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11A -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211A
KR20180134211A KR1020170071789A KR20170071789A KR20180134211A KR 20180134211 A KR20180134211 A KR 20180134211A KR 1020170071789 A KR1020170071789 A KR 1020170071789A KR 20170071789 A KR20170071789 A KR 20170071789A KR 20180134211 A KR20180134211 A KR 20180134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storage tank
purifie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059B1 (ko
Inventor
정휘동
김선용
박우영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0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는, 필터 및 정수 저장 탱크를 구비한 정수기의 정수 저장 탱크, 유로 및 취수부를 살균하기 위한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로서, 정수 저장 탱크에 침지가능하게 구성되고, 두 전극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전극 모듈; 상기 전극 모듈을 수납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전극 모듈에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해기 본체; 및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염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 요원이 정수기 살균 키트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고 시간이나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정수기를 살균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Portable sterilization kit for water purifier and sterilization method of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의 살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한 정수기 살균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공급받아 필터를 통해 필터링함으로써 정수된 물(정수)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에 구비되는 필터는, 정수 방식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대개 원수에 포함된 미세입자, 찌꺼기, 부유 물질 등을 제거하는 침전 필터와, 발암 물질이나 합성 세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과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선카본 필터와, 중금속이나 각종 병원균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삼투압 방식의 맴브레인 필터 또는 중공사막 필터와, 맴브레인 필터 또는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불쾌한 맛과 냄새나 색을 유발하는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후카본 필터를, 이 순서대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후카본 필터는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고, 이렇게 오염된 후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정수 탱크에 유입되면 정수 탱크 내에서 세균등의 미생물이 증식하기 쉽게 된다. 또한, 정수 탱크 내부에 저장된 정수가 장시간 취출되지 않고 저장되어 있으면 역시 세균등의 미생물이 증식하기 쉽다.
이에, 특허문헌 1(특허공개 제10-2011-0127595호)과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 살균 세척 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장치(정수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은,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110); 상기 필터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70); 상기 필터부(110)와 상기 저장탱크(17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 중 적어도 일부(세디먼트 필터(111) 및 프리 카본필터(11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만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에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전해 살균기(130); 상기 저장탱크(170)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유닛(150); 및 상기 필터부(110)에 의한 정수모드와, 상기 전해 살균기(130) 및 배수유닛(150)을 통한 살균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90);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여, 설정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70)에 수용된 정수를 배수하고; 상기 필터부(110)의 적어도 일부(111 및 11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만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탱크(170)에 공급하여 살균 세척한 후; 상기 살균수를 저장탱크(170)로부터 배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110)의 적어도 일부(111 및 112)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를 전해살균기를 통해(이때 전해살균기는 OFF로 함으로써 살균수가 생성되지는 않음) 상기 저장탱크(170)로 공급하여 저장탱크(170)를 헹구는; 수처리 장치의 살균세척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전해살균기(물의 전기분해 장치)(130)라는 고가이면서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별도의 장치를 내장하므로, 정수기의 단가가 상승하고 소형화에 걸림돌이 된다.
둘째, 살균모드에서는 먼저 저장탱크(170) 내의 물을 거의 전부 배수하고, 살균수를 생성하여 저장탱크(170)에 만수위까지 공급하여 살균 세척한 후, 살균수를 전부 배수하고, 저장탱크(170) 내에 잔존하는 살균수(살균 성분)를 제거하기 위해 다시 헹구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살균 세척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물의 낭비가 심하다.
