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12548A1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12548A1
WO2015012548A1 PCT/KR2014/006598 KR2014006598W WO2015012548A1 WO 2015012548 A1 WO2015012548 A1 WO 2015012548A1 KR 2014006598 W KR2014006598 W KR 2014006598W WO 2015012548 A1 WO2015012548 A1 WO 20150125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switch
control device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5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인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41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392542B/zh
Publication of WO20150125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125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supplying the treated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r blocking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or the water storage tank.
  • the water treatment device which is more specifically used to open and close the feed valv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using the switch associated with the float and the float, and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loat It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a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so as not to be supplied.
  • Level control device is a device that can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djusts the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by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or block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provided in a water storage tank and the like,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to electronically adjust the water level including a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or.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may als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like mechanically as shown in Figs.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float 300 that moves, ie, lift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as shown in FIG. do.
  • such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such as a water purifier, as shown in FIG.
  • the level contro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Accordingly,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may be linked. For example,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is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n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or 211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s a water level. Without being stored in the control device 100, all through the connector 211 can flow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In addition, after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connector 211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can be the same. have.
  •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it is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from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running water, and at least one water purification filter 21, 22, 23, 24.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including a). Then, the water treated in the filtration unit 20, that is,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via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 water purification filter 21, 22, 23, 24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including a).
  • the water treated in the filtration unit 20 that is,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via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reach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ration unit 20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or from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Do not supply water.
  •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221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20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by the supply line (L3). .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filter 21 of the water filter 21, 22, 23, 24 of the filter unit 20 by the connecting line (L2)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y the connecting line (L2)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50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22 is provided.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451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L2), the flow path 451,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53 is moved, that is, elevated
  •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452 is provided.
  • a magnet 422 is provided around the fitting portion 321 of the fitting portion 300, and the fitting guide portion 212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21 is an opening / closing sp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452).
  • the plunger 421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ub-guide part 212, and the elastic member 423 is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plunger 421.
  • first link member 510 is hinged to the sub-ball 300, and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is hinged to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is hinged to the case 200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floats 3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30 is provided on the moving part 222a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221 to be movable by the second link member 520.
  •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2 provided in the float 300 is plunger 421.
  • the plunger 421 moves, i.e., lowers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23, as shown in Fig. 16B.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53 is also moved by the plunger 431, that is, lowered to close the flow path 451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450. Accordingly,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is not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 the flow path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may not be closed due to a fail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is moved, that is, raised to close the water inlet 211 by turning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520 due to the rise of the buckle 300. . Accordingly,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11 is stopped so that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having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connection line L2 conn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450 and the second water filter 22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to each other.
  • the water flow sensor 40 detects this and drives the pump 60.
  • the water supply source flows in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and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0 of the first water filter 21 and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Since a pressure drop occurs while water flows to the flow sensor 40,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flow of water in the flow sensor 40.
  • the flow detection sensor 40 since the flow rate is small when the supply pressure of the water is low, when the flow detection sensor 40 detects the flow of water and drives the pump 60, the water in the connection flow path L2 provided with the flow detection sensor 40 is The pump 60 flows to the second water filter 22. As a result, the flow sensor 40 detects that water does not flow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pump 60. And this phenomenon repeatedly occurs repeatedly.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chattering occurs.
  • the check valve CV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low sensor 40,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hattering phenomenon still occurs even when the check valve CV is provided.
  •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ay be used as the third purified water filter 23 of the filtration unit 20.
  • the third water filter 23 is connected to a drain line LD for draining unfiltered water.
  • the check valve CV is provided in the drain line LD.
  • water that is not filtered in the third water filter 23 during the power failur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rained through the drain line LD.
  • TDS Total Dissolved Solids
  •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filter 23, which is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reduced.
  • the TDS value present in the third water filter 23 which is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ncreases due to the power failure,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third water filter 23 decreases.
  • the TDS value of the water filtered by the purified water filter 23 is also high.
  • the reference numeral 'RV' is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V' is a domestic water valve.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to operate the switch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by lifting the floa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eed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to be electr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switch.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water inl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level control devic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feed valve.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flow of water by a flow sensor without chattering even in a region where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such as an ultra low hydraulic region.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no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in a single stage when no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during a power outage.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a lot of water is drained from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TDS value of water present i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or water filtered by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not high.
  • 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use in a region where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such as an ultra low pressure zone or a lot of power outages.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a case having a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water storage tank is supplied with water; A mouthpiece provided in the case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ase; A switch unit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operate in association with the accessory; And a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opens and closes the water supply port in association with the float. It may include.
  • th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as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high,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when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the water supply opening may be closed by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part.
  • the switch is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switch including an operating member; And a switch operating part associated with the accessory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is operated. It may include.
  • the switch may be a micro switch.
