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393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393A
KR20100035393A KR1020080094757A KR20080094757A KR20100035393A KR 20100035393 A KR20100035393 A KR 20100035393A KR 1020080094757 A KR1020080094757 A KR 1020080094757A KR 20080094757 A KR20080094757 A KR 20080094757A KR 20100035393 A KR20100035393 A KR 2010003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ft water
column
communication member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한
문형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5393A/ko
Publication of KR2010003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연수기가 제공된다. 개시된 연수기는 내부에 입출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부재가 구비되는 몸체, 및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부재에 개구부가 삽입되는 연수컬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연수컬럼은 연통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수기, 컬럼, 유로, 실링부재

Description

연수기{Soft Water Apparatus}
발명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장소에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연수컬럼을 구비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연수기는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성 이온을 화학적으로 변환시켜 연수화된 물로 만들어 주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돗물(경수)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 된 관,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 각종 중금속(이온)도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경도 성분인 Ca2+와 Mg2+을 수지중의 Na+와 교환하여 단물인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소금 등의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이 들어있는 재생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연수기는 연수통 내에 미세한 알갱이(ball)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상기 연수통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수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Na+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해 NaCl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금물을 연수통 내로 투입하게 된다.
종래의 연수기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수지를 포함하는 연수통과, 이온수지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이온수지를 원상태로 재생시키는 재생수 공급을 위한 소금이 채워져 있는 재생통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는 탱크바디를 구비한다.
상기의 탱크바디를 구비하는 연수기는 그 부피가 커서 일반적으로 욕실 벽면에 부착고정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설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에 따라 소량의 연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바, 기존의 대형으로 이루어진 벽면 고정 연수기에 대체할 수 있는 소형 연수기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재생시스템은 별도의 장소에 마련하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소형 연수컬럼을 이용하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연수기는 내부에 입출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부재가 구비되는 몸체, 및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부재에 개구부가 삽입되는 연수컬럼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연수컬럼은 상기 연통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수컬럼은 개구부 중앙에 연수배출관이 삽입되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입수유로를 통한 원수가 상기 연수배출관의 외측을 통해 입수되어 상기 연수배출관의 내측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컬럼의 개구부 외측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상기 연통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나사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통부재의 상단에 연통되는 상기 입수유로는 원수가 공급되는 수전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단에 연통되는 상기 출수유로는 샤워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 및 연수 배출관과 상기 연통부재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수 컬럼을 구비함으로써, 연수 컬럼의 사용기한이 만료되었을 경우 별도의 재생기에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연수기의 체적 자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수 컬럼의 휴대가 가능해지므로 사용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100)는 몸체(110), 몸체(110)의 내부 하측에 장착되어지는 연통부재(150), 연통부재(150)에 의해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수컬럼(130)을 구비한다.
몸체(110)는 일정한 깊이로 파인 홈의 형상을 하고 있는 체결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체결 공간부(111)에 연수컬럼(130)이 삽입되어진다.
몸체(110)는 외벽(112)과, 외벽(11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내벽(114)으로 이루어지고, 외벽(112)과 내벽(114) 사이에는 수전구(16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가 흐를 수 있도록 중간유로(116)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몸체(110)의 상단에는 입수측 체결구(122)가 연결 고정되고, 하단에는 출수측 체결구(126)가 연결 고정된다. 입수측 체결구(122)는 입수유로(124)에 연통되는데, 수전구(160)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입수유로(124)로 이동시킨다. 입수유로(124)는 중간유로(116) 상에 복수의 방향으로 갈래가 나뉠 수 있는데, 사용량에 따라 하나의 유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유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출수측 체결구(126)는 연통부재(1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수컬럼(130)을 통한 연수된 물이 빠져나와 샤워수단(170)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입수측 체결구(122)와 출수측 체결구(126)의 외주면 상에는 각각 나사산(123,127)이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산(123,127)에는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비한 호스나 파이프가 연결되어질 수 있다.
연수컬럼(130)은 개구부(138)를 가진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에 이온수지(133)를 포함하는 케이스(131), 케이스(131) 내부 중앙에 삽입 고정되는 연수 배출관(132)을 구비한다. 케이스(131)에는 이온 수지(133)가 지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하부 차단막(134,135)이 설치되어 케이스(131)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수컬럼(130)의 개구부(138) 측에는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막(136)이 장착되어 중력에 의한 원수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연수기(100)는 반드시 벽에 고정할 필요가 없는데, 즉 이동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입수측 체결구(122) 및 출수측 체결구(126)가 플렉시블한 호스 등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수전구(160) 및 샤워수단(170)과 각각 연결된다면 어느 장소에서든지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욕실의 샤워기의 일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연수기 몸체(110)를 소형 경량화한다면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의 핵심인 몸체(110)와 연통부재(150), 및 연수컬럼(130)의 체결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몸체(110)의 출수측 체결구(126) 상단에 위치하는 연통부재(150)는 중간유로(116)로부터 원수를 연통할 수 있도록 원수 유입구(152)가 구비된다. 또한, 연통부재(150)는 연수 배출관(132)으로부터 토출되는 연수의 배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중앙에 홀(151)이 형성된다.
연수컬럼(130)의 케이스(131) 하부 외부면에 형성되는 돌기부(131a)는 연통부재(150)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홈(150a)에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다. 즉, 연수컬럼(130)의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연통부재(150)에 삽입되는데, 연수컬럼(130)이 하측으로 삽입된 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돌기부(131a)가 체결홈(150a)에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케이스(131)의 하단 외주면과 연통부재(150)의 내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1실링부재(142)가 개재되고, 연수 배출관(132)의 외주면과 연통부재(150)의 내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제2실링부재(144)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40)는 원수와 연수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연/원수의 외부 누출을 막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는 재생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연수컬럼(130)이 재생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핀다.
연수기(100)에 장착되어 이온수지(133)의 수명이 다한 연수컬럼(130)은 탈거되어 재생기(200)에 부착된다. 재생기(200)는 몸체(202) 상부에 재생통(210)을 구 비하고 전환밸브(212)를 통하여 재생유로(214)를 거쳐 연수컬럼(130) 측으로 재생액을 공급한다. 나머지 구조는 연수기(10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연수기(100) 및 재생기(200)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상술한다.
먼저, 연수컬럼(130)이 연수기(100)의 체결 공간부(111)에 삽입되는 동시에 개구부(138) 측이 연통부재(150)에 삽입된 후, 상기 연수컬럼(130)을 돌려서 돌기부(131a)가 체결홈(150a)에 끼워지게 된다.
이후, 원수의 이온수지(133) 층까지의 공급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전구(160) - 공급관로(162) - 입수측 체결구(122) - 입수유로(124) - 중간유로(116) - 원수 유입구(152) - 이온수지(133)}
이온수지(133) 층으로부터 샤워수단(170) 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온수지(133) - 연수배출관(132) - 출수유로(128) - 출수측 체결구(126) - 배출관로(172) - 샤워수단(170)}
상기와 같이 연수컬럼(130)이 연수기(100)에 체결되어 사용된 후에는 사용자는 손쉽게 제거하여 연수컬럼(130)을 재생기(200)에 설치할 수 있다.
재생기(200)에서의 재생 과정은 연수기(100)에서의 과정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착탈 가능한 연수컬럼(130)을 구비한 연수기(100)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쉽게 연수컬럼(130)을 탈거하여 재생기(200)에 장착함으로써 재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생통을 기존처럼 연수기에 일체형으로 구비할 필 요성이 없어지므로 연수기의 소형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 확대 단면도, 및
도 4는 재생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수기 . 110 : 몸체
112 : 외벽 114 : 내벽
116 : 중간유로 120 : 입출수 관로
122 : 입수측 체결구 124 : 입수유로
126 : 출수측 체결구 128 : 출수유로
130 : 컬럼 140 : 실링부재
150 : 연통부재

