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54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543A
KR20220166543A KR1020210075438A KR20210075438A KR20220166543A KR 20220166543 A KR20220166543 A KR 20220166543A KR 1020210075438 A KR1020210075438 A KR 1020210075438A KR 20210075438 A KR20210075438 A KR 20210075438A KR 20220166543 A KR20220166543 A KR 2022016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flow
steriliz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민
윤성한
조성곤
한두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543A/ko
Publication of KR2022016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및 상기 정수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의 유동모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여과부와 연통하는 정수유동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동모드는 정수배출모드 및 살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살균모드에서, 상기 여과부의 살균을 위해 상기 살균모듈의 정수가 삼투압력에 의해 RO필터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수는 정수기에 의해 소정의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수 또는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시키기 필터로 RO필터(Reverse Osmosis filter(역삼투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RO필터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는 비여과부, 원수를 여과시킬 수 있는 역삼투막과, 역삼투막에서 여과된 정수가 수용되는 여과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RO필터의 여과부에는 살균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여과부가 세척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청호나이스 주식회사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34211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특허문헌 1)에는 역삼투압 필터에서 토출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살균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역삼투압 필터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부가 세척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부로 살균수가 역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6789 "전해 살균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장치와 이를 통한 살균방법"(특허문헌 2)에는 역삼투 여과 필터에서 토출된 물을 살균하는 전해셀 살균장치가 구비된 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전해셀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된 물은 역삼투 여과 필터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역삼투 여과 필터의 여과부가 세척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역삼투 여과 필터의 여과부로 살균수가 역류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69973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특허문헌 3)은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살균기가 구비된 수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따르면 살균수를 역삼투압 필터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잡한 역세척 유로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34211 (2018. 12. 18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6789 (2005. 12. 13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69973 (2013. 6. 27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RO필터의 여과부를 살균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및 상기 정수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의 유동모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여과부와 연통하는 정수유동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동모드는 정수배출모드 및 살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살균모드에서, 상기 여과부의 살균을 위해 상기 살균모듈의 정수가 삼투압력에 의해 RO필터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원수를 상기 비여과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원수공급밸브모듈; 상기 비여과부의 생활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수배출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살균모듈에서 상기 살균모듈의 정수가 상기 여과부를 향해 역류하도록 상기 원수공급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을 개방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을 저장하는 탱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은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유닛에서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정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이 상기 여과부에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탱크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정수가 여과부에서 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을 개방 제어하고,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살균모드에서 상기 물이 상기 여과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개방 제어하고, 상기 물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물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물이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탱크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물이 유동되는 물공급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와 상기 물공급유로가 연결된 지점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수유동유로에 배치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O필터의 여과부로 역류되는 정수를 살균모듈을 통해 살균하여 여과부를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공급,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를 설명한다.
도 1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정수기(1)는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정수기(1)는 RO필터(100), 살균모듈(200), 플로우채널(300), 밸브부(400) 및 제어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RO필터(100)는 역삼투압필터로 유입된 원수의 일부를 여과시켜 정수로 제공하고 여과되지 않는 나머지를 생활용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원수는 RO필터에서 여과되기 전의 물로 정의되고, 정수는 RO필터에서 여과된 물로 정의된다. 생활용수는 RO필터(100) 내로 유입된 후 정수로 배출되지 못한 나머지 물로 정의된다. 이러한 RO필터(100)는 역삼투막(110), 비여과부(120), 여과부(130), 필터유입구(140), 정수토출구(150) 및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막(110)은 비여과부(120)와 여과부(130)를 구획하고 원수를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RO필터(100)로 유입된 원수 중 일부를 역삼투막(110)에 의해 여과되어 정수로서 정수토출구(150)를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는 역삼투막(110)을 투과하지 못한 생활용수로서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비여과부(120)는 필터유입구(140)와 연결되어 필터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비여과부(120)는 생활용수배출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여과부(120) 내에서 축적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통해 RO필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과부(130)는 역삼투막(1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여과부(130)는 정수토출구(15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130) 내에 수용된 정수는 정수토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130)에서 토출된 정수의 적어도 일부는 삼투 압력에 의해 다시 여과부(130)로 역류할 수 있다. 삼투압력은 비여과부(120)에서 원수압이 해소될 경우, 발생될 수 있다.
필터유입구(140)는 비여과부(120)를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RO필터유입유로(310)에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이다. RO필터유입유로(310)에서 유동되는 정수 또는 원수는 필터유입구(140)를 통하여 비여과부(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정수토출구(150)는 역삼투막(110)을 통해 여과된 정수를 RO필터(100)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통공이다. 여과부(130)의 정수는 정수토출구(150)를 통하여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정수유동유로(330)로 토출될 수 있다.
생활용수배출구(160)는 비여과부(120)에 수용된 생활용수를 RO필터(100)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통공이다. 이러한 비여과부(120)의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배출구(160)를 통해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생활용수배출유로(350)로 토출될 수 있다.