  • the switch oper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case plunger movably provided in the sub-guide guid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ub-ball; And a magnet provided in the mouth to exert a magnetic force on the plunger; It may include.
  • the magnet may be provided around the f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ub-ball so that the sub-guide part is fitted.
  • the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lunger may further include.
  • the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hinged to the sub-portion; A second link member hing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cas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It may include.
  • the case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port may be provided with a hinge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second link member,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mo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movable.
  • the case includes a main body member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a moving storage space is formed to move the sub-ball and the connector and the switch part are provided.
  • the connector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 the switch unit may be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member.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t least one water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Filtration unit comprising a; The above-described water level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A water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level control device; A flow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water flows in a supply lin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lter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witch unit included in the level control device; And a feed valve provided at one of the connection lines connecting the water filter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ow detection sensor and the switch unit. It may include.
  • the pump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ow sensor and the switch; It may further include.
  • the feed valve may be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first water filter and the second water filter of the water filter.
  • the pump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is provided with a feed valve.
  • the filtr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 the flow sensor may be connected to a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and the feed valve and the pump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 the feed valve can be opened by the switch and the pump can be operated.
  • the feed val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reach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the feed valve may be closed by a switch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may be stopped.
  • the feed valve may be closed by the flow sensor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may be stopped.
  • the feed valve may be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may be stopped.
  • the water supply port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may be closed by the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 the switch may be operated by lifting up and down the bal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ncluding the switch unit including the switch.
  • the feed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can be electr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switch.
  • the water supply port for supplying water to the level control device may be closed.
  • a large amount of water is drained from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so that the water is not wast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region where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for example, an ultra low hydraulic region or a region where a lot of power failure occurs.
  •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at a water level low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 occurrence of failure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 4 to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4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 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water level control device.
  • 17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
  • FIGS. 4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ase 200, a float 300, a switch unit 400, and a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unit 500. have.
  • the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21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the water storage tank 30 to which water is supplied. I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the water supply port 221 of the case 200, by the supply line (L3) 1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20 included in.
  • the connector 211 of the case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by a tube fitting (not shown) or the like, or the water storage tank by the connection pipe T as shown in FIG. 8. 30 may be connected.
  • the connection port 211 of the case 200 allows the flow of water from the case 200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but the flow of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30 to the case 200 is impossible to check valve ( Not shown) may be provided.
  • water filtered by one or more water purification filters 21, 22, 23, and 24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20 is supplied to the case 200 through the supply line L3. May be supplied to the sphere 221. And, as shown in Figure 4, the filter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through the water inlet 221. In additio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may flow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rough the connector 211 of the case 200 as shown in FIG.
  •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is the connector 211 of the case 200. It can continue to flow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30).
  •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reaches the height of the connector 211 of the case 200,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the same. Afterwards, even if there is a slight time difference,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may rise or fall together.
  •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below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se 200 may include a main body member 210 and a cover member 220.
  • the body member 210 may be formed with a moving storage space C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ub-ball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ved.
  • the body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the aforementioned connector 211 and the switch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nnector 211 may be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member 21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ater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210 may flow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rough the connector 211.
  • the main body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a sub-guide part 212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the sub-guide part 212 of the body member 210 may b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321 provided in the sub-ball 3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float 300 is guided by the float guide portion 212, so that the float 300 does not vibrate or collide with the case 200, as shown in FIGS. Can mov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ver member 220 may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210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the cover member 220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port 22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ater may flow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221 and flow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200.
  • the cover member 220 adjacent to the water inlet 221 has a hinge connecting portion 222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520 included in the water outle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0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provided.
  • the hinge connector 222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part 222a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221 and provided with a movable member 53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d in the water outlet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30 may be moved by the second link member 520 in the moving part 222a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221.
  • the buoy 300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case 200, that is, the movement storage space (C) of the body member 210 described above to mov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 the accessory 300 may include the accessory body 310 and the cover member 32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the secondary body 31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 the cover member 320 may cover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ary body (310). Accordingly, the space formed in the sub-body main body 310 is sealed and the sub-ball 300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ase 200.
  • the cover member 320 of the buoy 300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321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 the above-described sub-guide part 212 provided in the body member 210 of the case 200 may be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21 of the sub-ball 300.
  • the fitting portion 321 may be formed with a fitting hole 321a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configuration of the sub-ball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move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 the switch unit 400 may be provided in the case 200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ccessory 300. To this end, the switch unit 400 may include a switch 410 and a switch operation unit 420.
  • the switch 410 may be provided in the case 200. As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switch 41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member 210 included in the case 200.
  • the switch 4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witch connect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ing member 440.
  • the first switch connect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ing member 4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member 210 of the case 200 by a connecting member B such as a bolt.
  •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switch connect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switch connecting member 440 such that the switch 410 is provided is a sub-guide portion provided in the body member 210 of the case 200 described above.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212.
