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6789A -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6789A
KR20050116789A KR1020050111608A KR20050111608A KR20050116789A KR 20050116789 A KR20050116789 A KR 20050116789A KR 1020050111608 A KR1020050111608 A KR 1020050111608A KR 20050111608 A KR20050111608 A KR 20050111608A KR 20050116789 A KR20050116789 A KR 20050116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service
data
pack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권
모연섭
Original Assignee
유넷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넷웨어(주) filed Critical 유넷웨어(주)
Priority to KR102005011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6789A/ko
Publication of KR2005011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당 신규 정책의 등록, 기존 정책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정책 관리부와, 정책 관리부에서 등록된 정책을 전달받아, 해당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책을 적용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로 요구하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 제공시에 해당 정책을 반영하는 서비스 관리부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왑게이트웨이, 다운로드 서버 또는/및 서비스 게이트 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없이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립된 정책을 해당 시스템으로 온라인 전달을 통해 정책 반영을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서비스 적용 및 용이한 시스템 운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타 네트워크 노드들을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Policy Based Service Management Platform In The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환경은 다양하고 폭넓게 발전하여 단순한 통신 서비스 외에, 통화로 개설전에 발신자에게 기계음 대신에 음악을 들려주는 서비스, 캐치콜 서비스(발신자가 전화를 걸 때 수신자의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수신자의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때 문자 메시지로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는 서비스) 등 부가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동단말기에서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도 그 기술과 표준모델이 꾸준하게 개발, 개량되어 사용자들은 다양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서비스의 내용(이른바 서비스 정책)이 새로이 도입될 때, 왑게이트웨이, Download 서버 및 기타 서비스 게이트웨이 시스템상의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수정 변경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왑게이트웨이는 가입자의 수 증가에 따른 트랜젝션의 증가로 인해 수십 개에 이르는 실정이여서 시간, 경제적 소모 등이 매우 많았었다.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에 있어 이동단말기(10)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접속하기 위해 키 조작을 통해 이동스위칭센터(20)를 경유하면 게이트웨이(30)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왑서버(40)에 접속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신규 정책, 예를 들어 무료광고서비스를 신규로 진행하기로 정책 결정한 경우, 통신망 운영자는 무료광고서비스용 왑서버를 구축하고, 이동단말기(10)로부터 무선인터넷 요청시 왑게이트웨이(3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호에 대한 가입자가 무료광고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무료광고서비스용 왑서버에 접속토록 왑게이트웨이(30)상의 응용프로그램을 수정 변경 및 개발하여, 무료 광고 서비스의 요구분석, 설계, 수정 및 시험 과정을 거침으로써, 2∼3 개월 이상의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었고, 따라서 생산성 저하를 낳는 결과를 야기하고 있었다.
이처럼 종래 기술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신규 서비스 적용 및 기존 서비스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 기존 시스템에 대한 변경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은 변경에도 서비스 중단 및 검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책의 온라인 전달(On-line Delivery)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신규 서비스 적용 및 변경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더욱더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규 서비스 적용이 필요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여 전달함으로써, 각종 게이트웨이의 변경없이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해당 신규 정책의 등록, 기존 정책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정책 관리부와, 정책 관리부에서 등록된 정책을 전달받아, 해당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책을 적용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로 요구하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 제공시에 해당 정책을 반영하는 서비스 관리부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관리부는, 정책 관리부와 인터페이스 하여 정책을 수신하여 그 정책을 검증 및 저장하고, 기존 정책에 대한 명령을 전달받아 그 정책의 정보를 변경 및 삭제하는 정책 관리 수단과, 왑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 하여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여 그 패킷에 대한 정보와 왑게이트웨이의 IP를 추출하고, 해당 서비스 패킷의 가입자 세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세션 정보를 생성 저장하고 그 세션 정보를 정책 처리 수단으로 전송하며, 왑게이트웨이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액션)를 생성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패킷 처리 수단과, 패킷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세션 정보의 키값, 조건값 및 조건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과 비교하여 해당 세션에 대한 정책 반영 여부를 판단하고, 정책 적용을 위한 액션을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요청하여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정책 처리 수단과, 처리 수단으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처리 수단의 액션을 호출하는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킷 처리 수단이 왑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면, 세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세션을 생성 저장하거나 패킷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정책 처리 수단이 패킷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세션 정보와, 정책 관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정보를 비교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패킷 처리 수단이 정책 적용을 위한 액션을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요청하여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과정, 및 왑게이트웨이가 재조립된 패킷을 전송받아 그 해당 주소를 갖는 왑서버로 이동단말기를 접속시켜 주는 과정으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로서, 부호50은 서비스 관리부(Enabler)이고, 부호60은 정책 관리부(Policy Manager), 부호70은 데이터 관리부(Data Manager)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은 크게 정책 관리부(60), 데이터 관리부(70) 및 서비스 관리부(50)로 구성된다.