살균모듈(200)은 여과부(130)를 향해 유동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살균모듈(200)은 여과부(130)에서 토출되어 살균모듈(200)에 유입되었던 정수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모듈(200)에서 살균된 정수가 여과부(130)로 유입됨으로써 여과부(130)가 살균될 수 있다. 이러한 살균모듈(200)은 살균하기 위한 살균물질을 물에 제공하거나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물질은 이온, 치아염소산(HOC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200)은 플로우채널(300)의 후술할 정수유동유로(330)에 배치될 수 있다.
플로우채널(300)은 원수 및 정수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우채널(300)은 RO필터유입유로(310), 생활용수배출유로(320), 정수유동유로(330) 및 물공급유로(340)를 포함할 수 있다.
RO필터유입유로(310)는 물을 RO필터(10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RO필터유입유로(310)는 원수 또는 정수일 수 있다. 이러한 RO필터유입유로(310)는 RO필터(100)의 필터유입구(140)와 연통될 수 있다.
생활용수배출유로(320)는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된 생활용수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활용수배출유로(320)는 생활용수배출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용수배출유로(320)에 의해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 내의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수유동유로(330)는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정수가 배출되는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유동유로(330)는 정수토출구(150)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정수유동유로(330)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삼투압력에 의해 여과부(130)를 향해 역류할 수 있다.
밸브부(400)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채널(300)이 앞서 서술한 것처럼 RO필터유입유로(310), 생활용수배출유로(320) 및 정수유동유로(330)를 포함할 경우, 밸브부(400)는 플로우채널(300)에 포함된 각 유로를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모듈은 원수공급밸브모듈(410),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420) 및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원수공급밸브모듈(410)은 RO필터유입유로(310)에 배치되어 물이 RO필터(100)의 비여과부(120)로 유동되도록 RO필터유입유로(31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수공급밸브모듈(410)이 RO필터유입유로(310)를 개방할 경우, 물은 비여과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420)은 생활용수배출유로(320)에 배치되어 비여과부(120)로부터 토출되는 생활용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생활용수배출유로(32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420)이 생활용수배출유로(320)를 개방할 경우, 생활용수는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은 정수유동유로(330)에 배치되어 RO필터(100)의 여과부(13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정수기(1) 외부로 배출하도록 정수유동유로(33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이 정수유동유로(330)를 개방할 경우, 정수는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장치(500)는 복수 개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 제어하고, 살균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5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 개의 유동모드는 정수배출모드 및 살균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배출모드는 정수가 배출된 RO필터(100)에서 여과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정수배출모드에서는 RO필터(100)의 여과부(13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정수유동유로(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장치(500)는 정수유동유로(330)가 개방되도록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을 개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정수배출모드에서 살균모듈(200)을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살균모드는 RO필터(100)의 여과부(130) 및 역삼투막(110) 중 하나 이상을 살균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살균모드에서는 여과부(130) 및 역삼투막(110)의 살균을 위해 살균모듈(200)의 정수가 삼투압력에 의해 RO필터(100)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장치(500)는 살균모드에서 정수유동유로(330)가 개방되도록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을 개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살균모드에서, 생활용수배출유로(320)가 개방되고 RO필터유입유로(310)가 폐쇄되어 RO필터(100)에 삼투압력이 발생되도록, 원수공급밸브모듈(410) 및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420)을 개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살균모드에서 역류되는 정수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모듈(2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살균모드에 의해 여과부(130)로 유입된 정수는 여과부(130) 및 역삼투막(110)을 세척 및 살균하고, 더 많은 양의 물이 역류할 경우 비여과부(120)로 유동되어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420)을 통해 RO필터(10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살균모드에서 정수는 여과부(130)로 역류하고, 살균모듈(200)에 의해 살균되어 여과부(130)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여과부(130)와 역삼투막(110)이 살균된 물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살균모듈(200)은 정수유동유로(330)와 물공급유로(340)가 연결된 지점과 여과부(130) 사이의 정수유동유로(33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살균모듈(200)은 물공급유로(34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탱크유닛(600)은 여과부(130)로 유동될 수 있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은 살균모드에서 살균모듈(200)에 의해 살균되어 여과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유닛(600)으로부터 토출된 물은 정수일 수 있다.
유량센서(700)는 탱크유닛(600)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센서(700)는 물공급유로(34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량센서(700)는 물공급유로(340)를 통해 탱크유닛(600)으로 유동되는 정수의 유량을 검출할 수 있다.
