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397B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97B1
KR100807397B1 KR1020060090096A KR20060090096A KR100807397B1 KR 100807397 B1 KR100807397 B1 KR 100807397B1 KR 1020060090096 A KR1020060090096 A KR 1020060090096A KR 20060090096 A KR20060090096 A KR 20060090096A KR 100807397 B1 KR100807397 B1 KR 10080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holes
regenerati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551A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US12/161,75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222928A1/en
Priority to CN2006800522240A priority patent/CN101336125B/zh
Priority to PCT/KR2006/004787 priority patent/WO2007089070A1/en
Priority to JP2008553144A priority patent/JP2009525173A/ja
Priority to MYPI20082856A priority patent/MY142889A/en
Priority to EP06847367A priority patent/EP1979065A1/en
Publication of KR2007007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7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water sof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80Automatic regeneration
    • B01J49/85Controlling or regulat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각각 ①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해서 냉/온 연수로 변화 배출하는 연수모드와, ②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와, ③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와, ④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각각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연결되는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로와 상기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재생폐수관로가 연결되는 제 2 밸브어셈블리가 갖추어진 전환밸브부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기의 네 가지 기본모드 이외에도 네 가지 특수모드를 나타내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특징을 보여 사용 및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ner}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블록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전면 및 후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버툼케이스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버툼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미들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커버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의 전환밸브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0a와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전환밸브부의 제 1 고정디스크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전환밸브부의 제 1 회전디스크에 대한 평면도.
도 12a와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전환밸브부의 제 2 고정디스크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전환밸브부의 제 2 회전디스크에 대한 평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탱크부 일부에 대한 후면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탱크부 일부에 대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탱크부의 필터커버에 대한 배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 및 전환밸브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급부 110,130 : 제 1 및 제 2 측정유닛
450 : 전환밸브부 500,600 :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
700 : 탱크부 710,720 :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730 : 재생탱크 810,820 :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
900 : 배출부 910 : 조절밸브
1000 : 제어부 L1,L2 :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
L3,L4 :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
L5: 재생원수관로 L6,L7 :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
L8,L9 :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
L10,L11 :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
L12 : 배출관로 L13 : 재생폐수관로
L14 : 드레인관로
본 발명은 연수기(water soft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①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해서 냉/온 연수로 변화시켜 배출하는 연수모드와, ② 냉/온 원수 그대로의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와, ③ 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를 생성한 후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와, ④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속모드를 갖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생활수는 연수(soft water:軟水)와 경수(hard water:硬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단물이라 불리는 증류수 등의 연수는 수소(H2)와 산소(O2)를 주성분으로 하여 비교적 순수하고 경도가 낮은 반면, 센물이라 불리는 지하수 등의 경수에는 칼슘이온(Ca2+), 마그네슘이온(Mg2+)과 같은 경도성분이 함유되어 경도가 크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경도성분이 다량 함유된 경수이며, 정화과정에 사용된 염소(Cl)를 비롯해서 환경오염과 노후관에 의한 압송과정 등을 원인으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 등의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금속 이물질을 생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수돗물 등의 경수를 부드러운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water softner)가 소개되었고, 현재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보다 질 높은 생활수를 얻을 수 있는 손쉬운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연수기의 연수화 원리는 경수 내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것으로, 해당 작용을 위해 나트륨(Na)을 주성분으로 하는 특수 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사용되며, 이는 경수와 접촉될 경우에 수중(水中)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흡착하는 대신 나트륨이온(Na+)을 방출한다. 따라서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여기에 경수를 공급해서 연수를 얻는다.
한편, 연수화가 거듭되면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이온(Na+)이 소진되어 연화능력이 저하된다. 때문에 이온교환수지의 연화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소금과 같이 수용액 내에서 나트륨이온(Na+)을 생성하는 별도의 재생물질이 사용되며, 이는 연수탱크와 연결된 재생탱크에 투입 및 저장된다. 이에 따라 재생탱크 에 경수가 공급되면 나트륨이온(Na+)이 함유된 소금물 등의 재생수가 생성되고, 이러한 재생수는 연수탱크로 공급되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킨 후 재생폐수의 형태로 배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에 대한 블록도로서, 경수의 온도에 따라 구분 연수화해서 냉/온 연수를 배출하는 냉/온 연수기에 해당된다. 이하에서 연수기라 함은 이 같은 냉/온 연수기를 의미하며, 연수기로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경수는 원수(原水)라 칭하는바,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인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31 내지 38) 및 밸브(V1 내지 V7)로 이루어진다.
이중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각각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는 재생물질이 투입된다.
그리고 다수의 관로(31 내지 38)는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외부의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31,32)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내부의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 또는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33,34)과,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원수관(35,36)과,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 각각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37,38)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들 관로에는 제 1 내지 제 7 밸브(V1 내지 V7)가 적절히 부설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31,32)의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에 의한 냉/온 연수가 각각 생성되고,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33,34)을 연결시키는 제 3 밸브(V3)를 열면 냉/온 연수가 배출된다. 또한 거듭된 연수화로 인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및 제 2 재생원수관(35,36)의 제 4 및 제 5 밸브(V4,V5)를 열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 원수를 공급하면 나트륨이온(Na+)이 함유된 재생수가 각각 생성되고, 제 1 및 제 2 재생수관(37,38)의 제 6 및 제 7 밸브(V6,V7)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재생수를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며, 이에 따른 재생폐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33,34) 말단의 제 3 밸브(V3)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일반적인 연수기는 몇 가지 단점을 나타낸다.
그중 하나로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가 없어 사용자의 주관적 느낌이나 대략적인 기간계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불필요하게 잦은 재생으로 인해 재생물질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로서 적절한 재생시기를 놓쳐 이온교환수지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방법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숙련된 일손을 동원하더라도 장시간을 요구하며, 특히 재생 시마다 사용자가 다수의 밸브(V1 내지 V7)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때문에 연수기의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사 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 조작미숙으로 인한 오동작 또는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큰 단점을 나타낸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저장된 냉/온 연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목적하는 온도의 연수를 얻기까지 상당시간이 소요된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연수기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저장된 냉/온 연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식거나 데워지는 등의 온도변화가 뒤따르고, 때문에 온 연수를 사용하고자 제 2 및 제 3 밸브(V2,V3)를 열더라도 한동안은 목적하는 온도보다 낮은 연수가 배출될 수 있고, 반대로 냉 연수를 사용하고자 제 1 및 제 3 밸브(V1,V3)를 열더라도 한동안 목적하는 온도보다 높은 연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불필요하게 연수를 흘려보내야 하므로 수자원 낭비는 물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를 단축시키고 연수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이들 문제점과는 별도로 일반적인 연수기는 설치면적을 크게 요구하여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판단 가능함은 물론,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재생을 진행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 를 신속 정확하게 조절 및 배출할 수 있고, 특히 전체적인 사용방법이 간단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모서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장착 및 사용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그밖에도 사용 및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각각 ①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해서 냉/온 연수로 변화 배출하는 연수모드와, ②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와, ③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와, ④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각각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연결되는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로와 상기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재생폐수관로가 연결되는 제 2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환밸브부를 포함하여, ①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 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며, ②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며, ③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의 냉 또는 온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에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재생폐수를 상기 재생폐수관로로 배출하며, ④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단속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탱크부가 안착되고, 상기 전환밸브부가 내장되는 본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탱크부가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는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는 버툼플레이트와; 상기 전환밸브부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결합되는 버툼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미들플레이트와 버툼플레이트 중 선택된 둘은 진동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버툼홀이 관통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커버홀과, 상기 재생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원수를 공급하는 제 3 커버홀과, 상기 배출관로가 연결되어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를 각각 배출하는 제 4 커버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냉/온 연수 및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홀이 관통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과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연결되는 제 1 미들홀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제 1 디스크홀은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과, 상기 제 1 및 제 2 버툼홀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커버홀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미들홀과, 상기 제 4 커버홀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크홀 중 선택된 복수 개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고정홀이 둘러 관통된 제 1 고정디스크와; 상기 제 1 고정디스크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상기 각 모드별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1 회전유로가 구비된 제 1 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복수 개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고정홀이 둘러 관통된 제 2 고정디스크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상기 각 모드별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2 회전유로가 구비된 제 2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배면에는 윤활 및 방수를 위한 오일이 저장된 복수개의 오일홈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버툼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1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버툼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2 디스크홀과, 상기 제 1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3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4 디스크홀과, 제 3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5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6 및 제 1-7 디스크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배출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1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배출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2 디스크홀과, 상기 제 1 미들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3 디스크홀과, 상기 제 4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2-4 디스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은, 상기 제 1-1 디스크홀에 각각 연결된 제 1-1 및 제 1-2 고정홀과, 상기 제 1-2 디스크홀에 각각 연결된 제 1-3 내지 제 1-5 고정홀과, 상기 제 1-3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6 고정홀과, 상기 제 1-4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7 고정홀과, 상기 제 1-5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8 고정홀과, 상기 제 1-6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9 고정홀과, 상기 제 1-7 디스크홀과에 연결된 제 1-10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은, 상기 2-1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1 고정홀과, 상기 2-2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2 고정홀과, 상기 제 2-3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4 고정홀과, 상기 제 2-4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4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제 1-8 고정홀은 그 외의 제 1 고정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8 고정홀의 직경은 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시에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제 2 및 제 3 미들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버툼플레이트 사이로는 상기 제 1 버툼홀과 상기 제 2 미들홀을 연결하는 제 1 버툼유로와, 상기 제 2 버툼홀과 상기 제 3 미들홀을 연결하는 제 2 버툼유로가 정의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로는 상기 제 2 미들홀과 제 1-1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1 커버유로와, 상기 제 3 미들홀과 제 1-2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2 커버유로와, 상기 제 1 커버홀과 제 1-3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3 커버유로와, 상기 제 2 커버홀과 제 1-4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4 커버유로와, 상기 제 3 커버홀과 제 1-5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5 커버유로와, 상기 제 4 커버홀과 제 2-4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6 커버유로와, 상기 제 1 배출홀과 제 2-1 디스크홀과 제 1-7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1 배출유로와, 상기 제 2 배출홀과 제 1-6 디스크홀과 제 2-2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2 배출유로가 각각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고정디스크 사이로 정의되어, 상기 제 1-1 디스크홀을 상기 제 1-1 및 제 1-2 고정홀에 연결시키는 분배유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은, 상기 제 1-3 고정홀을 6시 방향으로, 상기 제 1-7, 제 1-2, 제 1-8, 제 1-4 고정홀이 각각 5, 4, 3, 2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6, 제 1-1, 제 1-9, 제 1-5, 제 1-10 고정홀이 각각 7, 8, 9, 10, 11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회전유로는 서로 한 시간 간격을 유지한 채 각각 인접한 두 시간 위치를 연결시키는 제 1-1 및 제 1-2 회전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1-1 회전유로는 상기 제 1-1 및 제 1-6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3 및 제 1-7 고정홀을 연결시키며,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1-1 회전유로는상기 제 1-10 및 제 1-5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9 및 제 1-1 고정홀을 연결시키며,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1 회전유로는 상기 제 1-4 고정홀에 대응되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2 및 제 1-8 고정홀을 각각 연결시키며,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1 회전유로는 상기 1-4 고정홀에 대응되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1-10 고정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은, 상기 제 2-1 고정홀을 6시 방향으로 상기 제 2-2, 제 2-3, 제 2-4 고정홀이 각각 12시, 3시, 9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디스크의 제 2 회전유로는 상기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2-1 고정홀, 제 2-2 고정홀, 제 2-4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2-1 고정홀, 제 2-3 고정홀, 제 2-4 고정홀을 연결시키는 제 2-1 회전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제 5 및 제 6 커버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5 및 제 6 커버홀에 각각 연결된 제 3 및 제 4 버툼홀이 더 관통되며, 상기 제 4 내지 제 6 커버홀을 연결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4 및 제 5 커버홀 또는 상기 제 4 및 제 6 