서비스 관리부(5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게이트웨이에 Agent 형태로 실행되고, 정책 관리부(60)와 데이터 관리부(70)는 하나의 서버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될 수 있다.
정책 관리부(60)는 사업자가 기존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신규 서비스 적용 혹은 기존 서비스에 대한 변경이 필요할 때, 원하는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책 수립 기능을 제공하며, 신규 정책 등록, 기존 정책에 대한 변경 및 삭제, 정책 전달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관리부(70)는 정책 관리부(60)에서 등록된 정책을 전달받아, 해당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기능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책 적용을 담당하고,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전달의 신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반되는 데이터를 로컬 DB(80)에 보유하거나 혹은 필요시에 이격 설치되어 있는 DB(80)에 접속을 통해서 수집도 가능하다. 참고로, DB 대신에 LDAP가 사용 가능하다.
서비스 관리부(50)는 정책과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70)로 요구하고,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 제공시에 해당 정책을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서비스 관리부(50)는 신규 단위 기능 모듈을 온라인 다운로드를 통해 신규 기능(정책)의 제공이 가능하다.
예들 들어, 서비스 운영자가 신규로 무료광고 서비스를 적용을 결정한 경우, 그 무료광고서비스는 하나의 정책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정책 관리부(60)에 무료광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생성 및 등록하면, 정책 관리부(60)는 해당 정책을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한다.
즉 이동단말기(10)의 사용자가 무선인터넷에 접속한 경우 신규 정책이 없었을 때에는 왑게이트웨이(30)는 예를 들어 www.potal.com의 주소를 갖는 왑서버(40)에 접속시켜 소정의 서비스를 진행시켰다.
그러나 신규의 정책, 즉 무료광고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이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의 이동단말기(10)가 무선인터넷에 접속시, www.potal.com으로 접속을 하여도 그 해당 주소에 접속하기 전에 무료광고서비스로 전환시키기 위해, 무료광고 서비스의 주소, 예를 들어 www.freeadvertisement.com 의 주소를 갖는 왑서버(40)로 접속하게 하고, 무료광고가 완료되면 다시 최초의 www.potal.com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일 먼저 이러한 정책을 정책 관리부(60)에서 생성하게 되면, 정책은 로컬 DB(80)에 저장되고, 또 한편으로는 서비스 관리부(50)로 전달되어 서비스 관리부(50)의 로컬 DB(미도시)에도 저장된다.
도3은 서비스 관리부(50)의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서비스 관리부(50)는, 정책 관리 블록(59)과 정책 송수신 블록(58)으로 구성된 정책 관리 수단과, 패킷 처리 블록(53)과 세션 관리 블록(52) 및 패킷 송수신블럭(51)으로 구성된 패킷 처리 수단과, 컴포넌트 처리 블록(55)과 정책 적용 처리 블록(54)으로 구성된 정책 처리 수단과, 데이터 관리 블록(57)과 데이터 송수신 블록(56)으로 구성된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블록들은 자세하게 후설될 것이다.
