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66B1 -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66B1
KR100821366B1 KR1020060132474A KR20060132474A KR100821366B1 KR 100821366 B1 KR100821366 B1 KR 100821366B1 KR 1020060132474 A KR1020060132474 A KR 1020060132474A KR 20060132474 A KR20060132474 A KR 20060132474A KR 100821366 B1 KR100821366 B1 KR 10082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hot water
hole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심상철
윤성훈
지상준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연수탱크가 고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냉수와 온수를 연수화시키기 위한 제1 연수탱크와 제2 연수탱크를 구비하는 탱크바디; 냉수 및 온수 공급을 위한 공급유로와, 내부의 냉수와 온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1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연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2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연수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하우징; 및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도록,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유로공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상판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유로전환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둘 이상의 유로공 하측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유로홈 및 제2 유로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전환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유로공은,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가 유입되는 제1 온수유입공 및 제2 온수유입공과,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2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가 유입되는 제1 냉수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2 온수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냉수유출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1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온수유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하판은,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2 온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냉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연수탱크와 온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연수탱크가 고르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수탱크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냉수, 온수, 유로, 전환, 밸브, 연수기, 회전

Description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Water softener for preventing unbalanced use of softwater tank}
도1은 종래 연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상판의 저면과 유로하판의 상면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상판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하판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전환상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전환하판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은 각 모드별 유로전환밸브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연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재생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원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탱크전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탱크바디 110 : 제1 연수탱크
120 : 제2 연수탱크 130 : 재생탱크
200 : 유로하우징 210 : 유로상판
211 : 냉수공급구 212 : 온수공급구
213 : 냉연수입구 214 : 온연수입구
215 : 혼합수출구 216 : 재생수공급구
220 : 유로하판 221 : 냉수입구
222 : 온수입구 223 : 냉수출구
224 : 온수출구 225 : 혼합수구
230 : 유출입블럭 231 : 냉수급수구
232 : 온수급수구 300 : 상측덮개
400 : 하측덮개 500 : 유로전환밸브
510 : 유로전환상판 520 : 유로전환하판
600 : 온도조절밸브 610 : 온도조절상판
620 : 온도조절하판 C : 냉수충진공간
H : 온수충진공간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연수탱크가 고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된 연수탱크로 보다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로를 변경시킴으로써 모든 연수탱크가 고르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이나 지하수에는 다양한 종류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바, 그 대표적인 불순물에는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중탄산, 황산, 염소, 이산화규소, 철, 망간 등의 이온물질이 포함되고, 이러한 이온물질들이 포함된 물을 경수(hard water)라고 한다.
경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물질에는 신체에 이로운 성분도 있지만, 대부분 피부의 노화를 촉진하는 등 불리한 영향을 많이 끼치게 된다.
특히, 수돗물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물이 노후된 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압송되는 과정에서 오염된 지표수가 유입되기도 하여 수돗물 속에 인체에 해로운 철, 납, 아연, 수은 등의 각종 중금속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이온물질 및 중금속 들은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거나 피부노화를 촉 진시키게 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물속에 포함된 경도성분인 Ca(+2)와 Mg(+2) 이온을 이온수지 중의 Na(+)이온과 교환하여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각 가정에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연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 연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수기는,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이하, '원수(原水)'라 함)은 원수공급관(10)을 통해 이온수지가 저장된 연수탱크(20)로 유입되는데, 원수가 상기 연수탱크(20)를 통과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온교환 과정을 통해 연수로 변화되고, 이 연수는 다시 연수관(30)을 통해 각 가정에 설치된 수도꼭지(40)로 배출된다.
부연하면, 상기 연수탱크(20)에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온수지(R)가 채워지게 되고, 연수탱크(20)의 상부에 마련된 입구부(50)에는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6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60)는 상기 입구부(50)를 통해 삽입되어 그 입구부(50) 내측에 거치되면서 원수공급관(10)을 통해 유입된 원수 속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부유물 등을 1차로 필터링하는데, 상기 필터(60)는 일정기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되어 다른 필터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바, 필터(60)를 신품으로 교환할 때에는 다시 입구부(50)를 통해 꺼내 새 것과 교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수는 연수탱크(20)의 상부에 있는 필터(60)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 상태로 다시 하부의 이온수지(R) 쪽으로 유입되어, 원수와 이온수지가 연수탱크(20) 내에서 함께 섞이면서 이온교환 과정을 통해 원수가 연수로 변환된다.