  •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witch 41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member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may be used.
  • the switch 410 may include an operating member 411.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11, the switch 410 may be electrically turned on or off. In addition, the switch 410 may be, for example, a micro switch.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4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the configuration can be turned ON or OFF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411.
  • the switch operating unit 420 may be associated with the accessory 300 to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 the switch operating unit 420 may include a plunger 421 and a magnet 422.
  • the plunger 42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ub-guide part 212 provided in the body member 210 of the case 200 described above.
  • the sub-guide part 212 may include a moving hole 212a having a plunger 421 movable therein.
  • the plunger 421 may be made of metal or the like to be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2.
  • the magnet 422 may be provided in the float 300 to apply a magnetic force to the plunger 421. To this end, the magnet 422 is fitted to the cover member 320 of the mouth portion 300 so that the side guide portion 212 of the body member 2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It can be provided around the.
  • the plunger 421 is moved, that is, maintained at an elevated positi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20. Therefore, the plunger 421 cannot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 the buoy 300 may not have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20 provided in the buoy 300 to act on the plunger 421. Can be moved up, ie rais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plunger 421 is dropped by its own weight to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 the full water level of the case 200 may be set by the user to the same position as the full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
  • the switch operation unit 42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423 as shown in FIGS. 2 and 3.
  • An elastic force may act on the plunger 421 by the elastic member 423.
  • the elastic member 423 may be provided in the movement hole (212a) of the above-described sub-guide part 212, the plunger 421 is movable.
  • the elastic member 423 may be provided in the moving hole 212a of the sub-guide part 212 so that one side thereof contacts the upper portion of the plunger 421.
  •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becom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where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20 provided in the buoy 300 cannot act on the plunger 421.
  • the plunger 421 may drop not only by its own weight but also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23 to exert a force on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 the plunger 300 moves, i.e., the plunger 421 is the bulge 300 immediately. It may not rise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2 provided in the. That i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2 acting on the plunger 421 must be lowered to a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of the plunger 421 is greater than the magnetic weight of the plunger 421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23, so that the plunger 421 moves, i.e., the switch ( The force may not be applied to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410.
  • the plunger 421 may not apply a force to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only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for example, the water level lower than the water level.
  • This predetermined level may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23.
  • water is supplied to the case 200 on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that i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linked thereto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so tha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case 200.
  • 30 may be supplied with water. That is,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the switch 410 is not immediately operated by the plunger 421, and the plunger 421 must be below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Switch 410 may be activated.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the number of operations may be lower than when the switch 410 is directly operated, there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failure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unit 500 ma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opening 221 of the case 200 inclu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n association with the buoy 300.
  •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part 500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510, a second link member 52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530.
  • the first link member 510 may be hinged to the sub-ball 300.
  • connection part 311 in which the connection hole 311a is formed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accessory 300, that is, the accessory body 300.
  • a connection hole 51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 the connection pin P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311a of the connection part 311 and the connection hole 511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 the second link member 520 may be hinged to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case 200, that is, the body member 210 of the case 200.
  • connection hole 51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a connection hole 52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 connection pin P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512 of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connection hole 521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 connection hole 52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and a connec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inge connection part 222 of the cover member 220 described above.
  • connection pin P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522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and the connection hole of the hinge connector 222.
  • first link member 510 is hinged to the sub-ball 310 and the second link member 520 is hinged to the first link member 510 and the case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y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hinged configura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30 may be linked to the second link member 520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221 of the case 200. To this e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530. In additio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moves in the moving part 222a formed in the hinge connection part 222 of the case 200 by turning the second link member 5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ccessory 300. 4 to 7, the water supply port 221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222a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520 is movable to the moving part 222a as the second link member 520 rotates. Any shape and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has a switch 410 included in the switch unit 40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Can be turned ON. That is, when the plunger 421 of the switch operating unit 420 does not apply a force to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the switch 410 may be in an ON state.
  • the switch 41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reach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the switch 410 may be turned off. That is, when the plunger 421 of the switch operating unit 420 exerts a force on the operating member 411 of the switch 410, the switch 410 may be in an OFF state.
  •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ase 200 is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as shown in Figure 7,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that is,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art
  • the water supply port 221 may be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of 500.
  • the feed valve 50 provided in the supply line L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10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as described later and shown in FIGS. 9 to 14 is electrically connected.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water supply opening 221 may be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member 530 of the water supply opening / closing unit 500 described above.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9 to 14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may include a filtration unit 20, the above-described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 water storage tank 30, a flow sensor 40, and a feed valve 50. .
  • the filtration unit 20 may include one or more water purification filters 21, 22, 23, and 24 for filtering water, as show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 the purified water filters 21, 22, 23, and 24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20 are, for example, the first water filter 21, which is a sediment filter, and the second water filter 22, which is a free carbon filter,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A third water filter 23 as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nd a fourth water filter 24 as a post carbon filter.
