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59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593A
KR20220111593A KR1020210015031A KR20210015031A KR20220111593A KR 20220111593 A KR20220111593 A KR 20220111593A KR 1020210015031 A KR1020210015031 A KR 1020210015031A KR 20210015031 A KR20210015031 A KR 20210015031A KR 20220111593 A KR20220111593 A KR 2022011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filter
water
storage unit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593A/ko
Publication of KR2022011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01D61/081Apparatus therefor used at home, e.g. kitch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6Flow or flux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2Forward flu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원수저장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부; 및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원수저장부와 상기 정수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되고, 상기 정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원수저장부가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싱탱크;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 상기 원수저장부 및 상기 RO필터 사이에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상기 플로우채널에서의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상기 RO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배출모드 및 상기 정수저장부의 정수로 상기 역삼투막을 세정하는 플러싱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RO필터에 유입되고, 상기 RO필터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고,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하도록 상기 원수가 상기 원수저장부에 유입되고, 상기 원수저장부의 팽창으로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상기 RO필터의 상기 비여과부에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수는 정수기에 의해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수 또는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필터로 RO필터(Reverse Osmosis filter(역삼투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RO필터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는 비여과부, 원수를 여과시킬 수 있는 역삼투막과, 역삼투막에서 여과된 정수가 수용되는 여과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수 중 일부는 역삼투막에 의해 여과되어 정수가 되어 여과부에 수용되고, 여과되지 않은 나머지는 불순물이 포함된 농축수가 되어 비여과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610236 "역삼투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 저감 장치"(특허문헌 1)에는 소정의 시간 동안 원수가 역삼투막을 세척하도록 플러싱되는 역삼투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역삼투 정수기는 원수 오염도가 높은 지역에서 플러싱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주식회사 피코그램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804485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특허문헌 2)에는 필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정수를 수용하는 저수탱크(플러싱탱크)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수시스템은 정수를 이용하여 플러싱을 수행하므로, 위생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정수시스템은 플러싱수의 오염을 완전하게 개선하기 어렵고, 플러싱에 필요한 압력 보장과 관련된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로, 특허문헌 2의 정수시스템에서, 플러싱탱크가 밀폐된 경우 내부 기압에 의하여 정수의 플러싱탱크 유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싱탱크는 외기와의 연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싱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외기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같은 오염 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
둘째로, RO필터의 세척에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펌프가 요구될 수 있다. 정수시스템에 별도의 펌프가 구비되는 경우, 구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펌프 구성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정수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정수시스템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싱탱크에 저장된 정수의 위생성을 보장하고, 펌프 없이도 RO 필터의 세척에 요구되는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837620 "수처리장치"(특허문헌 3)에는 저장부재가 수축되거나 팽창되어 역삼투압필터로부터 배출된 생활용수와 정수를 유동시키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수처리장치의 저장부는 정수탱크로 구비된 것이고, 역삼투압필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플러싱탱크가 아니다. 따라서, 특허문헌 3은 역삼투압필터의 세척에 필요한 압력 제공 방안 및 플러싱수의 위생성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610236(2006.08.01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804485(2017.11.28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837620(2018.03.06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RO필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정수를 저장하는 플러싱탱크가 정수기에 제공될 수 있다. 플러싱탱크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정수의 오염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싱탱크는 원수가 유입될 때 팽창되는 원수저장부 및 원수저장부가 팽창될 때 수축되어 정수를 토출하는 정수저장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펌프 없이 플러싱에 요구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러싱탱크의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로 플러싱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고, 이를 정수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활용수를 RO필터로 재순환시켜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용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원수저장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부; 및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원수저장부와 상기 정수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되고, 상기 정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원수저장부가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싱탱크;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 상기 원수저장부 및 상기 RO필터 사이에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상기 플로우채널에서의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상기 