Claims (5)

  1. 내부에 입출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부재가 구비되는 몸체; 및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부재에 개구부가 삽입되는 연수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연수컬럼은 상기 연통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컬럼은 상기 개구부 중앙에 연수배출관이 삽입되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입수유로를 통한 원수가 상기 연수배출관의 외측을 통해 입수되어 상기 연수배출관의 내측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상기 연통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연통되는 상기 입수유로는 원수가 공급되는 수전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하단에 연통되는 상기 출수유로는 샤워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컬럼의 개구부와 상기 연통부재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80094757A 2008-09-26 2008-09-26 연수기 KR20100035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57A KR20100035393A (ko) 2008-09-26 2008-09-26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57A KR20100035393A (ko) 2008-09-26 2008-09-26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393A true KR20100035393A (ko) 2010-04-05

Family

ID=4221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57A KR20100035393A (ko) 2008-09-26 2008-09-26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5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8663A (zh) * 2016-12-26 2018-07-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系统的纯水精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8663A (zh) * 2016-12-26 2018-07-0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系统的纯水精制装置
CN108238663B (zh) * 2016-12-26 2021-02-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系统的纯水精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7B1 (ko) 연수기
CA2584669C (en) Conductivity sensor for an ion exchange water softener
CN101191298B (zh) 洗衣机给水装置
KR20100035393A (ko) 연수기
JP4856675B2 (ja) 軟水器用再生タンク
KR100396903B1 (ko) 연수기
KR20100035390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101450341B1 (ko) 연수기
KR100841554B1 (ko) 샤워기
KR200324963Y1 (ko) 이온교환수지 교체형 연수기
JP6701914B2 (ja) イオン交換装置
RU240770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мягчения воды
KR101449758B1 (ko) 연수기
KR200317452Y1 (ko) 이온교환수지의 누출을 방지한 연수기
JPH10174967A (ja) 水道水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217056440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控制阀
KR101638784B1 (ko) 스마트 연수기
KR101300310B1 (ko) 연수기
KR200344225Y1 (ko) 타이머형 전환밸브를 이용한 이온교환수지 재생 연수기
KR101595570B1 (ko) 이온교환수지탱크구조
JP3789707B2 (ja) 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器
KR20070042669A (ko) 특정 소재를 포함하고 있는 통의 교환이 용이한 관로조립체
KR20100035389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JP6701915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101739090B1 (ko) 휴대용 연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