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617B1 -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617B1
KR101264617B1 KR1020110063751A KR20110063751A KR101264617B1 KR 101264617 B1 KR101264617 B1 KR 101264617B1 KR 1020110063751 A KR1020110063751 A KR 1020110063751A KR 20110063751 A KR20110063751 A KR 20110063751A KR 101264617 B1 KR101264617 B1 KR 10126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storage tank
apparatus main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375A (ko
Inventor
전두열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480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18253A1/en
Priority to MYPI2013003130A priority patent/MY160020A/en
Priority to CN201180068593.XA priority patent/CN103415451B/zh
Priority to CN201510124982.XA priority patent/CN104731117B/zh
Publication of KR2012009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위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수위조절을 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된 장치본체(200);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상기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300);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와 연계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400); 및 상기 급수구(221)에 인접한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급수구(221)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200)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물의 유입에 영향받지 않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이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며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에는 전자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전자식 수위조절장치와 기계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가 있다.
전자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에 하나 이상 구비된 수위센서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계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종래,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되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의 경우에,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되는 물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위조절장치의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수위조절장치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의 수위가 상승하여 부구가 상승하는 경우에 부구의 상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구가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위조절장치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서 부구가 상승하면서 부구가 진동되어 부구나 수위조절장치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부구의 크기가 부구가 구비되는 수위조절장치의 크기와 유사한 경우에 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부구의 승강에 의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 중단 등의 수위조절장치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어 수위조절장치에 의해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물저장탱크로의 물이 공급이 중단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만수위보다 높은 수위로 물저장탱크에 물이 저장되어 물저장탱크가 넘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수위조절을 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장치본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장치본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장치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부구와 연계되도록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 및 급수구에 인접한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급수구를 통해 장치본체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물의 유입에 영향받지 않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개폐부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연결구가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부구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에 연결되며 급수구가 구비된 커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구는 장치본체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급수구는 부구 사이의 장치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가이드부는 부구 사이의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급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고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이 형성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단면은 '└┘'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은 급수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장치본체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유로와 유로에 연결된 연결구멍 및 연결구멍과 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챔버가 형성된 개폐부본체; 연결구멍을 밀봉하도록 챔버에 구비되며 유로에 연통된 연통구멍과 연결구멍에 연통된 개폐구멍이 형성된 밀봉부재; 일측은 챔버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은 자석이 구비된 부구를 관통하거나 부구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구가이드부재; 및 부구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부구의 승강에 따라 자석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하여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승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승강부재를 탄성지지하도록 부구가이드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복수개의 단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구는 부구가이드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구는 장치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부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장치본체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부구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폐부가 상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가이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개폐부가 상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개폐부가 하부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로 유입되도록 하여 신뢰성있게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장치본체(200), 하나 이상의 부구(300), 개폐부(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구(221)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후술할 개폐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구(22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물저장탱크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라면, 급수구(221)는 정수기에 구비되며 개폐부(400)에 연결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개폐부(40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된다. 만약,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 즉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낮으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장치본체(200)에 채워지지 않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계속하여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높게 되면, 장치본체(200)에도 물이 채워지면서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계속해서 물이 유입되면,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상승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구(211)에는 장치본체(200)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이동은 가능하나 물저장탱크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의 물의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저장탱크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물저장탱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가 저장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는 본체부재(210) 및, 커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전술한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220)가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와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연결시 밀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220)에는 급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후술할 개폐부(400)를 거쳐서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상부로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의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부구(300)는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300)가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부구(300)는 장치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1,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 즉 복수개의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면,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다른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부구(300)와 연계되는 후술할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형성되며 물공급원과 급수구(221)에 연결된 유로(41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중단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부구(300)에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석(3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이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자석(310)의 자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440)에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승강되어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폐될 수 있다.