RO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배출모드 및 상기 정수저장부의 정수로 상기 역삼투막을 세정하는 플러싱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RO필터에 유입되고, 상기 RO필터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고,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하도록 상기 원수가 상기 원수저장부에 유입되고, 상기 원수저장부의 팽창으로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상기 RO필터의 상기 비여과부에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사용될 정수를 상기 정수저장부에 저장하는 플러싱수저장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원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원수가 상기 RO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RO필터로 유입된 원수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되어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정수저장부로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원수가 상기 RO필터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RO필터유입유로; 상기 원수가 상기 원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 탱크유로; 및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RO필터유입유로와 합지되는 제2 탱크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RO필터로 유입된 원수가 역삼투막을 투과하도록 상기 원수를 가압하고,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상기 RO필터로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RO필터유입유로 내에서 유동하는 원수를 가압하도록 상기 RO필터유입유로에 연결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탱크유로 및 상기 제2 탱크유로는 상기 RO필터유입유로와 합지되어 상기 RO필터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RO필터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탱크유로에 연결되는 플러싱수저장유로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RO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정수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싱수저장유로는 상기 정수배출유로와 상기 제2 탱크유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O필터 및 상기 플러싱탱크에 공급될 원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필터; 및 상기 RO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 중 상기 플러싱탱크로 공급되지 않는 정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O필터를 플러싱하기 위한 정수를 저장하는 플러싱탱크가 정수기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플러싱탱크는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정수의 오염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싱탱크는 원수가 유입될 때 팽창되는 원수저장부 및 원수저장부가 팽창될 때 수축되어 정수를 토출하는 정수저장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펌프 없이 플러싱에 요구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싱탱크의 원수저장부에 저장된 원수로 플러싱을 위한 정수를 생성하고, 이를 정수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활용수를 RO필터로 재순환시켜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으므로, 낭비되는 용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플러싱모드일 때, 원수 및 정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플러싱수저장모드일 때, 원수 및 정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정수배출모드일 때, 원수 및 정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플러싱모드일 때, 원수 및 정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공급,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를 설명한다.
도 1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정수기(1)는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한다. 정수기(1)는 RO필터(100), 플러싱탱크(200), 밸브부(400), 플로우채널(300), 펌프(500), 전처리필터(600), 후처리필터(700), 유량센서(8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RO필터(100)는 역삼투압필터로 유입된 원수의 일부를 여과시켜 정수로 제공하고 여과되지 않은 나머지를 생활용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원수는 전처리필터(600)에서의 여과 여부와는 무관하게 RO필터(100)에서 여과되기 전의 물로 정의되고, 정수는 후처리필터(700)에서의 여과 여부와는 무관하게 RO필터(100)에서 여과된 물로 정의된다. 또한, 플러싱수는 RO필터(100)의 플러싱을 위해 플러싱탱크(200)에 저장된 정수로 정의될 수 있다. 생활용수는 RO필터(100) 내로 유입된 후 정수로 배출되지 못한 나머지 물로 정의된다. 또한, 플러싱배출수는 RO필터(100) 내에 유입되어 RO필터(100)를 플러싱한 물로 정의된다.
이러한 RO필터(100)는 역삼투막(110), 비여과부(120), 여과부(130), 필터유입구(140), 정수토출구(150) 및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막(110)은 비여과부(120)와 여과부(130)를 구획하고 원수를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RO필터(100)로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역삼투막(110)에 의해 여과되어 정수로서 정수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는 역삼투막(110)을 투과하지 못한 생활용수로서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비여과부(120)는 필터유입구(140)와 연결되어 필터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된 원수(정수배출모드, 플러싱수저장모드) 또는 정수(플러싱모드)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비여과부(120)는 생활용수배출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여과부(120)에는 원수 내에 포함된 불순물이 역삼투막(1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축적될 수 있다. 비여과부(120) 내에서 축적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통해 RO필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RO필터(100)에 유입된 불순물의 상당량은 생활용수의 배출을 통해 RO필터(100)의 외부로 배출되지만, 일부 불순물은 역삼투막(110)에 흡착되어 생활용수가 배출될 때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막(110)에 흡착된 불순물은 비여과부(120)로 유입되는 정수를 통해 플러싱되어 역삼투막(110)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여과부(120)와 역삼투막(110)은 비여과부(120)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여과부(130)는 역삼투막(1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여과부(130)는 정수토출구(150)와 연통되고 여과부(130)의 정수는 정수토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유입구(140)는 비여과부(120)를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RO필터유입유로(330)에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이다. RO필터유입유로(330)에서 유동되는 정수 또는 원수는 필터유입구(140)를 통하여 비여과부(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정수토출구(150)는 역삼투막(110)을 통해 여과된 정수를 RO필터(100)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통공이다. 여과부(130)의 정수는 정수토출구(150)를 통하여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정수배출유로(360) 또는 후술할 플러싱수저장유로(340)로 토출될 수 있다.