셋째,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전해살균기에 공급하는 물은 필터부(110)의 일부(111 및 112)만을 통과한 원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역삼투막 필터(113)를 통과한 정수에는 용존 고형물질이 거의 없어 전기분해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으므로), 살균수는 역삼투막 필터(113) 및 포스트 카본필터(114)를 통과한 물보다 깨끗하지 않다. 따라서, 살균수에 의해 저장탱크(170) 내의 세균등 미생물을 제거할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역삼투막 필터(113)나 포스트 카본필터(114)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오염물질에 의해 저장탱크(170)가 오염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오염은 헹굼작업을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왜냐하면, 특허문헌 1에서 헹굼수 역시 필터부(110)의 일부(111 및 112)만을 통과한 원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 제10-2011-0127595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수기의 대형화나 오염을 방지하면서, 조작이 간편하고 시간과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 살균 장치 및 정수기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는, 필터 및 정수 저장 탱크를 구비한 정수기의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유로 및 취수부를 살균하기 위한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로서,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침지가능하게 구성되고, 두 전극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전극 모듈; 상기 전극 모듈을 수납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전극 모듈에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해기 본체; 및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염화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염화물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의 용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투입량 만큼씩 낱개 포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기 본체에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의 용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을 포함한 복수의 동작 모드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 살균 방법은, 상술한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으로서,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소정 양의 상기 염화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상기 전극 모듈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전해기 본체로부터 상기 전극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정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정수 취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정수 취수 유로 및 정수 취수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냉수 취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냉수 탱크, 냉수 취수 유로 및 냉수 취수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배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및 배수 유로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및 배수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에 의하면, 정수기 내부에 전해 살균기를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독립된 휴대용 키트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정수기 자체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 살균 키트는 유지관리 요원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정수기를 살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정수기 살균 방법에 의하면,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배수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므로, 일부의 필터만을 통과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종래 대비 정수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에 따른 시간과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전해살균기를 내장한 종래의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를 사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정수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를 사용하여 정수기를 살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50)는, 전극 모듈(51), 전해기 본체(52) 및 염화물인 정제염(53)을 포함한다.
전극 모듈(51)은, 후술하는 정수기(1, 도 3 참조)의 정수 저장 탱크(32 또는 36)에 침지가능한 크기로 구성되고, 두 전극(51a, 51b)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전극(51a, 51b)은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두 전극(51a, 51b)의 표면은 대향하여 노출되고 대향하는 두 표면의 반대쪽은 절연성 수지로 둘러싸여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50)를 사용할 때에는, 전극 모듈(51)을 정수 저장 탱크(32 또는 36)에 침지하였을 때, 전해기 본체(52)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에 의해 정수 저장 탱크(32 또는 36)에 저장된 정수가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살균수가 생성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전극 모듈(51)의 구체적인 형상은 일예에 지나지 않고, 전극 모듈(51)을 정수 저장 탱크(32 또는 36)에 침지하였을 때 두 전극(51a, 51b)이 정수에 침지되어 정수를 전기분해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다.
전해기 본체(52)는 전선(52b)을 통해 전극 모듈(51)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에 전력 공급원을 구비하고 있다. 전력 공급원은, 상용 교류 전력을 소정 전압, 예컨대 24V의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및 변압기 회로로 이루어지거나, 시판의 건전지나 충전가능한 2차 전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해기 본체(52)에는 조작 패널(52a)이 구비되어, 유지관리 요원이 살균수의 생성시 전해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 패널(52a)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면, 조작 패널(52a)은 전해기 본체(52)의 동작 모드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LCD나 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52a1),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52a2), 수동 모드에서 전해기 본체(52)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버튼(52a3) 및 선택된 모드에서 전해기 본체(52)의 동작을 시작하는 시작 버튼(52a4)을 포함한다. 전해기의 동작 모드와 각 버튼의 조작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 사항 등에 관해서 상세히는 후술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해기 본체(52)에는 부저나 비퍼가 구비되어, 각 버튼의 조작시, 전해기의 동작(살균수의 생성)의 시작과 종료시 등에 미리 정해진 효과음을 발생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유지관리 요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또한, 전해기 본체(52)는 전술한 전극 모듈(51)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극 모듈(51)의 형상에 맞춘 수납 공간(52c)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전극 모듈은 전해기 본체에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공되고, 사용시에 전해기 본체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 살균 키트에 포함되는 염화물(53)은, 배경기술란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필터를 통과한 정수는 전해가 어렵기 때문에, 전극 모듈(51)을 정수 저장 탱크에 침지하여 전해 살균수를 생성할 때 용이하게 전기분해되도록 투입하는 것으로서, 전형적으로 정제염으로 이루어진다.