커버홀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 4 커버홀을 밀폐하는 조절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 경우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3 버툼홀을 하향 연장하는 수전구관과; 상 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수전구관 말단에 연결되는 수전구와;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4 버툼홀을 하향 연장하는 샤워헤드관과; 상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샤워헤드관 말단에 연결되는 샤워헤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전구는 슬릿 형상의 토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 3 내지 제 5 커버홀에 연결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내지 제 5 커버홀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연결홀을 제공하는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밀착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홀을 밀폐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홀 또는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홀을 연통시키는 밸브유로가 구비된 밸브회전디스크와; 상기 밸브회전디스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에 결합되는 밸브커버와; 상기 밸브커버를 관통해서 상기 밸브회전디스크의 회전중심에 결합된 샤프트축과; 상기 샤프트축 말단에 부설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핸들은 상기 탱크부 전면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의 좌우로 위치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재생탱크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사이의 후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본체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생탱크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바 형상의 스탠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내면을 따라 제 1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파이프와; 외면에 상기 제 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 2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파이프 말단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파이프와; 상기 스크류파이프 말단에 결합된 고무재질의 받침단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스크류파이프에 관통 체결되는 조절나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생탱크의 내의 재생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로와; 상기 드레인관로를 개폐하는 정지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재생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재생탱크 내의 재생수가 배출되는 제 5 커버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5 커버홀과 연결되는 제 2 미들홀이 더 관통되며,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미들홀과 연결되는 제 3 버툼홀이 더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3 버툼홀을 상기 버툼플레이트 배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드레인관과; 상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드레인관 말단에 부설된 정지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생통 저면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 3 커버홀을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재생원수관과; 상기 재생통 저면과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 5 커버홀을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드레인연결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생원수관과 드레인연결관 각각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리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제 1 및 2 모 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각 모드를 전환하며,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입력유닛과,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유닛을 갖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정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광센서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로에 각각 부설되어,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은 각각 상기 본체 내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통에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유량을 각각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에 자동으로 상기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각에 상기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 2-2 고정홀에 대한 상기 제 2-1 및 제 2-4 고정홀의 상대적인 연통정도를 통해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제 2-1 고정홀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상면에 형성된 제 2-1 고정홈을 매개로 상기 제 2-4 고정홀에 근접한 제 1 확장홀과 상기 제 2-3 고정홀에 근접한 제 2 확장홀로 분지되고, 상기 제 2-2 고정홀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상면에 형상된 제 2-2 고정홈을 매개로 상기 제 2-4 고정홀에 근접한 제 3 확장홀과 상기 제 2-3 고정홀에 근접한 제 4 확장홀로 분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확장홀은 각각 상기 제 2-2 고정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제 2-1 회전유로는 상기 연수모드와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2-2 고정홀을 비롯한 상기 제 1 및 제 3 확장홀의 일부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로에 각각 부설되어,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유량을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유량이 편중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바꾸기 위해, 상기 1-1 회전유로가 상기 제 1-1 및 제 1-6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 유로는 상기 제 1-3 및 제 1-7 고정홀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1 회전유로가 상기 제 1-6 및 제 1-3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가 상기 제 1-7 및 제 1-2 고정홀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 상면을 덮어 밀폐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밸브홀이 관통된 리드플레이트와; 상기 리드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을 각각 덮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 내에 실장되는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는 각각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는 각각 상기 각 밸브체 내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각 밸브체 상면에 결합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제 1 및 제 2 상부프레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 주변을 따라 각각 상향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냉/온 원수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외측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로 유입되는 과정 중에 수중의 불순물이 걸러 제거된 후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 각각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확산 및 낙하되도록 하 는 제 1 및 제 2 분배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 연통된 상태로 상기 리드플레이트 배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재생탱크 내에 삽입되는 재생수생성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리드플레이트에 관통된 제 1 및 제 2 재생수홀과; 상기 리드플레이트와 상기 필터커버 사이로 정의되어 상기 밸브실과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수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제 1 및 2 재생수홀을 상기 제 1 및 2 분배플레이트 상부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연결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실 내에 실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향해서만 각각 오픈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체크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홀을 각각 덮고,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탱크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홀을 향해서만 각각 오픈되는 제 1 및 2 체크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냉/온 연수 및 재생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재생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재생원수를 전달하는 재생원수관로와; 상기 재생탱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재생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를 더욱 포함하여, ①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통시키며, ②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통시키며, ③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재생원수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재생폐수관로를 연통시키며, ④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개요를 보인 블록도로서, 공급부(100), 전환밸브부(450), 탱크부(700), 배출부(900) 그리고 제어부(1000)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외에 다수 관로(L1 내지 L14)가 구비되어 있다.
먼저, 공급부(100)는 외부의 냉/온 원수가 최초로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냉/온 원수 각각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환밸브부(450)는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 예컨대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이동경로를 결정 및 단속하며, 이를 위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가 구비된다. 또한 탱크부(700)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그리고 재생물질이 충진된 하나의 재생탱크(730)를 포함하는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냉/온 원수가 공급되면 냉/온 연수가 배출되고, 재생수가 공급되면 재생폐수가 배출되며, 재생탱크(730)에 냉 또는 온 원수가 공급되면 재생수가 배출된다. 다음으로 배출부(900)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배출하거나 최종적으로 단속하는 부분으로,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필요로 하는 조절밸브(910)를 비롯한 수전구와 샤워헤드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전환밸브부(450)를 제어함으로써 연수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소정 알고리즘이 내장된 논리연산회로와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입력유닛 및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유닛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구비된 다수의 관로(L1 내지 L14)는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으로 최초 공급된 냉/온 원수를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밸브어셈블리(500)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와, 제 1 밸브어셈블리(500)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L3,L4)와, 제 1 밸브어셈블리(500)의 냉 또는 온 원수를 재생탱크(730)로 공급하는 재생원수관로(L5)와, 제 1 밸브어셈블리(500)의 냉/온 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60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L6,L7)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를 비롯한 재생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60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와, 재생탱크(730) 내의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Ll0,L11)와, 제 2 밸브어셈블리(600)의 냉/온 연수나 냉/온 원수를 배출부(900)로 전달하는 배출관로(L12)와, 제 2 밸브어셈블리(600)의 재생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재생폐수관로(L13)를 포함하며, 그밖에도 재생탱크(730) 내의 잔류 재생액을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로(L1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중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L3,L4)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냉/원 원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 제거하는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가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는 각각 자신에게 연결된 관로들을 적절히 연결시킴으로써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에 대한 이동경로를 결정 및 단속하고, 이로써 연수기의 동작모드가 결정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네 가지 기본모드와 특수모드를 나타낸다.
우선, 네 가지 기본모드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① 냉/온 연수를 배출하는 연수모드, ②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 ③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④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를 비롯한 재생폐수의 공급 및 배출이 단속되는 단속모드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위해서 ① 연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 로(L1,L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500)에 의해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L3,L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부터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의 냉/온 연수는 제 2 밸브어셈블리(600)에 의해 배출관로(L12) 및 배출부(900)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또한 ② 직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500)에 의해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L6,L7)를 통해 제 2 밸브어셈블리(600)로 전달되고, 제 2 밸브어셈블리(600)에 의해 배출관로(L12) 및 배출부(900)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그리고 ③ 재생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L1 또는 L2)의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500)에 의해 재생원수관로(L5)를 통해 재생탱크(730)로 공급되고, 재생탱크(730)에서 생성된 재생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L10,L11)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부터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의 재생폐수는 제 2 밸브어셈블리(600)에 의해 재생폐수관로(L13)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④ 단속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500)에 의해 공급이 단속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밸브어셈블리(500)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나 재생탱크(730) 또는 제 2 밸브어셈블리(600)에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단속하는 '공급조절'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 2 밸브어셈블리(600)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L6,L7) 또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를 통해 전달되어온 냉/온 원수 또는 냉/온 연수를 배출관로(L12)로 배출하거나,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를 통해 전달되어온 재생폐수를 재생폐수관로(L13)로 배출하는 '배출조절'의 역할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네 가지 특수모드는 사용자 편의를 추구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만 나타나는 고유 기능으로서, ⑤ 냉/온 연수의 실사용량에 근거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상호 전환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연수화 능력을 균등하게 조절하는 냉/온 변환모드와, ⑥ 냉/온 연수의 실 사용량에 근거해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재생을 진행하는 자동재생모드와, ⑦ 최종 배출되는 냉/온 연수의 온도를 토대로 그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신속하게 일치시키는 온도조절모드와, ⑧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연수모드나 직수모드에서 단속모드를 자동 전환하여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드가 그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이 과정 중에 앞서의 도 2를 함께 참조하며, 기(旣) 설명된 부분과 동일역할을 수행하는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참고로, 이상에서는 액체가 흐르는 이동경로를 편의상 '관로'라 통칭하였지만, 이들 각각은 별도의 '관'형태를 나타내거나 연수기 내에 적절히 정의된 '유로'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자세히 살펴 본다.
첨부된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편의상 제품화를 위한 최종의 외부케이스는 생략하였으며, 각각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과 그 뒤편의 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하단의 본체(152)와 그 상단에 안착된 탱크부(700)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에서 본체(152)는 공급부(100)와, 전환밸브부(450)와, 배출부(9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다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에 가까운 형태를 보인다. 그리고 본체(152) 저면으로부터는 외부의 냉/온 수도관이 각각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과, 배출부(900)의 수전구(218)를 비롯해서 샤워헤드가 연결되는 샤워헤드관(226)과, 재생폐수관(314)과, 드레인관(236)이 노출되고, 그 상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가 돌출된다.
그리고 탱크부(700)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는 전면의 좌우로 배치된 상하의 원통형태를 나타내고, 재생탱크(730)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사이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재생탱크(730) 상면은 리드플레이트(lid plate : 740)로 덮여 밀폐되는데, 이러한 리드플레이트(740) 중에서 재생탱 크(730)에 대응되는 부분은 재생탱크마개(732)로 개방되어 재생물질의 투입 및 보충을 가능케 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마개(712,722)로 개방되는 필터커버(780)가 덮여 있다. 그리고 이중 필터커버(780)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각각에 냉/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가 구비되는바, 앞서 살펴본 본체(152) 상면의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와 필터커버(780)의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는 각각 별도의 제 1 및 제 2 튜브(t1,t2)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재생탱크(730)는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 형태를 나타내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본체(152)를 포함한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통과 유사한 외형을 보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가 전체적으로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욕실 등에 있어서 두 벽면이 교차되는 모서리에 장착되기 때문이며, 이 경우에 연수기의 전체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바(bar) 형상의 스탠드(240)가 본체(152)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어 바닥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은 외부케이스에는 못 등을 통해서 욕실 벽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bracket)이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외부케이스의 브라켓에 의해 두 벽면이 교차하는 모서리에 걸려 거치된 상태로 스탠드(240)가 바닥을 지지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52)는 바닥으로부터 일정정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므로 본체(152)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과 샤워헤드관(226)은 각각 외부의 냉/온 수도관과 샤워헤드에 쉽 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사이의 본체(152) 상면에는 배출부(900)의 조절밸브(910)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사이로 핸들(990)을 노출시키고 있으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사이의 전면에는 제어부(1000)가 수납될 수 있는 제어부케이스(1002)가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 등의 논리연산회로를 실장시킴과 동시에 버튼 및 다이얼의 입력유닛(1012)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의 표시유닛(1014)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핸들(990)을 비롯한 제어부케이스(1002)의 입력유닛(1012)과 표시유닛(1014)은 사용자를 향해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체(152)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로서 앞서의 도 3a와 도 3b를 함께 참조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152)는 탱크부(700)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부로 공급부(100)와, 전환밸브부(450)와, 배출부(9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며, 특히 액체의 이동경로인 다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부분이라 설명한 바 있다.
