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49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0493A
KR20200040493A KR1020180120468A KR20180120468A KR20200040493A KR 20200040493 A KR20200040493 A KR 20200040493A KR 1020180120468 A KR1020180120468 A KR 1020180120468A KR 20180120468 A KR20180120468 A KR 20180120468A KR 20200040493 A KR20200040493 A KR 20200040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
opening
flow path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646B1 (ko
Inventor
문형민
김철호
문현석
모병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64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라인과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정수가 소정 시간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상기 배출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외부나 상기 배수라인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하며 단부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라인과 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부재는 소정의 기준전환거리 이상 이동하여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정수기에는 각종 밸브들이 구비되어 물의 유동을 제어하며, 정수기에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어 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유로전환을 위해서 정수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는 밸브바디와, 밸브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하며 단부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구성의 유로전환밸브에서는 유로전환을 위해서 개폐부재가 이동하는 거리가 비교적 짧았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가 이동하더라도, 유로전환밸브의 밸브바디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유동라인에 걸리는 압력이나 유동라인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서 패킹부재가 변형되는 것 등에 의해서, 유로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적 높은 온도의 물이 유로전환밸브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가 이동하더라도, 패킹부재가 열변형되는 것에 의해서, 유로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유로전환밸브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유로전환밸브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유로전환밸브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라인에 걸리는 압력이나 물의 온도 등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밸브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라인과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정수가 소정 시간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상기 배출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외부나 상기 배수라인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하며 단부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라인과 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부재는 소정의 기준전환거리 이상 이동하여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전환거리는 0.7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정수라인 측의 상기 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외부 측의 상기 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되는 출수구 및, 상기 배수라인에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출수개폐구멍과, 상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개폐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수개폐구멍과 배수개폐구멍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닫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열거나,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열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수개폐구멍이나 배수개폐구멍과 상기 기준전환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닫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여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열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닫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라인에는 정수공급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공급밸브 전의 상기 정수라인의 부분과 상기 배출라인에는 온정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온정수라인에는 온정수공급밸브와, 정수를 가열하여 온정수로 만드는 온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기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온정수는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되고, 상기 온수기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정수는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온정수의 온도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패킹부재는 내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소재는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공급밸브 전의 상기 정수라인의 부분과 상기 배출라인에는 냉정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냉정수라인에는 냉정수공급밸브와, 정수를 냉각하여 냉정수로 만드는 냉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필터 전에서 상기 역삼투압필터에 소정의 여과압력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전환밸브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라인에 걸리는 압력이나 물의 온도 등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밸브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전환밸브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는 여과부(200)와,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물을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막(MB)이 구비되어 역삼투압필터(210)를 비여과측(211)와 여과측(21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과 여과측(212)에는 각각 연결라인(LN)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는 생활용수라인(LL)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는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라인(LN)을 통해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 중 일부는 역삼투막(MB)을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나머지 물은 역삼투막(MB)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역삼투막(MB)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여과측(212)으로 유동한 후 여과측(212)에 연결된 연결라인(LN)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역삼투막(MB)을 통과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는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생활용수라인(LL)을 유동하여 배수될 수 있다. 