염화물(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저장 탱크의 용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적정한 투입량만큼씩(예컨대, 0.3g, 0.5g 등) 낱개 포장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 공간(52c)의 바닥면에는 예컨대 다음 표 1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작 가이드(52d)가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어, 유지관리 요원은 이 조작 가이드(52d)를 참조하여 정수기 살균 키트를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정수 탱크 용량 정제염(0.3g) 동작 모드(동작 시간)
2.4L 1개 모드 1(1분)
3.4L 1개 모드 2(2분)
15L 1개 모드 3(2분)
30L 2개 모드 4(2분)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작 가이드(52d)는 정수 탱크의 용량에 따라 투입할 염화물의 양(예컨대 0.3g씩 낱개 포장된 정제염의 개수)과 선택할 적절한 동작 모드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기본적으로 정수 탱크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동작 시간(전기분해 시간)이 증가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다. 한편, 전기분해는 염화물(53)이 용해된 정수 저장 탱크에 상술한 전극 모듈(51)을 침지하고 직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반응시 시작되는데, 전기분해 반응의 완급 조절과 적절한 잔류염소 농도를 갖는 살균수의 생성을 위해 전원의 공급은 단속적으로, 즉 펄스 형태로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체 동작 시간 중에 전류의 공급을 행하는 공급 구간과 전류의 공급을 중단하는 휴지 구간을 마련하고, 적절한 시행착오를 거쳐 공급 구간 및 휴지 구간의 길이나 비율(듀티비) 또는 주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동일한 전체 동작 시간이라도 정수 탱크 용량에 따라 적절한 잔류염소 농도를 갖는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조작 가이드(52d)는 수납 공간(52c)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극 모듈(51)의 상면 등 눈에 띠는 다른 곳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가이드에서 정수 탱크 용량 대신에 또는 정수 탱크 용량과 함께, 정수기의 모델명을 표시함으로써 유지관리 요원이 적절한 동작 모드를 쉽게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전술한 조작 패널(52a) 상의 각 버튼의 조작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전해기 본체(52)의 전원을 켜면, 디스플레이(52a1)에는 디폴트로서 예컨대 정수 탱크 용량이 3.4L인 경우의 동작 모드인 '모드 2'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선택 버튼(52a2)을 누르면, 한 번씩 누를 때마다 순차적으로 모드 3 -> 모드 4 -> 수동 -> 모드 1 -> 모드 2가 선택되고 디스플레이(52a1)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가 표시된다. 여기서, 수동 모드란 예시된 정수 탱크 용량을 넘는 정수기에 대해서 동작 시간을 유지관리 요원이 직접 설정할 수 있는 모드로서, 수동 모드에서 전술한 공급 구간과 휴지 구간의 비율(듀티비)은 모드 4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값으로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수동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타이머 버튼(52a3)을 누름으로써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 버튼(52a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52a1)에는 예컨대 120초(2분)가 표시되고, 타이머 버튼(52a3)을 한 번씩 누를 때마다 예컨대 15초 단위로 증가하여 최대, 예컨대 240초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동작 모드의 선택이 완료되면, 시작 버튼(52a4)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른 전극 모듈(51)로의 전력 공급이 시작되고, 각 모드의 정해진(또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동작 시간이 경과되면 전력 공급이 종료되고, 전술한 부저나 비퍼의 효과음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기 살균 키트는 휴대할 수 있으므로, 정수기 유지관리 요원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정수기를 점검, 유지보수할 때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 키트의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가이드(52d)가 마련되어 있어, 초보자라 하더라도 쉽게 정수기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 키트를 이용하여 정수기를 살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살균 키트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정수기(1)의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50)가 적용되는 정수기(1)는, 복수의 필터들을 구비하며,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유닛(10); 필터 유닛(10)의 필터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로 연결하는 여과 유로(20); 원수가 필터 유닛(10)의 필터들에 의해 여과되어 생성된 여과수를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 탱크들을 구비하는 저장 유닛(30); 저장 유닛(30)의 저장 탱크들에 저장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유로(40);를 포함한다.
필터 유닛(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11)와, 후처리 필터(12)와, 탈이온 필터(13)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들은 여과 유로(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연결되며, 수돗물과 같은 원수는 여과 유로(20)를 따라 필터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통과한다.