생활용수배출구(160)는 비여과부(120)에 수용된 생활용수를 생활용수배출유로(350)로 토출하기 위한 통공이다. 또한, 생활용수배출구(160)는 비여과부(120)에 유입된 플러싱수가 역삼투막(110)과 비여과부(120)를 플러싱하고, 플러싱에 사용된 정수를 플러싱배출수로서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생활용수배출유로(350)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플러싱탱크(200)는 원수 및 정수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원수 및 정수 중 하나를 RO필터(100)로 토출할 수 있다. 플러싱탱크(200)에 유입된 정수는 플러싱수로서 RO필터(100)에 제공될 수 있다. 플러싱탱크(200)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하우징(비신축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러싱탱크(200)는 분리막(210), 정수저장부(220) 및 원수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막(210)은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정수저장부(220)와 원수저장부(230)를 독립적으로 구획하고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210)에 의해 원수저장부(230)가 팽창할 때 정수저장부(220)가 축소되고, 정수저장부(220)가 팽창할 때 원수저장부(230)가 축소될 수 있다. 분리막(210)은 비신축성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정수저장부(220)는 플로우채널(300)의 플러싱수저장유로(340)에서 유동되는 정수를 플러싱수로 저장하고, 저장된 정수(플러싱수)를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제2 탱크유로(320)를 통하여 RO필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정수저장부(220)에 플러싱수저장유로(340)정수가 유입되어, 정수저장부(220)가 팽창될 때 원수저장부(230)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원수저장부(230)에 원수가 유입되어 원수저장부(230)가 팽창될 때, 정수저장부(220)는 축소되어 정수저장부(220) 내의 정수가 제2 탱크유로(310)로 토출될 수 있다.
원수저장부(230)는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제1 탱크유로(310)에서 유동되는 원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원수를 플로우채널(300)의 제1 탱크유로(310)를 통하여 RO필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원수저장부(230)에 제1 탱크유로(310)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유입되어 원수저장부(230)가 팽창될 때 정수저장부(220)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정수저장부(220)에 정수가 유입되어 정수저장부(220)가 팽창될 때, 원수저장부(230)는 축소되어 원수저장부(230) 내의 원수가 제1 탱크유로(310)로 토출될 수 있다.
플로우채널(300)은 원수 및 정수가 정수저장부(220), 원수저장부(230) 및 RO필터(100)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플로우채널(300)은 제1 탱크유로(310), 제2 탱크유로(320), RO필터유입유로(330), 플러싱수저장유로(340), 생활용수배출유로(350), 정수배출유로(360) 및 리턴유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탱크유로(310)는 정수기(1)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유로(310)는 원수가 펌프(500)와 RO필터(100)를 거치지 않고 원수저장부(230)로 유입되고, 원수저장부(230)로부터 토출된 원수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유로(310)는 RO필터유입유로(330)와 연통되어 원수를 교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탱크유로(310)에서 유동되는 원수는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탱크유로(310)는 원수저장부(230)와 RO필터유입유로(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탱크유로(320)는 정수저장부(22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유로(320)는 RO필터유입유로(330)와 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탱크유로(320)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1 탱크유로(310)와 제2 탱크유로(320)가 서로 다른 지점에서 RO필터유입유로(330)와 직접 합지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성을 매개로 합지될 수도 있으며 제1 탱크유로(310)와 제2 탱크유로(320)가 한 지점에서 합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탱크유로(320)는 정수저장부(220)와 RO필터유입유로(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O필터유입유로(330)는 물을 RO필터(10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RO필터유입유로(330) 내에서 유동하는 물은 유동모드(정수배출모드, 플러싱모드, 플러싱수저장모드)에 따라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RO필터유입유로(330)는 RO필터(100)의 필터유입구(140)와 연통될 수 있다.
플러싱수저장유로(340)는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정수저장부(220)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수저장유로(340)는 제2 탱크유로(3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정수는 플러싱수저장유로(340)와 제2 탱크유로(320)를 통해 정수저장부(220)에 제공될 수 있다. 플러싱수저장유로(340)는 정수배출유로(360)와 제2 탱크유로(32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정수배출유로(360)와 제2 탱크유로(320)를 매개로 RO필터(100)와 정수저장부(220)와 연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플러싱수저장유로(340)는 정수배출유로(360)와 제2 탱크유로(320)의 매개 없이 RO필터(100)와 정수저장부(220)를 직접 연통할 수도 있으며, RO필터(100)와 정수저장부(220) 중 하나만을 매개로 하여 RO필터(100)와 정수저장부(220)와 연통할 수도 있다.