예컨대,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이 연결되는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역삼투압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된 연결라인(LN)에는 감압밸브(VN)와 체크밸브(VK)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은 감압밸브(VN)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될 수 있으며,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은 체크밸브(VK)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로 되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생활용수라인(LL)에는 생활용수밸브(VL)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VL)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소정의 여과압력이 형성되면서 생활용수가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생활용수라인(LL), 예컨대 생활용수밸브(VL) 전의 생활용수라인(LL)의 부분에는 플러싱라인(LF)이 연결될 수 있다. 플러싱라인(LF)에는 플러싱밸브(VF)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러싱밸브(VF)가 열리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이 역삼투막(MB)을 플러싱하고 역삼투막(MB)에 부착되었던 이물질과 함께 플러싱라인(LF)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예컨대, 역삼투막(MB)을 플러싱 하여 역삼투막(MB)에 부착되었던 이물질을 포함한 물은 플러싱라인(LF)이 연결되는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배출라인(LE)과 배출부재(310)를 통해 온정수가 외부로 배출될 때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배수라인(LD)을 통해 온정수가 외부로 배수될 때에도, 플러싱밸브(VF)가 열릴 수 있다. 온정수는 정수나 후술할 냉정수보다 적은 유량으로 배출 또는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부(300)의 배출라인(LE)과 배출부재(310)를 통해 정수나 냉정수가 배출될 때나, 배출부(300)의 배수라인(LD)을 통해 정수가 배수될 때보다, 온정수가 배출 또는 배수될 때,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펌프(PP)에 부하가 더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온정수가 배출부(300)의 배출라인(LE)과 배출부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나 온정수가 배출부(300)의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될 때, 플러싱밸브(VF)가 열리면, 생활용수라인(LL) 뿐만 아니라 플러싱라인(LF)을 통해서도 생활용수가 배출되어, 펌프(PP)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플러싱라인(LF), 예컨대 플러싱밸브(VF) 후의 플러싱라인(LF)의 부분에는 저항밸브(VR)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온정수가 배출 또는 배수될 때, 펌프(PP)에 걸리는 부하의 감소를 위해서, 플러싱라인(LF)을 통해서도 생활용수가 배출되는 경우, 플러싱라인(LF)을 통해 과도하게 생활용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펌프(P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PP)는 역삼투압필터(210) 전에 구비될 수 있다. 펌프(PP)는, 예컨대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연결라인(LN)에 구비될 수 있다. 펌프(PP)는 물이 역삼투압필터(210)에 소정의 여과압력 이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펌프(PP)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삼투압필터(210)의 역삼투막(MB)의 플러싱시에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210)의 역삼투막(MB)은 물공급원의 물공급압력에 의해서 플러싱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전처리필터(220)와 후처리필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필터(2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에 공급라인(LS)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필터(220)는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연결라인(LN)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은 전처리필터(220)에서 먼저 여과된 후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필터(230)는 역삼투압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된 연결라인(LN)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필터(230)는 정수라인(LP)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은 후처리필터(230)에서 여과된 후 정수라인(LP)을 유동할 수 있다.
여과부(200)에 역삼투압필터(210) 이외에 포함되는 정수필터와, 정수필터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정수필터라면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며,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여과부(200)에는 역삼투압필터(210)만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220)와 역삼투압필터(21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N), 예컨대 펌프(PP) 전의 연결라인(LN)의 부분에는 공급밸브(VS)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밸브(VS)가 열리면, 도3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먼저 전처리필터(220)에서 여과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펌프(PP)가 구동되면,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은 역삼투압필터(210)와 후처리필터(230)에서 차례대로 여과된 후 정수라인(LP)을 유동할 수 있다. 펌프(PP)가 구동되지 않으면, 전술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은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역삼투막(MB)을 플러싱한 후, 생활용수라인(LL)의 일부와 플러싱라인(LF)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밸브(VS) 후의 연결라인(LN)의 부분에는 공급밸브(VS)와 인접하게 차단밸브(VT)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밸브(VT)는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열려 있다가 동작시에는 열리는 노말오픈(Normal Open)밸브일 수 있다. 예컨대, 차단밸브(VT)는 전기가 인가되지 않으면 열려 있다가 전기가 인가되면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가 인가되지 않아서 동작하지 않는 평상시에, 차단밸브(VT)는 열려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정전 등의 사고시나 펌프(PP) 등의 고장시에 차단밸브(VT)에는 비상전원(도시되지 않음) 등에서 전기가 인가되어, 차단밸브(VT)가 동작함으로써 차단밸브(VT)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시나 고장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0)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밸브(VT)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정수라인(LP)에는 정수공급밸브(VP)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공급밸브(VP)가 열리면,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배출부(300), 예컨대 배출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배출라인(LE)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정수라인(LP)에는 유량센서(SF)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0)에서 여과되어 정수라인(LP)을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유량센서(SF)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후처리필터(230)와, 정수공급밸브(VP) 전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 구비되는 후술할 분기유닛(UB) 사이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량센서(SF)가 구비되는 정수라인(LP)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과부(200)에서 여과되어 정수라인(LP)을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정수라인(LP)의 부분이라면 정수라인(LP)의 어떠한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정수공급밸브(VP) 전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는 온정수라인(LH)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공급밸브(VP) 전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는 분기유닛(UB)이 구비되고 분기유닛(UB)에 온정수라인(LH)이 연결될 수 있다.