또한, 원수는 이온수지(R)와 섞여서 이온교환 반응이 일어날 시간을 가져야 하는바, 이 때문에 상기 연수탱크(20)의 바닥에는 연수탱크(20)가 소정의 압력이 될 때 연수로 변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7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연수탱크(20)에는 이온수지(R)와 원수가 가득 채워지기 때문에 밀폐된 상태에서 연수탱크(20)는 상당히 높은 압력이 되고, 이렇게 압력이 높아지면 그물망을 갖는 체크밸브(70)를 통해 이온수지(R)는 배출되지 못하고 물만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이온수지(R)는 일정량 이상의 물을 연화시키면 그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금물 등의 재생수를 주입시켜 줌으로써 이온수지(R)의 성능을 복원시키는 작업 즉 재생작업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연수기는 내부로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가 각각 서로 다른 연수탱크(20)를 지나는 동안 연수화 된 후 출구 근처에서 혼합되어 출수되는데,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의 사용량이 동일하지 아니하므로 어느 한 쪽의 연수탱크(20)에 저장된 이온수지(R)가 먼저 성능이 저하되는바, 다른 한 쪽의 연수탱크(20)에 저장된 이온수지(R)가 아직 성능이 저하되지 아니하였더라도 재생작업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연수기는, 어느 한 쪽의 연수탱크(20)에 저장된 이온수지(R)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온수지(R)의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연수탱크와 온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온수탱크가 균형 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냉수와 온수를 연수화시키기 위한 제1 연수탱크와 제2 연수탱크를 구비하는 탱크바디;
냉수 및 온수 공급을 위한 공급유로와, 내부의 냉수와 온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1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연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2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연수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하우징; 및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도록,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유로공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상판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유로전환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둘 이상의 유로공 하측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유로홈 및 제2 유로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전환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유로공은,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가 유입되는 제1 온수유입공 및 제2 온수유입공과,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2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가 유입되는 제1 냉수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2 온수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냉수유출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1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온수유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하판은,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2 온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공은 상기 유로전환하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유로전환상판과 유로전환하판은 세라믹으로 제작된다.
상기 유로전환하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냉수와 온수 간의 유량 차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냉수와 온수의 유로가 전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유량측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로하우징은 적층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호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제1 연수유로, 제2 연수유로 및 출수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상판 및 유로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크게 구분하였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 크바디(100)와, 유로하우징(200)과, 상측덮개(300) 및 하측덮개(400)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바디(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이온수지와, 상기 이온수지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때 상기 이온수지를 원상태로 재생시키는 재생수 공급을 위한 소금이 채워져 있다. 또한 상기 유로하우징(2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상기 탱크바디(100)로 공급하고, 탱크바디(100)의 이온수지를 거침으로써 연수화된 물을 외부로 출수시킬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연수로 변환시켜 외부로 출수시키는 연수모드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연수화시키지 아니하고 그대로 외부로 출수시키는 원수모드와, 상기 이온수지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모드와, 모든 동작이 정지되는 정지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로하우징(200)에는 각 모드에 맞춰 물이 흐르는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밸브(500)와, 냉수와 온수의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밸브(600)가 구비된다(도3 및 도 4 참조).