생활용수배출유로(350)는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생활용수 또는 플러싱배출수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활용수배출유로(350)는 생활용수배출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용수배출유로(350)에 의해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 내의 생활용수 또는 플러싱배출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배출유로(350)는 생활용수를 비여과부(120)로 리턴시키기 위해 리턴유로(370)와 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활용수의 적어도 일부는 생활용수배출유로(350)와 리턴유로(370)를 통해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동될 수 있다.
정수배출유로(360)는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정수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배출유로(360)는 정수토출구(150)와 연통될 수 있다.
리턴유로(370)는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생활용수의 적어도 일부를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로 리턴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턴유로(370)는 생활용수배출유로(350)와 RO필터유입유로(3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부(400)는 플로우채널(300)에서의 원수 및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채널(300)이 앞서 서술한 것처럼 제1 탱크유로(310), 제2 탱크유로(320), RO필터유입유로(330), 플러싱수저장유로(340), 생활용수배출유로(350), 정수배출유로(360) 및 리턴유로(370)를 포함할 경우, 밸브부(400)는 플로우채널(300)에 포함된 각 유로를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밸브모듈은 중 일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및 정수를 유동하기 위하여 유로가 분지, 합지되는 지점에 제공되는 3웨이 밸브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는 탱크유로(310)와 RO필터유입유로(330)가 합지되는 지점에 제1 밸브모듈(410)이 3웨이 밸브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3웨이 밸브 대신 제1 탱크유로(310)와 RO필터유입유로(330) 각각에 일반 개폐밸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밸브모듈은 제1 밸브모듈(410), 제2 밸브모듈(420), 제3 밸브모듈(430), 제4 밸브모듈(440), 제5 밸브모듈(450), 제6 밸브모듈(460), 제7 밸브모듈(470), 제8 밸브모듈(480) 및 제9 밸브모듈(4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모듈(410)은 원수가 원수저장부(230)로 유동되거나, RO필터(100)로 유동되도록 제1 탱크유로(31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밸브모듈(410)은 제1 탱크유로(310)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입되거나 RO필터유입유로(330)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제1 탱크유로(310)로 유입되도록 제1 탱크유로(31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모듈(410)은 RO필터유입유로(330)의 원수가 제1 탱크유로(3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탱크유로(310)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모듈(410)은 RO필터유입유로(330)와 제1 탱크유로(31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모듈(410)에 의해 제1 탱크유로(310)는 제1 밸브모듈(410)과 원수저장부(2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밸브모듈(420)은 정수가 정수저장부(220)로 유동되거나 정수저장부(22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RO필터(100)로 유동되도록 제2 탱크유로(32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밸브모듈(420)은 정수저장부(220)로부터 토출되어 제2 탱크유로(320)에서 유동되는 정수가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입되도록 제2 탱크유로(320)를 개방하고, 플러싱수저장유로(34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모듈(420)은 플러싱수저장유로(340)에서 유동되는 정수가 정수저장부(220)로 유입되도록 플러싱수저장유로(340) 및 제2 탱크유로(32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모듈(420)은 제2 탱크유로(320) 및 플러싱수저장유로(34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밸브모듈(430)은 정수가 RO필터(100)로 유입되거나, 원수가 RO필터(100)로 유입되도록 제2 탱크유로(32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밸브모듈(430)은 제2 탱크유로(320)에서 유동되는 정수가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입되도록, 제2 탱크유로(32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모듈(430)은 원수가 RO필터(100)로 유입되도록 제2 탱크유로(320)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밸브모듈(430)은 RO필터유입유로(330)와 제2 탱크유로(32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모듈(430)에 의해 제2 탱크유로(320)는 정수저장부(220)와 제3 밸브모듈(4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밸브모듈(440)은 정수가 정수저장부(220)로 유동되거나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플러싱수저장유로(34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밸브모듈(440)은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정수배출유로(360)를 통해 플러싱수저장유로(340)로 유동되도록 플러싱수저장유로(34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모듈(440)은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플러싱수저장유로(340)로 유동되지 않고, 정수배출유로(360)를 통해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플러싱수저장유로(340)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밸브모듈(440)은 플러싱수저장유로(340)와 정수배출유로(36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모듈(440)에 의해 플러싱수저장유로(340)는 제2 밸브모듈(420)과 제4 밸브모듈(44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5 