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834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834A
KR20190109834A KR1020180031376A KR20180031376A KR20190109834A KR 20190109834 A KR20190109834 A KR 20190109834A KR 1020180031376 A KR1020180031376 A KR 1020180031376A KR 20180031376 A KR20180031376 A KR 20180031376A KR 20190109834 A KR20190109834 A KR 2019010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valve
unit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환
강우진
염창섭
박시준
엄주혁
예병효
김진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834A/ko
Publication of KR2019010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정수필터 등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근래에, 이러한 정수기는 전기회로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의해서 원수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나 여과된 물의 사용자에의 공급 등의 정수기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동작되는 정수기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과된 물을 공급받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가 제어부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제2배출라인과, 상기 제2배출라인에 구비되는 제2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라인은 상기 제1배출밸브 전의 상기 제1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밸브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밸브는 일측은 상기 제2배출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개방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배출유로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출라인에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클로즈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라인이 연결되는 곳과 상기 제1배출밸브 사이의 상기 제1배출라인의 부분에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오픈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가 제어부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1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정수기의 제1실시예
이하,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1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1실시예는 여과부(200)와,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에서는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여과부(2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원수공급라인(LSW)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200)는 정수필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된 원수공급원의 원수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필터(210,220,230,240)에 의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240) 중 하나는 원수공급라인(LSW)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24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공급라인(LSW)에 의해서 여과부(200)에 공급된 원수공급원의 원수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240)에 의해서 차례로 여과되어 정수가 될 수 있다.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0,220,230,2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여과부(200)는 하나의 정수필터(210,220,230,24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과부(20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0,220,230,2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210), 메인필터(220), 후처리필터(230) 및, 추가필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필터(210)에는 원수공급라인(LSW)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된 원수는 먼저 전처리필터(210)에 의해서 여과될 수 있다. 전처리필터(210)는, 예컨대 세디먼트필터와 선카본필터가 합쳐진 복합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전처리필터(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먼저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메인필터(22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전처리필터(210)에 연결되어 전처리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메인필터(220)는, 예컨대 역삼투압필터일 수 있다. 메인필터(220)가 역삼투압필터인 경우에, 메인필터(22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필터(220)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는 생활용수라인(LLW)이 연결될수 있다. 생활용수라인(LLW)에는 생활용수밸브(LLV)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LLV)에 의해서, 역삼투압필터인 메인필터(220)에 소정의 여과압력이 형성되고 역삼투압필터인 메인필터(220)에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후처리필터(23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메인필터(220)에 연결되어 메인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후처리필터(230)는, 예컨대 후카본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후처리필터(2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메인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추가필터(24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후처리필터(230)에 연결되어 후처리필터(230)에서 여과된 물을 여과하거나 미네랄을 공급하거나 살균하는 등 추가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추가필터(240)는, 예컨대 미네랄필터나 자외선살균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추가필터(24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처리필터(230)에서 여과된 물을 여과하는 등 추가의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배출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제1배출부(310)와, 제2배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부(310)는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제어부(40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배출부(310)는 제1배출라인(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라인(311)은 여과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출라인(311)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전술한 추가필터(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정수필터(210,220,230,240)에 의해서 여과된 물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311)을 유동할 수 있다.
제1배출부(310)는 제1배출밸브(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밸브(312)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311)에 구비되고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밸브(312)는 제어부(4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제어부(40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배출밸브(31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에 의해서 개폐되는 구성이라면 솔레노이드밸브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어부(400)에 의해서 제1배출밸브(312)가 닫히면, 원수공급원의 원수는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에 의해서 제1배출밸브(312)가 열리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는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어, 여과부(200)의 복수개의 정수필터(210,220,230,240)에 의해서 차례로 여과되면서 정수로 되고 제1배출라인(311)을 유동할 수 있다.