전처리 필터(11)는,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에 포함된 미세입자, 찌꺼기, 부유 물질 등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 필터(14)와, 원수에 포함된 발암 물질, 합성 세제 등 인체에 유해한 화학 물질과 잔류 염소를 제거하는 선카본 필터(15)와, 중금속이나 각종 병원균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 필터(16)를 포함한다. 침전 필터(14)와 원수 공급원을 연결하는 유로(20a) 사이에는 누수 차단 밸브(20b)가 설치되어, 정수기(1)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감지하여 원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침전 필터(14)와 선카본 필터(15) 사이의 유로(20c)에는 원수 차단 밸브(20d)가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16)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O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멤브레인 필터(16)는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는, 필터에 유입되는 물에 삼투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오염 물질을 농축시켜 제거수(폐수 또는 농축수라고도 함)로 배출하고, 여과된 물은 후속 필터에 전달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는, 제거수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 배수 유로(41)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거수 배수 유로(41)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후처리 필터(12)는, 전처리 필터(11) 또는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한 원수에 포함된 불쾌한 맛, 냄새 및 색을 유발하는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후카본 필터(17)와, 세균을 자외선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포함할 수 있다.
후카본 필터(17)는, 후술할 여과 유로(20)의 직결 유로(21)에 의해 전처리 필터(11)의 멤브레인 필터(16)와 바로 연결되거나 또는 후술할 여과 유로(20)의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 쪽으로 우회되어 멤브레인 필터(16)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후카본 필터(17)는 전처리 필터(11)를 통과한 원수와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한 원수 중 어느 하나의 원수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여과할 수 있다.
탈이온 필터(13)는 우회 유로(22)에 설치된다. 탈이온 필터(1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탈이온 필터(13)는 원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거나 원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다른 이온성 물질로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이온 필터(13)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교환수지 필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탈이온 필터(13)는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후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 쪽으로 우회된 원수를 전달 받으며, 원수에 포함된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염소 이온 및 질산성 이온 등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한다.
여과 유로(20)는,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후처리 필터(12)에 바로 전달하는 직결 유로(21)와,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탈이온 필터(13)를 먼저 통과하도록 우회시켜 후처리 필터(12)에 전달하는 우회 유로(22)와,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 중 어느 하나를 전처리 필터(11)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유로 전환 밸브(23)와, 직결 유로(21)와 우회 유로(22)를 후처리 필터(12)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하는 제1 T형 연결관(24)을 포함한다.
직결 유로(21)는, 일단이 제1 유로 전환 밸브(23)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T형 연결관(24)에 의해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된다.
우회 유로(22)는, 일단이 제1 유로 전환 밸브(23)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T형 연결관(24)에 의해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된다. 우회 유로(22)에는 탈이온 필터(13)가 설치된다.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멤브레인 필터(16)의 하류 측의 유로(20e)와 연결된 유입 포트(23a)와, 직결 유로(21)의 일단과 연결된 제1 배출 포트(23b)와, 우회 유로(22)의 일단과 연결된 제2 배출 포트(23c)를 갖는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유입 포트(23a)가 제1 배출 포트(23b)와 연결된 경우에,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직결 유로(21)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직결 유로(21)로 유입된 원수는 제1 T형 연결관(24)에 전달된다. 또한, 제1 유로 전환 밸브(23)는, 유입 포트(23a)가 제2 배출 포트(23c)와 연결된 경우에, 멤브레인 필터(16)를 통과한 원수를 우회 유로(22)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우회 유로(22)로 유입된 원수는 탈이온 필터(13)에 의해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후 제1 T형 연결관(24)에 전달된다.