온정수라인(LH)에는 온정수공급밸브(VH)와, 온수기(240)가 구비될 수 있다. 온정수공급밸브(VH)가 열리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라인(LP)을 통해 온정수라인(LH)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온정수라인(LH)을 유동하는 정수는 온수기(240)에 유입될 수 있다. 온수기(240)에 유입된 정수는 온수기(240)에서 가열되어 온정수가 될 수 있다. 온수기(2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기(240)에 유입된 정수를 가열하여 온정수가 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온정수공급밸브(VH)는, 예컨대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정수공급밸브(VH)는 온수기(240)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온수기(240)에 공급된 정수가 가열되어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온도의 온정수가 될 수 있도록, 온정수공급밸브(VH)는 온수기(240)에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가 외부로 배출 또는 배수되거나 냉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보다, 온정수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수되는 유량이 적어질 수 있다.
온정수라인(LH)은 배출부(300)의 배출라인(L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기(240)에서 만들어진 온정수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E)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정수공급밸브(VP) 전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는 냉정수라인(LC)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공급밸브(VP) 전의 정수라인(LP)의 부분에 구비된 전술한 분기유닛(UB)에 냉정수라인(LC)이 연결될 수 있다.
냉정수라인(LC)에는 냉정수공급밸브(VC)와, 냉수기(250)가 구비될 수 있다. 냉수기(250)에는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기 전의 물이 공급되어 빙축수로 저장되고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냉정수라인(LC)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냉수기(250)를 통과하여, 냉정수라인(LC)을 유동하는 정수가 냉수기(250)의 빙축수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필터(210) 전에서 역삼투압필터(210)에 연결된 연결라인(LN), 예컨대 역삼투압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연결라인(LN)과 냉수기(250)에는 빙축수공급밸브(VI)가 구비된 빙축수공급라인(LI)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빙축수공급밸브(VI)가 열리면,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기 전의 물, 예컨대 전처리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이 빙축수공급라인(LI)을 통해 냉수기(250)에 공급되어, 냉수기(250)에 저장될 수 있다. 빙축수공급밸브(VI) 전의 빙축수공급라인(LI)에는 체크밸브(VK)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빙축수공급라인(LI)을 유동하는 물이 역삼투압필터(210) 전으로, 예컨대 전처리필터(220)로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냉수기(25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라인(LJ)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기(250)에 빙축수로 역삼투압필터(210)에서 여과되기 전의 물이 공급될 때, 냉수기(250)에 포함된 공기가 공기배출라인(LJ)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배출라인(LJ)에는 체크밸브(VK)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기(25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냉수기(250)로 되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빙축수공급밸브(VI)와 냉수기(250) 사이의 빙축수공급라인(LI)의 부분에는 빙축수배수라인(LY)이 연결될 수 있다. 빙축수공급라인(LI)에 연결된 측의 반대측의 빙축수배수라인(LY)은 평상시에는 마개(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그리고, 냉수기(250)의 빙축수를 외부로 배수할 필요가 있을 때, 빙축수배수라인(LY)을 막은 마개를 열면, 냉수기(250)의 빙축수가 빙축수배수라인(LY)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냉수기(250)에는 냉각유닛이 구비되어 냉수기(250)에 저장된 빙축수를 냉각할 수 있다. 냉수기(250)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은,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EV)일 수 있다. 그러나, 냉수기(250)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수기(250)의 빙축수를 냉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열전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열전모듈(도시되지 않음)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냉정수라인(LC)은 배출부(300)의 배출라인(L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기(250)에서 만들어진 냉정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E)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300)는 배출라인(LE)과, 배출라인(LE)에 연결되는 배수라인(LD)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라인(LE)은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동하는 전술한 정수라인(LP)과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라인(LE)은,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부재(310)에 연결되어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LE)은 전술한 온정수라인(LH)이나 냉정수라인(LC)에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오랜 시간 여과부(200)에서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수가 만들어지고 유동하는 역삼투압필터(210) 등의 정수필터나 연결라인(LN) 또는 정수라인(LP) 등이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후에 여과부(200)에서 여과가 이루어져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정수는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과부(200)에서 오랜 시간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정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정수가 만들어지고 유동하는 역삼투압필터(210) 등의 정수필터나 연결라인(LN) 또는 정수라인(LP) 등을 플러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수기(100)를 처음 사용처(도시되지 않음)에 설치하고, 처음 사용하기 전에, 정수가 만들어지고 유동하는 역삼투압필터(210) 