  • the purified water filters 21, 22, 23, and 24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purified water filter may be used as long as the purified water filter filters water.
  • the purified water filters 21, 22, 23, and 24 of the filtr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line L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the water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urified water filters 21, 22, 23, and 24 of the filtration unit 20.
  • the filtr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such as tap water by the supply line L1.
  •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tap water by the supply line L1.
  • the supply line L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filter 21 of the filtration unit 20 so that the filtr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through the supply line L1.
  • the drain line LD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water filter 23.
  • water that is not filtered in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filter 23, which is a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may be drained through the drain line LD.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20.
  • the filtra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221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supply line L3 is connected to the fourth water filter 24 of the filtration unit 20 and the water supply port 221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so as to adjust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20.
  •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1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As illustrated in FIG. 8, the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1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by a connecting pipe T. However, the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1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by a tube fitting or the like.
  • the water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30.
  • the water storage tank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water storage tank 30 may be used as long a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100 is stor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100.
  • the flow sensor 40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flow of water in the supply line (L1)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ltration unit 20.
  • the flow sensor 40 is provided in the supply line L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the pressure lowered while the water flows up to the flow sensor 40 may be sma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water flows without chattering even in a region where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such as an ultra low hydraulic region.
  •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s illustrated in FIG. 17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water flows without chattering without the check valve CV. Therefore, it can be used even in a region where the water supply pressure is low, for example, an ultra low hydraulic reg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 the flow sensor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00 inclu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that is, the switch 410 of the switch 400 as shown in FIG. 8.
  • the flow sensor 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ed valve 50 and the pump 6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and described later.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when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s stopped, that is, when water is cut off, it may be detected that the water does not flow in the flow sensor 40. In addition, the feed valve 50 may be closed by the signal of the flow sensor 40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60 may be stopped. As a result,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may not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unnecessarily in a short time.
  •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sensor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provided in the supply line L1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ltration unit 20 to detect the flow of water. .
  • Feed valve 50 may be provided in one of the connection line (L2) for connecting the water filter (21, 22, 23, 24)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20 to each other.
  • the feed valve 50 has a connection line L2 connecting the first water filter 21 and the second water filter 22 among the water filters 21, 22, 23, and 24. It may be provided in.
  • the connection line (L2) connecting the second water filter 22 and the third water filter (23) or the third water filter (23) and the fourth water filter (24). It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L2).
  • the feed valve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flow sensor 40 and the switch 400, that is, the switch 410 included in the switch 400. have.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eed valve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10.
  • the feed valve 50 may be opened by the switch 410.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or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and the switch 410 is electrically turned on, the feed valve 50 may be opened. As a resul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and filtered,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feed valve 50 may be closed by the switch 410 as shown in FIG.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becom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and the switch 410 is electrically turned off, the feed valve 50 may be closed. As a result,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may not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 the feed valve 50 may be closed by the flow sensor 40. Accordingly,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may not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from operating unnecessarily in a short time.
  •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filtered from the filtration unit 20,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30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may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 the float 300 is moved further, that is, the second link member 520 included in the water supply opening and closing part 500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is turn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water supply port 221 may be closed by the 530.
  •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unit 20 may not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water treatment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pump 60 as shown in FIG. 8.
  • the pump 60 may be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L2 for connecting one or more water purification filters 21, 22, 23, and 24 included in the filtration unit 20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ration unit 20 can be made smoothly, and when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is used as the third water purification filter 23,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can provide the pressure necessary for filtration. Can be.
  • the pump 60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line L2 provided with a feed valve 50.
  • the feed valve 50 is provided in the connecting line L2 connecting the first water filter 21 and the second water filter 22, the pump 60 also includes the first water filter 21.
  • the second water filter 22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line L2.
  • the pump 60 may be provided in another connection line L2 not provided with the feed valve 50.
  • the pump 6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witch 410 included in the flow sensor 40 and the switch 400, that is, the switch 400, like the feed valve 50 described abov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pump 60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1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41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pump 6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pump 60 may be operated by the switch 410.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switch 410 is electrically turned on, the pump 60 may be operated. As a result,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and filtered,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 through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100.
  • the operation of the pump 60 may be stopped by the switch 410.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100 becomes a predetermined full water level and the switch 410 is electrically turned off, the operation of the pump 60 may be stopped. As a result,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source may not be supplied to the filtration unit 20.
  • reference numeral 'WV' is a living water valve
  • 'O' is a sealing member such as O-ring.
  • the float when using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flo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ssociated wit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 water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device, the feed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can be electr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switch, and when the feed valve fails, the water inle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is closed. You can do that.