제1 T형 연결관(24)은, 직결 유로(21)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유입 포트(24a)와, 우회 유로(22)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유입 포트(24b)와, 후카본 필터(17)의 상류 측의 유로(20f)와 연결되는 배출 포트(24c)를 갖는다.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입 포트(24a)와 제2 유입 포트(24b)를 배출 포트(24c)와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입 포트(24a)와 제2 유입 포트(24b)에는 각각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로 전환 밸브(23)의 유입 포트(23a)와 제1 배출 포트(23b)가 연결된 경우에는, 직결 유로(21)를 통과한 원수를 제1 유입 포트(24a)를 통해 배출 포트(24b)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T형 연결관(24)은, 제1 유로 전환 밸브(23)의 유입 포트(23a)와 제2 배출 포트(23c)가 연결된 경우에는, 우회 유로(22)를 통과한 원수를 제2 유입 포트(24b)를 통해 배출 포트(24c)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결 유로(21)에 의해 탈이온 필터(13)를 통과하지 않도록 후카본 필터(17)에 바로 전달된 원수는 일부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정수가 된다. 이러한 정수는, 필터들 중 최후단에 위치한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를 통해 저장 유닛(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우회 유로(22)에 의해 탈이온 필터(13)를 먼저 거친 후 후카본 필터(17)에 전달된 원수는, 탈이온 필터(13)에 의해 이온성 물질이 추가로 제거되어 정수에 비해 보다 적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처럼 원수가 전처리 필터(11), 탈이온 필터(13) 및 후처리 필터(12)에 의해 여과되어 생성된 여과수를 구분하여 지칭할 때에는 순정수라 한다. 이러한 순정수는, 정수와 마찬가지로, 필터들 중 최후단에 위치한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를 통해 저장 유닛(3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필터 유닛(10)에서는 정수와 순정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생성되므로, 이러한 정수와 순정수는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이송 및 저장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를 위해, 여과 유로(20)는,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정수 탱크(32)에 전달하는 정수 유로(25)와,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순정수 탱크(36)에 전달하는 순정수 탱크(36)와, 정수 유로(25)와 순정수 유로(26)를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 유로(25)는 일단이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되고, 타단이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의 하층부와 연결되고, 순정수 유로(26)는 일단이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되고, 타단이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하층부와 연결된다.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자외선 살균 필터(18) 하류 측의 유로(20g)와 연결된 유입 포트(27a)와, 정수 유로(25)의 일단과 연결된 제1 배출 포트(27b)와, 순정수 유로(26)의 일단과 연결된 제2 배출 포트(27c)를 갖는 전동식 3방 밸브로 구성된다.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제1 배출 포트(27b)와 제2 배출 포트(27c) 중 어느 하나가 유입 포트(27a)와 연결된 경우에, 제1 배출 포트(27b)와 제2 배출 포트(27c) 중 다른 하나와 유입 포트(27a)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정수가 생성된 경우에, 유입 포트(27a)와 제1 배출 포트(27b)가 연결되도록 구동되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정수를 정수 유로(25)로 유입시켜 정수를 정수 탱크(32)에 공급한다. 또한, 제2 유로 전환 밸브(27)는, 순정수가 생성된 경우에, 유입 포트(27a)와 제2 배출 포트(27c)가 연결되도록 구동되어 자외선 살균 필터(18)를 통과한 순정수를 순정수 유로(26)로 유입시켜 순정수를 순정수 탱크(36)에 공급한다.
저장 유닛(30)은 정수 유로(25)를 통과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32)와, 정수 탱크(32)로부터 전달된 정수가 냉각되어 생성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34)와, 순정수 유로(26)를 통과한 순정수가 저장되는 순정수 탱크(36)와, 순정수로부터 전달된 순정수가 가열되어 생성된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탱크(38)를 포함한다.
정수 탱크(32)는, 정수 유로(25)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정수 저장 공간(32a)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과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이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천공된 연통구(32b)를 포함한다.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와 일체를 이루도록 정수 탱크(32)의 하측에 마련되며,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전달된 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냉수 저장 공간(34a)과,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 부재(3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정수 탱크(32)와 냉수 탱크(34)가 마련됨에 따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으로 유입된 정수는, 수압에 의해 연통구(32b)에 자동으로 배출되어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에 유입 및 저장된 후,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이 가득 차면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에 비로서 저장된다. 냉수 탱크(34)의 냉각 부재(34b)는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과 연결된 정수 취수구(미도시)에 의해 취수될 수 있다.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탱크(34)의 냉수 저장 공간(34a)과 연결된 냉수 취수구(미도시)에 의해 취수될 수 있다.
