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84B1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6984B1 KR101856984B1 KR1020130089030A KR20130089030A KR101856984B1 KR 101856984 B1 KR101856984 B1 KR 101856984B1 KR 1020130089030 A KR1020130089030 A KR 1020130089030A KR 20130089030 A KR20130089030 A KR 20130089030A KR 101856984 B1 KR101856984 B1 KR 101856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level
- switch
- case
- level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44000145845 chattering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a transmission with parts linked together from a single float to a single val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을 수처리장치에 공급하고 처리된 물을 물저장탱크에 공급하거나 수처리장치 또는 물저장탱크로의 물을 공급을 차단하는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와 부구와 연계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피드밸브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며 정전시에는 부구와 연계되어 기계적으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에 따라 물저장탱크 등에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 등에 구비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물저장탱크 등에 연결된 물공급관 등에 구비되며 수위센서에 연결된 밸브를 포함하여 전자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수위조절장치는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으로 물저장탱크 등의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수위조절장치(10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에 따라 이동, 즉 승강하는 부구(300)를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수위조절장치(100)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된 물저장탱크(30)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는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연계될 수 있다. 예컨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며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되는 연결구(211)의 높이보다 낮으면 수위조절장치(100)에 유입된 물은 수위조절장치(100)에 저장되지 않고 연결구(211)를 통해 모두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의 높이와 같아진 이후에는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같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으면 상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포함하는 여과부(2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과부(20)에서 수처리된, 즉 여과된 물은 수위조절장치(100)를 거쳐서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거나 수위조절장치(100)로부터 물저장탱크(30)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15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위조절장치(100)에는 공급라인(L3)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연결되는 급수구(2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은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 중 제1정수필터(21)에 연결되며 타측은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제2정수필터(22)에 연결되는 개폐부(450)가 구비된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라인(L2)에 연결되는 유로(451)와, 유로(451)와 연통되며 개폐부재(453)가 이동, 즉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개폐공간(452)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구(300)에 구비된 끼움부(321)의 둘레에는 자석(422)이 구비되고, 끼움부(321)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구가이드부(212)는 개폐부(450)의 개폐공간(452)과 연통된다. 또한, 부구가이드부(212)의 내부에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423)가 플런저(421)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링크부재(510)가 부구(300)에 힌지연결되며, 제2링크부재(520)의 일측이 제1링크부재(510)에 힌지연결된다. 그리고,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은 전술한 부구(300)와 개폐부(450)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100)의 케이스(200)에 힌지연결된다. 또한, 급수구(221)에 연결된 이동부(222a)에 개폐부재(530)가 제2링크부재(52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지 않아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도 소정의 만수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소정 높이 아래로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여 플런저(421)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물의 유입압력에 의해서 개폐부재(453)가 이동, 즉 상승하여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물공급원의 물이 개폐부(450)의 유로(451)를 통과하여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공급된다.
또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도 소정의 만수위가 되는 경우에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더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421)는 도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 즉 하강한다. 그리고, 개폐부재(453)도 플런저(431)에 의해서 이동, 즉 하강하여 개폐부(450)의 유로(451)를 닫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수처리장치(10)의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물저장탱크(30)의 수위와 이와 연계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는데도 개폐부(450)의 고장에 의해서 개폐부(450)의 유로가 닫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구(300)의 상승으로 인한 제1링크부재(510)와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이동, 즉 상승하여 급수구(211)를 닫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구(211)를 통한 수위조절장치(100)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 물저장탱크(30)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위조절장치(100)가 구비된 수처리장치(10)에는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열려서 물이 유동하면 유동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고 펌프(60)를 구동하였다.