상기 상측덮개(300)와 하측덮개(400)는 각각 상기 탱크바디(100)의 상부와 유로하우징(200)의 하부를 덮기 위한 부재이며, 상기 상측덮개(300)에는 재생수를 이온수지로 안내하기 위한 재생유로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각 모드에 맞게 안내하는 유로전환에 가장 큰 특징이 있는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에 적용되는 유로상판(210)의 저면과 유로하판(220)의 상면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7은 각각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의 저면도이며, 도 8 및 도9는 각각 유로전환상판(510)과 유로전환하판(520)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바디(100)는, 내부에 이온수지가 저장되는 제1 연수탱크(110) 및 제2 연수탱크(120)와, 재생수 생성을 위한 재생성분이 저장되는 재생탱크(1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재생수는 통상적으로 소금물로 적용되는바, 상기 재생탱크(130)에는 일반적으로 소금덩어리가 저장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제1 연수탱크(110) 또는 제2 연수탱크(120)를 지나는 경우 연수로 변환되며, 재생탱크(130)를 지나는 경우 재생수 즉, 소금물로 변환되어 상기 제1 연수탱크(110)와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연수기는 냉수와 온수가 별도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므로, 냉수 연수를 위한 제1 연수탱크(110)와, 온수 연수를 위한 제2 연수탱크(12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고 있으나, 공급되는 물이 한 종류인 경우 하나의 연수탱크만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하우징(200)은, 상기 탱크바디(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로상판(210)과, 상기 유로상판(2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로하판(220)과, 상기 유로하판(220)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출입블럭(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출입블럭(23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각각 공급받기 위한 냉수급수구(231) 및 온수급수구(2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상판(210)의 저면에는 상기 냉수급수구(231) 및 온수급수구(232)로부터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라인 형상의 홈의 다수 형성되며, 상기 유로하판(220)에는 상기 유로상판(210)에 형성된 라인 형상의 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물이 유출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은 라인 형상의 홈과 다수의 관통구에 의해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의 상호 접촉되는 면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공급유로와, 내부의 물을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물이 상기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연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물이 상기 연수탱크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원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물이 상기 재생탱크(130)를 거친 후 상기 연수탱크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재생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수유로는 공급유로 상의 물을 제1 연수탱크(110)로 안내하는 제1 연수유로와, 공급유로 상의 물을 제2 연수탱크(120)로 안내하는 제2 연수유로로 구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에는, 상기 냉수급수구(231)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제1 연수탱크(110)로 안내하기 위한 냉수입구(221), 제1 냉수구(221a), 제2 냉수구(221b) 및 냉수공급구(211)와, 상기 제1 연수탱크(11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 냉수 즉, 냉연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냉연 수입구(213) 및 냉수출구(223)와, 상기 온수급수구(232)를 통해 공급된 온수를 제2 연수탱크(120)로 안내하기 위한 온수입구(222), 제1 온수구(222a), 제2 온수구(222b) 및 온수공급구(212)와, 상기 제2 연수탱크(12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 온수 즉, 온연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온연수입구(214) 및 온수출구(2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수출구(223)와 온수출구(224)를 지난 냉연수와 온연수는 서로 섞인 후 유로하판(220)에 형성된 혼합수구(225)와 유로상판(210)에 형성된 혼합수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또한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에는, 상기 냉수입구(221)를 통해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냉수를 재생탱크(130)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재생수구(226a), 제2 재생수구(226b) 및 재생수공급구(216)와, 상기 재생탱크(130)를 통과하여 재생수화된 후 상기 제1 연수탱크(110) 및 제2 연수탱크(120)를 지난 재생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제1 재생수출구(226c), 제2 재생수출구(226d) 및 재생수드레인파이프(22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에는, 상기 냉수입구(221)를 통해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냉수를 상기 제1 연수탱크(110)로 보내지 아니하고 바로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제1 냉원수구(227a) 및 제2 냉원수구(227b)와, 상기 온수입구(222)를 통해 상기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온수를 상기 제2 연수탱크(120)로 보내지 아니하고 바로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제1 온원수구(228) 및 제2 온원수구(228)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각 관통구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유로를 공급유로, 출수유로, 연수유로, 원수유로, 재생유로로 각각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표시는 두 관통구 간을 연결하는 유로를 뜻하며, '( )'표시는 물이 내부를 지나는 부재를 뜻한다.
(1) 공급유로
냉수입구(221) - 제1 냉수구(221a).
온수입구(222) - 제1 온수구(222a).
냉수입구(221) - 재생수구.
냉수입구(221) - 제1 냉원수구(227a).
(2) 출수유로
냉수출구(223) - 혼합수구(225) - 혼합수출구(215).
온수출구(224) - 혼합수구(225) - 혼합수출구(215).
제1 재생수출구(226c) - 제2 재생수출구(226d) - 재생수드레인파이프(229).
(3) 연수유로
① 제1 연수유로 : 제1 냉수구(221a) - 제2 냉수구(221b) - 냉수공급구(211) - (제1 연수탱크(110)) - 냉연수입구(213) - 냉수출구(223),
② 제2 연수유로 : 제1 온수구(222a) - 제2 온수구(222b) - 온수공급구(212) - (제2 연수탱크(120)) - 온연수입구(214) - 온수출구(224).
(4) 원수유로
제1 냉수구(221a) - 제1 냉원수구(227a) - 제2 냉원수구(227b) - 냉수출구(223).
제1 온수구(222a) - 온원수구(228) - 온수출구(224).
(5) 재생유로
제1 재생수구(226a) - 제2 재생수구(226b) - 재생수공급구(216) - (재생탱크(130)) - (제1 연수탱크(110)) - 냉연수입구(213) - 냉수출구(223).
제1 재생수구(226a) - 제2 재생수구(226b) - 재생수공급구(216) - (재생탱크(130)) - (제2 연수탱크(120)) - 온연수입구(214) - 온수출구(224).