순정수 탱크(36)는, 순정수 유로(26)를 통과한 순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36b)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36b)는,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하층부에 충전된 순정수가 유입되도록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의 하층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와 순정수 탱크(36)의 하측에 마련되며,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공급된 순정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온수 저장 공간(38a)과, 온수 저장 공간(38a)에 저장된 순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 부재(38b)와, 온수가 생성될 때 발생된 수증기를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으로 안내하는 에어 벤트(38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순정수 탱크(36)와 온수 탱크(38)가 마련됨에 따라,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으로 유입된 순정수는, 수압에 의해 연결 유로(36b)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에 유입 및 저장된 후,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이 가득 차면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비로서 저장된다. 온수 탱크(38)의 가열 부재(38b)는, 온수 저장 공간(38a)에 저장된 순정수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 저장된 순정수는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과 연결된 순정수 취수구(미도시)에 의해 취수될 수 있다. 온수 탱크(38)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온수는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과 연결된 온수 취수구(미도시)에 의해 취수될 수 있다.
한편, 냉수 탱크(34)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냉수 탱크(34)는 순정수 탱크(36)로부터 순정수를 공급받아 냉수를 생성하고, 온수 탱크(38)는 정수 탱크(32)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시점에서 정수와 순정수는 이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생성되므로, 이러한 정수와 순정수와의 생성 순서가 문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는 각각 정수 수위 센서(32c)와 순정수 수위 센서(36c)를 포함하여, 감지된 수위에 따라 부족한 쪽의 탱크에 정수 또는 순정수를 공급하도록 제1 유로 전환 밸브(23) 및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배수 유로(40)는, 멤브레인 필터(16)에서 배수된 제거수가 유입되는 제거수 배수 유로(41)와,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에서 배수된 정수 또는 순정수 탱크(36)의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서 배수된 순정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와,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를 개폐하는 제1 여과수 배수 밸브(43)와, 정수 탱크(32)에서 배수된 정수 또는 순정수 탱크(36)에서 배수된 순정수를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 쪽으로 펌핑하는 제1 여과수 배수 펌프(44)와, 제거수 배수 유로(41)를 통과한 제거수와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를 통과한 정수 또는 순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유로(45)와, 제거수 배수 유로(41)와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를 배출 유로(45)와 연결하는 제2 T형 연결관(46)을 포함한다.
제거수 배수 유로(41)는, 일단이 멤브레인 필터(16)의 제거수 배출구(16a)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T형 연결관(46)에 의해 배출 유로(45)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거수 배수 유로(41)에는, 원수를 여과할 때 멤브레인 필터(16)의 제거수 배수구(16a)에서 배수된 제거수가 유입된다.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는, 일단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T형 연결관(46)에 의해 배출 유로(45)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는,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와 정수 유로(25)가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에는 정수 저장 공간(32a)에서 배수되어 정수 유로(25)를 역류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는, 제2 유로 전환 밸브(27)에 의해 자외선 살균 필터(18)의 하류 측 유로(20g)와 순정수 유로(26)가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에는, 순정수 저장 공간(36a)에서 배수되어 순정수 유로(26)를 역류한 순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배출 유로(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T형 연결관(46)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 유로(45)는, 제2 T형 연결관(46)에 전달된 제거수, 정수 및 순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수 탱크(34)의 하층부에 냉수 배수 유로를 더 마련하여 냉수 탱크(34)에 저장된 냉수를 배수할 수도 있다.