  • the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treatment device at a water level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failures are reduced and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 the water level control device and the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electively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을 수처리장치에 공급하고 처리된 물을 물저장탱크에 공급하거나 수처리장치 또는 물저장탱크로의 물을 공급을 차단하는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와 부구와 연계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피드밸브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며 정전시에는 부구와 연계되어 기계적으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에 따라 물저장탱크 등에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물저장탱크 등에 연결된 물공급관 등에 구비되며 수위센서에 연결된 밸브를 포함하여 전자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수위조절장치는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으로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수위조절장치(10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에 따라 이동, 즉 승강하는 부구(300)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수위조절장치(100)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된 물저장탱크(30)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는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연계될 수 있다. 예컨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며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되는 연결구(211)의 높이보다 낮으면 수위조절장치(100)에 유입된 물은 수위조절장치(100)에 저장되지 않고 연결구(211)를 통해 모두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의 높이와 같아진 이후에는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같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으면 상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포함하는 여과부(2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과부(20)에서 수처리된, 즉 여과된 물은 수위조절장치(100)를 거쳐서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거나 수위조절장치(100)로부터 물저장탱크(30)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15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위조절장치(100)에는 공급라인(L3)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연결되는 급수구(2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은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 중 제1정수필터(21)에 연결되며 타측은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제2정수필터(22)에 연결되는 개폐부(450)가 구비된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라인(L2)에 연결되는 유로(451)와, 유로(451)와 연통되며 개폐부재(453)가 이동, 즉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공간(452)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구(300)에 구비된 끼움부(321)의 둘레에는 자석(422)이 구비되고, 끼움부(321)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구가이드부(212)는 개폐부(450)의 개폐공간(452)과 연통된다. 또한, 부구가이드부(212)의 내부에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423)가 플런저(421)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링크부재(510)가 부구(300)에 힌지연결되며, 제2링크부재(520)의 일측이 제1링크부재(510)에 힌지연결된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은 전술한 부구(300)와 개폐부(450)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100)의 케이스(200)에 힌지연결된다. 또한, 급수구(221)에 연결된 이동부(222a)에 개폐부재(530)가 제2링크부재(52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지 않아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도 소정의 만수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소정 높이 아래로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여 플런저(421)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물의 유입압력에 의해서 개폐부재(453)가 이동, 즉 상승하여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물공급원의 물이 개폐부(450)의 유로(451)를 통과하여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공급된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도 소정의 만수위가 되는 경우에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더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421)는 도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즉 하강한다. 그리고, 개폐부재(453)도 플런저(431)에 의해서 이동, 즉 하강하여 개폐부(450)의 유로(451)를 닫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이와 연계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는데도 개폐부(450)의 고장에 의해서 개폐부(450)의 유로가 닫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구(300)의 상승으로 인한 제1링크부재(510)와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이동, 즉 상승하여 급수구(211)를 닫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구(211)를 통한 수위조절장치(100)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 물저장탱크(30)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위조절장치(100)가 구비된 수처리장치(10)에는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열려서 물이 유동하면 유동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고 펌프(60)를 구동하였다.
그러나, 물공급원의 물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는,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에 유입되어 제1정수필터(21)와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를 거쳐 유동감지센서(40)까지 물이 유동하는 동안 압력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으면 유량도 적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고 펌프(60)를 구동하면 유동감지센서(40)가 구비된 연결유로(L2) 부분의 물이 펌프(60)에 의해서 제2정수필터(22)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유동감지센서(40)에서는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여 펌프(6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발생하게 된다. 즉,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 후단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였으며, 체크밸브(CV)가 구비되어도 채터링 현상이 여전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과부(20)의 제3정수필터(23)로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정수필터(23)에는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되는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정전이 되면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전에 의해서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의 작동이 멈춘다고 하더라도,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의 유로(451)는 열려있기 때문에, 정전 전보다는 낮은 압력이고 적은 유량이지만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닫히거나, 급수구(221)가 전술하고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힐 때까지 수처리장치(10)에서는 수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물의 유동 압력이 낮기 때문에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은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전이 많은 지역에서는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을 버리게 되어, 물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면, 정전시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물의 TDS(Total Dissolved Solids:총용존고형물) 수치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낮은 압력과 적은 유량의 물이 유동하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의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전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에 의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TDS 수치가 높아지게 되고 제3정수필터(23)에서의 여과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도 높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종래의 수위조절장치(100)와 수처리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RV'는 감압밸브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압력을 소정의 바람직한 압력으로 낮추는 것이며, 'WV'는 생활용수밸브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된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부구와 연계하여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부에 포함된 스위치가 ON 되고,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가 OFF 되며,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급수구가 닫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케이스에 구비되며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작동부재가 작동되도록 부구와 연계되는 스위치 작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케이스에 구비되어 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구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런저; 및 플런저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부구에 구비되는 자석;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부구가이드부가 끼워지도록 부구에 구비된 끼움부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구 개폐부는 부구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제1링크부재와 케이스에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급수구를 개폐하도록 제2링크부재에 연계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구에 인접한 케이스에는 제2링크부재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며, 힌지연결부에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물이 저장되며 부구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연결구와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급수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여과부; 여과부에 연결되는 전술한 수위조절장치; 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물공급원과 여과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동감지센서; 및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드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밸브는 정수필터 중 제1정수필터와 제2정수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는 피드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라인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물저장탱크는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스위치부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연결되며, 피드밸브와 펌프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열리고 펌프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밸브의 고장으로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지면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된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가 