등의 정수필터나 연결라인(LN) 또는 정수라인(LP) 등에 있는 공기를 배출해 주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소정 시간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된 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오랜 시간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정수가 소정 시간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된 후 배출라인(L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가 만들어지고 유동하는 역삼투압필터(210) 등의 정수필터나 연결라인(LN) 또는 정수라인(LP) 등을 소정 시간 플러싱한 후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200)에서 오랜 시간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는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0)를 처음 사용처에 설치하고 처음 사용하기 전에, 정수가 소정 시간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된 후 배출라인(LE)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수가 만들어지고 유동하는 역삼투압필터(210) 등의 정수필터나 연결라인(LN) 또는 정수라인(LP) 등에 있는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일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기(240)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배수라인(LD)을 통해 온정수가 배수되도록 하고, 온수기(240)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E)을 통해 외부로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출라인(LE)과 배수라인(LD)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밸브(VG)가 구비되어 외부나 배수라인(LD)으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VG)가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로 유로를 전환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배출부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정수가 배출부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VG)가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로 유로를 전환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정수가 배출부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VG)가 배수라인(LD)으로 유로를 전환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정수가 배수라인(LD)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VG)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BD)와, 개폐부재(OC)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바디(BD)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IN)와, 출수구(ON) 및, 배수구(DN)가 구비될 수 있다. 입수구(IN)는 정수라인(LP) 측의 배출라인(LE)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는 입수구(IN)를 통해 유로전환밸브(VG)의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출수구(ON)는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 측의 배출라인(LE)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VG)가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로 유로를 전환하면, 입수구(IN)를 통해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된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는 출수구(ON)를 통해 배출되어,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 측의 배출라인(LE)의 부분과 배출부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구(DN)는 배수라인(LD)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VG)가 배수라인(LD)으로 유로를 전환하면, 입수구(IN)를 통해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된 정수나 온정수가 배수구(DN)를 통해 배출되어 배수라인(LD)으로 배수될 수 있다.
밸브바디(BD)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개폐구멍(HW)과 배수개폐구멍(HD)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개폐구멍(HW)은 입수구(IN)와 출수구(ON)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수개폐구멍(HD)은 입수구(IN)와 배수구(DN)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개폐부재(OC)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부재(OC)의 단부에 구비되는 후술할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은 열고 배수개폐구멍(HD)은 닫으면, 입수구(IN)를 통해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된 정수나 온정수 또는 냉정수가 출수개폐구멍(HW)을 통해 출수구(ON)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유로가 출수구(ON)가 연결된 외부, 예컨대 배출부재(310)로 전환될 수 있다. 개폐부재(OC)의 이동에 의해서 개폐부재(OC)의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은 닫고 배수개폐구멍(HD)은 열면, 입수구(IN)를 통해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된 정수나 온정수가 배수개폐구멍(HD)을 통해 배수구(DN)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유로가 배수구(DN)가 연결된 배수라인(LD)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밸브바디(BD)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SP)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SP)는 개폐부재(OC)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부재(SP)는,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은 닫고 배수개폐구멍(HD)은 여는 위치로, 개폐부재(OC)가 이동하도록 개폐부재(OC)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바디(BD)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SN)가 구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SN)는 전기가 인가되면 개폐부재(CO)에 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솔레노이드(SN)에 전기가 인가되면, 솔레노이드(SN)는,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은 열고 배수개폐구멍(HD)은 닫는 위치로, 개폐부재(OC)가 탄성부재(SP)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하도록 개폐부재(OC)에 자력을 작용할 수 있다.
