passage 2 connected to the filtration side 416 of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and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connected to each.
  •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heck valve 435 or a flushing valve to allow water to flow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raw water flow passage 1 may be connected to a flushing passage 4 provided with a flushing valve 40.
  •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may be provided with a living water valve 30.
  • the flushing unit 430 may include a flushing tank 431 connected to the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 the flushing tank 43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heck valve 437 to preven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filtered water is stored so that the air layer is always present.
  •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for example, raw water
  • the pretreatment filter 410 is supplied to the pretreatment filter 410 'through the inlet line as shown in FIG. It can be introduced and filtered first.
  • Water filtered by the pretreatment filter 410 ′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through the raw water flow path 1.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is introduced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410 ′′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and filtered, and not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 Poor water that is, living water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ving water flow passage (3).
  • the water filtered by the post-treatment filter 410 ′′ may be supplied to the user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450 by flowing the water outlet line.
  • the controller 440 After the filtered water, that is,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by the filter unit 410, 410 ′, and 410 ′′ by a predetermined amount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charge unit 450, the controller 440 is first shown in FIG. 19.
  • the water outlet valve 10 can be closed.
  •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and flow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flow passage 2, that is, the purified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aftertreatment filter 410 ′′, and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of the flushing unit 430 ( 5) can be introduced.
  • the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may flow through the flushing purified water supply passage 5 and be stored in the flushing tank 431.
  • the controller 440 may close the water inlet valve 50 and open the flushing valve 40 of the flushing flow path 4.
  • the water filtered in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stored in the flushing tank 431 of the flushing unit 430, the flushing water supply passage 5 and the living water passage 3 for flushing as shown in FIG.
  •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that is, may be introduced to the non-filtration side 4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 the first set time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a time when a sufficient amount of filtered water capable of flushing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may be introduced into and stored in the flushing tank 431 of the flushing unit 430. Can be.
  • the first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time as long as it is necessary to flush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 the water flowing into the non-filtration side 4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is flushed with the non-filtration side 415 of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and as shown in FIG. 20, the raw water flow path 1 as the flushing water. And it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ushing passage (4).
  • control unit 440 opens the flushing valve 40 while closing the inlet valve 50, and then closes the flushing valve 40 after a predetermined second predetermined time to reverse osmosis filter 410 fo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May be flushed.
  • the second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time as long as the reverse osmosis filter 410 can be sufficiently flush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may also be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to 20.
  • the flow rate sensor may be provided in the purified water flow path 2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measured by the flow sensor
  • the discharge of domestic water can be blocked or unblock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ccumulated flow rate at the time of extracting the purified water once with the preset flow valu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 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수를 추출하는 단계, 단위시간당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싱한 물을 상기 필터부의 생활용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따라 상기 정수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서, 정수기에서는 물을 여과하거나,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등으로 만들거나,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하여 탄산수로 만드는 등의 처리를 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여기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경우에,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정수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수기는 정수필터로서 역삼투막이 구비된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에 의해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획되며, 역삼투압 필터의 비여과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역삼투막을 통과한 물은 여과되고,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한 물은 생활용수로 배수된다.
한편,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물이 여과되지 않는 동안에는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의 물이 삼투압에 의해서 비여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과 비여과측의 물의 TDS 농도가 서로 유사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역삼투압 필터를 통한 물의 여과가 재개되면, 초기에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에 존재하던 TDS 농도가 높은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데 이를 Creep 현상이라 한다.