제1배출부(310)는 배출부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재(313)는 제1배출라인(3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부(200)에서 여과되어 제1배출라인(311)을 유동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재(31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배출라인(311)에 연결되어 제1배출라인(311)을 유동하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배출부(32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제어부(400)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정전 등의 비상시 제어부(400)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제2배출부(320)를 통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2배출부(320)는 제2배출라인(321)과, 제2배출밸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출라인(321)은 제1배출라인(3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배출라인(32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밸브(312) 전의 제1배출라인(311)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등의 비상시 제어부(40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311)의 일부와 제2배출라인(321)을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제2배출밸브(322)는 제2배출라인(3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배출밸브(322)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수동으로 제2배출밸브(322)를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어부(400)에 의한 제1배출밸브(312)의 개폐에 의해서 제1배출라인(311)과 제1배출밸브(312) 및 배출부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거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는 수동으로 제2배출밸브(322)를 열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제1배출라인(311)의 일부와 제2배출라인(321)및 제2배출밸브(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2배출밸브(32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정수기의 제2실시예
이하, 도3과 도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1실시예와 제1배출라인(311)이, 여과부(200)에 연결되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500)에 연결되며, 제2배출밸브(322)가 밸브몸체(322a)와 개폐부재(322b) 및 탄성부재(322c)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2실시예서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311)이 저장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여과부(200)에 연결되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여과부(200), 예컨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추가필터(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500)로 유동하여 저장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510)와 냉수탱크(520) 및 온수탱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탱크(510)는 여과부(200), 예컨대 여과부(200)의 추가필터(240)에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라인(LC)을 통해 저장부(500)의 정수탱크(510)로 유동하여 정수탱크(510)에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520)는 정수탱크(5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냉각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냉각유닛에 의해서 냉각함으로써 냉수로 만들 수 있다. 냉수탱크(520)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거나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등 냉수탱크(52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탱크에 연통구멍(HC)이 형성된 분리판(CB)이 구비되어 탱크내부가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정수탱크(510)와 냉수탱크(520)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수탱크(510)와 냉수탱크(520)는 각각 별개의 탱크로 이루어지고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온수탱크(530)는 정수탱크(5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가열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유닛에 의해서 가열함으로써 온수로 만들 수 있다. 온수탱크(530)에 구비되는 가열유닛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등 온수탱크(53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530)는 정수탱크(510)와 별개의 탱크로 이루어져서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정수탱크(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탱크에 연통구멍(HC)이 형성된 분리판(CB)이 구비되어 탱크내부가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정수탱크(510)와 온수탱크(530)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외, 하나의 탱크에 연통구멍(HC)이 형성된 분리판(CB)이 2개 구비되어 탱크내부가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정수탱크(510)와 정수탱크(510)에 각각 연결된 냉수탱크(520) 및 온수탱크(530)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500)가 정수탱크(510)와 냉수탱크(520) 및 온수탱크(53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배출라인(311) 각각이 정수탱크(510)와 냉수탱크(520) 및 온수탱크(5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제1배출라인(311) 각각에는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배출밸브(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배출라인(321)은 정수탱크(51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배출라인(321)은 냉수탱크(52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이나 온수탱크(53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탱크(51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과 냉수탱크(52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은 하나의 배출부재(313)에 연결되고, 온수탱크(53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은 다른 배출부재(31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정수탱크(51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과 냉수탱크(52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 및 온수탱크(530)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311)은 모두 하나의 배출부재(313)에 연결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배출부재(31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2실시예에서 제2배출밸브(322)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322a)와 개폐부재(322b) 및 탄성부재(322c)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몸체(322a)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RD)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RD)의 일측은 제2배출라인(321)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개폐부재(322b)는 배출유로(RD)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유로(RD)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할 수 있다. 탄성부재(322c)는 개폐부재(322b)를 탄성지지하도록 배출유로(RD)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개폐부재(322b)에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2c)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322b)는 배출유로(RD)의 개방된 타측을 닫는 위치로 이동하여 있게 된다.
그리고, 정전 등의 비상시 제어부(4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개폐부재(322b)에 탄성부재(322c)의 탄성력보다 크며 반대방향의 외력을 개폐부재(322b)에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22b)가 배출유로(RD)의 개방된 타측을 여는 위치로 이동하여, 저장부(500)에 저장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예컨대 저장부(500)의 정수탱크(510)에 저장된 정수가 제1배출라인(311)의 일부와 제2배출라인(321) 및 제2배출밸브(3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2실시예서는 제2배출밸브(322)가 사용자에 의해서 개폐되는 수동밸브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1실시예와 같이,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2배출밸브(322)를 닫을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의 전처리필터(210)와 메인필터(22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C)에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드밸브(FV)와 노말오픈밸브(NOV) 및 펌프(PM)가 구비될 수 있다.
피드밸브(FV)가 제어부(400)에 의해서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어 여과부(200)에서 여과되고 저장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노말오픈밸브(NOV)는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열릴 수 있다. 그리고, 노말오픈밸브(NOV)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닫혀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말오픈밸브(NOV)는 피드밸브(FV)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노말오픈밸브(NOV)는 피드밸브(FV)와 별개로 이루어져서 연결라인(LC)에 의해서 피드밸브(FV)에 연결될 수도 있다.