이를 위한 본체(152)는 소정높이의 측면(162) 및 바닥면(164)으로 이루어져 상면이 개방된 함체(函體) 형상을 나타내는 버툼케이스(bottom case : 160)와, 이의 상면을 덮는 미들플레이트(middle plate : 25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250) 상면에 밀착 결합되어 탱크부(700)가 조립되는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 : 350)로 이루어지고, 버툼케이스(160)와 미들플레이트(250)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공간에는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되는 버툼플레이트(bottom plate : 200)를 비롯한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 그리고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가 실장된다.
이중에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저면으로부터는 각각 제 1 및 2 입수관(112,132)이 하방 돌출되어 버툼케이스(160)의 바닥면(164)을 관통함으로써 외부의 냉/온 수도관이 접속되고,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상면으로부터는 각각 버툼플레이트(200)에 관통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출수관(114,134)이 상향 돌출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으로 공급된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을 경유해서 제 1 및 제 2 출수관(114,134)으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 중에 제 1 및 2 측정유닛(110,130)은 각각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고, 더 나아가 냉/온 원수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은 각각 감압변이라 불리는 그것과 같이 고무 등의 가요성막(可撓性膜)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diaphragm)이 동원된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그 내부로 액체의 흐름을 따라 회전하는 임펠라(impeller) 및 이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카운터(counter) 등을 실장시켜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같이 냉/온 원수의 유량조절과 유량측정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출원발명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4-50984호, 제 10-2004-15194호 등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또한 버툼플레이트(200)에는 복수의 버툼홀이 관통된 상태로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로 복수개의 버툼유로를 정의하고, 그 배면으로부터는 수전구관(216)과 샤워헤드관(226)을 비롯한 드레인관(236)이 하방 돌출되어 버툼케이스(160)의 바닥면(164)을 관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수전구관(216) 말단에는 수전구(218)가 장착되고, 샤워헤드관(226) 말단에는 별도의 연결관을 매개로 샤워헤드가 장착되며, 드레인관(236)에는 조절나사(238)와 같은 정지밸브(stop valve) 또는 콕(cock) 등이 부설된다. 이 경우 특히 수전구(218)는 슬릿(slit) 형상의 토출구가 구비되어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를 막의 형태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미들플레이트(250)에는 복수의 미들홀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고정홀이 관통된 상태로 커버플레이트(350) 배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로 복수개의 커버유로를 정의하며, 그 배면으로부터는 재생폐수관(314)이 하방 돌출되어 버툼케이스(160)의 바닥면(164)을 관통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미들플레이트(250)에는 센서홀(310)이 관통되어 그 배면으로부터 삽입된 온도센서(142)가 미들플레이트(250)와 커버플레이트(35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센서브라켓(144)이 구비되어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350)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각각 연결되어 냉/온 연수 또는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홀(372,382)을 비롯한 복수의 커버홀이 관통되며, 그 상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로 냉/온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와, 재생통(730)에 재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재생원수관(426)과, 재생통(730) 내의 재생수를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버툼플레이트(200)의 드레인관(236)과 연결되는 드레인연결관(434)과, 배출부(900)의 조절밸브(910)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3 전달관 (406,410,414)이 상향 돌출된다. 이때 재생원수관(426)과 드레인연결관(434)은 재생통(730) 저면에 직접 연결되어 탱크부(700)의 하중이 지지하는바, 부러짐과 같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외면에 길이방향에 따른 리브(ri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들 버툼케이스(160), 버툼플레이트(200), 미들플레이트(250), 커버플레이트(350)로 이루어지는 본체(152) 내에 실장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는 각각,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와, 이들 각각의 상면에 포개어진 상태로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를 필수요소로 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에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이 관통된 상태로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 상면에는 각각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 들을 적절히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회전유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보겠지만, 본체(152) 내부로는 버툼플레이트(200), 미들플레이트(250), 커버플레이트(350)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에 관통된 홀들과 그 사이 사이의 유로들에 의해 냉/온 원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이동경로가 정의되고, 이들 이동경로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에 따른 제 1 및 제 2 회전유로의 위치변화를 통해 각 모드별로 적절히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152)에는 버툼플레이트(200)와 미들플레이트(250)와 커버플레이트(350)에 관통된 홀 및 그 사이사이의 유로에 의해 액체의 이동경로가 복수 개 정의되고, 이들은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을 통해 적절히 배치되는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밀착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회전유로가 제 1 및 제 2 디스크홀을 적절히 연통시키며, 이로써 연수기의 각 모드별 냉/온 원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체(152) 내부의 액체흐름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본체(152) 외부의 각 모드별 액체의 이동경로만을 살펴보면, ① 연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으로 공급된 외부의 냉/온 원수는 각각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와, 제 1 및 제 2 튜브(t1,t2)와, 필터커버(780)의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냉/온 연수는 각각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및 제 2 배출홀(372,382)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수전구(218) 또는 샤워헤드관(2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② 직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으로 공급된 냉/온 원수는 각각 본체(152) 내부에서 냉/온 원수 그대로인 냉/온 직수의 형태로 수전구(218) 또는 샤워헤드관(22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③ 재생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측정유닛(110 또는 130) 의 제 1 또는 제 2 입수관(112 또는 132)으로 공급된 냉/온 원수 중 하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재생원수관(426)을 통해 재생통(730)으로 공급되고, 재생통(730) 내의 재생수는 후술하는 필터커버(780)의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부의 재생폐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및 제 2 배출홀(372,382)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재생폐수관(3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④ 단속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으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는 각각 단속된다.
덧붙여, 재생통(730) 내의 재생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드레인연결관(434)과 버툼플레이트(200)의 드레인관(2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예컨대 재생물질의 투입 또는 보충을 위해서 재생탱크마개(732)를 열기 전(前) 사용자는 드레인관(236) 말단의 조절나사(238)를 풀어 재생탱크(730) 내의 잔류 재생수를 제거함으로써 재생탱크(73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고, 다시 조절나사(238)를 조인 후 재생물질을 투입 또는 보충하게 된다.
이 과정 중에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정도를 토대로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와, 버툼플레이트(200)와, 미들플레이트(250)와, 커버플레이트(350)의 홀 들 및 그 사이사이의 유로들을 적절히 연결시켜 각 모드를 위한 본체(152) 내부에서의 액체흐름을 제어한다.
이하, 각 모드에 따른 본체(152) 내부의 액체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본 체(152) 각 부분을 상세히 살펴본다. 이를 위해 앞서의 도 3a, 도 3b, 도 4a, 도 4b를 함께 참조한다.
먼저, 도 5는 버툼케이스(160)의 평면도로서, 탱크부(700)를 향하는 내부 바닥면(164)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이는 것처럼 버툼케이스(160)의 바닥면(164)에는 제 1 내지 제 6 관통홀(172,174,182,184,192,194)이 관통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관통홀(172,174)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제 1 및 제 2 입수관(112,132)이 관통 삽입되고, 제 3 및 제 4 관통홀(182,184)에는 각각 버툼플레이트(200)의 수전구관(216)과 샤워헤드관(226)이 관통 삽입되며, 제 5 관통홀(192)에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재생폐수관(314)이 관통 삽입되고, 제 6 관통홀(194)에는 버툼플레이트(200)의 드레인관(236)이 관통 삽입된다.
아울러 버툼케이스(160) 배면에는 스탠드(240)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랜지(flange) 형상의 결합구(198)가 구비되며, 여기에 끼워지는 스탠드(240)는 일례로 상기 결합구(198)에 끼워지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파이프(242)와, 이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지지파이프(242) 말단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파이프(244)와, 상기 스크류파이프(244) 말단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받침단(246)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중 스크류파이프(244)에는 조절나사(248)가 관통 체결되어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탠드(24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4b 참조)
다음으로 도 6은 버툼플레이트(200)의 평면도로서, 미들플레이트(250) 배면 에 밀착되는 밀착면, 다시 말해 상면을 나타내고 있다.
보이는 것처럼 버툼플레이트(200)에는 제 1 내지 제 5 버툼홀(202,206,214,224,234)이 관통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버툼홀(202,206)에는 각각 그 배면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제 1 및 제 2 출수관(114,134)이 관통 삽입되고, 제 3 내지 제 5 버툼홀(214,216,234)은 각각 그 배면의 수전구관(216)과, 샤워헤드관(226)과, 드레인관(236)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버툼플레이트(200) 상면에는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되어 제 1 내지 제 5 버툼홀(202,206,214,224,234)을 각각 연장하는 제 1 내지 제 5 버툼홈(204,208,212,222,232)이 구비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내지 제 5 버툼홈(204,208,212,222,232)과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5 미들홈이 형성되고, 이들의 상호 밀착에 따라 각각 독립된 유로를 정의하는바, 실질적으로 홈과 유로를 구분할 실익이 없으므로 이하, '제 1 내지 제 5 버툼유로(204,208,212,224,232)'라 칭하며, 버툼플레이트(200)에만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혼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미들플레이트(250) 역시 커버플레이트(350) 배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로 복수의 유로를 정의하고, 이를 위해 미들플레이트(250)와 커버플레이트(350)의 밀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홈이 존재하는바, 이들은 '커버유로'라 칭하며, 커버플레이트(350) 배면에만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혼동을 방지한다. 아울러 버툼플레이트(200)와 미들플레이트(250) 또는 미들플레이트(250)와 커버플레이트(350)를 밀착시켜 그 사이로 각각 버툼 및 미들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은 소위 '진동융착(vibration weld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두 모재의 접촉면에 각각 대응되는 홈과 돌기를 형성한 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강한 압력과 진동을 가해 홈과 돌기를 용융 밀착시키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7a 및 7b는 각각 미들플레이트(25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커버플레이트(350)에 밀착되는 상면과 버툼플레이트(200)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가 밀착되는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도 7a와 도 7b는 상하가 바뀌어 있다.
이때 미들플레이트(250)는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버툼플레이트(200)가 밀착되는 유로영역(A)과, 제 1 고정디스크(570)가 밀착되는 원형의 제 1 디스크영역(B)과, 제 2 고정디스크(670)가 밀착되는 원형의 제 2 디스크영역(C)이 그것이며, 그 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외곽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디스크영역(B,C) 각각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격벽(281,301)이 일정높이로 하방 돌출되고, 이들은 각각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를 그 내부로 수용 및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 시(時) 중심축의 틀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미들플레이트(250)에 있어서 유로영역(A)에는 제 1 내지 제 5 미들홀(254,258,264,274,324)이 관통되고, 이들은 각각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내지 제 5 버툼유로(204,208,212,222,232)에 의해 제 1 내지 제 5 버툼 홀(202,206,214,224,234)과 일대일 대응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디스크영역(B)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디스크홀로서 제 1-1 디스크홀(282)을 기준으로 도 7a의 반 시계방향(도 7b는 시계방향)을 따라 제 1-2 내지 제 1-9 디스크홀(284,286,288,292,294,296,298,300)이 차례로 관통되고, 그 배면에는 제 1-5 디스크홀(292)을 연장하는 분배유로(293)가 형성되는바, 상기 분배유로(293)는 제 1-5 디스크홀(292)을 각각 제 1-2 디스크홀(284)과 제 1-3 디스크홀(286) 사이로 연장하는 제 1 끝단(293a) 그리고 제 1-8 디스크홀(298)과 제 1-9 디스크홀(300) 사이로 연장하는 제 2 끝단(293b)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제 1-4 디스크홀(288)과 제 1-5 디스크홀(292) 사이로는 밀폐된 버퍼홀(290)이 위치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1 디스크홀(282)이 도 7a의 6시 방향(도 7b는 12시 방향) 즉, 전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있어서 제 1 디스크영역(B)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1-1 디스크홀(282)을 시작으로, 제 1-2 디스크홀(284), 분배유로(293)의 제 1 끝단(293a), 제 1-3 및 제 1-4 디스크홀(286,288), 버퍼홀(290), 제 1-5 디스크홀 내지 제 1-8 디스크홀(292,294,296,298), 분배유로(293)의 제 2 끝단(293b), 제 1-9 디스크홀(300)이 반 시계방향(도 7b는 시계방향)을 따라 차례로 둘러 배열된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중심은 후술하는 제 1 회전디스크(560)의 회전중심인 제 1 디스크영역(B) 정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거리, 동일반경, 동일각도를 유지하는바, 제 1 디스크영역(B)의 제 1-1 디스크홀(282)을 편의상 6시 방향(도 7b는 12시 방향)이라 하면 상기의 순서가 반 시계방향에 따른 5시 내지 7시 방향(도 7b는 시계방향에 따른 1시 내지 11시 방향)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디스크영역(C)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2 디스크홀로서, 제 2-1 디스크홀(302)을 기준으로 도 7a의 반 시계방향(도 7b는 시계방향)을 따라 제 2-2 내지 제 2-4 디스크홀(304,306,308)이 차례로 관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2-1 디스크홀(302)이 6시 방향(도 7b는 12시 방향), 다시 말해 전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제 2-2 내지 2-4 디스크홀(304,306,308)이 각각 3시, 12시, 9시 방향(도 7b는 3시, 6시, 9시)을 차지하도록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회전중심인 제 2 디스크영역(C)의 정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거리, 동일반경, 동일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영역에는 제 6 미들홀(312)이 관통되어 그 배면의 재생폐수관(314)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밖에도 센서홀(310)이 관통되어 온도센서(142)가 관통 삽입된다.