최근, 역삼투압 필터의 수명 및 Creep 현상의 개선을 위해 정수 추출 후 자동 플러싱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 플러싱을 수행하는 정수기의 경우 정수의 추출량에 따라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는 정수기에서 Creep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자동 플러싱을 수행하는 정수기가 요구되며, 더 나아가 자동 플러싱을 수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 회수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 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수를 추출하는 단계, 단위시간당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싱한 물을 상기 필터부의 생활용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따라 상기 정수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정수를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정수의 생성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를 생활용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도록 상기 정수 배출구 및 상기 원수 유입구와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정수 추출 입력에 따라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고,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플러싱부로 상기 정수를 제공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시키며,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역삼투압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을 이용하여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함으로써 Creep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정수 추출 유량에 따라서 생활용수 배출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함으로써 정수 추출량이 낮은 경우 회수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러싱 탱크에 정수를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러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회수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링부를 플러싱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필터부(110), 유량센서(120), 플러싱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 내에는 원수를 유입하기 위한 원수유로(1),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정수유로(2), 생활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생활용수유로(3), 플러싱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플러싱 유로(4) 및 플러싱을 위한 정수를 필터부(110)로 공급하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가 구비되며, 각 유로 상의 일 지점에는 밸브(10, 30, 40, 50) 또는 체크 밸브(135)가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원수유로(1)상의 일 지점, 예를 들어 입수밸브(50)와 제2 유로전환밸브(133) 사이에 입수 펌프(21)가 추가로 구비되어 필터부(110)로의 원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원수유로(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10)는 원수유로(1)와 연결되는 원수 유입구(111), 정수를 배출하기 위해 정수유로(2)와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112) 및 정수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생활용수를 배출하기 위해 생활용수유로(3)와 연결되는 생활용수 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10)는 역삼투압 필터일 수 있다.
유량센서(120)는 정수유로(2)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110)의 정수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센서(120)는 정수유로(2)를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유량값을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플러싱부(130)는 필터부(110)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수를 원수 유입구(111)를 통해 필터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싱부(130)는 필터부(110)의 정수 배출구(112)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저장하고, 상기 정수를 필터부(110)의 원수 유입구(111)로 제공하기 위한 플러싱 탱크(131), 제1 유로전환밸브(132), 제2 유로전환밸브(133) 및 제3 유로전환밸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부(130)는 제2 유로전환밸브(133) 및 제3 유로전환밸브(134) 사이를 연결하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상에 설치되어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체크밸브(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상의 일 지점에 플러싱 펌프(22)가 추가로 구비되어 플러싱 동작 수행시에 정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러싱부(130)는 필터부(110)를 플러싱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4 유로전환밸브(136), 플러싱 유로(4) 및 플러싱 밸브(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유로(3)에는 생활용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생활용수밸브(20)와 생활용수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생활용수밸브(3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러싱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며, 플러싱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정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수 추출 입력이 제공되면, 필터부(110)에 원수를 유입시켜 정수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를 추출구를 통해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부(110)의 수명 및 RO Creep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필터부(110)를 플러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의 1회 추출시의 추출량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플러싱을 진행하게 되면, 회수율이 낮아져 버려지는 물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1회 정수 추출시에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정수의 유량은 정수추출을 개시한 후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의 누적유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유량은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시켜도 필터부(110)에 의해 생성되는 정수의 TDS값의 변화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유량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유량은 사전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유량은 필터부의 용량에 비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는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유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단위시간당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값(예를 들어, 0.5 리터) 이상인 경우, 제4 유로전환밸브 (136) 및 제2 생활용수밸브(30)를 제어하여 필터부(110)에서 생성된 생활용수를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유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단위시간당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값(예를 들어, 0.5 리터) 미만인 경우, 제4 유로전환밸브(136) 및 제2 생활용수 밸브(30)를 제어하여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생활용수밸브(30)는 제2 생활용수밸브(30)의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를 기본 설정(default)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생활용수밸브(30)는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정수 추출입력이 입력에 따라 정수를 생성하고 추출하되, 상기 추출되는 정수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이 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2 생활용수밸브(30)를 제어하여 생활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플러싱 탱크에 정수를 저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제1 유로전환밸브(132)를 제어하여 필터부(110)의 정수 추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플러싱 탱크(131)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플러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플러싱 탱크(131)에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의 정수가 플러싱 탱크(131)에 저장되면, 입수밸브(50)를 제어하여 필터부(110)로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고, 제2 유로전환밸브(133) 및 제3 유로전환밸브(134)를 제어하여 플러싱 탱크(131)에 저장된 정수를 필터부(110)의 원수 유입구(11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필터부(110)로 유입된 정수를 플러싱 유로(4)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4 유로전환밸브(136) 및 플러싱 밸브(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회수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낮은 추출량 구간에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따라 생활용수를 차단시키는 본원발명(a)은, 누적유량에 상관없이 생활용수를 차단하지 않는 종래의 경우(b)에 비해 회수율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수행되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는 상술한 제1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필터링부를 플러싱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수 추출 입력에 따라 제어부(140)가 필터부(110)로 원수를 유입시켜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정수는 정수유로(2)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S200).