이때 상기 유로상판(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입구(221)와 제1 냉수구(221a)와 제1 냉원수구(227a)와 제1 재생수구(226a)를 덮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 내부는 상기 냉수입구(221)로부터 유입된 냉수가 충진되는 냉수충진공간(C)이 된다. 또한 상기 유로하판(220)은 상기 제1 온수구(222a)의 하측과, 상기 온원수구(228)와 제2 온수구(222b) 사이의 저면과, 제2 냉수구(221b)와 제2 재생수구(226b) 사이의 저면을 연결하는 삼발이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데, 이 홈 내부는 상기 제1 온수구(222a)로부터 유입된 온수가 충진되는 온수충진공간(H)이 된다.
상기 유로전환밸브(500)는 각 모드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 상의 물을 상기 제1 연수유로나 제2 연수유로, 원수유로, 재생유로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유로전환상판(510)은 상기 유로하판(220)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상기 유로전환상판(5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로전환상판(51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유로공 즉, 상기 제2 냉원수구(227b)와 연통되는 제2 냉수유출공(513b)과, 상기 제1 냉원수구(227a)와 연통되는 제2 냉수유입공(511b)과, 상기 온원수구(228)와 연통되는 제2 온수유출공(514b)과, 제2 온수구(222b)와 연통되는 제1 온수유출공(514a)과, 제1 냉수구(221a)와 연통되는 제1 냉수유입공(511a)과, 상기 제2 냉수구(221b)와 연통되는 제1 냉수유출공(513a)과, 제2 재생수구(226b)와 연통되는 재생수유출공(515b)과, 상기 제1 재생수구(226a)와 연통되는 재생수유입공(515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온수유출공(514a)과 제2 온수유출공(514b) 사이의 공간 중 온수충진공간(H)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1 온수유입공(5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냉수유출공(513a)과 재생수유출공(515b) 사이의 공간 중 온수충진공간(H)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온수유입공(51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유로공의 하측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유로홈(522)에 의해 연통되는 두 개의 유로공 중 어느 하나의 유로공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1 유로홈(522)을 지나 다른 하나의 유로공으로 유출된다. 이때 유로전환상판(510)과 유로전환하판(520) 사이로 물이 새어나가지 아니하도록 상기 유로전환상판(510)의 저면과 유로전환하판(520)의 상면은 매우 매끄러운 평면으로 가공되며, 이와 같은 평면 가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유로전환상판(510)과 유로전환하판(520)은 세라믹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은 이웃하는 두 개의 유로공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은 셋 이상의 유로공을 연통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유로공으로부터 물이 유입된 후 나머지 복수개의 유로공을 통해 유출되거나, 복수개의 유로공을 통해 물이 유입된 후 하나의 유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에 의해 연통되는 유로공들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각 모드에 따라 해당 유로공들이 연통되도록 사전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될 때 상기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이 상기 유로공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유로공은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킬 수 있도록 즉,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각 모드별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을 사전에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밸브(6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홀(611), 제2 관통홀(612), 제4 관통홀(614) 및 제5 관통홀이 형성된 온도조절상판(610)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온도조절상판(6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둘 또는 세 개의 관통홀 하측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혼합홀(621)이 상면에 형성되는 온도조절하판(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관통홀(611)과 제2 관통홀(612)은 온도조절상판(6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아크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온도조절상판(6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3 관통홀(613)과 제4 관통홀(614)은 상기 제1 관통홀(611)과 제2 관통홀(612)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홀(621)은 온도조절하판(620)의 원주방향을 따르는 아크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제1 관통홀(611)과 제2 관통홀(612) 일부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온도조절하판(6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혼합홀(621)은, 제1 관통홀(611)과 제3 관통홀(613)만을 연통시키거나, 제1 관통홀(611)과 제2 관통홀(612)과 제3 관통홀(613)을 연통시키거나, 제2 관통홀(612)과 제3 관통홀(613)만을 연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홀(621)은 제1 관통홀(611)과 제4 관통홀(614)만을 연통시키거나, 제1 관통홀(611)과 제2 관통홀(612)과 제3 관통홀(613)을 연통 시키거나, 제2 관통홀(612)과 제3 관통홀(613)만을 연통시킬 수도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각 모드별 유로전환밸브(5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연수기의 모드가 전환됨에 따라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것으로, 연수기가 연수모드일 때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홈(522)이 제1 온수유입공(512a)과 제1 온수유출공(514a)을 연통시키고, 제2 유로홈(524)이 제1 냉수유입공(511a)과 제1 냉수유출공(513a)을 연통시키도록 회전된다.