닫힐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에서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종래의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수위조절장치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케이스(200), 부구(300), 스위치부(400) 및, 급수구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0)에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된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된다면, 공급라인(L3)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는 튜브 피팅(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T)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에는 케이스(200)로부터 물저장탱크(30)로의 물의 유동은 가능하나, 물저장탱크(30)로부터 케이스(200)로의 물의 유동은 불가능하도록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공급라인(L3)을 통해 케이스(200)의 급수구(22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된 물은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만약,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의 높이까지 이르지 않는다면,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계속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의 높이에 이르게 되면, 케이스(200)의 수위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같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후부터는 시간차는 다소 있더라도, 케이스(200)의 수위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같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3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에는 물이 저장되고 후술할 부구(300)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연결구(211)와 후술할 스위치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구(211)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재(210)의 부구가이드부(212)는 후술할 부구(300)에 구비되는 끼움부(32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가이드부(212)에 의해서 부구(300)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부구(300)가 진동되거나 케이스(200) 등에 부딪치지 않고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하부에는 후술할 스위치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22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220)에는 전술한 급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의 상부에 유입되어 케이스(200)의 하부로 유동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인접한 커버부재(220)에는 후술할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제2링크부재(520)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힌지연결부(222)에는 급수구(221)에 연결되고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개폐부재(5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제2링크부재(520)에 의해서 이동부(222a)에서 이동되어 급수구(221)가 개폐될 수 있다.
부구(300)는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200), 즉 전술한 본체부재(210)의 이동저장공간(C)에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구(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본체(310)와 덮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구본체(3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320)는 부구본체(310)의 개방된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본체(3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어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300)가 이동될 수 있다.
부구(300)의 덮개부재(32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끼움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부구(300)의 끼움부(321)에는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된 전술한 부구가이드부(212)가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끼움부(32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끼움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부구(30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러나, 부구(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부(400)는 부구(300)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케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부(400)는 스위치(410)와, 스위치 작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10)는 케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는 케이스(200)에 포함되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는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B)에 의해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410)가 구비되도록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은 전술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되는 부구가이드부(21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410)가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410)는 작동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재(411)의 작동에 의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치(410)는 예컨대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4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동부재(411)의 작동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 작동부(420)는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가 작동되도록 부구(300)와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 작동부(420)는 플런저(421)와 자석(42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421)는 전술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되는 부구가이드부(21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212)에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421)는 자석(422)의 자력에 영향받도록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422)은 플런저(421)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부구(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석(422)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부구가이드부(212)가 끼워지도록 부구(300)의 덮개부재(320)에 구비된 끼움부(321)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이 모두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하여, 부구(300)가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아직 이동, 즉 상승하지 않은 위치에 있거나, 상승하였더라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21)는 자석(320)의 자력에 의해서 이동, 즉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를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지 못하는 위치로 이동, 즉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21)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서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를 작동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200)의 만수위는 물탱크(30)의 만수위와 같은 위치로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스위치 작동부(42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23)에 의해서 플런저(421)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탄성부재(423)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술한 부구가이드부(212)의 이동홀(212a)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23)는 일측이 플런저(421)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부구가이드부(212)의 이동홀(212a)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지 못하는 위치로 부구(300)가 이동, 즉 상승된 경우, 플런저(421)는 자중뿐만 아니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낙하되어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물저장탱크(30)의 물을 사용하여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져서 부구(300)가 이동, 즉 하강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플런저(421)가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에 의해서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런저(421)에 작용하는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의 자중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되어야만 플런저(421)가 이동, 즉 상승하여,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0)의 소정 수위, 예컨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가 되어야만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정 수위는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 즉 이에 연계되는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어야만 케이스(200)에 물이 공급되어 물저장탱크(3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플런저(421)에 의해서 바로 스위치(410)가 작동되지 않고,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어야만 플런저(421)에 의해서 스위치(410)가 작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지면 바로 스위치(410)가 작동되는 경우보다 작동회수가 낮아질 수 있어서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급수구 개폐부(500)는 부구(300)와 연계하여 수위조절장치(100)에 포함되는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급수구 개폐부(500)는 제1링크부재(510), 제2링크부재(520) 및, 개폐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링크부재(510)는 부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부구(300), 즉 부구본체(300)의 상단부 중앙에는 연결구멍(311a)이 형성된 연결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부재(510)의 일단부에도 연결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11)의 연결구멍(311a)과 제1링크부재(510)의 연결구멍(511)에 연결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520)는 제1링크부재(510)와 케이스(200), 즉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링크부재(510)의 타단부에는 연결구멍(512)이 형성되고 제2링크부재(520)의 일단부에도 연결구멍(5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P)이 제1링크부재(510)의 연결구멍(512)과 제2링크부재(520)의 연결구멍(5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520)의 타단부에도 연결구멍(522)이 형성되고, 전술한 커버부재(220)의 힌지연결부(222)에도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P)이 제2링크부재(520)의 연결구멍(522)과 힌지연결부(222)의 연결구멍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링크부재(510)가 부구(310)에 힌지연결되고, 제2링크부재(520)가 제1링크부재(510)와 케이스(20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힌지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개폐부재(530)는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를 개폐하도록 제2링크부재(52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이 개폐부재(530)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부구(300)의 이동에 따른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힌지연결부(222)에 형성된 이동부(222a)에서 이동되어,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22a)에 연결된 급수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53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이 접촉하여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따라 이동부(222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부(400)에 