다음으로, 유량센서(120)가 정수유로(2)를 통해 단위시간당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가 유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단위시간당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S400), 제2 생활용수밸브(30) 및 제4 유로전환밸브(136)를 제어하여,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S500). 반면, 유량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단위시간당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인 경우(S400), 제2 생활용수밸브(30)및 제4 유로전환밸브(136)를 제어하여 생활용수 배출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S550).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생활용수밸브(30)가 닫혀있는 상태가 기본 설정(default)인 경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경우(S500)에는 제2 생활용수밸브(30)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 즉 닫혀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생활용수 배출 차단을 해제하는 경우(S550)에는 제2 생활용수밸브(30)를 열어서 생활용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가 필터부(110)에서 생성된 정수를 이용하여 필터부(110)를 플러싱할 수 있다(S600).
일 실시예에서, 플러싱 단계(S600)는, 도 8에서와 같이, 필터부(110)에서 생성된 정수를 플러싱 탱크(131)에 저장하는 단계(S610) 및 플러싱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필터부(110)의 원수 유입구(111)로 공급하는 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가 제4 유로전환밸브(136)를 제어하여, 플러싱한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킬 수 있다(S700).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는 필터부(210, 210', 210''), 플러싱부(230), 제어부(240) 및 배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10, 210', 210'')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터부(210)는 역삼투압 필터(210)일 수 있으며, 역삼투압 필터 (2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전처리 필터(210') 및 후처리 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막(214)에 의해서 비여과측(215)과 여과측(216)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역삼투막(214)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역삼투압 필터(2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가 비여과측(215)과 여과측(216)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삼투막(214)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가 비여과측(215)과 여과측(216)으로 구획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는 원수유로(1)와 생활용수유로(3)가 연결될 수 있다.
원수유로(1)을 통해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유로(3)을 통해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214)을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유로(3)을 통해서,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을 플러싱한 플러싱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원수유로(1)에는 입수밸브(50)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밸브(50)는 제어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에 의해서 입수밸브(50)가 열리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원수유로(1)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입수밸브(50)가 전처리 필터(21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입수밸브(50)의 위치가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수밸브(50)는 전처리 필터(210')의 전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생활용수유로(3)에는 생활용수밸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30)에 의해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플러싱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하나의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서 생활용수와 플러싱수가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생활용수 및 플러싱수가 각각 별도의 유로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생활용수유로 및 플러싱유로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유로에 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6)에는 정수유로(2)가 연결될 수 있다. 정수유로(2)을 통해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214)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210, 210', 210'')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여과를 위해서, 전술한 역삼투압 필터(210) 이외에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10')와 후처리 필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210, 210', 210'')에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여과를 위해서 역삼투압 필터(210) 이외에 추가로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도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라인에 의해서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필터(210')는 원수유로(1)에 의해서 전술한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40)에 의해서 원수유로(1)의 입수밸브(50)가 열리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라인을 통해 먼저 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 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후처리 필터(210'')는 정수유로(2)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필터(210'')는 출수라인에 의해서 배출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라인에는 제어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출수밸브(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어부(240)에 의해서 출수밸브(10)가 열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정수유로(2)을 통해 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출수라인을 유동하여 배출부(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2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라인에 의해서 필터부(210, 210', 210''), 예컨대 후처리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에 의해서 출수라인의 출수밸브(10)가 열리면, 전술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배출부(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250)는, 출수라인에 연결되며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예컨대 콕크나 파우셋(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25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플러싱부(230)는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싱부(2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 연결되는 원수유로(1)와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6)에 연결되는 정수유로(2)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는 원수유로(1)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2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때,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원수유로(1)를 통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로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하는 경우에만,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정수유로(2)를 통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를 유동한 물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되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후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는 전술한 제1 체크밸브(235)가 아닌 플러싱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러싱 밸브는 제어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때,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의 플러싱 밸브는 제어부(240)에 의해서 닫힐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하는 경우에만,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의 플러싱밸브가 제어부(240)에 의해서 열릴 수 있다.