또한 유로전환하판(520)은 연수기가 재생모드일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홈(522)이 재생수유출공(515b)과 재생수유입공(515a)을 연통시키고 제2 유로홈(524)은 유로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며, 연수기가 원수모드일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홈(522)이 제1 냉수유입공(511a)과 제2 냉수유출공(513b)을 연통시키고 제2 유로홈(524)이 제1 온수유입공(512a)과 제2 온수유출공(514b)을 연통시키도록 회전된다.
또한 연수기가 정지모드일 경우,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홈(522)과 제2 유로홈(524)이 상호 대응되는 유입공과 유출공을 연통시키지 아니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회전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을 회전시킨 후 냉수와 온수를 연수화시키는 경우, 냉수는 제1 연수탱크(110)만을 통과하게 되고 온수는 제2 연수탱크(120)만을 통과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 간의 사용량 편차가 심하게 발생되므로 제1 연수탱크(110)와 제2 연수탱크(120) 중 어느 하나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어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두 개의 연수탱크를 바꿔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상기 언급한 연수모드, 재생모드, 원수모드, 정지모드 외에 냉수가 제2 연수탱크(120)를 통과하고 온수가 제1 연수탱크(110)를 통과하도록 하는 탱크전환모드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탱크전환모드 시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홈(522)이 제1 온수유출공(514a)과 제1 냉수유입공(511a)을 연통시키고, 제2 유로홈(524)이 제1 냉수유출공(513a)과 제2 온수유입공(512b)을 연통시키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되면, 상기 제1 냉수유입공(511a)을 통해 유입된 냉수는 제1 온수유출공(514a)으로 유출되고 상기 제2 온수유입공(512b)을 통해 유입된 온수는 제1 냉수유출공(513a)으로 유출된다. 즉, 연수모드 시와 비교 하였을 때 냉수가 유출되는 위치와 온수가 유출되는 위치가 서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됨에 따라 전환되는 유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15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연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연수기가 연수모드일 때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출입블럭(230)의 냉수급수구(231)를 통해 급수된 냉수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점선 라인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유출입블럭(230)의 온수급수구(232)를 통해 급수된 온수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선라인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하 냉수와 온수의 유동 경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서는 냉수와 온수의 유동 경로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유로전환밸브(500)에 형성된 유로공과 유로홈의 도면번호를 생략하고 있는바, 상기 유로공과 유로홈의 도면번호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급수된 냉수는 유로하판(220)의 냉수입구(221)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후 제1 냉수구(221a)를 통해 유로전환밸브(500)의 제1 냉수유입공(511a)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 냉수유입공(511a)은 제2 유로홈(524)에 의해 제1 냉수유출공(513a)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냉수유입공(511a)으로 유입된 냉수는 제2 유로홈(524)을 거쳐 제1 냉수유출공(513a)과 유로하판(220)의 제2 냉수구(221b)를 순차적으로 지난 후, 유로상판(210)의 냉수공급수를 통해 재생탱크(130)의 제1 연수탱크(110)로 유입된다.
상기 제1 연수탱크(110)로 유입된 냉수는 제1 연수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이온수지와 접촉됨으로써 냉연수로 변환된 후 유로상판(210)의 냉연수입구(213) 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되돌아오고, 유로하판(220)의 냉수출구(223)를 통해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밸브(600)의 온도조절하판(620)은 상면에 형성된 혼합홀(621)이 온도조절상판(610)에 형성된 제1 관통홀(611), 제2 관통홀(612) 및 제3 관통홀(613)을 연통시키도록 위치되는바,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 냉수는 제1 관통홀(611)과 혼합홀(621), 제3 관통홀(613)을 순차적으로 지난 후 유로하판(220)의 혼합수구(225) 및 유로상판(210)의 혼합수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급수된 온수는, 유로하판(220)의 온수입구(222)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되고 제1 온수구(222a)를 지나 온수충진공간(H)을 채우게 된다. 이때 온수충진공간(H)은 제1 온수유입공(512a) 및 제2 온수유입공(512b)과 연통되는데, 상기 제2 온수유입공(512b)은 유로전환하판(520)에 의해 하측 입구가 막혀져 있으므로 온수충진공간(H)에 채워진 온수는 제1 온수유입공(512a)을 통해 제1 유로홈(522)으로 유입된 후 제1 온수유출공(514a)을 통해 유로하판(220)에 형성된 제2 온수구(222b)로 유입되고, 유로상판(210)에 형성된 온수공급구(212)를 통해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 온수는 제2 연수탱크(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온수지와 접촉됨으로써 온연수로 변환된 후 유로상판(210)의 온연수입구(214)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되돌아오고, 유로하판(220)의 온수출구(224)를 통해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다.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 온수는 제2 관통홀(612)과 혼합홀(621), 제3 관통홀(613)을 순차적으로 지난 후 유로하판(220)의 혼합수구(225) 및 유로상판(210)의 혼합수출구(215)를 통해 외부로 출수된다.