먼저, 정책 관리부(60)에서 무료광고서비스에 대한 정책이 생성 및 등록되면, 이 정책은 서비스 관리부(5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전달되는 정책은 Policy ID, Key, Condition ID, Condition Data, Action ID, Action Data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 Policy ID : 각 정책을 구분하기 위한 ID
- Key : Condition 적용을 위한 대상
- Condition ID : Action 수행을 위한 조건
- Condition Data : Condition 비교 수행을 위한 데이터
- Action ID : Condition 만족시에 수행되는 단위 기능
- Action Data : 단위 기능 수행시에 필요한 Data
정책 송수신블럭(58)은 정책 관리부(60)와 인터페이스 하여, 수신된 정책을 정책 관리블럭(59)으로 전달하고, 정책 관리블럭(59)은 전달받은 정책에 대한 검증 작업을 수행하여, 해당 정책을 저장한다.
그리고 정책 관리블럭(59)은 위에서처럼, 신규 정책 수신외에도, 정책 관리부(60)로부터 기존 정책에 대한 명령을 전달받아 정책을 구성하고 있는 각 정보에 대한 변경 및 삭제 기능도 수행한다.
정책이 수립되어 그 정보가 서비스 관리부(50)로 제공되면, 그 이후부터 이동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접속 요청시 유입되는 서비스 패킷에 대하여 정책 적용이 가능해진다.
즉 이동단말기(10)의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시도하면, 이동단말기(10)의 서비스 요청 정보가 왑게이트웨이(30)로 전달되고, 왑게이트웨이(30)는 이동단말기(10)가 전송하는 정보(서비스 패킷)를 서비스 관리부(50)의 패킷 송수신블럭(51)으로 전송한다.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왑게이트웨이(30)에서 수신한 서비스 요청 패킷의 헤더에 있는 내용들이며, 헤더의 정보는 HTTP 1.x/2.x의 표준 규격에 따른다.
패킷 송수신블럭(51)에 서비스 패킷이 수신되면 패킷에 대한 검증 및 전송 왑게이트웨이(30)의 IP를 확인한 후, 수신된 서비스 패킷은 세션 관리블럭(52)으로 전달되고, 세션 관리블럭(52)은 해당 서비스 패킷을 전송한 이동단말기(10)의 가입자 세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신규 세션인 경우에는 헤더 정보와 User Agent Field로부터 이동단말기 번호(MIN), L4 Protocol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IP 정보 등을 추출하여 세션 정보를 생성 저장하고, 이 정보를 패킷 처리블럭(53)으로 전달한다.
패킷 처리블럭(53)은 왑게이트웨이(30)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세션 관리블럭(52)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신규로 생성된 세션인 경우에는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으로 전달하고, 해당 정보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 세션과 연결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세션에 대하여 반영되어 있는 정보를 수집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왑게이트웨이(30)로 전달한다.
반면에 기존 세션에 연결되는 정보인 경우에도, 전달된 세션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URL이 기존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새로운 정책 반영이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고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으로 전달한다.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은 세션 정보가 수신되면,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정책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세션에 대한 정책 반영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정책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Key와 Condition 및 Condition Data를 이용하여, 세션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Key 값에 대해서 Condition 및 Condition Data를 이용하여 비교를 수행한다.
Condition 비교시에 가입자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 관리블럭(57)으로 필요 정보를 요청한다. 데이터 관리블럭(57)은 필요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블럭(56)으로 전달하면, 데이터 송수신블럭(56)은 전달된 메시지를 해당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송신한다.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응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Condition 비교 결과, 정책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정책 정보 리스트에 있는 Action ID에 해당하는 컴포넌트 처리블럭(55)내 Action을 호출한다.
이때, Action 수행시에 필요한 Data는 Action Data에 포함되어 있다. Action이 수행이 완료되면, 결과를 세션 정보에 저장을 하고, 완료되었음을 패킷 처리블럭(53)으로 알려준다. 패킷 처리블럭(53)은 세션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왑게이트웨이(30)로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송수신블럭(51)을 통해 왑게이트웨이(30)로 전달한다.
컴포넌트 처리블럭(55)은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핵심 처리부로서,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을 통해서 해당 단위 기능들을 수행한다. Action에 해당하는 단위 기능들은 필요시 추가가 가능하다.