제어부(240)는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230)로 유동하고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을 플러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도 TDS 농도가 낮은, 예컨대 여과측(216)의 TDS 농도와 유사한 물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를 포함하는 필터부(210, 210', 210'')에서 물의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삼투압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6)의 물이 비여과측(215)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6)에 존재하는 물의 TDS 농도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삼투압 필터(210)를 포함하는 필터부(210, 210', 210'')에서 물의 여과가 재개될 때, 여과초기에도 TDS 농도가 낮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는 경우 여과초기에 TDS 농도가 높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필터부(210, 210', 21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술한 입수밸브(50)와, 여과된 물이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전술한 출수밸브(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입수밸브(50)와 출수밸브(10)를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개폐하여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230), 예컨대 플러싱부(230)의 전술한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240)는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배출부(250)를 통해 배출된 후 출수밸브(10)를 닫고 소정의 제1 설정시간 후에 입수밸브(50)를 닫을 수 있다.
제어부(240)에 의해서 입수밸브(50)와 출수밸브(10)가 열리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라인을 통해 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유로(2)를 통해 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며,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유로(3)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필터(210'')에 유입된 물은 후처리 필터(210'')에서 여과되어 출수라인을 유동하고 배출부(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250)를 통해, 필터부(210, 210', 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양만큼 배출된 후, 제어부(240)는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밸브(1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어 정수유로(2)를 유동하는 물, 즉 정수는 후처리 필터(210'')에 유입되지 못하고, 플러싱부(2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될 수 있다.
출수밸브(10)를 닫고 소정의 제1 설정시간 후에, 제어부(240)는 입수밸브(5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플러싱부(2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된,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와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설정시간은, 예컨대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2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에 유입된 물은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5)을 플러싱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수로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압 필터(210)의 플러싱은 제어부(240)에 의해서 소정의 제2 설정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40)는 입수밸브(50)를 닫은 후 소정의 제2 설정시간 후에 생활용수밸브(30)를 닫을 수 있다.
제2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210)를 충분히 플러싱할 수 있는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6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와, 플러싱부(330)가 플러싱 탱크(331)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300)에서, 플러싱부(3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 탱크(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러싱 탱크(331)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싱 탱크(331)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 탱크(331)에 저장된, 여과된 물은 플러싱 탱크(331)로부터 배출되어 역삼투압 필터(310)를 플러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340)에 의해서 입수밸브(50)와 출수밸브(10)가 열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입수라인을 통해 전처리 필터(310')에 유입되어 먼저 여과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원수유로(1)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3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유로(2)을 통해 후처리 필터(310'')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을 유동하여 배출부(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필터부(310, 310', 3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배출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양만큼 배출된 후, 제어부(340)는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밸브(1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되어 정수유로(2)를 유동하는 물, 즉 정수는 후처리 필터(310'')에 유입되지 못하고, 플러싱부(3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된,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을 유동하여 플러싱탱크(331)에 저장될 수 있다.
출수밸브(10)를 닫고 소정의 제1 설정시간 후에, 제어부(340)는 입수밸브(5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싱부(330)의 플러싱 탱크(331)에 저장된,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과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310), 즉 역삼투압 필터(310)의 비여과측(315)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설정시간은, 예컨대 역삼투압 필터(310)를 플러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330)의 플러싱 탱크(33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310)를 플러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역삼투압 필터(310)의 비여과측(315)에 유입된 물은 역삼투압 필터(310)의 비여과측(315)을 플러싱한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유로(3)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예컨대 입수밸브(50)를 닫은 후 소정의 제2 설정시간 후에 생활용수밸브(30)를 닫아서 제2 설정시간 동안 역삼투압 필터(310)가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310)를 충분히 플러싱할 수 있는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플러싱부(330)의 플러싱 탱크(331)에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플러싱 탱크(331)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크밸브(3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크밸브(337)에 의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의 플러싱 탱크(331)에의 저장시 플러싱 탱크(33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 탱크(331)에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싱 탱크(331)가 비워져 있기 때문에, 플러싱 탱크(331)에 공기층이 존재한다. 즉, 이 경우에는 플러싱 탱크(331)가 전체가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 탱크(331)에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플러싱 탱크(331)의 공기는 제2 체크밸브(337)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플러싱 탱크(331) 내부에서 압축된다.