밸브모듈(450)은 RO필터(100)로부터 배출된 생황용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거나, RO필터(100)로 유동되도록 생활용수배출유로(350) 및 리턴유로(37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5 밸브모듈(450)은 생활용수배출유로(350)에서 유동되는 생활용수의 적어도 일부가 리턴유로(370)를 통해 RO필터유입유로(330)로 유동되고, 나머지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생활용수배출유로(350) 및 리턴유로(37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모듈(450)은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플러싱배출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생활용수배출유로(350)를 개방하고, 리턴유로(370)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밸브모듈(450)은 생활용수배출유로(350)와 리턴유로(37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모듈(450)에 의해 생활용수배출유로(350)는 생활용수배출구(160)와 제5 밸브모듈(4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6 밸브모듈(460)은 플로우채널(300)의 정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정수배출유로(36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6 밸브모듈(460)은 정수배출유로(360)를 개방하여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모듈(460)에 의해 정수배출유로(360)는 정수토출구(150)와 제6 밸브모듈(46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7 밸브모듈(470)은 RO필터유입유로(330)를 통해 유동되는 생활용수와 원수가 혼합되도록 RO필터유입유로(330) 및 리턴유로(370)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밸브모듈(470)은 RO필터유입유로(330) 및 리턴유로(370)가 합지되는 지점에서 3way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7 밸브모듈(470)에 의해 리턴유로(370)는 제5 밸브모듈(450)과 제7 밸브모듈(4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8 밸브모듈(480)은 플러싱수저장유로(340) 및 정수배출유로(36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정수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8 밸브모듈(480)은 체크밸브로 정수가 RO필터(100)의 여과부(1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 밸브모듈(490)은 원수가 정수기(1) 내부로 유동되도록 RO필터유입유로(33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9 밸브모듈(490)은 정수기(1)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9 밸브모듈(490)은 감압밸브일 수 있다. 이러한 제9 밸브모듈(490)에 의해 RO필터유입유로(330)는 필터유입구(140)와 제9 밸브모듈(49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펌프(500)는 원수 및 생활용수 중 하나 이상이 역삼투막(110)을 투과하도록 원수 및 생활용수 중 하나 이상을 가압하고, 정수를 RO필터(100)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펌프(500)는 RO필터유입유로(330) 내에서 유동하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를 가압하기 위해 RO필터유입유로(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500)는 원수가 RO필터유입유로(330) 내에서 RO필터(100)를 향하여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밸브모듈(410) 및 제3 밸브모듈(430)이 구비된 위치보다 하류인 제3 밸브모듈(430)과 RO필터(100) 사이에 구비되거나, 제7 밸브모듈(470)과 RO필터(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처리필터(600)는 정수기(1)로 유입된 원수를 RO필터(100)로 유입되기 전에 여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RO필터(100) 및 상기 플러싱탱크(200)에 공급될 원수를 전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필터(600)는 RO필터유입유로(3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필터(600)는 제9 밸브모듈(490)과 제1 밸브모듈(410) 사이에 위치하도록 RO필터유입유로(330))에 연결될 수 있다.
후처리필터(700)는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정수기(1)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다시 여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후처리필터(700)는 RO필터(100)로부터 배출된 정수 중 플러싱탱크(200)로 공급되지 않는 정수를 후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필터(700)는 정수배출유로(3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밸브모듈(440)과 제6 밸브모듈(4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수배출유로(360)에 연결될 수 있다.
유량센서(800)는 원수 또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유량센서(800)에서 감지된 유량을 통해 사용자는 RO필터(100)의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센서(800)는 정수배출유로(360)에 연결되어 정수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플러싱모드, 플러싱수저장모드 및 정수배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플러싱모드를 설명한다. 플러싱모드는 정수저장부(220)의 정수로 역삼투막(110)을 세정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플러싱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원수가 플러싱탱크(200)의 원수저장부(230)에 유입되고, 플러싱탱크(200)의 정수저장부(220)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에 유입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싱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유입유로(330), 제1 탱크유로(310) 및 RO필터유입유로(330)가 개방되고, 플러싱수저장유로(340)가 폐쇄되도록 제1 밸브모듈(410), 제2 밸브모듈(420) 및 제3 밸브모듈(4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로부터 토출된 플러싱배출수가 생활용수배출유로(350)를 통해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싱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생활용수배출유로(350)가 개방되고, 리턴유로(370)가 폐쇄되도록 제5 밸브모듈(450)을 제어할 수 있다.