그러나, 물공급원의 물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는,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10)에 유입되어 제1정수필터(21)와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를 거쳐 유동감지센서(40)까지 물이 유동하는 동안 압력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으면 유량도 적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고 펌프(60)를 구동하면 유동감지센서(40)가 구비된 연결유로(L2) 부분의 물이 펌프(60)에 의해서 제2정수필터(22)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유동감지센서(40)에서는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여 펌프(6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발생하게 된다. 즉,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 후단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였으며, 체크밸브(CV)가 구비되어도 채터링 현상이 여전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여과부(20)의 제3정수필터(23)로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정수필터(23)에는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되는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정전이 되면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전에 의해서 유동감지센서(40)와 펌프(60)의 작동이 멈춘다고 하더라도, 수위조절장치(100)의 개폐부(450)의 유로(451)는 열려있기 때문에, 정전 전보다는 낮은 압력이고 적은 유량이지만 개폐부(450)의 유로(451)가 닫히거나, 급수구(221)가 전술하고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힐 때까지 수처리장치(10)에서는 수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물의 유동 압력이 낮기 때문에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은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전이 많은 지역에서는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을 버리게 되어, 물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되도록 하면, 정전시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물의 TDS(Total Dissolved Solids:총용존고형물) 수치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낮은 압력과 적은 유량의 물이 유동하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의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전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에 의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에 존재하는 TDS 수치가 높아지게 되고 제3정수필터(23)에서의 여과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도 높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된 종래의 수위조절장치(100)와 수처리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RV'는 감압밸브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압력을 소정의 바람직한 압력으로 낮추는 것이며, 'WV'는 생활용수밸브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된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부구와 부구와 연계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피드밸브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며 정전시에는 부구와 연계되어 기계적으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부구와 연계하여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부에 포함된 스위치가 ON 되고,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가 OFF 되며,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급수구가 닫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케이스에 구비되며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 및 작동부재가 작동되도록 부구와 연계되는 스위치 작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케이스에 구비되어 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구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런저; 및 플런저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부구에 구비되는 자석;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부구가이드부가 끼워지도록 부구에 구비된 끼움부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구 개폐부는 부구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제1링크부재와 케이스에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급수구를 개폐하도록 제2링크부재에 연계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구에 인접한 케이스에는 제2링크부재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며, 힌지연결부에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물이 저장되며 부구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연결구와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급수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여과부; 여과부에 연결되는 전술한 수위조절장치; 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물공급원과 여과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동감지센서; 및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드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밸브는 정수필터 중 제1정수필터와 제2정수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는 피드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라인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물저장탱크는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스위치부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연결되며, 피드밸브와 펌프는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열리고 펌프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는 피드밸브가 닫히고 펌프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밸브의 고장으로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지면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된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가 닫힐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에서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종래의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종래의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부구와 부구와 연계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피드밸브를 전기적으로 개폐하며 정전시에는 부구와 연계되어 기계적으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수위조절장치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케이스(200), 부구(300), 스위치부(400) 및, 급수구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0)에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된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가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된다면, 공급라인(L3)에 의해서 수처리장치(10)에 포함되는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는 튜브 피팅(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T)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에는 케이스(200)로부터 물저장탱크(30)로의 물의 유동은 가능하나, 물저장탱크(30)로부터 케이스(200)로의 물의 유동은 불가능하도록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공급라인(L3)을 통해 케이스(200)의 급수구(22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된 물은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만약,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의 높이까지 이르지 않는다면,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계속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케이스(200)의 연결구(211)의 높이에 이르게 되면, 케이스(200)의 수위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같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후부터는 시간차는 다소 있더라도, 케이스(200)의 수위와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같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3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에는 물이 저장되고 후술할 부구(300)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연결구(211)와 후술할 스위치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구(211)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재(210)의 부구가이드부(212)는 후술할 부구(300)에 구비되는 끼움부(32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가이드부(212)에 의해서 부구(300)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부구(300)가 진동되거나 케이스(200) 등에 부딪치지 않고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하부에는 후술할 스위치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22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220)에는 전술한 급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급수구(221)를 통해 케이스(200)의 상부에 유입되어 케이스(200)의 하부로 유동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인접한 커버부재(220)에는 후술할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제2링크부재(520)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힌지연결부(222)에는 급수구(221)에 연결되고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개폐부재(53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제2링크부재(520)에 의해서 이동부(222a)에서 이동되어 급수구(221)가 개폐될 수 있다.
부구(300)는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200), 즉 전술한 본체부재(210)의 이동저장공간(C)에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구(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본체(310)와 덮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구본체(3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320)는 부구본체(310)의 개방된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본체(31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밀폐되어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300)가 이동될 수 있다.