이에 의해서, 이 경우에도 플러싱 탱크(331)에 공기층이 존재하게 된다.
플러싱 탱크(331)의 공기층이 더 이상 압축되지 못할 때까지 또는 공기층이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될 때까지 역삼투압 필터(3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 탱크(331)에 저장되면, 공기층의 압력에 의해서 플러싱 탱크(331)에 저장된, 여과된 물은 플러싱 탱크(33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싱 탱크(331)에 저장된, 여과된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와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310)에 유입되어 역삼투압 필터(310)를 플러싱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200)와, 플러싱부(4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의 연결관계와, 플러싱부(430)가 플러싱 탱크(431)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400)에서, 플러싱부(4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410)의 비여과측(415)에 연결되는 생활용수유로(3)와 역삼투압 필터(410)의 여과측(416)에 연결되는 정수유로(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는 생활용수유로(3)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제1 체크밸브(435) 또는 플러싱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유로(1)에는 플러싱밸브(40)가 구비되는 플러싱유로(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유로(3)에는 생활용수밸브(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싱부(430)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연결되는 플러싱 탱크(4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 탱크(431)에는 공기층이 항상 존재하도록, 여과된 물의 저장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2 체크밸브(43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440)에 의해서 입수밸브(50)와 출수밸브(10)가 열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입수라인을 통해 전처리 필터(410')에 유입되어 먼저 여과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410')에서 여과된 물은 원수유로(1)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4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410)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유로(2)를 통해 후처리 필터(410'')에 유입되어 여과되고, 역삼투압 필터(410)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필터(410'')에서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을 유동하여 배출부(4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필터부(410, 410', 4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배출부(45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양만큼 배출된 후, 제어부(440)는 먼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밸브(10)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410)에서 여과되어 정수유로(2)을 유동하는 물, 즉 정수는 후처리 필터(410'')에 유입되지 못하고, 플러싱부(430)의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에 유입된, 역삼투압 필터(410)에서 여과된 물은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을 유동하여 플러싱 탱크(431)에 저장될 수 있다.
출수밸브(10)를 닫고 소정의 제1 설정시간 후에, 제어부(440)는 입수밸브(50)를 닫고 플러싱유로(4)의 플러싱밸브(40)를 열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싱부(430)의 플러싱 탱크(431)에 저장된, 역삼투압 필터(410)에서 여과된 물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5)과 생활용수유로(3)를 통해 역삼투압 필터(410), 즉 역삼투압 필터(410)의 비여과측(415)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설정시간은, 예컨대 역삼투압 필터(410)를 플러싱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430)의 플러싱 탱크(431)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410)를 플러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역삼투압 필터(410)의 비여과측(415)에 유입된 물은 역삼투압 필터(410)의 비여과측(415)을 플러싱한 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수로 원수유로(1)와 플러싱유로(4)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예컨대 입수밸브(50)를 닫으면서 플러싱밸브(40)를 연 후 소정의 제2 설정시간 후에 플러싱밸브(40)를 닫아서 제2 설정시간 동안 역삼투압 필터(410)가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410)를 충분히 플러싱할 수 있는 시간이라면 어떠한 시간이라도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도 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 내지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유로(2)에 유량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 유량을 기 설정된 유량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27)

  1.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 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정수를 추출하는 단계;
    단위시간당 추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러싱한 물을 상기 필터부의 생활용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따라 상기 정수 생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생성 단계는,
    상기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생성 단계는,
    상기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의 차단을 해제하여 상기 생활용수를 배출시키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유량은,
    상기 필터부의 용량에 비례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단계는,
    상기 필터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정수를 상기 필터부의 원수 유입구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제어 방법.