개폐부재(OC)는 밸브바디(BD)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OC)의 단부에는 패킹부재(PK)가 구비될 수 있다. 패킹부재(PK)는 출수개폐구멍(HW)과 배수개폐구멍(HD)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OC)의 이동에 의해서, 패킹부재(PK)가 밸브바디(BD)의 출수개폐구멍(HW)은 닫고 배수개폐구멍(HD)은 열거나, 출수개폐구멍(HW)은 열고 배수개폐구멍(HD)은 닫아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재(OC)는 소정의 기준전환거리(DS) 이상 이동하여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라인(LD)과 배출라인(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서 패킹부재(PK)가 변형된다고 하더라도,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과 배수개폐구멍(HD)을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배수라인(LD)과 배출라인(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밸브(VG)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로전환밸브(VG)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전환거리(DS)는 0.7mm 이상일 수 있다. 기준전환거리(DS)가 0.7mm 보다 작으면, 배수라인(LD)과 배출라인(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서 패킹부재(PK)가 변형되어, 출수개폐구멍(HW)과 배수개폐구멍(HD)을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기준전환거리(DS)는 0.7mm 이상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PK)는 출수개폐구멍(HW)이나 배수개폐구멍(HD)과 기준전환거리(DS)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OC)가 기준전환거리(DS) 이상 이동하여 유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패킹부재(PK)는 내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정수가 입수구(IN)를 통해 밸브바디(BD) 내부에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패킹소재(PK)의 열변형이 최소화되어, 패킹부재(PK)가 출수개폐구멍(HW)과 배수개폐구멍(HD)을 동시에 열거나 닫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온정수의 온도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밸브(VG)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로전환밸브(VG)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킹소재(PK)를 이루는 내열소재는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패킹소재(PK)를 이루는 내열소재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정수에서 의해서 패킹부재(PK)가 열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하면, 유로전환밸브에 연결되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라인에 걸리는 압력이나 물의 온도 등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밸브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유로전환밸브에 의한 유로의 전환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200 : 여과부
210 : 역삼투압필터 211 : 비여과측
212 : 여과측 220 : 전처리필터
230 : 후처리필터 240 : 온수기
250 : 냉수기 300 : 배출부
310 : 배출부재 PP : 펌프
LP : 정수라인 LE : 배출라인
LD : 배수라인 LH : 온정수라인
LC : 냉정수라인 LL : 생활용수라인
LF : 플러싱라인 LS : 공급라인
LI : 빙축수공급라인 LJ : 공기배출라인
LY : 빙축수배수라인 LN : 연결라인
VG : 유로전환밸브 VP : 정수공급밸브
VH : 온정수공급밸브 VC : 냉정수공급밸브
VL : 생활용수밸브 VF : 플러싱밸브
VR : 저항밸브 VS : 공급밸브
VT : 차단밸브 VN : 감압밸브
VK : 체크밸브 VI : 빙축수공급밸브
MB : 역삼투막 UB : 분기유닛
SF : 유량센서 BD : 밸브바디
IN : 입수구 ON : 출수구
DN : 배수구 DS : 기준전환거리
HW : 출수개폐구멍 HD : 배수개폐구멍
OC : 개폐부재 PK : 패킹부재
SP : 탄성부재 SN : 솔레노이드
EV : 증발기

Claims (15)

  1. 물을 여과하는 역삼투압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라인과 외부에 연결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정수가 소정 시간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된 후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상기 배출라인과 상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외부나 상기 배수라인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하며 단부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라인과 배출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리는 압력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부재는 소정의 기준전환거리 이상 이동하여 유로를 전환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환거리는 0.7mm 이상인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정수라인 측의 상기 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되는 입수구와, 외부 측의 상기 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되는 출수구 및, 상기 배수라인에 연결되는 배수구가 구비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에는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를 연통시키는 출수개폐구멍과, 상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통시키는 배수개폐구멍이 형성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수개폐구멍과 