플러싱모드에서 펌프(500)는 정수저장부(220)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RO필터(100)로 가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플러싱수저장모드를 설명한다. 플러싱수저장모드는 플러싱모드에서 사용될 정수를 정수저장부(220)에 저장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플러싱탱크(200)의 원수저장부(230)로부터 토출된 원수가 RO필터(100)로 유입되고, RO필터(100)로 유입된 원수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되어 플러싱탱크(200)의 정수저장부(220)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제1 탱크유로(310)와 RO필터유입유로(330)가 연통되도록 제1 밸브모듈(410)을 제어하고, 제2 탱크유로(320)와 RO필터유입유로(330)가 차단되도록 제2 밸브모듈(42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플러싱수저장유로(340)를 통해 정수저장부(220)에 저장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플러싱수저장유로(340)가 개방되도록, 제2 밸브모듈(420)과 제4 밸브모듈(4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100)에서 토출된 생활용수의 적어도 일부가 생활용수배출유로(350)와 RO필터유입유로(330)에서 유동되어 원수와 함께 RO필터(100)로 유입되어 다시 여과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유로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유입유로(330), 생활용수배출유로(350) 및 리턴유로(370)가 개방되도록 제5 밸브모듈(450)과 제7 밸브모듈(470)을 제어할 수 있다.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펌프(500)는 RO필터(100)로 유입된 원수 및 생활용수 중 하나 이상을 역삼투막(110)을 투과하도록 원수를 가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정수배출모드를 설명한다. 정수배출모드는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원수가 플러싱탱크(200)를 경유하지 않고 RO필터(100)에 유입되고,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플러싱탱크(200)를 경유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부(900)는 제1 탱크유로(310), 제2 탱크유로(320) 및 플러싱수저장유로(340)가 폐쇄되고, RO필터유입유로(330) 및 정수배출유로(360)가 개방되도록, 제1 밸브모듈(410), 제3 밸브모듈(430) 및 제4 밸브모듈(4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100)에서 배출된 생활용수의 적어도 일부가 생활용수배출유로(350)와 RO필터유입유로(330)를 통해 다시 RO필터(100)로 유입되어 여과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유입유로(330), 생활용수배출유로(350) 및 리턴유로(370)가 개방되도록 제5 밸브모듈(450) 및 제7 밸브모듈(47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수배출모드에서 펌프(500)는 RO필터(100)로 유입된 원수 및 생활용수 중 하나 이상을 역삼투막(110)을 투과하도록 원수를 가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효과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복수의 유동모드를 기초로 원수 및 정수를 유동시켜 RO필터(100)의 역삼투막(110)을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플러싱모드에서 정수를 통해 역삼투막(110)을 세정하므로, 프러싱모드에서, 불순물이 RO필터(100)의 역삼투막(110)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플러싱모드에서 원수저장부(230)에 원수가 유입됨으로써 정수저장부(220)의 정수가 RO필터(100)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펌프 없이도 정수가 RO필터(1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정수배출모드 및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생활용수가 RO필터(100)로 리턴될 수 있으므로 정수배출모드 및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사용되는 원수의 양과 배출되는 플러싱배출수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생활용수가 RO필터(100)로 리턴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플러싱모드, 플러싱수저장모드 및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부(900)는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되는 생활용수 및 플러싱배출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900)는 리턴유로(370)로 생활용수가 유동되지 않도록 제5 밸브모듈(45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900)는 리턴유로(370)가 폐쇄되도록 제5 밸브모듈(45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리턴유로(370) 및 제7 밸브모듈(470)이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5 밸브모듈(450)은 생활용수배출유로(35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모듈(450)에 의해 제어부(900)는 플러싱모드, 플러싱수저장모드 및 정수배출모드에서 제5 밸브모듈(450)을 개방하여 생활용수 및 플러싱배출수를 정수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생활용수를 RO필터(100)로 리턴시키기 않아 RO필터(100)에서 원수만 여과되므로 RO필터(100)가 교체되는 시기를 늘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100: 프레임
110: 역삼투막 120: 비여과부
130: 여과부 140: 필터유입구
150: 정수토출구 160: 생활용수배출구
200: 플러싱탱크 210: 분리막
220: 정수저장부 230: 원수저장부
300: 플로우채널 310: 제1 탱크유로
320: 제2 탱크유로 330: RO필터유입유로
340: 플러싱수저장유로 350: 생활용수배출유로
360: 정수배출유로 370: 리턴유로
400: 밸브부 410: 제1 밸브모듈
420: 제2 밸브모듈 430: 제3 밸브모듈
440: 제4 밸브모듈 450: 제5 밸브모듈
460: 제6 밸브모듈 470: 제7 밸브모듈
480: 제8 밸브모듈 490: 제9 밸브모듈
500: 펌프 600: 전처리필터
700: 후처리필터 800: 유량센서
900: 제어부

Claims (9)