물공급유로(340)는 정수유동유로(330)에서 분지되어 탱크유닛(6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유로(340)에는 탱크유닛(600)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은 물공급유로(340)를 통해 여과부(130)로 유동될 수 있다.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은 정수가 정수배출모드에서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수유동유로(330)와 물공급유로(340)가 연결되는 지점보다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정수배출밸브모듈(430)은 체크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배출밸브모듈(430)에 의해 여과부(130)에서 토출된 정수는 탱크유닛으로 유동되거나 정수유동유로(330)를 통해 정수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탱크밸브모듈(440)은 물공급유로(340)에 배치되어 물이 여과부(130)로 유동되도록 물공급유로(34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탱크밸브모듈(440)이 물공급유로(340)를 개방할 경우, 탱크유닛(600)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물공급유로(340)에서 유동되어 여과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밸브모듈(440)은 정수배출모드에서 제어장치(500)에 의해 폐쇄 제어되어 물공급유로(340)를 폐쇄할 수 있고, 살균모드에서 제어장치(500)에 의해 개방 제어되어 물공급유로(34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탱크밸브모듈(440)은 유량센서(700)에서 감지된 물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그 이상일 경우, 제어장치(500)에 의해 폐쇄 제어되어 물이 탱크유닛(600)으로부터 토출되지 않게 물공급유로(34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탱크밸브모듈(440)은 정수배출모드 또는 정수가 배출되지 않는 대기상태일 때, 여과부(130)에서 토출된 정수가 탱크유닛(600)에 저장되도록 물공급유로(340)를 개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탱크밸브모듈(440)은 유량센서(700)에서 감지된 정수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거나 그 이상일 경우, 제어장치(500)에 의해 폐쇄 제어되어 정수가 탱크유닛(60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RO필터(100)에서 직접 여과한 정수를 살균을 위해 별도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양의 물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에서는 살균모듈(200)을 통해 역류하는 물의 양이 더 많아지므로, 여과부(130)와 역삼투막(110)이 더욱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100: RO필터
110: 역삼투막 120: 비여과부
130: 여과부 140: 필터유입구
150: 정수토출구 160: 생활용수배출구
200: 살균모듈 300: 플로우채널
310: RO필터유입유로 320: 생활용수배출유로
330: 정수유동유로 340: 물공급유로
400: 밸브부 410: 원수공급밸브모듈
420: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 430: 정수배출밸브모듈
440: 탱크밸브모듈 500: 제어장치
600: 탱크유닛 700: 유량센서

Claims (5)

  1. 원수가 유입되는 비여과부, 정수를 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비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구획하고 상기 원수를 상기 정수로 여과하는 역삼투막을 포함하는 RO필터;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플로우채널; 및
    상기 정수를 살균하는 살균모듈;
    상기 정수 및 상기 원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의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밸브부; 및
    복수의 유동모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여과부와 연통하는 정수유동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유동모드는 정수배출모드 및 살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살균모드에서, 상기 여과부의 살균을 위해 상기 살균모듈의 정수가 삼투압력에 의해 RO필터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의 개폐를 제어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원수를 상기 비여과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원수공급밸브모듈;
    상기 비여과부의 생활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수배출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살균모듈에서 상기 살균모듈의 정수가 상기 여과부를 향해 역류하도록 상기 원수공급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생활용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을 개방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탱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은 상기 살균모듈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유닛에서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정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물이 상기 여과부에 유입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탱크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정수배출모드에서 상기 정수가 여과부에서 토출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을 개방 제어하고,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고,
    상기 살균모드에서 상기 물이 상기 여과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상기 정수배출밸브모듈 및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개방 제어하고, 상기 물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살균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물의 유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물이 상기 탱크유닛으로부터 토출되지 않도록 상기 탱크밸브모듈을 폐쇄 제어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채널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탱크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물이 유동되는 물공급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정수유동유로와 상기 물공급유로가 연결된 지점과 상기 여과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수유동유로에 배치되는,
    정수기.
KR1020210075438A 2021-06-10 2021-06-10 정수기 KR20220166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38A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1-06-10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438A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1-06-10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543A true KR20220166543A (ko) 2022-12-19

Family

ID=8453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438A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1-06-10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654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89A (ko) 2005-11-22 2005-12-13 유넷웨어(주)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KR20130069973A (ko) 2011-12-19 2013-06-2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20180134211A (ko) 2017-06-08 2018-12-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89A (ko) 2005-11-22 2005-12-13 유넷웨어(주)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KR20130069973A (ko) 2011-12-19 2013-06-27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20180134211A (ko) 2017-06-08 2018-12-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33B1 (ko) 수처리 장치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39948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220111593A (ko) 정수기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220166543A (ko) 정수기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462653B1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220169263A (ko) 정수기
KR101645182B1 (ko) 정수기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20090002987A (ko) 정수기의 uv 살균 시스템
KR101305331B1 (ko) 정수기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230110954A (ko) 정수기
KR20220169769A (ko) 정수기
KR20230100424A (ko) 정수기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KR101423385B1 (ko) 정수기
KR102540181B1 (ko) 냉온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22182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