배수개폐구멍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닫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열거나,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열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닫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출수개폐구멍이나 배수개폐구멍과 상기 기준전환거리 이상 이격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닫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여는 위치로 이동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에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출수개폐구멍은 열고 상기 배수개폐구멍은 닫는 위치로 이동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라인에는 정수공급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밸브 전의 상기 정수라인의 부분과 상기 배출라인에는 온정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온정수라인에는 온정수공급밸브와, 정수를 가열하여 온정수로 만드는 온수기가 구비되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온정수는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배수되고,
    상기 온수기에서 배출되는 온정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온정수는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온정수의 온도에 영향받지 않고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패킹부재는 내열소재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소재는 불소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밸브 전의 상기 정수라인의 부분과 상기 배출라인에는 냉정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냉정수라인에는 냉정수공급밸브와, 정수를 냉각하여 냉정수로 만드는 냉수기가 구비되는 정수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역삼투압필터 전에서 상기 역삼투압필터에 소정의 여과압력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80120468A 2018-10-10 2018-10-10 정수기 KR10262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68A KR102626646B1 (ko) 2018-10-10 2018-10-1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68A KR102626646B1 (ko) 2018-10-10 2018-10-10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493A true KR20200040493A (ko) 2020-04-20
KR102626646B1 KR102626646B1 (ko) 2024-01-19

Family

ID=7046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68A KR102626646B1 (ko) 2018-10-10 2018-10-1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6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67A (ko) * 2002-10-08 2004-04-14 주식회사 새 한 직수형 역삼투 정수기
KR20160116142A (ko) * 2015-03-26 2016-10-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WO2017155274A1 (ko) * 2016-03-11 2017-09-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2017012558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58602A (ko) * 2016-11-24 2018-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967A (ko) * 2002-10-08 2004-04-14 주식회사 새 한 직수형 역삼투 정수기
KR20160116142A (ko) * 2015-03-26 2016-10-0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WO2017155274A1 (ko) * 2016-03-11 2017-09-1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2017012558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058602A (ko) * 2016-11-24 2018-06-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646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575A (ko) 역전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KR0161071B1 (ko) 정수기의 선택적 배수전환장치
KR20200106308A (ko) 기능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00040493A (ko) 정수기
KR20220111593A (ko) 정수기
KR20200037663A (ko) 정수기
JP3738289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三方切換弁
KR970017750A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20190109834A (ko) 정수기
CN105585075B (zh) 净水系统及其冲洗方法
KR20070023202A (ko) 차량의 압축공기 전처리 장치
KR20200037664A (ko) 정수기
KR20200046342A (ko) 정수기
KR20200038624A (ko) 정수기
JPH09196231A (ja) 真空弁の制御装置
US20220332605A1 (en) Water purifier
JPH01199688A (ja) 浄水器および浄水器用温水流入防止装置
KR100794727B1 (ko) 스팀공급용 배관구조
KR950033122A (ko) 유체압 피스톤 발동기
CA3149792A1 (en) Air dryer with prefiltration stage bypass
WO2002031365A3 (de) Filtervorrichtung
US20230228473A1 (en) Water purifier
US20230191329A1 (en) Water purifier
KR19980021682U (ko) 정수기의 냉온수탱크 유로개폐장치
KR20220120972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