한편, 온수가 저장된 온수 탱크(38)의 온수 저장 공간(38a)에서는, 온수의 고온에 의해 미생물이 증식되기 어렵다. 다만, 점검 및 수리 등을 위해 정수기(1)를 분해하는 경우에, 이러한 온수 저장 공간(38a)에 온수가 그대로 저장되어 있으면 이러한 온수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유로(40)는 이러한 온수 저장 공간(38)에서 배수된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여과수 배수 유로(47)와, 제2 여과수 배수 유로(47)를 개폐하는 제2 여과수 배수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정수기(1)는, 정수 탱크(32)에서 배수된 정수와 순정수 탱크(36)에서 배수된 순정수를 모두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는, 저장 탱크들에서 배수된 정수와 순정수를 별도의 유로를 통해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장치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장치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정수기(1)는, 정수 탱크(32)에 정수를 보충하기 위한 정수 유로(25)와 순정수 탱크(36)에 순정수를 보충하기 위한 순정수 유로(26)를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정수와 순정수 탱크(36)에 저장된 순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유로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1)는, 정수와 순정수를 저장 탱크들에 보충하기 위한 보충 유로와 저장 탱크들에서 배수된 정수와 순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유로를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장치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장치의 용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키트(50)를 사용하여 정수기를 살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살균 방법에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에서와 달리, 정수 탱크를 먼저 모두 배수하여 비우지 않고 곧바로 수행할 수 있어 시간과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수기 살균 방법에 의하면, 먼저, 정수기(1)의 커버를 분리하여 정수 탱크(32)의 정수 저장 공간(32a)를 노출시킨 다음,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정수에 염화물(53)을 투입한다(S1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 살균 방법에서는 필터 유닛(10)을 통과하여 여과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므로 정수 그대로는 원활한 전기분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살균 키트에는 조작 가이드(52d)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지관리 요원은 살균을 수행하고자 하는 정수기의 정수 탱크(32)의 용량 또는 모델명을 확인하고 조작 가이드(52d)에서 해당 정수기에 대응되는 염화물 투입량을 확인하여 그 만큼의 염화물(53)을 투입한다. 한편, 살균을 수행하는 동안 정수 또는 순정수를 생성하지 않도록, 염화물(53)의 투입과 함께 원수 차단 밸브(20d)를 닫는다.
이어서, 투입된 염화물(53)이 정수에 용해되면,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정수에 전극 모듈(51)을 침지한다(S20).
이어서, 전해기 본체(52)의 조작 패널(52a)을 조작하여 전극 모듈(51)에 직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염화물이 용해된 정수 탱크(32)의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한다(S30). 이때, 전술한 실시예의 살균 키트에는 조작 가이드(52d)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지관리 요원은 해당 정수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선택 버튼(52a2)(및 필요에 따라 타이머 버튼(52a3))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시작 버튼(52a4)을 누름으로써 살균수 생성을 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충분한 전기분해가 이루어져 살균수가 생성되면, 정수기를 살균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의 살균 키트에서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의해 정해진 또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동작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전기분해가 종료되고, 부저나 비퍼가 울려 유지관리 요원은 살균수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정수기를 살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정수 취수 동작을 수행하면(S40),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살균수가 정수 취수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정수 탱크(32), 정수 취수 유로 및 정수 취수구를 이 순서대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냉수 취수 동작을 수행하면(S40),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살균수가 냉수 탱크(34)를 거쳐 정수 취수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정수 탱크(32), 냉수 탱크(34), 냉수 취수 유로 및 냉수 취수구를 이 순서대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정수 배수 동작을 수행(S50), 즉 제1 여과수 배수 밸브(43)를 열고, 제2 유로 전환 밸브(27)를 정수 유로(25)와 자외선 살균 필터의 하류 측 유로(27a)가 연통되도록 제어하고, 제1 여과수 배수 펌프(44)를 작동시키면, 정수 탱크(32)에 저장된 살균수가 정수 유로(25)를 역류하여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 및 배출 유로(45)를 통해 배출되면서, 정수 탱크(32), 정수 유로(25), 제1 여과수 배수 유로(42) 및 배출 유로(45)를 이 순서대로 살균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정수기(1)에 따르면, 정수 유로(25)가 정수 탱크(32)로 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의 역할과 배수하는 유로의 역할을 겸하므로, 정수 공급 유로와 정수 배수 유로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대비, 배수 동작에 의한 살균시 정수 배수 유로뿐만 아니라 정수 공급 유로도 함께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34)를 독립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냉수 배수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냉수 탱크(34)를 배수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냉수 탱크(34)와 냉수 배수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 탱크(32), 냉수 탱크(32) 및 이에 연결된 유로들과 취수구의 살균이 끝나면, 탱크와 유로 내부에 남아 있는 살균수를 헹구기 위한 헹굼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헹굼 동작은, 원수 차단 밸브(20d)를 열어 정수 생성 동작을 재개하여 정수 탱크(32)에 새로 생성된 정수를 채운 후, 전술한 정수/냉수 취수 동작과 정수/냉수 배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살균 방법은 순정수 탱크(36)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순정수 탱크(36)에 염화물(53)을 투입한 후, 전극 모듈(51)을 침지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살균수를 생성한 다음, 순정수/온수의 취수/배수 및 헹굼 동작을 수행하면 순정수 탱크(36) 및 