이때,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 냉수와 온수는 모두 혼합홀(621)로 모이게 되므로, 혼합홀(621)을 거치는 과정에서 서로 섞여 미온수가 된 후 외부로 출수된다.
도 17 및 도 18은 재생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연수기가 재생모드일 때, 유로전환밸브(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된다. 재생모드 시 재생탱크(130)로 유입되어 재생수가 되는 물은 통상적으로 냉수를 이용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냉수가 재생수로 변환되어 이온수지를 재생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는 냉수입구(221)를 통해 유입되어 제1 냉원수구(227a), 제1 냉수구(221a) 및 제1 재생구와 연결되는 냉수충진공간(C)을 채우게 되는데, 상기 제1 냉원수구(227a)와 연통되는 유로전환상판(510)의 제1 냉수유입공(511a)과, 제1 냉수구(221a)와 연통되는 유로전환상판(510)의 제2 냉수유입공(511b)은 유로전환하판(520)에 의해 막혀져 있으므로, 상기 냉수충진공간(C)에 채워진 냉수는 제1 재생수구(226a)를 통해 유로전환밸브(500)로 유입된다.
유로전환밸브(500)로 유입된 냉수는 재생수유입공(515a)과 제1 유로홈(522) 을 거쳐 재생수유출공(515b) 및 제2 재생수구(226b)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되돌아온 후, 재생수공급구(216)를 통해 재생탱크(130)로 유입된다. 재생탱크(130)로 유입된 냉수는 재생탱크(130) 내에 저장된 재생물질(소금 덩어리)을 지나면서 이온수지를 재생시킬 수 있는 재생수(소금물)로 변환된 후 제1 연수탱크(110) 및 제2 연수탱크(120)로 투입된다. 재생수는 제1 연수탱크(110) 및 제2 연수탱크(120) 내에 저장된 이온수지를 재생시킨 후 냉연수입구(213) 및 온연수입구(214)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되고 온수출구(224)와 냉수출구(223)를 통해 온도조절밸브(600)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재생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므로,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 재생수는 냉연수와 온연수와 같이 홈합연수출구를 통해 출수되지 아니하고, 별도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온도조절하판(620)은 혼합홀(621)이 제1 관통홀(611), 제4 관통홀(614) 및 제2 관통홀(612)을 연통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관통홀(611) 및 제2 관통홀(612)로 유입된 재생수는 제4 관통홀(614)을 통해 제1 재생수출구(226c)로 유출된 후 제2 재생수출구(226d)와 재생수드레인파이프(22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연수모드 시와 재생모드 시 유로전환밸브(500)까지의 공급유로를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내부유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공급된 물을 유로전환밸브(500)의 동작만으로 재생유로로 보낼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상기 유로전환밸브(500)의 유로전환하판(520)과 온도조절밸브(600)의 온도조절하판(62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냉수급수구(231) 및 온수급수구(232)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유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수치에 이르는 경우 재생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유량측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수치라 함은 이온수지의 연수화 성능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 상기 이온수지를 지나는 물의 양을 수치화한 것으로, 임계수치 만큼의 물이 이온수지를 지나게 되면 이온수지에 의한 원수의 연수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과 유량측정수단이 구비되면 이온수지의 연수화 성능이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었을 때 연수기가 자동으로 재생모드로 전환되어 이온수지가 재생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이온수지 재생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되는바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원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연수기가 원수모드일 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와 온수가 제1 연수탱크(110)나 제2 연수탱크(120)를 거치지 아니하고 외부로 출수되도록 하고자 할 때, 유로전환밸브(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유로전환하판(520)이 회전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냉수는 냉수입구(221)를 통해 유입되어 제1 냉원수구(227a), 제1 냉수구(221a) 및 제1 재생구와 연결되는 냉수충진공간(C)을 채우게 되는데, 상기 제1 재생구와 연통되는 유로전환상판(510)의 재생수유입공(515a)과, 제1 냉수구(221a)와 연통되는 유로전환상판(510)의 제2 냉수유입공(511b)은 유로전환하판(520)에 의해 막혀져 있으므로, 상기 냉수충진공간(C)에 채워진 냉수는 제1 냉원수구(227a)를 통해 유로전환밸브(500)로 유입된다.