  6. 원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상기 정수를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정수의 생성과정에서 생성되는 생활용수를 생활용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부;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기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도록 상기 정수 배출구 및 상기 원수 유입구와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정수 추출 입력에 따라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추출하고,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플러싱부로 상기 정수를 제공하여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시키며,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는 정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의 차단을 해제하여 상기 생활용수를 배출시키는 정수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유량은,
    상기 필터부의 용량에 비례하는 정수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제공되는 정수를 저장하는 플러싱 탱크;
    정수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상기 플러싱 탱크로 제공하기 위해 유로를 전환하는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플러싱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필터부로 제공하기 위해서 유로를 전환하는 제2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를 플러싱하는 경우,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원수 차단 밸브; 및
    상기 정수 추출 입력에 따라 상기 정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생활용수 차단 밸브;
    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며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플러싱부로 유동하고 상기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입수밸브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출수밸브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수밸브와 출수밸브를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개폐하여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플러싱부로 유동하도록 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출수밸브를 닫고 소정의 제1설정시간 후에 상기 입수밸브를 닫는 정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수밸브를 닫은 후 소정의 제2설정시간 동안 상기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하는 정수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에 의해서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획되고,
    상기 비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유로와 상기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배수되는 생활용수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막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정수유로가 연결되는 정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의 양단은 상기 원수유로 및 상기 정수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에는 상기 원수유로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또는 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용수유로에는 생활용수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의 양단은 상기 생활용수유로 및 상기 정수유로에 각각 연결되는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에는 상기 생활용수유로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 또는 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로에는 플러싱밸브가 구비되는 플러싱유로가 연결되는 정수기.
  24. 제18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는 상기 플러싱용 정수 공급유로에 연결되며 여과된 물이 저장되고 배출되는 플러싱 탱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탱크에는 공기층이 항상 존재하는 정수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탱크에는 여과된 물의 저장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로에는 단위시간당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기초로 산출한 1회 정수 추출시의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미만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상기 생활용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누적유량이 기 설정된 유량 이상인 경우, 상기 생활용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생활용수의 차단을 해제하는 정수기.
PCT/KR2017/002437 2016-03-11 2017-03-07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WO20171552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84,116 US11285441B2 (en) 2016-03-11 2017-03-07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EP17763535.6A EP3427807B1 (en) 2016-03-11 2017-03-07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US17/532,591 US11794146B2 (en) 2016-03-11 2021-11-22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359 2016-03-11
KR1020160029359A KR102622548B1 (ko) 2016-03-11 2016-03-11 수처리장치
KR1020160128241A KR20180037718A (ko) 2016-10-05 2016-10-05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016-0128241 2016-10-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084,116 A-371-Of-International US11285441B2 (en) 2016-03-11 2017-03-07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US17/532,591 Division US11794146B2 (en) 2016-03-11 2021-11-22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274A1 true WO2017155274A1 (ko) 2017-09-14

Family

ID=5978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437 WO2017155274A1 (ko) 2016-03-11 2017-03-07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85441B2 (ko)
EP (1) EP3427807B1 (ko)
CN (1) CN107176651B (ko)
WO (1) WO20171552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910A (zh) * 2017-12-22 2018-06-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9112179A1 (ko) * 2017-12-07 2019-06-13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40493A (ko) * 2018-10-10 2020-04-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8642A1 (en) 2017-10-17 2019-04-25 Mar Cor Purification, Inc. Universal heating power management system