온수 탱크(38) 및 이에 연결된 유로 및 취수구를 살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수 저장 탱크'는 정수 탱크(32)와 순정수 탱크(36)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순정수/온수 탱크의 구체적인 살균 동작은 전술한 정수/냉수 탱크의 살균 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순정수 탱크(36)와 연통되는 온수 탱크(38)는 뜨거운 온수에 의해 미생물이 증식되기 어렵기 때문에 살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 유지관리 요원이 정수기 살균 키트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정수기의 유지보수시 사용함으로써, 시간과 물의 낭비를 줄이고 간단하게 정수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 정수기(1)는 순정수(탈이온수)를 생성 공급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정수만을 생성 공급하는 구성의 정수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냉수 탱크나 온수 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상온의 정수(및 순정수)만을 공급하는 구성의 정수기에도 적용가능하다.
50: 정수기 살균 키트
51: 전극 모듈
51a, 51b: 전극
52: 전해기 본체
52a: 조작 패널
52b: 전선
52c: 수납 공간
52d: 조작 가이드
53: 염화물(정제염)

Claims (8)

  1. 필터 및 정수 저장 탱크를 구비한 정수기의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유로 및 취수부를 살균하기 위한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로서,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침지가능하게 구성되고, 두 전극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전극 모듈;
    상기 전극 모듈을 수납 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전극 모듈에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해기 본체; 및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염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물은, 상기 정수 저장 탱크의 용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투입량 만큼씩 낱개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기 본체에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의 용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을 포함한 복수의 동작 모드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으로서,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소정 양의 상기 염화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에 상기 전극 모듈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전해기 본체로부터 상기 전극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정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살균수를 이용하여 정수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정수 취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정수 취수 유로 및 정수 취수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냉수 취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냉수 탱크, 냉수 취수 유로 및 냉수 취수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는, 배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및 배수 유로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저장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정수 저장 탱크, 상기 냉수 탱크 및 배수 유로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1020170071789A 2017-06-08 2017-06-08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10205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89A KR102058059B1 (ko) 2017-06-08 2017-06-08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89A KR102058059B1 (ko) 2017-06-08 2017-06-08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11A true KR20180134211A (ko) 2018-12-18
KR102058059B1 KR102058059B1 (ko) 2019-12-20

Family

ID=6495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89A KR102058059B1 (ko) 2017-06-08 2017-06-08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3338A (zh) * 2020-05-11 2020-08-14 江西力特康光学有限公司 一种安全净水器
KR20210001156A (ko) 2019-06-27 2021-01-06 (주)원봉 정수기용 살균 키트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2-12-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681Y1 (ko) * 2003-08-28 2003-11-22 이순세 다공성 평판전극 살균기
KR101350005B1 (ko) * 2012-08-21 2014-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56A (ko) 2019-06-27 2021-01-06 (주)원봉 정수기용 살균 키트
CN111533338A (zh) * 2020-05-11 2020-08-14 江西力特康光学有限公司 一种安全净水器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2-12-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059B1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344B1 (ko) 수처리 장치
US10266441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101734194B1 (ko) 수처리 기기의 살균세정방법
US10159939B2 (en) Reverse osmosis system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KR20230160221A (ko) 수처리장치
JP3978144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101876214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2004216349A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897563B1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40126894A (ko) 정수기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7842A (ko) 살균 또는 세정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정 방법
KR20140022937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2005262124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16303534U (zh) 一种制剂用纯化水机微酸消毒系统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KR20140071834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3132048U (ja) 電解水生成装置
JPH0716570A (ja) イオン水生成器
KR101886237B1 (ko)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 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