유로전환밸브(500)로 유입된 냉수는 제2 냉수유입공(511b)과 제1 유로홈(522)을 거쳐 제2 냉수유출공(513b) 및 제2 냉원수구(227b)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되돌아온 후, 탱크바디(100) 측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냉수출구(223)를 통해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입구(222)와 제1 온수구(222a)를 통해 유로전환밸브(500)로 유입된 후 연수모드 시와 마찬가지로 제1 온수유입공(512a)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 온수유입공(512a)은 제2 유로홈(524)에 의해 제2 온수유출공(514b)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 온수유입공(512a)으로 유입된 온수는 제2 유로홈(524)과 제2 온수유출공(514b)을 차례로 지나 온원수구(228)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후, 온수출구(224)를 통해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밸브(600)로 유입된 냉수 및 온수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냉연수 및 온연수의 경로를 따라 외부로 출수된다. 즉, 연수모드와 원수모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수 및 온수가 냉수출구(223) 및 온수출구(224)까지 이르는 경로에만 차이가 있을 뿐, 냉수출구(223) 및 온수출구(224)부터 혼합수출구(215)까지의 유로 즉, 출수유로는 동일하므로, 냉수출구(223) 및 온수출구(224)부터 혼합수출구(215)까지의 유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연수모드 시와 재생모드 시 그리고 원수모드 시 유로전환밸브(500)까지의 공급유로를 공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연수모드 시와 원수모드 시 출수유로를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내부유로가 매우 단순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유로 상의 물을 유로전환밸브(500)의 동작만으로 연수유로나 재생유로 또는 원수유로로 보낼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성이 매우 단순화될 수 있으며 조작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20 및 도 21은 탱크전환모드 시 냉수 및 온수의 흐름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2 개의 연수탱크 중 어느 하나의 연수탱크만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제1 연수탱크(110)로 온수를 유입시키고 제2 연수탱크(120)로 냉수를 유입시키는 탱크전환모드일 때, 유로전환하판(5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출입블럭(230)의 냉수급수구(231)를 통해 급수된 냉수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점선 라인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유출입블럭(230)의 온수급수구(232) 를 통해 급수된 온수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실선라인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하 냉수와 온수의 유동 경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급수된 냉수는 유로하판(220)의 냉수입구(221)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된 후 제1 냉수구(221a)를 통해 유로전환밸브(500)의 제1 냉수유입공(511a)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 냉수유입공(511a)은 제2 유로홈(524)에 의해 제1 온수유출공(514a)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냉수유입공(511a)으로 유입된 냉수는 제2 유로홈(524)을 거쳐 제1 온수유출공(514a)과 유로하판(220)의 제2 온수구(222b)를 순차적으로 지난 후, 유로상판(210)의 온수공급구(212)를 통해 재생탱크(130)의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급수된 온수는, 유로하판(220)의 온수입구(222)를 통해 유로상판(210)과 유로하판(220) 사이로 유입되고 제1 온수구(222a)를 지나 온수충진공간(H)을 채우게 된다. 이때 온수충진공간(H)은 제1 온수유입공(512a) 및 제2 온수유입공(512b)과 연통되는데, 상기 제1 온수유입공(512a)은 유로전환하판(520)에 의해 하측 입구가 막혀져 있으므로 온수충진공간(H)에 채워진 온수는 제2 온수유입공(512b)을 통해 제2 유로홈(524)으로 유입된 후 제1 냉수유출공(513a)을 통해 유로하판(220)에 형성된 제2 냉수구(221b)로 유입되고, 유로상판(210)에 형성된 냉수공급구(211)를 통해 제1 연수탱크(110)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 냉수가 유로하우징(200)과 온도조절밸브(6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경로는 연수모드 시 상기 제2 연수탱크(120)로 유입된 온수가 유로하우징(200)과 온도조절밸브(6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경로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연수탱크(110)로 유입된 온수가 유로하우징(200)과 온도조절밸브(6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경로는 연수모드 시 상기 제1 연수탱크(110)로 유입된 냉수가 유로하우징(200)과 온도조절밸브(600)를 거쳐 외부로 출수되는 경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탱크전환모드 시에는 냉수가 유입되는 연수탱크와 온수가 유입되는 연수탱크가 바뀌게 되므로, 연수모드 시 많이 사용되었던 연수탱크의 사용량을 줄이고 연수모드 시 적게 사용되었던 연수탱크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두 연수탱크의 사용 비율을 비슷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상기 유로전환밸브(500)의 유로전환하판(520)과 온도조절밸브(600)의 온도조절하판(62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냉수급수구(231) 및 온수급수구(232)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냉수와 온수 간의 유량 차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에 이르는 경우 탱크전환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유량측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과 유량측정수단이 구비되면 두 연수탱크 간의 사용량이 매우 커지게 되었을 때 연수기가 자동으로 탱크전환모드로 전환되므로, 두 연수탱크를 고르게 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 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는, 냉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연수탱크와 온수를 연수시키기 위한 연수탱크가 고르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수탱크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냉수와 온수를 연수화시키기 위한 제1 연수탱크와 제2 연수탱크를 구비하는 탱크바디;