다음의 도 8a와 도 8b는 각각 커버플레이트(35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탱크부(700)가 안착되는 상면과 미들플레이트(250)에 밀착되는 배면이 나타나 있다.
이때 도 8a와 도 8b는 상하가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커버플레이트(350)에는 제 1 내지 제 7 커버홀(354,364,404,408,412,424,43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배출홀(372,382)이 관통되고, 그 배면에는 제 1 내지 제 7 커버유로(352,362,392,394,396,402,422)를 비롯 한 제 1 및 제 2 배출유로(374,384)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커버유로(352)는 제 1 커버홀(354)을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9 디스크홀(300)에 연통시키고, 제 2 커버유로(362)는 제 2 커버홀(364)을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2 디스크홀(284)에 연통시키며, 제 3 커버유로(392)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과 제 1-1 디스크홀(282)과 제 1-4 디스크홀(288) 및 제 1-7 디스크홀(296)을 연통시킨다. 또한 제 4 커버유로(394)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2 디스크홀(304)과 제 6 미들홀(312)을 연통시키고, 제 5 커버유로(396)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과 제 1-5 디스크홀(292)을 연통시키며, 제 6 커버유로(402)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4 디스크홀(308)과, 센서홀(310)과,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홀(404)를 연통시키고, 제 7 커버유로(422)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3 디스크홀(286)과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홀(424)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제 1 배출유로(374)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8 디스크홀(298)과 제 2-1 디스크홀(302)과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배출홀(372)을 연통시키고, 제 2 배출유로(384)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6 디스크홀(294)과 제 2-3 디스크홀(306)과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홀(382)를 연통시킨다.
또한 제 1 및 제 2 커버홀(354,364)은 각각 커버플레이트(350)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에 연결되고, 제 3 내지 제 5 커버홀(404,408,412)은 각각 커버플레이트(350)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에 연결되며, 제 6 및 제 7 커버홀(424,432)은 각각 커버플레 이트(350)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재생원수관(426)과 드레인연결관(434)를 통해 재생통(730)에 연결된다.
한편,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의 제 1 및 제 2 디스크영역(B,C)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의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가 밀착 고정되며, 이들 각각의 배면에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가 밀착 회전된다. 그리고 이들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에 의해 이상에서 살펴본 복수의 유로 및 홀들이 일정규칙에 따라 상호 연통되는바,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여러 가지 동작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는 각각, 도 9의 분해사시도와 같이,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와, 이들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 만을 노출시킨 채 제 1 및 제 2 모터(502,602)를 덮어 고정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브라켓(504,604)과,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브라켓(504,604) 상부에서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주기어(506,606)와, 이들 제 1 및 제 2 주기어(506,606)와 치합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보조기어(508,608)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기어(508,608) 상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외면을 따라 다수의 제 1 및 제 2 표시홈(510,610)이 구비된 제 1 및 제 2 회전플렌지(512,612)와, 제 1 및 제 2 베어링(514,614)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보조기어(508,608) 중심에 직립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516,616)와,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516,616)만을 노출시킨 채 제 1 및 제 2 모터브라켓(504,604)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주기어(506,606) 그리고 제 1 및 제 2 보조기어(508,608)를 회전 가능하게 덮어 고정시키는 제 1 및 제 2 기어커버(518,618)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커버(518,618)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회전플렌지(512,612)의 표시홈(510,610)을 식별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보조기어(508,608)의 회전정도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광센서(520,620)와, 제 1 및 제 2 기어커버(518,618) 상에서 제 1 및 제 2 볼베어링(522,622)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516,616)에 그 중심이 관통 고정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 배면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디스크브라켓(524,624)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디스크브라켓(524,624)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결합단(526,626)이 구비되고,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에는 이들 제 1 및 제 2 결합단(526,626)이 각각 끼워지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결합홈(568,668)이 구비되어 공 회전을 방지하며,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570,670)와 미들플레이트(350) 사이로는 각각 복수의 홀 내지 유로를 독립되게 실링(sealing)하는 제 1 및 제 2 패킹(530,630)이 개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와 도 10b는 각각 제 1 고정디스크(57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미들플레이트(250) 배면에 밀착되는 상면과 그 이면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10a와 도 10b는 상하가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1 고정디스크(570)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고정 홀로서,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1 디스크홀(282)에 대응되는 제 1-1 고정홀(572)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2 디스크홀(284)에 대응되는 제 1-2 고정홀(574)과, 미들플레이트(250)의 분배유로(293) 제 1 끝단(293a)에 대응되는 제 1-3 고정홀(576)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3 디스크홀(286)에 대응되는 제 1-4 고정홀(578)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4 디스크홀(288)에 대응되는 제 1-5 고정홀(580)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6 디스크홀(294)에 대응되는 제 1-6 고정홀(582)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7 디스크홀(296)에 대응되는 제 1-7 고정홀(584)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8 디스크홀(298)에 대응되는 제 1-8 고정홀(586)과, 미들플레이트(250)의 분배유로(293) 제 2 끝단(293b)에 대응되는 제 1-9 고정홀(588)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9 디스크홀(300)에 대응되는 제 1-10 고정홀(590)이 관통된다.
그리고 제 1 고정디스크(570) 배면에는 제 1-1 내지 제 1-10 고정홀(572,574,576,578,580,582,584,586,588,590)과 별개로 복수의 제 1 오일홈(571)이 구비되는바, 이는 후술하는 제 1 회전디스크(560)와의 밀착 시(時) 기름막에 의한 방수 및 윤활작용을 기대하기 위한 것이며, 그 내부로 소량의 오일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제 1 회전디스크(560)에 대한 평면도로서, 제 1 고정디스크(570)에 밀착되는 상면이 나타나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유로로서 홈 형상의 제 1-1 및 제 1-2 회전유로(562,564)가 구비되며, 이들은 각각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서로 인접한 두 쌍의 홀에 대응되는 위치를 연결시키는 형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가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 및 제 1-2 고정홀(572,574)을 연통시킬 경우에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3 및 제 1-4 고정홀(576,578)을 연통시키고, 이 같은 관계는 제 1 회전디스크(560)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제 2 고정디스크(670)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12a는 미들플레이트(250)에 밀착되는 상면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2b는 제 2 회전디스크(660)가 밀착되는 배면을 보인 배면도이다. 이때 도 12a와 도 12b는 상하가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2 고정디스크(670)에는 복수의 제 2 고정홀로서, 미들플레이트(352)의 제 2-1 디스크홀(302)에 연결되는 제 2-1 고정홀(672)과, 제 2-2 디스크홀(304)에 연결된 제 2-2 고정홀(680)과, 제 2-3 디스크홀(306)에 연결되는 제 2-3 고정홀(682)과, 제 2-4 디스크홀(308)에 연결되는 2-4 고정홀(690)이 관통된다.
이중 특히 제 2-1 고정홀(672)과 제 2-3 고정홀(682)은 각각, 제 2 고정디스크(670) 가장자리를 두르는 호 형상의 제 2-1 및 제 2-3 고정홈(674,684)과, 이들 각각의 말단에 관통된 제 1 및 제 2 확장홀(676,678) 그리고 제 3 및 제 4 확장홀(686,688)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면에서와 같이 제 2-1 고정 홀(672)은, 미들플레이트(250) 제 2-1 디스크홀(302)에 대응되며 양 끝단이 각각 제 2-2 고정홀(680)과 제 2-4 고정홀(690) 근처로 연장된 호 형상의 제 2-1 고정홈(674) 및 이의 양 끝단에 각각 관통되어 제 2-2 고정홀(680)에 근접한 제 1 확장홀(676) 그리고 제 2-4 고정홀(690)에 근접한 제 2 확장홀(678)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3 고정홀(682)은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3 디스크홀(306)에 대응되며 양 끝단이 각각 제 2-2 고정홀(680)과 제 2-4 고정홀(690) 근처로 연장된 호 형상의 제 2-2 고정홈(684) 및 이의 양 끝단에 각각 관통되어 제 2-2 고정홀(680)에 근접한 제 3 확장홀(686) 그리고 제 2-4 고정홀(690)에 근접한 제 4 확장홀(68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및 제 4 확장홀(678,688)은 각각 제 2-4 고정홀(690)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하는 제 2 회전디스크(660)의 제 2-1 회전유로(662)의 길이와 연관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 2-1 회전유로(662)의 회전정도에 따라 냉/온 원수 또는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정밀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해당 부분에서 다시 한번 살펴본다.
아울러 제 2 회전디스크(660)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유로로서, 제 2-1 내지 제 2-4 고정홀(672,680,682,690)과 별개로 복수의 제 2 오일홈(671)이 구비되는바, 이는 후술하는 제 2 회전디스크(660)와의 밀착 시(時) 기름막에 의한 방수 및 윤활작용을 기대하기 위한 것이며, 그 내부로 소량의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의 도 13은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평면도로서, 제 2 고정디스크(670) 배면으로 밀착되는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이는 것과 같이 제 2 회전디스크(660) 상면에는 하나의 제 2-1 회전유로(662)가 구비되고, 이는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회전에 의해 제 2-2 고정홀(680)을 비롯한 제 1 및 제 3 확장홀(676,686)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회전에 의해 제 2-4 고정홀(690)을 비롯한 제 3 및 제 4 확장홀(678,688)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각 모드별 작동상태와 본체(152) 내부의 액체 이동경로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앞서 언급된 도면들과 함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는바, 도 14 내지 도 18은 본체(152)의 일부로서 각종 홀과 유로들의 연결관계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모드에서의 액체흐름과 무관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하였다.
아울러 본격적인 설명 이전에 배출부(900)의 조절밸브(910)에 대한 기능을 간단히 살펴보면, 이는 버툼플레이트(350)의 제 1 내지 3 전달관(406,410,414)에 접속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3 커버홀(404)을 단속하거나 또는 제 3 커버홀(404)을 제 4 또는 제 5 커버홀(408,41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1. 연수모드
첨부된 도 14는 연수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9 고정홀(588)과 제 1-10 고정홀(590)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 고정홀(572)과 제 1-2 고정홀(574)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 1 측정유닛(110)의 제 1 입수관(112) 및 제 1 출수관(114)을 통해 공급된 냉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버툼홀(202)과 제 1 버툼유로(204)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커버유로(396)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에 전달된다. 이때 분배유로(293) 제 2 끝단(293b)은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9 고정홀(588)과 연결되고, 이는 다시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에 의해 제 1-10 고정홀(590)과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 1-10 고정홀(590)은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9 디스크홀(300) 및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커버유로(352)를 통해 제 1 커버홀(35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냉 원수는 제 1 커버홀(354) 및 제 1 공급구(356)을 통해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다.
