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426A - 직결식 냉/온 연수기 - Google Patents

직결식 냉/온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426A
KR20110110426A KR1020100029729A KR20100029729A KR20110110426A KR 20110110426 A KR20110110426 A KR 20110110426A KR 1020100029729 A KR1020100029729 A KR 1020100029729A KR 20100029729 A KR20100029729 A KR 20100029729A KR 20110110426 A KR20110110426 A KR 2011011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hot
tank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10002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0426A/ko
Publication of KR2011011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밸브장치 없이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냉/온 수도관에 직결되어 ① 연수모드 ② 오프모드 ③ 직수모드 ④ 재생모드 ⑤ 린스모드를 자유로이 전환 수행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냉/온 연수를 생성하고 재생수로 재생폐수를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재생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재생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는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 상기 냉/온 연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재생폐수, 상기 재생폐수와 상기 냉/온 연수의 혼합액인 린싱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로; 상기 공급부, 탱크부, 배출부, 배출관로와 연결되고, ①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연수모드, ②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재생폐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재생모드, ④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린싱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린스모드를 전환 수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결식 냉/온 연수기{Direct connection type cool and hot water softener}
본 발명은 직결식 냉/온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냉/온 연수기로서 별도의 밸브장치 없이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냉/온 수도관에 직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①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연수모드 ②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제공하는 직수모드 ④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의 수용액인 재생수를 생성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⑤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내 잔류 재생폐수를 제거하는 린스모드를 전환 수행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수중(水中)에 함유된 경도(degree of hardness) 유발성분의한 세기에 따라 연수(soft water)와 경수(hard water)로 구분한다.
단물이라 불리는 연수는 수중의 경도 유발성분이 75㎎/ℓ미만으로 사용감이 부드럽고 앙금이 없는 반면 센물이라 불리는 경수에는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의 경수 유발성분이 75㎎/ℓ이상으로 뻣뻣한 느낌과 앙금의 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대부분의 수돗물은 경도 유발성분이 일정이상 함유된 경수에 가깝고,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염소(Cl)를 비롯해서 환경오염, 노후관에 의한 이송과정 등을 원인으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Ag)과 같은 중금속 이온을 함유한다. 때문에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생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수돗물 등의 경수를 연수로 연화하는 연수기가 소개되었고, 현재 질 높은 생활수를 얻을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방안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칼슘(Ca), 마그네슘(Mg) 등 경도유발성분 이온을 나트륨(Na) 이온으로 치환하여 연화한다. 해당 작용을 위해 연수기에는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특수고분자화합물질의 이온교환수지가 사용되고, 이는 수중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을 흡착하는 대신 나트륨 이온을 방출한다. 때문에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여기에 경수를 통과시켜 연수를 얻는다.
또한, 거듭된 연화작용으로 인해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이 소진되면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재생의 필요성이 있다. 해당 작용을 위해 소금과 같은 별도의 재생물질이 사용되며, 재생물질은 수용액 내에 나트륨 이온을 방출한다. 따라서 연수기는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또 다른 필수구성요소로 하고, 여기에 물을 통과시켜 재생수를 생성한 후 연수탱크에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한다.
도 1은 경수의 공급온도에 따라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냉/온 연수기의 모식도이다. 이하, 냉/온 연수기로 공급되는 경수를 원수(原水)라 한다.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인 냉/온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 다수의 관로(31~38) 및 밸브(V1~V7)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는 재생물질이 충진된다. 그리고 다수의 관로(31~38)는 수용가의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의 냉/온 연수,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로 냉/온 원수를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의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배출관로(37,38)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V1~V7)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를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밸브(V1,V2),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를 단속하는 제 3 밸브(V3),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를 단속하는 제 4 및 제 5 밸브(V4,V5),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배출관로(37,38)를 단속하는 제 6 및 제 7 밸브(V6,V7)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 3 밸브(V3)는 통상 냉/온 수도꼭지를 갖춘 수전구가 사용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냉/온 원수가 전달되어 냉/온 연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밸브(V3)를 열어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4 및 제 5 밸브(V4,V5)를 열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로 냉/온 원수가 공급되어 재생수가 생성되고, 제 6 및 제 7 밸브(V6,V7)를 열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재생수가 전달되어 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밸브(V3)를 열어 경수성분이 함유된 재생수인 재생폐수를 배출한 후 앞서와 같이 다시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의 냉/온 연수기는 밸브(V1~V7)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크다.
즉,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해 사용자는 매번 일정순서에 따라 제 3 내지 제 7 밸브(V3~V7)를 직접 여닫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재생물질의 충진 등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를 열기 전에는 미리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의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한 드레인(drain) 작업을 해야만 재생수가 솟구치는 등의 불의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후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내부의 잔류 재생폐수를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냉/온 연수를 흘려보내는 린싱(rinsing) 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과정 역시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밸브(V1~V7)를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유지관리에 드는 시간과 노력의 소모가 크며, 사용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할 경우에 안전사고 내지는 오염된 물을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도 1의 냉/온 연수기는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나타낸다. 때문에 본 발명자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8085호의 연수기용 밸브장치가 소개되었다.