    냉수 및 온수 공급을 위한 공급유로와, 내부의 냉수와 온수를 외부로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1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연수유로와,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제2 연수탱크를 거친 후 상기 출수유로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제2 연수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하우징; 및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급유로상의 냉수를 상기 제2 연수유로로 안내하고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를 상기 제1 연수유로로 안내하도록,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유로공이 형성되는 유로전환상판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유로전환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둘 이상의 유로공 하측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유로홈 및 제2 유로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유로전환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유로공은, 상기 공급유로 상의 온수가 유입되는 제1 온수유입공 및 제2 온수유입공과,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2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 상의 냉수가 유입되는 제1 냉수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2 온수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냉수유출공과, 상기 제1 냉수공과 제1 온수유입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수유로와 연통되는 제1 온수유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하판은,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온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로홈이 상기 제1 냉수유입공과 제1 온수유출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2 유로홈이 상기 제2 온수유입공과 제1 냉수유출공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공은 상기 유로전환하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상판과 유로전환하판은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하판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냉수와 온수 간의 유량 차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에 이르는 경우 상기 냉수와 온수의 유로가 전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신호를 전달하는 유량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적층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호 접촉되는 면에 상기 제1 연수유로, 제2 연수유로 및 출수유로가 형성되는 유로상판 및 유로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60132474A 2006-12-22 2006-12-22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KR10082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474A KR100821366B1 (ko) 2006-12-22 2006-12-22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474A KR100821366B1 (ko) 2006-12-22 2006-12-22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366B1 true KR100821366B1 (ko) 2008-04-11

Family

ID=3953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474A KR100821366B1 (ko) 2006-12-22 2006-12-22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552A (zh) * 2018-04-27 2019-11-05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软水器及洗碗机
CN111718012A (zh) * 2019-08-19 2020-09-29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软水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023A (ja) * 1994-11-01 1996-05-28 Tokyo Yogyo Co Ltd 浄水器用切換えバルブ
KR20050011276A (ko) * 2003-07-22 2005-01-29 세비앙 주식회사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KR20050023663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023A (ja) * 1994-11-01 1996-05-28 Tokyo Yogyo Co Ltd 浄水器用切換えバルブ
KR20050011276A (ko) * 2003-07-22 2005-01-29 세비앙 주식회사 연수장치용 유로 전환밸브
KR20050023663A (ko) * 2003-09-02 2005-03-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552A (zh) * 2018-04-27 2019-11-05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软水器及洗碗机
CN110403552B (zh) * 2018-04-27 2022-08-12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软水器及洗碗机
CN111718012A (zh) * 2019-08-19 2020-09-29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软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7B1 (ko) 연수기
KR100821368B1 (ko) 연수기
KR100821366B1 (ko)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KR20120112090A (ko) 이온 교환 장치
KR100553167B1 (ko)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100821367B1 (ko) 출수 온도조절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100737926B1 (ko) 연수기
KR20110121525A (ko) 타이머 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연수기
KR100522566B1 (ko)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CN104990253A (zh) 热水器
KR101763243B1 (ko) 자동재생 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연수기
KR100814968B1 (ko) 연수기의 유로전환밸브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KR20100035391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20110121491A (ko) 적산유량계 및 이를 구비한 수압 재생식 연수기
JP2006510489A (ja) 軟水器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KR100521843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EP0803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CN217713743U (zh) 多路阀及软水机
KR20110023544A (ko) 연수기용 5방향 밸브 모듈
KR101702508B1 (ko) 연수기용 8방향 유로전환밸브모듈
KR20110110426A (ko) 직결식 냉/온 연수기
CN221003909U (zh) 软水阀及软水机
JPH08117745A (ja) 蒸気発生装置用の軟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