또한 제 2 측정유닛(130)을 통해 공급된 온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2 버툼홀(206)과 제 2 버툼유로(208)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유로(392)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1 디스크홀(282) 및 이와 연결된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 고정홀(572)로 공급된다. 이때 제 1-1 고정홀(572)은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2 회전유로(564)에 의해 제 1-2 고정홀(574)에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제 1-2 고 정홀(574)은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2 디스크홀(284) 및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커버유로(362)를 통해 제 2 커버홀(36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온 원수는 제 2 커버홀(364) 및 제 2 공급구(366)를 통해 제 2 연수탱크(720)로 공급된다.
한편, 연수모드를 위해 제 2 회전디스크(660)의 제 2-1 회전유로(662)는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 확장홀(678)과 제 4 확장홀(688)을 비롯한 제 2-4 고정홀(690)을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1 연수탱크(710)로부터 배출된 냉 연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배출홀(372)과 제 1 배출유로(374)로 전달되는 과정 중에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1 디스크홀(302)로 유입되어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 확장홀(678)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로부터 배출된 온 연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홀(382)과 제 2 배출유로(384)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3 디스크홀(306)로 유입되어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4 확장홀(688)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냉/온 연수는 제 2 회전디스크(660)의 제 2-1 회전유로(662)에서 합쳐진 후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4 고정홀(690)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4 디스크홀(308)을 통해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유로(402)로 유입되어 제 3 커버홀(404)로 전달된다.
이때 앞서 살펴본 것처럼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홀(404)은 조절밸브(910)에 의해 단속되거나 제 4 또는 제 5 커버홀(408,412) 중 하나와 연결되는바, 제 4 커버홀(408)로 공급된 냉/온 연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3 미들홀(264) 및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3 버툼유로(212)를 통해 제 3 버툼홀(214)로 전달되어 수전구관(216) 및 수전구(218)를 통해 최종 배출되고, 제 5 커버홀(412)로 공급된 냉/온 연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4 미들홀(274) 및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4 버툼유로(222)를 통해 제 4 버툼홀(224)로 공급되어 샤워헤드관(226)으로 최종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전구 또는 샤워헤드로 배출되는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2. 직수모드
다음으로 도 15는 직수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 1 회전디스크(560)의 회전에 의해 제 1-1 회전유로(562)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6 고정홀(582)과 제 1-7 고정홀(584)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8 고정홀(586)과 제 1-9 고정홀(588)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버툼홀(202)로 공급된 냉 원수는 제 1 버툼유로(204)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커버유로(396)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에 전달된다. 이때 분배유로(293) 제 2 끝단(293b)은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9 고정홀(588)과 연결되고, 이는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2 회전유로(564)에 의해 제 1-8 고정홀(568) 및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8 디스크홀(298)을 비롯한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배출유로(374)와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1 디스크홀(30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냉 원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1 디스크홀(302)과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1 고정홀(672) 및 제 2-1 고정홈(674)과 제 2 확장홀(678)로 공급된다.
또한 온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2 버툼홀(206)과 제 2 버툼유로(208)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유로(392)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7 디스크홀(296) 및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7 고정홀(584)로 공급된다. 이때 제 1-7 고정홀(584)은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에 의해 제 1-6 고정홀(582)에 연결되고, 이는 다시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6 디스크홀(294)에 의해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유로(396) 및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3 디스크홀(306)에 연결되므로, 온 원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3 디스크홀(306)과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3 고정홀(682) 및 제 2-3 고정홈(684)과 제 4 확장홀(688)로 공급된다.
한편, 연수모드를 위해서 제 2 회전디스크(660)가 회전되어 제 2-1 회전유로(662)는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 확장홀(678)과 제 4 확장홀(688)을 비롯한 제 2-4 고정홀(690)을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냉/온 원수는 제 2 회전디스크(660)의 제 2-1 회전유로(662)에서 합쳐진 후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4 고정홀(690)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4 디스크홀(308)을 통해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유로(402)로 유입되어 제 3 커버홀(404)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경우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홀(404)은 조절밸브(910)에 의해 단속되거나 제 4 또는 제 5 커버홀(408,412) 중 하나와 연결되는바, 제 4 커버홀(408)로 공급된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3 미들홀(264) 및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3 버툼유로(212)를 통해 제 3 버툼홀(214)로 전달되어 수전구관(216) 및 수전구(218)를 통해 최종 배출되고, 제 5 커버홀(412)로 공급된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4 미들홀(274) 및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4 버툼유로(222)를 통해 제 4 버툼홀(224)로 공급되어 샤워헤드관(226)으로 최종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전구 또는 샤워헤드로 배출되는 냉/온 직수를 사용할 수 있다.
3. 재생모드
첨부된 도 16은 재생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560)는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562)가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3 고정홀(576)과 제 1-4 고정홀(578)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5 고정홀(580)에만 연결된다.
그리고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버툼홀(202)로 공급된 냉 원수는 제 1 버툼유로(204)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커버유로(396)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에 전달된다. 이때 분배유로(293) 제 1 끝단(293a)은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3 고정홀(576)과 연결되고, 이는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에 의해 제 1-4 고정홀(578) 및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3 디스크홀(286)을 통해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7 커버유로(422)와 연결되는바,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홀(424) 및 재생원수관(426)을 통해 재생통으로 공급되며, 이후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된다.
반면, 온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2 버툼홀(206)과 제 2 버툼유로(208)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로 전달된 후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유로(392)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4 디스크홀(288) 및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5 고정홀(580)과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2 회전유로(564)에 공급되지만, 이후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된다.
한편, 재생모드를 위해 제 2 회전디스크(660)가 회전되어 제 2-1 회전유로(662)는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1 확장홀(676)과 제 3 확장홀(686)을 비롯한 제 2-2 고정홀(680)을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 1 연수탱크(710)로부터 배출된 재생폐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배출홀(372)과 제 1 배출유로(374)로 전달되는 과정 중에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1 디스크홀(302)로 유입되어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1 확장홀(676)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로부터 배출된 재생폐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홀(382)과 제 2 배출유로(384)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3 디스크홀(306)로 유입되어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3 확장홀(686)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재생폐수는 제 2 회전디스크(660)의 제 2-1 회전유로(662)에서 합쳐진 후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2 고정홀(680)과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2 디스크홀(304)을 통해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4 커버유로(394)로 유입된 후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6 미들홀(312) 및 재생폐수관(3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재생수는 적은 양으로도 이온교환수지를 충분히 재생시킬 수 있고, 오히려 재생수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재생의 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4 고정홀(578)과 미들플레이트(250)의 1-3 디스크홀(286)은 여타의 홀보다 작은 직경을 나타낸다. 이때 제 1-4 고정홀 및 제 1-3 디스크홀의 크기는 수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2mm 정도가 알맞다.
4. 단속모드
도 17은 단속모드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제 1 회전디스크(560)의 회전에 의해 제 1-1 회전유로(562)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5 고정홀(580)에만 연결되고,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6 고정홀(582)에만 연결된다.
따라서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버툼홀(202)과 제 1 버툼유로(204),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커버유로(396), 미들플레이(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로 전달된 냉 원수는 더 이상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되고, 마찬가지로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2 버툼홀(206)과 제 2 버툼유로(208),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 커버플레 이트(350)의 제 3 커버유로(392)를 통해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4 디스크홀(288) 및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5 고정홀(580)과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로 공급된 온 원수 또한 이후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된다.
따라서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회전은 상관없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온 원수의 공급을 비롯한 모든 액체의 흐름이 정지된 단속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특수모드를 살펴본다.
5. 냉/온 변환모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특수모드로서 냉/온 변환모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560)가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562)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 고정홀(572)과 제 1-10 고정홀(590)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564)는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2 고정홀(574)과 제 1-3 고정홀(576)을 연결시킨다.
그 결과 냉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버툼홀(202)과 제 1 버툼유로(204),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미들홀(254),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커버유로(396), 미들플레이(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 제 1 끝단(293a)으로 전달된 후,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3 고정홀(576),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2 회전유로(564),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2 고정 홀(574),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2 디스크홀(284),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커버유로(362) 및 제 2 커버홀(364)을 통해 제 2 연수탱크(7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온 원수는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2 버툼홀(206)과 제 2 버툼유로(208),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 미들홀(258),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3 커버유로(392),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1 디스크홀(282)로 전달된 후,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 고정홀(572), 제 1 회전디스크(560)의 제 1-1 회전유로(562), 제 1 고정디스크(570)의 제 1-10 고정홀(590),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9 디스크홀(300),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커버유로(352) 및 제 1 커버홀(354)을 통해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다.
이상의 내용을 앞서 도 14를 통해 살펴보았던 연수모드와 비교하면, 냉 원수가 제 2 연수탱크(720)로 공급되고, 온 원수가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 것이 상이하며, 결국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대해 냉/온 원수가 서로 변환 공급된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수탱크(710)의 온 연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배출홀(372)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의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홀(382)로 전달되는바, 냉/온의 종류만 바뀌었을 뿐 이후 진행경로는 연수모드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수전구(218) 및 샤워헤드관(226)을 통해 냉/온 연수를 얻게 된다.
6. 자동재생모드
다음으로 자동재생모드는 앞서 살펴보았던 네 가지 기본모드 중에서 재생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에서 단속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가 차례로 진행되는 것으로, 별도의 도면이 없어도 앞서 내용을 토대로 하면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에 의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7. 유량조절모드
또한 유량조절모드는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에서 일정 유량의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가 배출된 후 단속모드로 변환되는 것이며, 이 역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회전에 의해 가능하므로 별도의 도면은 생략한다.
8. 온도조절모드
한편, 앞서 살펴본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와, 냉/온 변환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는 각각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유로(402)를 경유하는 과정 중에 센서홀(310)에 관통 삽입된 온도센서(142)를 지난다.
따라서 온도센서(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회전정도, 다시 말해 제 2-1 회전유로(662)의 회전정도를 제어해서 제 2 고정디스크(670)의 제 2 및 제 4 확장홀(678,668)에 대한 상대적인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최종 배출되는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목적하는 온도에 일치시킬 수 있다.(도 14,15,18 참조)7
다음으로 첨부된 도 19 내지 도 21은 탱크부(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는 탱크부(700)의 후면에 대한 일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탱크부(700)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1은 탱크부(700)의 필터커버(780)에 대한 배면도이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미리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재생탱크(730) 상면은 리드플레이트(740)로 덮여 밀폐되고, 이중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마개(712,722)가 구비된 필터커버(780)가 덮이며, 상기 필터커버(780)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각각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가 구비됨을 확인하였다.
이때 리드플레이트(74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이 관통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가 결합되어 그 내부로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가 실장될 수 있는 필터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리드플레이트(740) 저면으로부터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을 각각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제 1 및 제 2 가이드플렌지(744,754)가 하방 돌출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는 이들 제 1 및 제 2 가이드플렌지(744,754) 저면에 각각 결합되어 필터공간에 충분한 깊이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리드플레이트(740) 상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 각 각을 테두리하는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가이드(746,756)가 상향 돌출되며, 이들 제 1 및 제 2 가이드(746,756) 각각은 서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 냉/온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간격(747,757)을 나타낸다.