CA3078884A1 (en) 2017-10-17 2019-04-25 Mar Cor Purification, Inc. Reverse osmosis water system with heat forward function
CA3078639A1 (en) 2017-10-17 2019-04-25 Mar Cor Purification, Inc. Portable multimod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2417427B1 (ko) * 2018-06-15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KR102247220B1 (ko) * 2018-07-11 2021-05-03 코웨이 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KR20200046342A (ko) * 2018-10-24 2020-05-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JP7388347B2 (ja) * 2018-12-26 2023-11-29 東レ株式会社 ろ過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210051018A (ko) * 2019-10-29 2021-05-1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11547782B (zh) * 2020-04-09 2022-05-31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滤芯堵塞判断方法及净饮设备
CN113926230A (zh) * 2021-10-29 2022-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冲洗控制方法及控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687A (ko) * 2000-04-25 2001-11-08 이태희 정수기용 유량제어 시스템
KR20060005612A (ko) * 2004-07-13 2006-01-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초기 배수 바이패스 시스템
WO2008105580A1 (en) * 2007-02-26 2008-09-04 Eung-Woo Kim Portable water purifier having reverse washing function
KR20090095052A (ko) * 2008-03-04 2009-09-09 정석동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81629A (ko) *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265A (en) * 1991-07-10 1992-06-16 Hoh Water Technology Corp. Compact reverse osmosis system with cold water flush
JPH10309578A (ja) 1997-05-08 1998-11-24 Water Dock:Kk 逆浸透膜浄水装置
JP4363703B2 (ja) * 1998-10-20 2009-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造水方法
KR100480984B1 (ko) 2002-10-08 2005-04-07 주식회사 새 한 직수형 역삼투 정수기
WO2014021541A1 (ko) 2012-08-03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여과수 압력제어형 막여과장치 및 그의 막세척방법
KR101837620B1 (ko) 2014-02-24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WO2015126107A1 (ko) 2014-02-24 2015-08-2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687A (ko) * 2000-04-25 2001-11-08 이태희 정수기용 유량제어 시스템
KR20060005612A (ko) * 2004-07-13 2006-01-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초기 배수 바이패스 시스템
WO2008105580A1 (en) * 2007-02-26 2008-09-04 Eung-Woo Kim Portable water purifier having reverse washing function
KR20090095052A (ko) * 2008-03-04 2009-09-09 정석동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81629A (ko) *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179A1 (ko) * 2017-12-07 2019-06-13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67569A (ko) * 2017-12-07 2019-06-17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1801B1 (ko) 2017-12-07 2020-06-11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128910A (zh) * 2017-12-22 2018-06-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128910B (zh) * 2017-12-22 2024-0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040493A (ko) * 2018-10-10 2020-04-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2626646B1 (ko) 2018-10-10 2024-01-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7807B1 (en) 2023-08-23
US20190083934A1 (en) 2019-03-21
CN107176651A (zh) 2017-09-19
EP3427807A1 (en) 2019-01-16
US20220080356A1 (en) 2022-03-17
CN107176651B (zh) 2022-05-10
US11285441B2 (en) 2022-03-29
EP3427807A4 (en) 2019-04-03
US11794146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5274A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WO2016080697A1 (ko) 물저장탱크용 블래더와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및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WO2017164498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WO2015053511A1 (ko)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WO2018143553A1 (ko)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WO2018093064A1 (ko) 선박용 연료유 전환 시스템 및 방법
WO2020175743A1 (ko) 여과기와 커넥팅 구조를 이루는 연속식 열수가압 활성탄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활성탄 재생 방법
WO2017047964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35747A2 (ko)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WO2015174625A1 (ko) 압축공기용 정화장치
WO2016086679A1 (zh) 水净化装置及利用该水净化装置过滤水的方法
WO2012165806A2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WO2017159960A1 (ko) 엑스선관모듈의 절연유 교체장치와 절연유 교체방법
WO2014084443A1 (ko) 우수 초기배제, 저장, 인공함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초기배제, 저장, 인공함양 방법
WO2019194327A1 (ko) 웨이퍼 수납용기
WO2020105921A1 (ko) 이온 제거키트
WO2015012548A1 (ko)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5126066A1 (ko) 침지식 연속유동 막여과장치 및 그의 역세척방법
WO2016086681A1 (zh) 水净化装置及利用该水净化装置过滤水的方法
WO2015149643A1 (zh) 海水淡化装置及海水淡化方法和药水清洗方法
WO2017010723A2 (ko) 수처리장치
WO2017039347A1 (ko)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21210781A1 (ko) 정수기,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26107A1 (ko) 수처리장치
WO2023121009A1 (ko) 필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35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635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011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635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