부구(300)의 덮개부재(32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끼움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부구(300)의 끼움부(321)에는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된 전술한 부구가이드부(212)가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끼움부(321)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끼움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부구(30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러나, 부구(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부(400)는 부구(300)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케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부(400)는 스위치(410)와, 스위치 작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10)는 케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는 케이스(200)에 포함되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는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는 볼트 등의 연결부재(B)에 의해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410)가 구비되도록 제1스위치 연결부재(430)와 제2스위치 연결부재(44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은 전술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되는 부구가이드부(21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410)가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410)는 작동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재(411)의 작동에 의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치(410)는 예컨대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4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동부재(411)의 작동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ON 되거나 OFF 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위치 작동부(420)는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가 작동되도록 부구(300)와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 작동부(420)는 플런저(421)와 자석(42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421)는 전술한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구비되는 부구가이드부(21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212)에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421)는 자석(422)의 자력에 영향받도록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422)은 플런저(421)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부구(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자석(422)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부구가이드부(212)가 끼워지도록 부구(300)의 덮개부재(320)에 구비된 끼움부(321)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케이스(200)에 유입된 물이 모두 케이스(200)의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30)로 유동하여, 부구(300)가 케이스(200)의 수위에 따라 아직 이동, 즉 상승하지 않은 위치에 있거나, 상승하였더라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21)는 자석(320)의 자력에 의해서 이동, 즉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를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지 못하는 위치로 이동, 즉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21)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서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를 작동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200)의 만수위는 물탱크(30)의 만수위와 같은 위치로 사용자가 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스위치 작동부(42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23)에 의해서 플런저(421)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탄성부재(423)는 플런저(42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술한 부구가이드부(212)의 이동홀(212a)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23)는 일측이 플런저(421)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부구가이드부(212)의 이동홀(212a)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20)의 자력이 플런저(421)에 작용하지 못하는 위치로 부구(300)가 이동, 즉 상승된 경우, 플런저(421)는 자중뿐만 아니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낙하되어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물저장탱크(30)의 물을 사용하여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져서 부구(300)가 이동, 즉 하강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플런저(421)가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422)의 자력에 의해서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런저(421)에 작용하는 자석(422)의 자력이 플런저(421)의 자중과 탄성부재(423)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되어야만 플런저(421)가 이동, 즉 상승하여,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0)의 소정 수위, 예컨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가 되어야만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소정 수위는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 즉 이에 연계되는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어야만 케이스(200)에 물이 공급되어 물저장탱크(3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플런저(421)에 의해서 바로 스위치(410)가 작동되지 않고,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어야만 플런저(421)에 의해서 스위치(410)가 작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아지면 바로 스위치(410)가 작동되는 경우보다 작동회수가 낮아질 수 있어서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급수구 개폐부(500)는 부구(300)와 연계하여 수위조절장치(100)에 포함되는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급수구 개폐부(500)는 제1링크부재(510), 제2링크부재(520) 및, 개폐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링크부재(510)는 부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부구(300), 즉 부구본체(300)의 상단부 중앙에는 연결구멍(311a)이 형성된 연결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부재(510)의 일단부에도 연결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11)의 연결구멍(311a)과 제1링크부재(510)의 연결구멍(511)에 연결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520)는 제1링크부재(510)와 케이스(200), 즉 케이스(200)의 본체부재(21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링크부재(510)의 타단부에는 연결구멍(512)이 형성되고 제2링크부재(520)의 일단부에도 연결구멍(5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P)이 제1링크부재(510)의 연결구멍(512)과 제2링크부재(520)의 연결구멍(52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부재(520)의 타단부에도 연결구멍(522)이 형성되고, 전술한 커버부재(220)의 힌지연결부(222)에도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핀(P)이 제2링크부재(520)의 연결구멍(522)과 힌지연결부(222)의 연결구멍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링크부재(510)가 부구(310)에 힌지연결되고, 제2링크부재(520)가 제1링크부재(510)와 케이스(20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힌지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개폐부재(530)는 케이스(200)의 급수구(221)를 개폐하도록 제2링크부재(52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이 개폐부재(530)의 하부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부구(300)의 이동에 따른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의해서 개폐부재(5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힌지연결부(222)에 형성된 이동부(222a)에서 이동되어,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22a)에 연결된 급수구(221)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53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링크부재(520)의 타측이 접촉하여 제2링크부재(520)의 선회에 따라 이동부(222a)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부(400)에 포함된 스위치(410)가 ON 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작동부(420)의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위치(410)가 ON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스위치(410)가 OFF 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작동부(420)의 플런저(421)가 스위치(410)의 작동부재(411)에 힘을 작용하면, 스위치(410)가 OFF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케이스(200)의 수위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급수구 개폐부(500), 즉 급수구 개폐부(500)의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하고 도9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처리장치(10)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L1)에 구비된 피드밸브(50)가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밸브(50)의 고장시에는 전술한 급수구 개폐부(500)의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수처리장치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여과부(20), 전술한 수위조절장치(100), 물저장탱크(30), 유동감지센서(40) 및, 피드밸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컨대 세디멘트 필터인 제1정수필터(21), 프리카본 필터인 제2정수필터(22),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 및, 포스트 카본 필터인 제4정수필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라면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가능하다.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는 연결라인(L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은 여과부(20)의 정수필터(21,22,23,24)를 차례로 거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여과부(20)는 공급라인(L1)에 의해서 상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라인(L1)이 여과부(20)의 제1정수필터(21)에 연결되어 여과부(20)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아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라인(L1)을 통해 여과부(2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20)에 제3정수필터(23)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제3정수필터(23)에는 드레인라인(LD)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인 제3정수필터(23)에서 여과되지 못한 물이 드레인라인(LD)을 통해 드레인될 수 있다.