또한 리드플레이트(740)에 안착되는 필터커버(780)는 리드플레이트(740) 상면에 밀착되는 필터플레이트(781) 및 이를 사이에 둔 좌우에서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가이드(746,756)를 각각 여유있게 덮어 밀폐하는 별개의 제 1 및 제 2 필터하우징(784,79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필터마개(712,722)와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는 제 1 및 제 2 필터하우징(784,794) 각각에 구비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필터하우징(784,794) 내부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홀(742,752)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연결된 필터공간이 정의되는데, 이들 필터공간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가 삽입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는 각각 속이 빈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와,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각각의 바닥면을 덮는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814,824)과,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각각의 상면을 덮는 제 1 및 제 2 상부프레임(818,828)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814,824)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내부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관통홀(미도시,826)이 상하로 관통되며, 제 1 및 제 2 상부프레임(818,828)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손잡이(819,829)가 상향 돌출되어 교체 또는 수선 시(時)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 전체를 보다 편리하게 추출 및 재 장착하도록 한다. 참고로, 비록 도면상에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제 1 및 제 2 상부프레임(818,828) 배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하부플랜지가 각각 하향 돌출되고,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814,824) 상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상부플렌지가 각각 상향 돌출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814,824)의 제 1 및 제 2 관통홀(미도시, 824)은 각각 상부플렌지 내에 위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는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플렌지(744,754)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환형의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762,772) 및 이의 하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된 제 1 및 제 2 분배플레이트(764,77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가 제 1 및 제 2 필터하우징(784,794) 내에 삽입되면 필터공간 내의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에 의해 각각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그리고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를 통해서 필터커버(780)의 제 1 및 제 2 필터하우징(784,794) 내로 냉/온 원수가 공급되면, 이들 각각은 제 1 및 제 2 가이드(746,756)를 따라 선회하는 과정 중에 제 1 및 제 2 간격(747,757)을 통해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10,820)의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내부로 유입되며, 이 과정 중에 수중의 불순물이 걸러 제거된다. 이어서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 내의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814,824)의 제 1 및 제 2 관통홀(미도시, 826)과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 의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762,772)를 통과한 다음 제 1 및 제 2 분배플레이트(764,774)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부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공급된다.
참고로, 제 1 및 제 2 필터본체(812,822)는 일례로 10㎛ 이하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거름필터로서 중공사막필터나 침전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활성탄이나 비타민과 같은 기능성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수 차례에 걸쳐서 재생탱크(730) 내의 재생수는 리드플레이트(740)와 필터커버(780) 사이로 정의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된다 하였다. 이하,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비롯해서 재생탱크(720) 내의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살펴본다.
먼저, 리드플레이트(740)에는 소정의 밸브공간이 제공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일대일 대응 연통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홀(748,758)이 관통되고, 이중 밸브공간 배면으로부터는 재생수생성관(830)이 인출되어 재생탱크(730) 내로 삽입된다. 이때 밸브공간은 임의의 필터하우징(784,794) 일측에 마련된 하우징(806) 및 이를 덮는 커버(808)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재생체크밸브(802,804)가 개재된다. 또한 재생수생성관(830) 하단부는 재생물질을 제외한 재생수 만이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그물조직으로 이루어진 메쉬(832)의 형태를 나타내며, 그 말단은 재생탱크(730)에 관통 삽입된 재생원수관(426, 도 4a, 4b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커버(780) 배면에는 하우징(806)과 제 1 및 제 2 재생수홀(748,758)을 일대일 대응 연결시키는 홈이 구비되어 리드플레이트(740)와의 밀착을 통해 그 사이로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788,798)를 각각 정의한다.
즉, 도 21에 나타난 것처럼 제 1 재생수유로(788)는 제 1 체크밸브(802)를 매개로 하우징(806) 및 재생수생성관(830)에 연통되는 제 1 밸브홀(787)을 제 1 재생수홀(748)과 연결시키고, 제 2 재생수유로(798)는 제 2 체크밸브(804)를 매개로 하우징(806) 및 재생수생선관(830)에 연통되는 제 2 밸브홀(797)을 제 2 재생수홀(758)과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체(152)로부터 인출되어 재생원수가 공급되는 재생원수관(426, 도 4a, 4b 참조)을 통해 재생탱크(730) 내로 원수가 공급되면 내부압력의 상승에 의해 재생수가 재생수생성관(830) 하단의 메쉬(832)를 통해 하우징(806)으로 공급되고, 하우징(806) 내에서 재생수는 제 1 및 제 2 밸브홀(787,797)로 분배되어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788,798)와 제 1 및 제 2 재생수홀(748,758)을 통해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된다. 이때 미설명 부호 809는 재생수생성관(830)이 결합되기 위한 고정구를 나타낸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리드플레이트(740)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재생수홀(748,758)을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구(760,770)의 제 1 및 제 2 분배플레이트(764,774) 중앙으로 인출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전달관(766,776)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의 내부 전면적에 걸쳐 재생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하우징(806) 내에 구 비된 제 1 및 제 2 재생체크밸브(802,804)는 각각 제 1 및 제 2 밸브홀(787,797) 방향으로만 오픈되어 그 반대방향, 예컨대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788,798)로부터 하우징(806)을 재생수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덧붙여, 도 20에 보인 것처럼 제 2 연수탱크(720) 바닥면에는 본체(152, 도 4a, 4b 참조)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2 배출홀(382)과 연통되는 토출홀(724)이 관통되고, 여기에는 이온교환수지의 유실과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체크밸브(8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체크밸브(850)는 토출홀(724)을 덮는 컵 형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그 내부로 토출홀(724)을 연장하는 밸브입구(851)를 제공하는 메쉬커버(852) 및 이의 내부에 실장되어 스프링(854)의 탄성력으로 밸브입구(851)를 막는 패킹부재(856)를 포함하며, 이때 스프링(854)은 밸브입구(851)를 막도록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체크밸브(850)는 제 2 배출홀(382) 방향으로만 오픈되는바, 제 2 연수탱크(720) 내의 연수 및 재생폐수는 각각 자체하중으로 패킹부재(856) 및 스프링(854)을 누름으로써 밸브입구(851)를 개방한 후 토출홀(724)과 제 2 배출홀(382, 도 4a, 4b 참조)을 통해 배출되는 반면, 제 2 배출홀(382, 도 4a, 4b 참조)로부터 역류되는 액체는 패킹부재(856)가 밸브입구(851)를 막도록 압력을 가하므로 제 2 연수탱크(720) 내로 유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같은 제 3 체크밸브(850)는 제 1 연수탱크(7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도 22는 배출부(900)의 조절밸브(91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본체(152)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격적인 설명 이전에, 앞서 조절밸브(910)는 본체(152)의 커버플레이트(350)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에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1 전달관(406)으로 전달된 냉/온 연수나 냉/온 직수를 제 2 또는 제 3 전달관(410,414)에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단속한다 하였다.
이를 위해 조절밸브(910)는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을 각각 밸브플레이트(922)로 연장하기 위해서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에 연결되는 밸브하우징(920)과, 상기 밸브플레이트(922)를 덮어 그 내부로 소정공간을 제공하는 밸브커버(970)를 포함하고, 이들 밸브하우징과 밸브커버 내에는 밸브플레이트(922)에 밀착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과 일대일 대응 연통되는 일직선상의 제 1 내지 제 3 연결홀(942,944,946)을 제공하는 밸브고정디스크(940)와, 이의 외면에 밀착되며 핸들(99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연결홀(942,944) 또는 제 1 및 제 3 연결홀(942,946)을 연결하거나 제 1 연결홀(942)을 단속하는 밸브회전디스크(950)가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밸브고정디스크(940)는 밸브하우징(920)의 밸브플레이트(922)에 밀착되는 디스크 형상을 나타내며, 여기에는 제 1 내지 제 3 전달관(406,410,414)과 일대일 대응 연통되는 제 1 내지 제 3 연결홀(942,944,946)이 관통되어 있다. 이때 밸브플레이트(922)와 밸브고정디스크(940) 사이로는 패킹(938)이 개재될 수 있고, 밸브고정디스크(940)의 제 2 및 제 3 연결홀(944,946)은 제 1 연결홀(942)을 사이에 둔 양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및 제 3 연결홀(944,946)은 제 1 연결홀(942)로부터 동일거리에 위치한다.
그리고 여기에 밀착되는 밸브회전디스크(950) 일면에는 밸브유로(952)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유로(952)는 밸브회전디스크(950)의 회전에 의해 각각 밸브고정디스크(940)의 제 1 연결홀(942)과 제 2 연결홀(944)을 연결하거나 제 1 연결홀(942)과 제 3 연결홀(946)을 연결하고, 그밖에 제 1 연결홀(942)을 제 2 및 제 3 연결홀(944,946)에 연결시키기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밸브회전디스크(950) 타면에는 밸브디스크브라켓(960)를 매개로 축샤프트(962)가 결합되어 밸브커버(970) 외부로 인출되며, 그 말단에는 핸들(990)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990)을 회전시킬 경우에 밸브회전디스크(950)의 밸브유로(952)가 밸브고정디스크(940)의 제 1 연결홀(942)과 제 2 연결홀(944)을 연통시킴으로서 결국 제 1 전달관(406)의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제 2 전달관(410)으로 공급하며, 이로써 최종의 수전구(218)를 통해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핸들(990)을 회전시킬 경우에 밸브회전디스크(950)의 밸브유로(952)가 밸브고정디스크(940)의 제 1 연결홀(942)과 제 3 연결홀(946)을 연통시킴으로써 결국 제 1 전달관(406)과 제 3 전달관(414)을 연통시키며, 이로써 샤워헤드관(226, 도 3b, 4b 참조)을 통해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 밖에도 밸브회전디스크(950)의 밸브유로(952)가 밸브고정디스크(940)의 제 1 연결홀(942)을 어느 것과도 연통시키지 않는 위치에 오도록 하여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를 단속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핸들(990)에는 축샤프트(962)에 함께 관통 및 회전되 는 스토퍼캡(980)이 장착될 수 있고, 밸브커버(970)를 향하는 스토퍼캡(980) 일면에는 가이드홈(982) 및 그 중간중간의 스토퍼홈(984)이 구비되며, 스토퍼캡(984)을 향하는 밸브커버(970) 외면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가이드홈(982)을 따라 밀착 회전하는 볼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스토퍼홈(984)은 상기의 세 가지 경우, 즉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수전구(218) 또는 샤워헤드관(226)으로 배출하거나 단속하는 경우에 각각에 있어서 핸들(990)의 고정위치를 차지한다.