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는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411)의 입구(411a)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로(411)의 출구(411b)는 연결관에 의해서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부(400)의 유로(4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라면 개폐부(400)의 유로(411)는 급수구(22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정수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후에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개폐부(400)는 도1,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커버부재(220)에 구비되면, 커버부재(220)와 본체부재(210)의 분리시 후술할 바와 같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부구가이드부재(430)와 함께 부구(300)를 본체부재(2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재(210)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위조절장치(100)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는 장치본체(200)의 하부, 전술하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부구(300)와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수위, 즉 이에 따른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더라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여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 밀봉부재(420), 부구가이드부재(430) 및, 승강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에는 전술한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본체(41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멍(412)과 장치본체(200)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400)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본체(410)에 형성되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폐부본체(41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2개 이상, 즉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부구(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개폐부본체(4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연결구멍(412)과 챔버(413)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개의 개폐부본체(410)가 복수개의 부구(300)와 각각 연계되어 장치본체(20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폐부본체(410)의 유로(4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414)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밀봉부재(42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12)을 밀봉하도록 챔버(4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42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통구멍(421)과 연결구멍(412)에 연결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멍(422)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 물공급원으로부터 입구(411a)를 통해 유로(411)에 유입된 물은 연통구멍(421)을 통해 챔버(413)에 유입된 후 개폐구멍(422)을 통해 다시 유로(411)에 유입되어 출구(41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밀봉부재(4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21)의 밀봉이 용이하도록 밀봉보조부재(4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보조부재(423)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통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개폐부본체(410)의 챔버(413)에 연결되도록 장치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400)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일측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은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를 관통하는 경우에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톱부재(4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300)가 하강하더라도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포함되는 커버부재(220)와 본체부재(210)의 분리시 부구가이드부재(430)와 함께 부구(300)를 본체부재(2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스톱부재(431)를 제거하면, 부구(300)를 부구가이드부재(4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은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타측이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술한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톱부재(431)가 없어도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즉,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를 위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기만 하면, 부구(300)가 부구가이드부재(4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부구가이드부재(430)에 의해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의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승강부재(44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개폐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되는 승강부재(440)가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이 승강부재(440)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장치(100)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100)에 연결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 도3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는 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낮아지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부구(300)와 함께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상승하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상승되어 부구(30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 또한 부구(300)에 구비된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가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으면, 승강부재(440)는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하거나 상승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와 함께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상승하여 부구(300)가 상승하면, 승강부재(440) 또한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에 의해서 작용되는 인력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이 승강부재(440)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4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는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400)가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면, 각각의 단(441)이 하나의 자석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력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승강부재(440)에 구비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부재(440)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승강부재(440)가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440)의 복수개의 단(411)이나 승강부재(440)에 구비된 복수개의 자석 중 부구(300)의 자석(310)에 가까운 일부의 단(411) 또는 일부의 자석에 의한 자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승강부재(440)에 척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단(411) 중 일부의 단(411)이나 복수개의 자석 중 일부의 자석의 자력이 소멸된다고 하더라도, 다른 단(411)이나 다른 자석에 의한 자력과 부구(310)의 자석에 의한 자력이 상호작용하여 승강부재(410)에 척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부구(300)의 승강에 따른 승강부재(440)의 승강이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낮아져서 부구(300)가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으면, 승강부재(440)에 전술한 척력이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4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거나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와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함께 상승하여 부구(300)가 상승하면, 승강부재(440) 또한 전술한 척력에 의해서 상승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한편, 개폐부(400)는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5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40)를 탄성지지하도록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2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의 상승에 의해서 승강부재(440)가 상승할 때 부구(300)의 자석(310)에 의한 자력 이외에도 탄성부재(450)의 탄성력 또한 승강부재(440)에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가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여 승강부재(440)가 하강할 때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이 승강부재(440)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구(300)가 하강하여 승강부재(440)에 전술한 척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승강부재(44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할 때, 탄성부재(450)가 승강부재(440)의 하강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재(440)의 하강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인접한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00)는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치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300)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격벽(5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구(221)을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격벽(510)을 따라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한 후, 격벽(510)의 통과구멍(511)을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차오를 수 있게 된다.