수위조절장치(100)는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과부(2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는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급라인(L3)이 여과부(20)의 제4정수필터(24)와 수위조절장치(100)의 급수구(221)에 연결되어 수위조절장치(100)가 여과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위조절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수위조절장치(100)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않고 전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물저장탱크(3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수위조절장치(100)에 구비되는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저장탱크(30)는 연결관(T)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물저장탱크(30)는 튜브 피팅 등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의 연결구(2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의 물은 물저장탱크(30)로 공급되어 물저장탱크(30)에 저장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되어 수위조절장치(1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물저장탱크(30)라도 가능하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는 물공급원과 여과부(2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L1)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가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라인(L1)에 구비되기 때문에, 유동감지센서(40)까지 물이 유동하면서 낮아지는 압력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chattering) 없이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10)에서와 같이 체크밸브(CV) 없이도 채터링 없이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4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에 포함되는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의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고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는 피드밸브(50)와 펌프(60)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즉 단수(斷水)되는 경우에는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감지센서(40)의 신호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히고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에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감지센서(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원과 여과부(2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L1)에 구비되며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피드밸브(50)는 여과부(20)에 포함되는 정수필터(21,22,23,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L2)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정수필터(21,22,23,24) 중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피드밸브(50)는 제2정수필터(22)와 제3정수필터(23)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이나 제3정수필터(23)와 제4정수필터(24)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전술한 유동감지센서(40)와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에 포함되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피드밸브(50)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가 되면, 스위치(41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열릴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이 되면, 피드밸브(50)가 열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어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가 되면,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즉 단수되면, 유동감지센서(40)에 의해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停電)이 되면 피드밸브(50)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피드밸브(50)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어서 정전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제3필터(23)로 사용되는 경우에,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장치(10)에서와 같이 물이 제3필터(23)로부터 많이 드레인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낭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처리장치(10)와 같이 드레인라인(LD)에 체크밸브(CV)가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장치(10)와는 달리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밸브(50)가 고장난 경우에는, 수위조절장치(100)가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100)의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 되더라도 피드밸브(50)가 닫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계속해서 공급되어 여과부(20)에서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와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3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더 이동, 즉 상승하여 수위조절장치(100)의 급수구 개폐부(500)에 포함되는 제2링크부재(520)가 선회함으로써 개폐부재(530)에 의해서 급수구(221)가 닫힐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여과부(20)에서 여과된 물이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밸브(50)의 고장에 의해서 물저장탱크(3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60)는 여과부(2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21,22,23,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로의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제3정수필터(23)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서 여과에 필요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는 피드밸브(50)가 구비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드밸브(50)가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되었기 때문에, 펌프(60)도 제1정수필터(21)와 제2정수필터(22)를 연결하는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펌프(60)는 