한편, 이상에서 서술된 내용을 토대로 도 2에는 나타나 있지만 별도 언급이 없었던 관로들을 살펴보면,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는 각각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1 및 제 2 버툼홀(202,206)과 제 1 및 제 2 버툼유로(204,208),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 및 제 2 미들홀(254,258),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5 및 제 3 커버유로(396,392),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5 디스크홀(292)을 비롯한 분배유로(293)와 제 1-1, 1-4, 1-7 디스크홀(282,288,296)홀을 비롯한 분배유로(293)가 대신하고,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L3,L4)는 각각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9 및 제 1-2 디스크홀(300,284),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및 제 2 커버유로(352,362)와 제 1 및 제 2 커버홀(354,364)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공급구(356,366), 제 1 및 제 2 튜브(t1,t2), 필터커버(780)의 제 3 및 제 4 공급구(782,792)가 대신하며, 재생원수관로(L5)는 각각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1-3 디스크홀(286),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7 커버유로(422) 및 제 6 커버홀(424)을 비롯한 재생원수관(426)이 대신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L6,L7)와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L8,L9)는 각각 서로 동일하게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1 및 제 2 배출유로(374,384),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1 및 제 2-3 디스크홀(302,306)이 대신하고,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L10,L11)는 각각 리드플레이트(740) 및 필터커버(780)의 하우징(806), 제 1 및 제 2 밸브홀(787,797),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788,798), 제 1 및 제 2 재생수홀(748,758)이 대신하며, 배출관로(L12)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4 디스크홀(308),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6 커버유로(402)와 제 3 커버홀(404)을 비롯한 제 1 전달관(406)이 대신한다. 그리고 재생폐수관로(L13)는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2-2 디스크홀(304), 커버플레이트(350)의 제 4 커버유로(394),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6 미들홀(312) 및 재생폐수관(314)이 대신하며, 드레인관로(L14)는 앞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았지만, 커버플레이트(350)의 재생수관(434)와 제 7 커버홀(432), 미들플레이트(250)의 제 5 미들홀(324), 버툼플레이트(200)의 제 5 버툼유로(232) 및 제 5 버툼홀(234)을 비롯한 드레인관(236)이 대신한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10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도면과 함께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500,600)를 제어함으로써 네 가지 기본모드 를 비롯한 네 가지 특수모드를 수행토록 한다. 이를 위해 입력유닛(1012)과 표시유닛(1014)을 비롯한 논리연산회로(1010)를 포함하고, 그 외에 부가적으로 타이머(1016)나 스피커(101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중 입력유닛(1012)은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button) 내지는 다이얼(d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지시란 네 가지 기본모드와 네 가지 특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지정과 더불어 이들의 조합에 대한 지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 중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의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로 이루어지는 표시유닛(1014)은 사용자의 입력내용과 연수기의 동작상태를 비롯한 냉/온 원수와 냉/온 연수의 유량 및 온도 등의 각종 필요 데이터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메뉴얼(manual)을 표시하며, 상기의 입력유닛(1012) 및 표시유닛(1014)의 모든 동작과 모드조절을 위한 소정 알고리즘이 내장된 논리연산회로(1010)는 메모리(memory)를 비롯한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가 사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논리연산회로(1010)는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과, 본체(152)의 온도센서(142)를 비롯한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520,62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정도와 회전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연수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즉, 앞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을 통해서는 냉/온 원수의 유량을 파악할 수 있고, 본체(152)의 온도센서(142)를 통해서는 연수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520,620)를 통해서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현재위치와 회전정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정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네 가지 기본모드를 비롯한 네 가지 특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네 가지 기본모드로서,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에 마련된 버튼 내지는 다이얼을 이용하여 연수모드나 직수모드를 선택하고,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를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배출부(900)의 조절밸브(910)에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조절밸브(910)의 핸들(990)을 직접 조작해서 수전구(218) 또는 샤워헤드를 통해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통해 재생모드나 단속모드를 선택하면,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를 재생모드 또는 단속모드로 회전시키며, 이로써 단속모드나 재생모드가 수행된다. 이 과정 중에 전환밸브부(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520,620)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의 현재위치와 회전상태를 감지해서 해당모드가 정확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다음은 네 가지 특수모드 중에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각각 충진된 이온교환수지의 연수능력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냉/온 변환모드이다.
해당 기능이 요구되는 예로는 여름철과 같이 냉 연수의 사용량이 많거나 겨울철과 같이 온 연수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이며, 제 1 또는 제 2 연수탱크(710,720) 중 어느 하나가 주로 활용되어 해당 연수탱크(710 또는 720)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가 빠르게 도래한 경우에 재생횟수가 편중되면 결국 이온교환수지의 수명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통해 냉/온 변환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과 제 1 및 제 2 광센서(520,620)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연수모드에서의 냉/온 원수 공급량을 산출한다. 그 결과 냉/온 연수 어느 하나의 사용량이 편중된 경우에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결정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상호 전환하며, 이 같은 냉/온 변환동작은 사용자의 정지명령이 있을 때까지 되풀이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재생주기와 수명이 균등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자동재생모드이다.
이때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는 연수모드에서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을 통해 감지된 냉/온 원수의 공급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라 판단한 경우에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한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표시유닛(1014)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주지시킬 수 있고, 스피커(1018) 등을 이용해서 경보음을 발하거나 음성안내를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수기 사용량이 많지 않은 심야시간 등에 재생모드를 진행할 수 있는바, 제어부(1000)의 논리연산회로(1010)는 타이머(1016)를 이용해서 적절한 시각이 되면 제 1 및 제 2 모터(502,60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503,603)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해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560,66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고, 재생이 완료되면 단속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적절한 시각과 자동 재생모드의 선택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온도를 정확히 일치시키는 온도조절모드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연수기 사용 시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이용해서 목적하는 물의 종류와 온도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회전디스크(560)를 적절히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물의 종류를 일치시키며, 제 2 회전디스크(660)의 회전정도와 온도센서(142)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온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이용하여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드이다. 해당 기능이 필요한 예로는 목욕 등을 위해 욕조에 물을 받는 경우 등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타이머(1016)를 연동시켜 목적하는 시간에 목적하는 종류 및 유량의 물이 욕조에 받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물의 종류와 유량을 선택하면,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회전디스크(560)를 적절히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물의 종류를 일치시키고,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0,130)의 감지결과, 다시 말해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토대로 냉/온 연수 또는 직수의 배출량을 조절해서 해당 유량에 도달하면 단속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기의 네 가지 기본모드와 네 가지 특수모드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를 혼합해서 목적하는 유량 및 온도로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목적에 따른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네 가지 기본모드인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를 손쉽게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특별한 지식과 노력이 요구되지 않아 안정적인 연수기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네 가지 기본모드와 더불어 고유의 특수모드로서, 첫째 냉/온 변환모드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수명연장의 효과와 최대 연수화 기능을 얻을 수 있고, 둘째 자동재생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도 정확한 시점에 자동으로 재생을 진행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크게 단축시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셋째 온도조절모드를 통해 목적하는 온도의 물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넷째, 유량조절모드를 통해 물의 종류와 배출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되는 모서리 등이 장착 가능하여 공간효율성이 뛰어는 장점이 있다.

Claims (55)

  1.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각각 ①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해서 냉/온 연수로 변화 배출하는 연수모드와, ②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와, ③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와, ④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각각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연결되어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조절을 담당하는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로와 상기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재생폐수관로가 연결되어 상기 냉/온 연수 및 상기 냉/온 직수와 상기 재생폐수의 배출조절을 담당하는 제 2 밸브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디스크 및 이의 상면에 밀착 회전되는 회전디스크를 구비한 전환밸브부
    를 포함하여, ①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며, ②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며, ③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의 냉 또는 온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에 전달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재생폐수를 상기 재생폐수관로로 배출하며, ④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단속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가 안착되고, 상기 전환밸브부가 내장되는 본체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탱크부가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는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는 버툼플레이트와;
    상기 전환밸브부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결합되는 버툼케이스
    를 포함하는 연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미들플레이트와 버툼플레이트 중 선택된 둘은 진동융착된 연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버툼홀이 관통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커버홀과, 상기 재생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원수를 공급하는 제 3 커버홀과, 상기 배출관로가 연결되어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를 각각 배출하는 제 4 커버홀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냉/온 연수 및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배출홀이 관통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과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연결되는 제 1 미들홀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제 1 디스크홀은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과, 상기 제 1 및 제 2 버툼홀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커버홀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미들홀과, 상기 제 4 커버홀에 각각 하나 이상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각 모드별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연통시키는 연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크홀 중 선택된 복수 개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고정홀이 둘러 관통된 제 1 고정디스크와;
    상기 제 1 고정디스크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상기 각 모드별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1 회전유로가 구비된 제 1 회전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미들플레이트 배면에 밀착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복수 개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고정홀이 둘러 관통된 제 2 고정디스크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 중 선택된 둘 이상을 각각 상기 각 모드별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 2 회전유로가 구비된 제 2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연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배면에는 윤활 및 방수를 위한 오일이 저장된 복수개의 오일홈이 더욱 구비된 연수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버툼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1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버툼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2 디스크홀과, 상기 제 1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3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4 디스크홀과, 제 3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1-5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디스크홀 중 선택된 둘에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1-6 및 제 1-7 디스크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디스크홀은, 상기 제 1 배출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1 디스크홀과, 상기 제 2 배출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2 디스크홀과, 상기 제 1 미들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 2-3 디스크홀과, 상기 제 4 커버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2-4 디스크홀을 포함하는 연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은, 상기 제 1-1 디스크홀에 각각 연결된 제 1-1 및 제 1-2 고정홀과, 상기 제 1-2 디스크홀에 각각 연결된 제 1-3 내지 제 1-5 고정홀과, 상기 제 1-3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6 고정홀과, 상기 제 1-4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7 고정홀과, 상기 제 1-5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8 고정홀과, 상기 제 1-6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1-9 고정홀과, 상기 제 1-7 디스크홀과에 연결된 제 1-10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은, 상기 2-1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1 고정홀과, 상기 2-2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2 고정홀과, 상기 제 2-3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4 고정홀과, 상기 제 2-4 디스크홀에 연결된 제 2-4 고정홀을 포함하는 연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8 고정홀은 그 외의 제 1 고정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나타내는 연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8 고정홀의 직경은 0.5~2mm인 연수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제 2 및 제 3 미들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버툼플레이트 사이로는 상기 제 1 버툼홀과 상기 제 2 미들홀을 연결하는 제 1 버툼유로와, 상기 제 2 버툼홀과 상기 제 3 미들홀을 연결하는 제 2 버툼유로가 정의되며,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로는 상기 제 2 미들홀과 제 1-1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1 커버유로와, 상기 제 3 미들홀과 제 1-2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2 커버유로와, 상기 제 1 커버홀과 제 1-3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3 커버유로와, 상기 제 2 커버홀과 제 1-4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4 커버유로와, 상기 제 3 커버홀과 제 1-5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5 커버유로와, 상기 제 4 커버홀과 제 2-4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6 커버유로와, 상기 제 1 배출홀과 제 2-1 디스크홀과 제 1-7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1 배출유로와, 상기 제 2 배출홀과 제 1-6 디스크홀과 제 2-2 디스크홀을 연결하는 제 2 배출유로가 각각 정의된 연수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고정디스크 사이로 정의되어, 상기 제 1-1 디스크홀을 상기 제 1-1 및 제 1-2 고정홀에 연결시키는 분배유로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홀은, 상기 제 1-3 고정홀을 6시 방향으로, 상기 제 1-7, 제 1-2, 제 1-8, 제 1-4 고정홀이 각각 5, 4, 3, 2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1-6, 제 1-1, 제 1-9, 제 1-5, 제 1-10 고정홀이 각각 7, 8, 9, 10, 11시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회전유로는 서로 한 시간 간격을 유지한 채 각각 인접한 두 시간 위치를 연결시키는 제 1-1 및 제 1-2 회전유로를 포함하는 연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1-1 회전유로는 상기 제 1-1 및 제 1-6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3 및 제 1-7 고정홀을 연결시키며,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1-1 회전유로는상기 제 1-10 및 제 1-5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9 및 제 1-1 고정홀을 연결시키며,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1 회전유로는 상기 제 1-4 고정홀에 대응되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2 및 제 1-8 고정홀을 각각 연결시키며,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1 회전유로는 상기 1-4 고정홀에 대응되고, 상 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1-10 고정홀에 대응되는 연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고정홀은, 상기 제 2-1 고정홀을 6시 방향으로 상기 제 2-2, 제 2-3, 제 2-4 고정홀이 각각 12시, 3시, 9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회전디스크의 제 2 회전유로는 상기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2-1 고정홀, 제 2-2 고정홀, 제 2-4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2-1 고정홀, 제 2-3 고정홀, 제 2-4 고정홀을 연결시키는 제 2-1 회전유로를 포함하는 연수기,
  1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제 5 및 제 6 커버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5 및 제 6 커버홀에 각각 연결된 제 3 및 제 4 버툼홀이 더 관통되며,
    상기 제 4 내지 제 6 커버홀을 연결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4 및 제 5 커버홀 또는 상기 제 4 및 제 6 커버홀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 4 커버홀을 밀폐하는 조절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3 버툼홀을 하향 연장하는 수전구관과;
    상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수전구관 말단에 연결되는 수전구와;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4 버툼홀을 하향 연장하는 샤워헤드관과;
    상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샤워헤드관 말단에 연결되는 샤워헤드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는 슬릿 형상의 토출구를 구비한 연수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 3 내지 제 5 커버홀에 연결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내지 제 5 커버홀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연결홀을 제공하는 밸브플레이트와;
    상기 밸브플레이트에 밀착 회전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홀을 밀폐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홀 또는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홀을 연통시키는 밸브유로가 구비된 밸브회전디스크와;
    상기 밸브회전디스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에 결합되는 밸브커버와;
    상기 밸브커버를 관통해서 상기 밸브회전디스크의 회전중심에 결합된 샤프트축과;
    상기 샤프트축 말단에 부설된 핸들
    을 포함하는 연수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탱크부 전면으로 노출된 연수기.