한편, 격벽(510)은 도2,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511)이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물이 통과하도록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00)는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5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벽(510')은 단면이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격벽(510')의 단면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격벽(510')의 단면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라면, 예컨대 '11'자 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격벽(510)의 하부에는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은 격벽(510')을 따라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한 후, 격벽(510')의 통과구멍(511')을 통과하여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차오를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가 복수개 구비되고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가이드부(500)는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격벽(5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격벽(510,510')은 도2, 도3, 도5 및,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가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한다면, 본체부재(21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12)에 끼워져서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격벽(510,510')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510,510')이 커버부재(220)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등 격벽(510,510')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4의 (a)와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2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0)는 도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태일 수도 있고, 도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관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재(5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치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2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부구(300)가 복수개 구비되고 급수구(221)가 부구(300) 사이의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 형상의 격벽(510')이나,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격벽(510)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격벽(510,510')이나 가이드부재(520)는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500)에 한개만 포함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조합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급수구(221)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부(5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부구(3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이 장치본체(200)의 어느 한 부분에 편중되지 않고 균등하게 장치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본체(200)에서 물이 균등하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300)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사용하면, 부구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이 수위조절장치에 유입될 수 있으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부구의 승강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조절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위조절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연결구
212 : 가이드리브 220 : 커버부재
221 : 급수구 300 : 부구
310 : 자석 400 : 개폐부
410 : 개페부본체 411 : 유로
411a : 입구 411b : 출구
412 : 연결구멍 413 : 챔버
414 : 연결관 420 : 밀봉부재
421,421' : 연통구멍 422 : 개폐구멍
423 : 밀봉보조부재 430 : 부구가이드부재
431 : 스톱부재 440 : 승강부재
441 : 단 450 : 탄성부재
500 : 가이드부 510,510' : 격벽
511,511' : 통과구멍 520 : 가이드부재

Claims (11)

  1.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수위조절을 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된 장치본체(200);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상기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300);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와 연계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른 상기 부구(300)의 승강의 의해서 상기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부(400); 및
    상기 급수구(221)에 인접한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급수구(221)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물의 유입에 영향받지 않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이드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연결구(211)가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210); 및
    상기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구(221)가 구비된 커버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되거나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0)는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급수구(221)는 상기 부구(300) 사이의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500)는 상기 부구(300) 사이의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단면이 상기 급수구(2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형상이고 하부에 물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과구멍(511')이 형성된 격벽(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510')의 단면은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00)는 일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장치본체(200) 내부의 중앙부 아래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유로(411)와 상기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 및 상기 연결구멍(412)과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된 개폐부본체(410);
    상기 연결구멍(412)을 밀봉하도록 상기 챔버(413)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411)에 연통된 연통구멍(421)과 상기 연결구멍(412)에 연통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된 밀봉부재(420);
    일측은 상기 챔버(413)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타측은 자석(310)이 구비된 상기 부구(300)를 관통하거나 상기 부구(300)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구가이드부재(430); 및
    상기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서 승강하여 상기 개폐구멍(422)을 개폐하는 승강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승강부재(440)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부구가이드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40)는 복수개의 단(441)이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의 자석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0)는 상기 부구가이드부재(34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221)는 상기 장치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500)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배플부재나 물이 회전되면서 상기 장치본체(200)에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동가이드부재 또는 물의 유입시 상기 부구(3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격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KR1020110063751A 2011-02-28 2011-06-29 수위조절장치 KR10126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809 WO2012118253A1 (en) 2011-02-28 2011-06-30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MYPI2013003130A MY160020A (en) 2011-02-28 2011-06-30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CN201180068593.XA CN103415451B (zh) 2011-02-28 2011-06-30 水位控制装置
CN201510124982.XA CN104731117B (zh) 2011-02-28 2011-06-30 水位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921 2011-02-28
KR20110017921 201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75A KR20120098375A (ko) 2012-09-05
KR101264617B1 true KR101264617B1 (ko) 2013-05-27

Family

ID=4710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51A KR101264617B1 (ko) 2011-02-28 2011-06-29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64617B1 (ko)
CN (2) CN104731117B (ko)
MY (1) MY160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8A1 (ko) * 2013-07-26 2015-01-29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426B1 (ko) * 2011-03-16 2017-11-10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CN104840103A (zh) * 2015-04-28 2015-08-19 周林斌 一种磨豆咖啡壶的流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117A (ja) 2006-03-10 2007-09-20 Esuto:Kk 冷水生成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冷温水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484A (en) * 1984-12-28 1986-01-28 William R. Walters Liquid level control apparatus
CN2118864U (zh) * 1991-11-19 1992-10-14 兰州市科学技术研究所科技服务部 液位控制阀
US5560509A (en) * 1994-03-21 1996-10-01 Chicago Bridge & Iron Technical Services Company Guide pole fitting seal for floating roof storage tanks
AUPO524997A0 (en) * 1997-02-21 1997-03-20 Yoothapina Pty Ltd Filling stop valve
KR100443047B1 (ko) * 2002-04-11 2004-08-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50079442A (ko) * 2004-02-05 2005-08-10 강원석 저수조용 수위조절장치
KR101138555B1 (ko) * 2007-10-23 2012-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KR101108103B1 (ko) * 2009-01-09 2012-01-31 (주)피티에스 원수 자동 차단장치를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117A (ja) 2006-03-10 2007-09-20 Esuto:Kk 冷水生成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冷温水サー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8A1 (ko) * 2013-07-26 2015-01-29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105392542A (zh) * 2013-07-26 2016-03-09 豪威株式会社 水位控制装置和包括如此水位控制装置的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1117B (zh) 2017-10-24
MY160020A (en) 2017-02-15
CN103415451A (zh) 2013-11-27
KR20120098375A (ko) 2012-09-05
CN103415451B (zh) 2015-04-08
CN104731117A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853B1 (ko) 래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유량 조절 장치
KR20120106580A (ko) 수위조절장치
KR101264617B1 (ko) 수위조절장치
JP2018509575A (ja) 真空作動式バルブ
FI109717B (fi) Laitteisto huuhtelun säätelyyn
KR20160021589A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CN105926735B (zh) 一种利用压力差排水的水箱排水装置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CA2933648C (en)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101405016B1 (ko)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JP5498080B2 (ja) 磁力を用いた浮力による加圧送水装置
JP633282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200477991Y1 (ko) 수위조절장치
KR200444898Y1 (ko) 공기관의 자동 폐쇄 장치의 개폐 구조
KR102103718B1 (ko) 수위 조절 밸브
KR101218168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70126576A (ko) 셔터형 댐
KR20130086993A (ko) 수중펌프와 엘보관 수밀구조
JP3161684U (ja) 流出系接続型液位検知装置
KR101777460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용 공기차단장치
JPH08310769A (ja) 浮力式昇降装置
JP2014066120A (ja) 便器洗浄装置
JP2023062252A (ja) 水圧式圧縮空気装置
JP5788073B1 (ja) 空気弁装置
JP5782589B1 (ja) 圧縮空気発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