도4는 서비스 관리부(50)에 신규 정책이 등록된 후 이동단말기(10)가 해당 신규 정책을 기능하는 왑서버(40)로 접속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요약하면, 패킷 처리 수단이 왑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면, 세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세션을 생성 저장하거나 패킷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정책 처리 수단이 패킷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세션 정보와, 정책 관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정보를 비교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패킷 처리 수단이 정책 적용을 위한 액션을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요청하여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과정, 및 왑게이트웨이가 재조립된 패킷을 전송받아 그 해당 주소를 갖는 왑서버로 이동단말기를 접속시켜 주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지금부터 앞에서 언급되었던 무료광고서비스에 대한 정책 적용을 예로 들어 도4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료광고서비스가 제공되기 전에, 정책 관리부(60)는 무료광고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서비스 관리부(50)의 정책 송수신블럭(58)을 통해서 전달해야 한다. 전달받는 정책 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Policy ID : 1005 (무료광고서비스)
Key : 3 (MIN)
Condition : 1 (EqualTo)
Condition Data : 5 (RequestToSubscriberDB)
Action ID : 200 (URLModify)
Action Data : www.freeadv.com
상기와 같은 정책이 전달된 후, 이동단말기(10)가 왑게이트웨이(30)로 무선인터넷 서비스 접속(www.potal.com)을 요청하면, 서비스 관리부(50)의 패킷 송수신블럭(51)은 왑게이트웨이(3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S101), 세션 관리블럭(52)으로 서비스 패킷을 전달한다.
세션 관리블럭(52)은 가입자 세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S102),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 세션을 생성 저장하고(S104),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단말기 번호(MIN) 등 패킷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S104).
패킷 처리블럭(53)은 전달된 세션 정보가 신규로 생성된 경우에는, 해당 세션 정보를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으로 전달한다(S105).
정책 적용 처리블럭(54)은 세션 정보와 정책 관리부(60)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정보를 Key(MIN) 값에 대한 Condition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Condition 비교시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수행한다(S106).
무료광고서비스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해서 적용을 하는 것이므로, 기존 세션 정보에 해당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데이터가 세션 정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S107),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가입자 MIN에 대한 무료광고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S108), 무료광고서비스 적용 여부에 대해서 판단을 한다(S109).
만약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라면 바로 무료광고서비스 적용 여부에 대해서 판단을 한다(S109).
무료광고서비스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무료광고서비스 정책 정보에 있는 Action ID를 이용하여 해당 Action을 호출하는데, 이는 컴포넌트 처리블럭(55)을 호출하여 이루어진다(S110).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세션 정보와 Action Data이다.
정책 적용을 위한 Action이 완료되면, 패킷 처리블럭(53)은 변경된 URL 정보(www.freeadv.com)와 기존 헤더 정보를 조합하여,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30)로 전달한다(S111).
재조립된 패킷을 전송받은 왑게이트웨이(30)는 해당 주소를 갖는 왑서버(40)로 접속하여 무료광고서비스를 이동단말기(10)에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재된 내용에 의해 하기 청구항의 내용에 실질적 변경 없이 다양한 실시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왑게이트웨이, 다운로드 서버 또는/및 서비스 게이트 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변경없이 신규 서비스(정책)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립된 정책을 해당 시스템으로 온라인 전달을 통해 정책 반영을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서비스 적용 및 용이한 시스템 운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타 네트워크 노드들을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이동통신망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3은 서비스 관리부의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4는 이동단말기가 해당 신규 정책을 기능하는 왑서버로 접속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이동단말기 20 : 이동스위칭센터, 교환기/NAS
30 : 왑게이트웨이/서비스 게이트웨이 40 : 왑서버
50 : 서비스 관리부 51 : 패킷 송수신블럭
52 : 세션 관리블럭 53 : 패킷 처리블럭
54 : 정책 적용 처리블럭 55 : 컴포넌트 처리블럭
56 : 데이터 송수신블럭 57 : 데이터 관리블럭
58 : 정책 송수신블럭 59 : 정책 관리블럭
60 : 정책 관리부(Policy Manager) 70 : 데이터 관리부(Data Manager)
80 : DB

Claims (3)

  1.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해당 신규 정책의 등록, 기존 정책에 대한 변경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정책 관리부와,
    정책 관리부에서 등록된 정책을 전달받아, 해당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책을 적용하는 데이터 관리부와,
    정책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부로 요구하고,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서비스 제공시에 해당 정책을 반영하는 서비스 관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정책 관리부와 인터페이스 하여 정책을 수신하여 그 정책을 검증 및 저장하고, 기존 정책에 대한 명령을 전달받아 그 정책의 정보를 변경 및 삭제하는 정책 관리 수단과,