포함된 스위치(410)가 ON 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작동부(420)의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410)가 ON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410)가 OFF 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작동부(420)의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작용하면, 스위치(410)가 OFF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케이스(200)의 수위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급수구 개폐부(500), 즉 급수구 개폐부(500)의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하고 도9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처리장치(1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L1)에 구비된 피드밸브(50)가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밸브(50)의 고장시에는 전술한 급수구 개폐부(500)의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여과부(20), 전술한 수위조절장치(100), 물저장탱크(30), 유동감지센서(40) 및, 피드밸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컨대 세디멘트 필터인 제1정수필터(21), 프리카본 필터인 제2정수필터(22),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 및, 포스트 카본 필터인 제4정수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는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은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를 차례로 거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여과부(20)는 공급라인(L1)에 의해서 상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라인(L1)이 여과부(20)의 제1정수필터(21)에 연결되어 여과부(20)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아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라인(L1)을 통해 여과부(2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20)에 제3정수필터(23)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제3정수필터(23)에는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될 수 있다.
수위조절장치(100)는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과부(2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는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급라인(L3)이 여과부(20)의 제4정수필터(24)와 수위조절장치(100)의 급수구(221)에 연결되어 수위조절장치(100)가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위조절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수위조절장치(100)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않고 전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물저장탱크(3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는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저장탱크(30)는 연결관(T)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물저장탱크(30)는 튜브 피팅 등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의 물은 물저장탱크(30)로 공급되어 물저장탱크(30)에 저장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되어 수위조절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물저장탱크(30)라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는 물공급원과 여과부(2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L1)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가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라인(L1)에 구비되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까지 물이 유동하면서 낮아지는 압력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chattering) 없이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10)에서와 같이 체크밸브(CV) 없이도 채터링 없이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4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에 포함되는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의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고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는 피드밸브(50)와 펌프(6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즉 단수(斷水)되는 경우에는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감지센서(40)의 신호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히고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에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원과 여과부(2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L1)에 구비되며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피드밸브(50)는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L2)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정수필터(21,22,23,24) 중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피드밸브(50)는 제2정수필터(22)와 제3정수필터(2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이나 제3정수필터(23)와 제4정수필터(24)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전술한 유동감지센서(40)와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에 포함되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면, 스위치(41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열릴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이 되면, 피드밸브(50)가 열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어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가 되면,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즉 단수되면, 유동감지센서(4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停電)이 되면 피드밸브(50)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어서 정전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제3필터(23)로 사용되는 경우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10)에서와 같이 물이 제3필터(23)로부터 많이 드레인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낭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처리장치(10)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장치(10)와는 달리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밸브(50)가 고장난 경우에는, 수위조절장치(100)가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100)의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 되더라도 피드밸브(50)가 닫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계속해서 공급되어 여과부(20)에서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더 이동, 즉 상승하여 수위조절장치(100)의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제2링크부재(520)가 선회함으로써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에서 여과된 물이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밸브(50)의 고장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60)는 여과부(2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로의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제3정수필터(23)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여과에 필요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는 피드밸브(50)가 구비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드밸브(50)가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되었기 때문에, 펌프(60)도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펌프(60)는 피드밸브(50)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도 전술한 피드밸브(50)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와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에 포함되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60)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410)에 의해서 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모자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이 되면, 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어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의해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 가 되면,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즉 단수되면, 유동감지센서(40)에 의해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停電)이 되면 펌프(60)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어서 정전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WV'는 생활용수밸브이며, 'O'는 오링 등의 밀봉부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고,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에서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상기 스위치부에 포함된 스위치가 ON 되고, 만수위가 되면 상기 스위치가 OFF 되며,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상기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상기 급수구가 닫히는 수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작동부재가 작동되도록 상기 부구와 연계되는 스위치 작동부;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수위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구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부구에 구비되는 자석; 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부구가이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부구에 구비된 끼움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 개폐부는
    상기 부구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에 연계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연결부에는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가 형성된 수위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부구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급수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13.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위조절장치;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상기 물공급원과 여과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동감지센서; 및
    상기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드밸브;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밸브는 상기 정수필터 중 제1정수필터와 제2정수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피드밸브가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물저장탱크는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연결구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스위치부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밸브와 펌프는 상기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상기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열리고 상기 펌프가 작동되는 수처리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상기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정전시에는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밸브의 고장으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지면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된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가 닫히는 수처리장치.