  1.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원수저장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정수저장부; 및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원수저장부와 상기 정수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획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되고, 상기 정수저장부가 팽창할 때 원수저장부가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플러싱탱크;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 상기 원수저장부 및 상기 RO필터 사이에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상기 플로우채널에서의 상기 원수 및 상기 정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상기 RO필터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수배출모드 및 상기 정수저장부의 정수로 상기 역삼투막을 세정하는 플러싱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원수가 상기 RO필터에 유입되고, 상기 RO필터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고,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원수저장부가 팽창하도록 상기 원수가 상기 원수저장부에 유입되고, 상기 원수저장부의 팽창으로 상기 정수저장부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상기 RO필터의 상기 비여과부에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사용될 정수를 상기 정수저장부에 저장하는 플러싱수저장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플러싱수저장모드에서,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원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원수가 상기 RO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RO필터로 유입된 원수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되어 상기 플러싱탱크의 상기 정수저장부로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원수가 상기 RO필터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RO필터유입유로;
    상기 원수가 상기 원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제1 탱크유로; 및
    상기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RO필터유입유로와 합지되는 제2 탱크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RO필터로 유입된 원수가 역삼투막을 투과하도록 상기 원수를 가압하고, 상기 플러싱모드에서 상기 정수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정수를 상기 RO필터로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RO필터유입유로 내에서 유동하는 원수를 가압하도록 상기 RO필터유입유로에 연결되는,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유로 및 상기 제2 탱크유로는 상기 RO필터유입유로와 합지되어 상기 RO필터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정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RO필터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상기 정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탱크유로에 연결되는 플러싱수저장유로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RO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정수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정수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싱수저장유로는 상기 정수배출유로와 상기 제2 탱크유로의 사이에 연결되는,
    정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O필터 및 상기 플러싱탱크에 공급될 원수를 전처리하는 전처리필터; 및
    상기 RO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 중 상기 플러싱탱크로 공급되지 않는 정수를 후처리하는 후처리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10015031A 2021-02-02 2021-02-02 정수기 KR20220111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31A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1-02-02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031A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1-02-02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593A true KR20220111593A (ko) 2022-08-09

Family

ID=8284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031A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1-02-02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5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19A1 (ko) * 2021-06-21 2022-12-2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45738A (ko) 2022-09-30 2024-04-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36B1 (ko) 2004-11-10 2006-08-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삼투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 저감장치
KR101804485B1 (ko) 2015-12-30 2017-12-04 주식회사 피코그램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101837620B1 (ko) 2014-02-24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36B1 (ko) 2004-11-10 2006-08-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삼투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 저감장치
KR101837620B1 (ko) 2014-02-24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1804485B1 (ko) 2015-12-30 2017-12-04 주식회사 피코그램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19A1 (ko) * 2021-06-21 2022-12-2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45738A (ko) 2022-09-30 2024-04-0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549B2 (ja)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KR20220111593A (ko) 정수기
KR102469606B1 (ko) 특히 선박 엔진과 같은 선박 기계를 위한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시스템
TWI650170B (zh) 淨水裝置及家庭用淨水器
KR102622548B1 (ko) 수처리장치
KR20220169769A (ko) 정수기
JP2013022506A (ja) 浄水器
KR102614247B1 (ko) 정수기
KR102637384B1 (ko) 역세척 타입의 여과장치,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2032929A1 (ja) 浄水器
CN114364444B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CN215905966U (zh) 净水系统
KR20220169263A (ko) 정수기
KR20220166543A (ko) 정수기
KR20230110958A (ko) 정수기
KR20210051018A (ko) 정수기
KR102640032B1 (ko) 수처리장치
CN217650993U (zh) 净水系统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CN213977064U (zh) 净水机
CN219681926U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CN114450079A (zh) 净水器
CN218491608U (zh) 一种一体化滤材盒净水器
KR20240045738A (ko) 정수기
KR20180109660A (ko) 물 여과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