    왑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 하여 이동단말기의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여 그 패킷에 대한 정보와 왑게이트웨이의 IP를 추출하고, 해당 서비스 패킷의 가입자 세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세션 정보를 생성 저장하고 그 세션 정보를 정책 처리 수단으로 전송하며, 왑게이트웨이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액션)를 생성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패킷 처리 수단과,
    패킷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세션 정보의 키값, 조건값 및 조건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과 비교하여 해당 세션에 대한 정책 반영 여부를 판단하고, 정책 적용을 위한 액션을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요청하여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정책 처리 수단과,
    정책 처리 수단으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처리 수단의 액션을 호출하는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3.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패킷 처리 수단이 왑게이트웨이로부터 서비스 패킷을 수신하면, 세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세션을 생성 저장하거나 패킷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
    정책 처리 수단이 패킷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세션 정보와, 정책 관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정책 정보를 비교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패킷 처리 수단이 정책 적용을 위한 액션을 데이터 관리 수단으로 요청하여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패킷을 재조립하여 왑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과정, 및
    왑게이트웨이가 재조립된 패킷을 전송받아 그 해당 주소를 갖는 왑서버로 이동단말기를 접속시켜 주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KR1020050111608A 2005-11-22 2005-11-22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KR20050116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608A KR20050116789A (ko) 2005-11-22 2005-11-22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608A KR20050116789A (ko) 2005-11-22 2005-11-22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789A true KR20050116789A (ko) 2005-12-13

Family

ID=3729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608A KR20050116789A (ko) 2005-11-22 2005-11-22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67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92B1 (ko) * 2006-09-29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 기반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정책 클라이언트의 정책적용 대상 결정 방법
US7756056B2 (en) 2006-12-01 2010-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integrated network of heterogeneous mobile network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2-12-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92B1 (ko) * 2006-09-29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책 기반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정책 클라이언트의 정책적용 대상 결정 방법
US7756056B2 (en) 2006-12-01 2010-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integrated network of heterogeneous mobile network
KR20220166543A (ko) 2021-06-10 2022-12-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n end user for billing in a network environment
US6836805B1 (en) Scheduled alias resolution
US79248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end users in a peer-to-peer transac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EP1221818B1 (en)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019384B (zh) 用于在网络环境中分配和分发最终用户信息的系统和方法
MXPA04009808A (es) Tarifa escalonada de tiempo real de servicios de comunicacion.
US7886052B2 (en) Capability broker and messaging system
CN107222561A (zh) 一种传输层反向代理方法
EP0940024A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WO1998024208A9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1115309B (zh) 拜访地网络、归属地网络、拜访地业务使用系统、方法及终端
KR20050116789A (ko) 무선 인터넷에서 정책(Policy) 기반 서비스 관리 플랫폼
JP2003060714A (ja) カスタムサービス提供方法
CN101150818A (zh) 一种访问用户识别卡内置www服务器的方法及移动终端
CN101836405B (zh) 用于通过SIP终端在VoIP网络系统中发布、查询和订阅信息的方法、SIP终端、SIP应用服务器、SIP信息中心和VoIP网络系统
FI108694B (fi) Yhteyskahva
CN101635632B (zh) 认证与配置方法、系统和装置
GB2319710A (en) Quality of service in data communication systems
KR101247336B1 (ko)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97464B (zh) 用于控制分组交换数据流中的实时连续数据的系统和方法
CN100355313C (zh) 一种防止终端用户非法漫游的方法
CN102111396B (zh) 基于ims网络实现wap业务的系统和方法和设备
KR101101960B1 (ko)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442785A (zh) 利用统一数据库控制漫游权限的方法和系统
KR100596396B1 (ko) 웹서비스 기반 개방형 api를 이용한 선불카드 계좌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