  2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는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의 좌우로 위치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재생탱크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사이의 후면에 위치된 연수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 형상인 연수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탱크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삼각통 형상인 연수기.
  25. 제 2항에 있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바 형상의 스탠드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내면을 따라 제 1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파이프와;
    외면에 상기 제 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 2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파이프 말단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파이프와;
    상기 스크류파이프 말단에 결합된 고무재질의 받침단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지지하도록 상기 스크류파이프에 관통 체결되는 조절나사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탱크의 내의 재생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로와;
    상기 드레인관로를 개폐하는 정지밸브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2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재생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재생탱크 내의 재생수가 배출되는 제 5 커버홀이 더 관통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5 커버홀과 연결되는 제 2 미들홀이 더 관통되며,
    상기 버툼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미들홀과 연결되는 제 3 버툼홀이 더 관통 된 연수기.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버툼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 3 버툼홀을 상기 버툼플레이트 배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드레인관과;
    상기 버툼케이스 외부의 상기 드레인관 말단에 부설된 정지밸브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저면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 3 커버홀을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재생원수관과;
    상기 재생통 저면과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제 5 커버홀을 상기 커버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드레인연결관
    을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원수관과 드레인연결관 각각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리브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제 1 및 2 모터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각 모드를 전환하며,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입력유닛과,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유닛을 갖춘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수기.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정도를 각각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광센서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연수기.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로에 각각 부설되어,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은 각각 상기 본체 내에 실장되는 연수기.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통에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유량을 각각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에 자동으로 상기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연수기.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각에 상기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연수기.
  40.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기.
  4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배출유로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제 2-2 고정홀에 대한 상기 제 2-1 및 제 2-4 고정홀의 상대적인 연통정도를 통해 상기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연수기.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고정홀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상면에 형성된 제 2-1 고정홈을 매개로 상기 제 2-4 고정홀에 근접한 제 1 확장홀과 상기 제 2-3 고정홀에 근접한 제 2 확장홀로 분지되고, 상기 제 2-2 고정홀은 상기 제 2 고정디스크 상면에 형상된 제 2-2 고정홈을 매개로 상기 제 2-4 고정홀에 근접한 제 3 확장홀과 상기 제 2-3 고정홀에 근접한 제 4 확장홀로 분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확장홀은 각각 상기 제 2-2 고정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제 2-1 회전유로는 상기 연수모드와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2-2 고정홀을 비롯한 상기 제 1 및 제 3 확장홀의 일부를 연결시키는 연수기.
  4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로에 각각 부설되어,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유량을 각각 산출하고 어느 하나의 유량이 편중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1 모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서로 바꾸는 연수기.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바꾸기 위해, 상기 1-1 회전유로가 상기 제 1-1 및 제 1-6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는 상기 제 1-3 및 제 1-7 고정홀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1 회전유로가 상기 제 1-6 및 제 1-3 고정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 1-2 회전유로가 상기 제 1-7 및 제 1-2 고정홀을 연결시키는 연수기.
  4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 상면을 덮어 밀폐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밸브홀이 관통된 리드플레이트와;
    상기 리드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을 각각 덮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가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밸브하우징을 포함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 내에 실장되는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
    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는 각각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밸브체를 포함하는 연수기.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는 각각 상기 각 밸브체 내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각 밸브체 상면에 결합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제 1 및 제 2 상부프레임
    을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48. 제 46항에 있어서,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홀 주변을 따라 각각 상향 돌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여,
    상기 냉/온 원수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외측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로 유입되는 과정 중에 수중의 불순물이 걸러 제거된 후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공급되는 연수기.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체 각각의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확산 및 낙하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분배플레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에 각각 연결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에 연통된 상태로 상기 리드플레이트 배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재생탱크 내에 삽입되는 재생수생성관
    을 포함하는 연수기.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리드플레이트에 관통된 제 1 및 제 2 재생수홀과;
    상기 리드플레이트와 상기 필터커버 사이로 정의되어 상기 밸브실과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수홀을 각각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
    를 포함하는 연수기.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재생수홀을 상기 제 1 및 2 분배플레이트 상부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연결관을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 내에 실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수유로를 향해서만 각각 오픈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체크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5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홀을 각각 덮고,
    상기 제 1 및 제 2 재생탱크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홀을 향해서만 각각 오픈되는 제 1 및 2 체크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연수기.
  5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냉/온 연수 및 재생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재생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재생원수를 전달하는 재생원수관로와;
    상기 재생탱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재생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를 더욱 포함하여, ①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통시키며, ②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통시키며, ③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재생원수관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재생폐수관로를 연통시키며, ④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단속하는 연수기.
KR1020060090096A 2006-02-02 2006-09-18 연수기 KR10080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1,759 US20100222928A1 (en) 2006-02-02 2006-11-14 Water softener
CN2006800522240A CN101336125B (zh) 2006-02-02 2006-11-14 水软化器
PCT/KR2006/004787 WO2007089070A1 (en) 2006-02-02 2006-11-14 Water softner
JP2008553144A JP2009525173A (ja) 2006-02-02 2006-11-14 軟水器
MYPI20082856A MY142889A (en) 2006-02-02 2006-11-14 Water softener
EP06847367A EP1979065A1 (en) 2006-02-02 2006-11-14 Water soft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217 2006-02-02
KR20060010217 2006-02-02
KR20060010216 2006-02-02
KR1020060010216 200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551A KR20070079551A (ko) 2007-08-07
KR100807397B1 true KR100807397B1 (ko) 2008-02-28

Family

ID=3860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096A KR100807397B1 (ko) 2006-02-02 2006-09-18 연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22928A1 (ko)
EP (1) EP1979065A1 (ko)
JP (1) JP2009525173A (ko)
KR (1) KR100807397B1 (ko)
CN (1) CN101336125B (ko)
MY (1) MY142889A (ko)
WO (1) WO2007089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67B1 (ko) * 2006-12-22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출수 온도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100821368B1 (ko) * 2006-12-22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100821366B1 (ko) * 2006-12-22 2008-04-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KR100846473B1 (ko) * 2007-02-23 2008-07-1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100814968B1 (ko) * 2007-03-14 2008-03-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유로전환밸브
KR100875207B1 (ko) * 2007-04-11 2008-12-22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DE102007059058C5 (de) * 2007-12-06 2014-11-27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asserenthärtungsanlage mit zwei Kalibrierkennlinien und zugehörige Wasserenthärtungsanlage
KR101450341B1 (ko) * 2008-01-31 2014-10-14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100907743B1 (ko) * 2008-10-29 2009-07-14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DE102009060539B3 (de) * 2009-12-23 2011-05-12 Bwt Wassertechnik Gmbh Mischmodul für eine Vorrichtung zur Wasserbehandlung
KR101239534B1 (ko) 2010-04-30 2013-03-06 코웨이 주식회사 타이머 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연수기
US9758387B2 (en) 2011-06-02 2017-09-12 Water-Right, Inc. Methods related to proportional regeneration of water treatment systems
US8865001B2 (en) 2011-10-24 2014-10-21 Water-Right, Inc. Proportional regeneration for water treatment systems
KR101623790B1 (ko) * 2013-07-1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4436828B (zh) * 2014-12-03 2016-03-02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机组件及其控制方法
KR101816120B1 (ko) * 2015-08-13 2018-01-08 코웨이 주식회사 반자동 수압식 연수기
US10612670B2 (en) 2015-10-23 2020-04-07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Control valve for fluid treatment apparatus
KR102581407B1 (ko) * 2017-09-26 2023-09-21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2789B1 (ko) * 2017-09-26 2023-10-23 코웨이 주식회사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CN112390327A (zh) * 2019-08-13 2021-02-23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软水罐及软水装置
CN111217423B (zh) * 2020-01-21 2022-07-05 佛山市中顺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沉淀物收集排出结构的硬水软化装置
CN115072835A (zh) * 2022-06-13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软水机
CN115072834A (zh) * 2022-06-13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软水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41A (ja) * 1994-01-14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駆動可搬式軟水化装置
KR20040106268A (ko) * 2004-08-09 2004-12-17 주기중 연수기
JP2005052748A (ja) 2003-08-05 2005-03-03 Hitachi Hometec Ltd 軟水器
KR20050023663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20050089675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승광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50121168A (ko) * 2004-07-01 2005-12-26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KR20060111151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자동재생 가능한 연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656A (en) * 1974-09-03 1977-04-19 Bechtel International Corporation Thermal softening and distillation by regenerative method
CN1032743C (zh) * 1992-09-13 1996-09-11 兰州铁道学院 二级浮动床离子交换软化水处理工艺及其设备
US5654880A (en) * 1996-01-16 1997-08-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ingle-stage AC-to-DC full-bridge converter with magnetic amplifiers for input current shaping independent of output voltage regulation
US5651880A (en) * 1996-09-16 1997-07-29 Johnson; Stanley O. Water softener brine tank insert
JP2002039613A (ja) * 2000-07-27 2002-02-06 Hitachi Chem Co Ltd 浴室用軟水化装置
US6863808B2 (en) * 2001-12-20 2005-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water softener system
US6790362B2 (en) * 2002-01-11 2004-09-14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Efficiency mode for water softener
JP4252065B2 (ja) * 2003-04-21 2009-04-08 スングァ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軟水器
DE602004022969D1 (de) * 2003-11-07 2009-10-15 Seung Gwang Co Ltd Selbstregenerierbarer heiss- und kaltwasserenthärter
KR100522566B1 (ko) * 2004-03-05 2005-10-19 주식회사 승광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41A (ja) * 1994-01-14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駆動可搬式軟水化装置
JP2005052748A (ja) 2003-08-05 2005-03-03 Hitachi Hometec Ltd 軟水器
KR20050023663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20050089675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승광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050121168A (ko) * 2004-07-01 2005-12-26 앨트웰텍 주식회사 연수샤워기
KR20040106268A (ko) * 2004-08-09 2004-12-17 주기중 연수기
KR20060111151A (ko) * 2005-04-22 2006-10-26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자동재생 가능한 연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2889A (en) 2011-01-31
JP2009525173A (ja) 2009-07-09
CN101336125A (zh) 2008-12-31
WO2007089070A1 (en) 2007-08-09
CN101336125B (zh) 2011-03-23
US20100222928A1 (en) 2010-09-02
KR20070079551A (ko) 2007-08-07
EP1979065A1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7B1 (ko) 연수기
KR100875207B1 (ko) 연수기
KR10230519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553167B1 (ko)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20230058338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926077B1 (ko) 연수기
KR100737926B1 (ko) 연수기
KR100748213B1 (ko) 연수기
KR100522566B1 (ko)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100521843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100814612B1 (ko) 연수기
KR100907743B1 (ko) 연수기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KR100875209B1 (ko) 연수기
KR20110023548A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JP6701914B2 (ja) イオン交換装置
JP2593240Y2 (ja) 水処理装置連結式切換栓
WO2008048014A1 (en) Water softener
KR20110085213A (ko) 자동제어형 냉/온 연수기
JPH08117745A (ja) 蒸気発生装置用の軟水器
KR20110110426A (ko) 직결식 냉/온 연수기
KR10230607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JP2606822Y2 (ja) 整水器
JP6672979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100066225A (ko)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