피드밸브(50)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연결라인(L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펌프(60)도 전술한 피드밸브(50)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와 스위치부(400), 즉 스위치부(400)에 포함되는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60)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스위치(410)에 의해서 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모자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어서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N 이 되면, 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어 여과된 후 수위조절장치(100)를 통해 물저장탱크(3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10)에 의해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장치(100)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어 스위치(410)가 전기적으로 OFF 가 되면,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1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감지센서(40)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즉 단수되면, 유동감지센서(40)에 의해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수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停電)이 되면 펌프(60)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펌프(60)의 작동이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여과부(20)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어서 정전시 수처리장치(10)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WV'는 생활용수밸브이며, 'O'는 오링 등의 밀봉부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와 연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부구가 승강하여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에 따라 수처리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에 구비된 피드밸브가 스위치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고, 피드밸브의 고장시에는 수위조절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구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에서도 채터링 없이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물의 유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단수시에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시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로부터 물이 많이 드레인되어 물이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존재하는 물이나 역삼투압 멤브레인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의 TDS 수치가 높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의 공급압력이 낮은 지역, 예컨대 초저수압 지역이나 정전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에서 수처리장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며 고장발생이 적고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처리장치 20 : 여과부
21 : 제1정수필터 22 : 제2정수필터
23 : 제3정수필터 24 : 제4정수필터
30 : 물저장탱크 40 : 유동감지센서
50 : 피드밸브 60 : 펌프
70 : 전원 100 : 수위조절장치
200 : 케이스 210 : 본체부재
211 : 연결구 212 : 부구가이드부
212a : 이동홀 220 : 커버부재
221 : 급수구 222 : 힌지연결부
222a : 이동부 300 : 부구
310 : 부구본체 311 : 연결부
311a,511,512,521,522 : 연결구멍
320 : 덮개부재 321 : 끼움부
321a : 끼움홀 400 : 스위치부
410 : 스위치 411 : 작동부재
420 : 스위치 작동부 421 : 플런저
422 : 자석 423 : 탄성부재
430 : 제1스위치 연결부재 440 : 제2스위치 연결부재
450 : 개폐부 451 : 유로
452 : 개폐공간 453, 530 : 개폐부재
500 : 급수구 개폐부 510 : 제1링크부재
520 : 제2링크부재 530 : 개폐부재
L1,L3 : 공급라인 L2 : 연결라인
C : 이동저장공간 LD : 드레인라인
T : 연결관 B : 연결부재
P : 연결핀 CV : 체크밸브
RV : 감압밸브 WV : 생활용수밸브
O : 밀봉부재
21 : 제1정수필터 22 : 제2정수필터
23 : 제3정수필터 24 : 제4정수필터
30 : 물저장탱크 40 : 유동감지센서
50 : 피드밸브 60 : 펌프
70 : 전원 100 : 수위조절장치
200 : 케이스 210 : 본체부재
211 : 연결구 212 : 부구가이드부
212a : 이동홀 220 : 커버부재
221 : 급수구 222 : 힌지연결부
222a : 이동부 300 : 부구
310 : 부구본체 311 : 연결부
311a,511,512,521,522 : 연결구멍
320 : 덮개부재 321 : 끼움부
321a : 끼움홀 400 : 스위치부
410 : 스위치 411 : 작동부재
420 : 스위치 작동부 421 : 플런저
422 : 자석 423 : 탄성부재
430 : 제1스위치 연결부재 440 : 제2스위치 연결부재
450 : 개폐부 451 : 유로
452 : 개폐공간 453, 530 : 개폐부재
500 : 급수구 개폐부 510 : 제1링크부재
520 : 제2링크부재 530 : 개폐부재
L1,L3 : 공급라인 L2 : 연결라인
C : 이동저장공간 LD : 드레인라인
T : 연결관 B : 연결부재
P : 연결핀 CV : 체크밸브
RV : 감압밸브 WV : 생활용수밸브
O : 밀봉부재
Claims (23)
-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부구;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부구와 연계하여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급수구 개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와, 상기 작동부재가 작동되도록 상기 부구와 연계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부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구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자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부구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상기 스위치부에 포함된 스위치가 ON 되고, 만수위가 되면 상기 스위치가 OFF 되며, 만수위보다 높게 되면 상기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상기 급수구가 닫히는 수위조절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수위조절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부구가이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부구에 구비된 끼움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 개폐부는
상기 부구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에 연계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연결부에는 상기 급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가 형성된 수위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부구가 이동되는 이동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스위치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급수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