PCT/KR2014/006598 2013-07-26 2014-07-21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50125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1421.7A CN105392542B (zh) 2013-07-26 2014-07-21 水位控制装置和包括如此水位控制装置的水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030 2013-07-26
KR1020130089030A KR101856984B1 (ko) 2013-07-26 2013-07-26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548A1 true WO2015012548A1 (ko) 2015-01-29

Family

ID=5239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598 WO2015012548A1 (ko) 2013-07-26 2014-07-21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56984B1 (ko)
CN (1) CN105392542B (ko)
WO (1) WO20150125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90A1 (en) * 2018-01-22 2019-07-25 Lim Tsia Yong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CN111847684A (zh) * 2019-04-29 2020-10-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900B1 (ko) * 1996-03-27 1999-03-20 김광호 정수기의 원수공급상태 감지장치
KR20000000234U (ko) * 1998-06-05 2000-01-15 송재식 저수탱크의 수위제어장치
KR200450213Y1 (ko) * 2010-02-08 2010-09-13 김진환 정수기의 급수 제어장치
KR20110135517A (ko) * 2010-06-11 2011-12-19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이중 수위조절장치
KR101264617B1 (ko) * 2011-02-28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523Y1 (ko) * 2000-01-06 2000-08-01 몬 셍 린 기포 형성기
KR100447875B1 (ko) * 2002-02-04 2004-09-13 이재모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900B1 (ko) * 1996-03-27 1999-03-20 김광호 정수기의 원수공급상태 감지장치
KR20000000234U (ko) * 1998-06-05 2000-01-15 송재식 저수탱크의 수위제어장치
KR200450213Y1 (ko) * 2010-02-08 2010-09-13 김진환 정수기의 급수 제어장치
KR20110135517A (ko) * 2010-06-11 2011-12-19 동양매직 주식회사 정수기의 이중 수위조절장치
KR101264617B1 (ko) * 2011-02-28 2013-05-27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90A1 (en) * 2018-01-22 2019-07-25 Lim Tsia Yong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CN111278538A (zh) * 2018-01-22 2020-06-12 林嘉勇 无需压力箱或电泵的反渗透大气储罐
US11376551B2 (en) 2018-01-22 2022-07-05 Tsia Yong LIM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CN111847684A (zh) * 2019-04-29 2020-10-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92542B (zh) 2018-02-16
KR20150012899A (ko) 2015-02-04
KR101856984B1 (ko) 2018-05-15
CN105392542A (zh)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5274A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WO2012070703A1 (ko) 건설기계용 유량 제어밸브
WO2016080697A1 (ko) 물저장탱크용 블래더와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및 물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기기
WO2013051741A1 (ko) 건설기계용 우선 제어시스템
WO2015012548A1 (ko)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WO2013183871A1 (ko)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WO2012169676A1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WO2012134030A1 (en) Pump mounted gate
WO2010027151A2 (ko) 옥외 등기구용 유지보수장치
WO2018143553A1 (ko)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WO2022114441A1 (ko) 케미컬 필터 교체장치
WO2014098284A1 (ko) 플로팅 기능이 구비된 건설기계
WO2020055188A1 (ko)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34550A1 (ko) Dc-dc 전압 컨버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WO2019194327A1 (ko) 웨이퍼 수납용기
WO2014081053A1 (ko) 건설기계의 우선 기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035919A1 (ko) 캠방식을 이용하여 역세척을 제어하는 캔들타입 밸러스트수 여과장치
WO2015126107A1 (ko) 수처리장치
WO2020096136A1 (ko) 케미컬 필터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WO2011059168A2 (ko) 필터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필터어셈블리
WO2023120817A1 (ko) 듀얼 펌프의 스마트 컨트롤 시스템
WO2015152496A1 (ko) 액화석유가스의 대기식 기화 방법 및 액화석유가스용 대기식 기화 시스템
WO2010036071A2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및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EP2366192A1 (en) Half-automatic switch
WO2019022265A1 (ko) 유압 타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1421.7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290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290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