노말오픈밸브(NOV)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열리고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닫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펌프(PM)는 피드밸브(FV)가 제어부(400)에 의해서 열리면 작동되어, 원수공급원의 원수가 원수공급라인(LSW)을 통해 여과부(200)에 소정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정수기의 제3실시예
이하, 도5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3실시예는 상기 도3과 도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2실시예와 제1배출라인(311)에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오픈밸브(NOV)가 구비되고 제2배출라인(321)에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클로즈밸브(NCV)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라인(321)이 연결되는 곳과 제1배출밸브(312) 사이의 제1배출라인(311)의 부분에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오픈밸브(NOV)가 구비될 수 있다.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 노말오픈밸브(NOV)는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400)에 의한 제1배출밸브(312)의 개폐에 의해서, 저장부(500)에 저장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제1배출라인(311)과 제1배출밸브(312) 및 배출부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거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정전 등의 비상시에 노말오픈밸브(NOV)는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500)에 저장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은, 제1배출밸브(312)와 배출부재(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후술할 바와 같이 제1배출라인(311)의 일부와 제2배출라인(321) 및 제2배출밸브(322)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노말오픈밸브(NOV)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열리고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닫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라인(321)에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클로즈밸브(NCV)가 구비될 수 있다.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 노말클로즈밸브(NCV)는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저장부(500)에 저장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2배출라인(321)과 제2배출밸브(32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정전 등의 비상시에 노말클로즈밸브(NCV)는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500)에 저장된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1배출라인(311)의 일부와 제2배출라인(321) 및 제2배출밸브(32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노말클로즈밸브(NCV)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전 등의 비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닫히고 정전 등의 비상시에는 열리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하면,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가 제어부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자에게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200 : 여과부
210 : 전처리필터 220 : 메인필터
230 : 후처리필터 240 : 추가필터
300 : 배출부 310 : 제1배출부
311 : 제1배출라인 312 : 제1배출밸브
313 : 배출부재 320 : 제2배출부
321 : 제2배출라인 322 : 제2배출밸브
322a : 밸브몸체 322b : 개폐부재
322c : 탄성부재 400 : 제어부
500 : 저장부 510 : 정수탱크
520 : 냉수탱크 530 : 온수탱크
NCV : 노말클로즈밸브 NOV : 노말오픈밸브
FV : 피드밸브 LLV : 생활용수밸브
PM : 펌프 LSW : 원수공급라인
LC : 연결라인 LLW : 생활용수라인
RD : 배출유로 CB : 분리판
HC : 연통구멍

Claims (10)

  1.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배출부와, 여과된 물이 상기 제어부에 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에 연결되는 제1배출라인을 포함하는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연결되어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제1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제2배출라인과, 상기 제2배출라인에 구비되는 제2배출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라인은 상기 제1배출밸브 전의 상기 제1배출라인의 부분에 연결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밸브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개폐되는 수동밸브인 정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밸브는 일측은 상기 제2배출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개방된 배출유로가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배출유로의 개방된 타측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라인에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클로즈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라인이 연결되는 곳과 상기 제1배출밸브 사이의 상기 제1배출라인의 부분에는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노말오픈밸브가 구비되는 정수기.
KR1020180031376A 2018-03-19 2018-03-19 정수기 KR20190109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76A KR20190109834A (ko) 2018-03-19 2018-03-1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76A KR20190109834A (ko) 2018-03-19 2018-03-19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34A true KR20190109834A (ko) 2019-09-27

Family

ID=6809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76A KR20190109834A (ko) 2018-03-19 2018-03-1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9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3696A1 (en) * 2020-07-01 2022-01-06 Strauss Water Ltd Liquid dispensing arrangements and methods
WO2022265443A1 (ko) * 2021-06-18 2022-12-2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3696A1 (en) * 2020-07-01 2022-01-06 Strauss Water Ltd Liquid dispensing arrangements and methods
IL275785B1 (en) * 2020-07-01 2024-04-01 Strauss Water Ltd Devices and methods for issuing liquids
WO2022265443A1 (ko) * 2021-06-18 2022-12-22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7892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20190070559A1 (en)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07511076B (zh) 一种反渗透膜冲洗系统、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20190109834A (ko) 정수기
KR20190062575A (ko) 역전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정용 정수기
CN105152382A (zh) 一种无电自动冲洗双出水纳滤或反渗透净水器
CN205294914U (zh) 一种具有直流回流装置的净水器
KR20220111593A (ko) 정수기
CN210764689U (zh) 水处理机
KR20160033467A (ko) 수소수 제조장치
CN212878385U (zh) 一种具有净水功能的集成智能厨房电器
CN213596015U (zh) 净水器的水路板及净水器
CN105523652B (zh) 净水设备
EP3392204B1 (en) Water filtering system
KR20200130975A (ko) 역삼투압 필터를 이용한 정수장치
CN115745089B (zh) 净水机及净水机工作方法
KR20200037663A (ko) 정수기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JP3611847B1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US20230129450A1 (en) Switching system for edr water purifier with multiple solenoid valves
KR102626646B1 (ko) 정수기
CN113307404B (zh) 过滤组件和具有其的净水设备
CN212315651U (zh) 净水机
KR20200037664A (ko) 정수기
US20230228473A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