-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는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위조절장치;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연결되는 물저장탱크;
상기 물공급원과 여과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에 물의 유동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동감지센서; 및
상기 정수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드밸브;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감지센서와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밸브는 상기 정수필터 중 제1정수필터와 제2정수필터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피드밸브가 구비되는 상기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물저장탱크는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연결구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는 상기 스위치부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피드밸브와 펌프는 상기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낮은 소정 수위 이하이면 상기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열리고 상기 펌프가 작동되는 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가 되면 상기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감지센서에서 물이 유동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유동감지센서에 의해서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정전시에는 상기 피드밸브가 닫히고 상기 펌프의 작동이 멈추는 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밸브의 고장으로 상기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소정의 만수위보다 높아지면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포함된 급수구 개폐부에 의해서 상기 수위조절장치에 구비되는 급수구가 닫히는 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030A KR101856984B1 (ko) | 2013-07-26 | 2013-07-26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CN201480041421.7A CN105392542B (zh) | 2013-07-26 | 2014-07-21 | 水位控制装置和包括如此水位控制装置的水处理装置 |
PCT/KR2014/006598 WO2015012548A1 (ko) | 2013-07-26 | 2014-07-21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030A KR101856984B1 (ko) | 2013-07-26 | 2013-07-26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899A KR20150012899A (ko) | 2015-02-04 |
KR101856984B1 true KR101856984B1 (ko) | 2018-05-15 |
Family
ID=5239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9030A KR101856984B1 (ko) | 2013-07-26 | 2013-07-26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6984B1 (ko) |
CN (1) | CN105392542B (ko) |
WO (1) | WO20150125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78538A (zh) * | 2018-01-22 | 2020-06-12 | 林嘉勇 | 无需压力箱或电泵的反渗透大气储罐 |
CN111847684A (zh) * | 2019-04-29 | 2020-10-30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净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5900B1 (ko) * | 1996-03-27 | 1999-03-20 | 김광호 | 정수기의 원수공급상태 감지장치 |
KR200246081Y1 (ko) * | 1998-06-05 | 2002-09-05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저수탱크의수위제어장치 |
KR200190523Y1 (ko) * | 2000-01-06 | 2000-08-01 | 몬 셍 린 | 기포 형성기 |
KR100447875B1 (ko) * | 2002-02-04 | 2004-09-13 | 이재모 |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
KR200450213Y1 (ko) * | 2010-02-08 | 2010-09-13 | 김진환 | 정수기의 급수 제어장치 |
KR101178696B1 (ko) * | 2010-06-11 | 2012-08-30 | 주식회사 동양 | 정수기의 이중 수위조절장치 |
KR101264617B1 (ko) * | 2011-02-28 | 2013-05-27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위조절장치 |
-
2013
- 2013-07-26 KR KR1020130089030A patent/KR101856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7-21 CN CN201480041421.7A patent/CN105392542B/zh active Active
- 2014-07-21 WO PCT/KR2014/006598 patent/WO201501254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12548A1 (ko) | 2015-01-29 |
CN105392542B (zh) | 2018-02-16 |
KR20150012899A (ko) | 2015-02-04 |
CN105392542A (zh) | 2016-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4313B2 (en) | Automatic drain for fuel processor | |
KR101837620B1 (ko) | 수처리장치 | |
JP4904328B2 (ja) | 水位調節装置 | |
KR101856984B1 (ko) |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 |
CN208685746U (zh) | 智能马桶盖的防倒吸减压装置、智能马桶盖及智能马桶 | |
CA2625716A1 (en) | Water sensor apparatus | |
KR20210048149A (ko) | 정수기 | |
KR101795426B1 (ko) | 수위조절장치 | |
KR101441657B1 (ko) | 다중경로 통신장치를 이용한 상 하수도 계측제어 시스템 | |
CN208999838U (zh) | 水液位控制装置 | |
CN105605428B (zh) | 具有流量控制单元的水装置和过滤器组件 | |
KR20030050370A (ko) | 저수탱크의 수위조절장치 | |
US8113231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level | |
JP4732477B2 (ja) | 水撃緩和型水栓装置 | |
CN110848421A (zh) | 一种双模式出水龙头 | |
US11041469B2 (en) |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a filter system, and filter system having a discharge control device | |
KR101178696B1 (ko) | 정수기의 이중 수위조절장치 | |
JP3897619B2 (ja) | 自動給水装置 | |
KR20130116159A (ko) | 순간가열장치 | |
KR200328266Y1 (ko) |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무동력 물 흐름 차단 밸브 | |
KR200477991Y1 (ko) | 수위조절장치 | |
CN209919655U (zh) | 真空能量站 | |
KR200379895Y1 (ko) | 솔레노이드밸브 | |
KR102024226B1 (ko) | 파일럿 작동형 안전밸브 시스템 | |
JPH06280243A (ja) | 自動給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