첨부된 도 2는 도 1의 냉/온 연수기에 동(同) 밸브장치가 적용된 경우의 모식도로서, 도 1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인 냉/온 연수기에 동(同) 밸브장치는 한 쌍이 적용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밸브(V1,V2)는 생략된다. 편의상 한 쌍의 밸브장치를 제 8 및 제 9 밸브(V8,V9)로 구분하면, 제 8 밸브(V8)는 제 1 연수탱크배출관로(33)에 설치되어 냉 수도관과 제 1 연수탱크공급관로(31)를 연결하되 제 1 연수탱크배출관로(33)와 제 3 밸브(V3)를 상시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사용자 조작에 의해 냉 수도관을 제 1 연수탱크공급관로(31) 또는 제 1 연수탱크배출관로(33)에 연결한다. 그리고 제 9 밸브(V9)는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4)에 설치되어 온 수도관과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2)를 연결하되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4)와 제 3 밸브(V3)를 상시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온 수도관을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4) 또는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4)에 연결한다.
그 결과 제 8 밸브(V8)가 냉 수도관과 제 1 연수탱크공급관로(31)를 연결하고 제 9 밸브(V9)가 온 수도관과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2)를 연결하면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고, 제 8 밸브(V8)가 냉 수도관과 제 1 연수탱크배출관로(33)를 연결하고 제 9 밸브(V9)가 온 수도관과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4)를 연결하면 냉/온 직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의 냉/온 연수기 역시 복수의 밸브(V3~V9) 조작에 따른 불편함은 여전하고, 냉/온 연수기를 설치 또는 해체하기 위해서는 여타의 밸브는 논외로 하더라도 제 8 및 제 9 밸브(V8,V9)에 각각 냉/온 수도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의 양단을 포함한 8개의 배관을 연결 또는 분해해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로우며, 설치 후에는 냉/온 수도관은 별개로 최소한 6개의 관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한다.
더 나아가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일반적인 냉/온 연수기는 냉/온 연수(도 2는 냉/온 직수를 포함한다.), 재생수, 재생폐수의 배출경로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에서 제 3 밸브(V3)에 이르기까지 서로 동일하다. 때문에 해당 관로의 오염 가능성이 크고, 자칫 재생수나 재생폐수를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로 오인 사용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밸브장치 없이 냉/온 수도관에 직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①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연수모드 ②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제공하는 직수모드 ④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⑤ 연수탱크 내 잔류 재생폐수를 제거하는 린스모드를 자유로이 전환 사용할 수 있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반적인 사용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것은 물론 설치 또는 해체 시 연결 또는 분해해야 하는 관로의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으며 미관이 개선된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냉/온 연수, 냉/온 직수 등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물과 재생폐수, 재생수 등 사용자가 사용을 원치않는 물의 배출경로가 달라 오염 및 오인 사용의 가능성이 작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냉/온 연수를 생성하고 재생수로 재생폐수를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재생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재생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는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 상기 냉/온 연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재생폐수, 상기 재생폐수와 상기 냉/온 연수의 혼합액인 린싱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로; 상기 공급부, 탱크부, 배출부, 배출관로와 연결되고, ①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연수모드, ②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재생폐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재생모드, ④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린싱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린스모드를 전환 수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밸브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재생탱크를 연결하는 재생탱크공급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전달관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는, ①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관로를 연결하며, ②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차단하고, ③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재생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결하며, ④ 상기 린스모드에서 상기 제 1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편심 유니온; 상기 제 1 및 제 2 편심 유니온과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엘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냉/온 연수 또는 상기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온도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출수구 및 샤워헤드 연결구가 구비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수단의 상기 연수 또는 직수를 상기 출수구 또는 샤워헤드 연결구로 배출하는 출수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는 상기 재생탱크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탱크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유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급부, 상기 밸브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출수선택수단은 상기 유로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재생탱크의 전면 하단에 만입 형성된 결합공간에 스크류 또는 나사 플렌지로 장착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과 상기 온도조절수단의 외면에 구비되어 서로 끼워지는 홈 또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선택수단은 상기 온도조절수단 하단의 상기 유로플레이트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부와 상기 유로플레이트는 진동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생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플레이트 배면에 장착된 드레인구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구는 적어도 하나의 피팅, 튜브, 수동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 상면에 진동 융착되어 각각을 밀폐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두께보다 큰 폭의 융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복수의 홈이 슬릿의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 재생탱크의 바닥으로부터 1~5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재생탱크에 삽입된 슬릿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①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②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연수모드 ③ 재생탱크의 내부를 비우는 드레인모드, ④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⑤ 연수탱크 내 잔류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린스모드를 자동으로 전자제어할 수 있어 전체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간편한 장점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자동으로 오프모드를 선택해서 불필요한 물낭비 내지는 고장의 발생가능성을 없애고, 평상시에는 연수모드를 선택해서 질 높은 냉/온 연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냉/온 연수의 사용량에 근거한 재생시기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해서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재생물질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냉/온 연수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재생물질의 투입 등을 위해 재생탱크를 열기 전 자동으로 드레인모드를 선택해서 재생수가 솟구치는 등 불의의 현상을 방지하며, 재생모드 후 잔류 재생폐수를 제거하는 린스모드를 자동으로 진행해서 항상 고도로 연화된 냉/온 연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사용자를 위한 냉/온 연수와 그 밖의 물, 예컨대 재생폐수, 재생수, 잔류 재생폐수(린싱수)의 배출경로가 다르므로 사용자의 오인사용의 가능성이 거의 없고, 항상 고도로 연화된 냉/온 연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상기의 모든 동작모드를 하나의 밸브어셈블리로 전자 제어하므로 신뢰성이 높고 부피가 작으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일반적인 냉/온 연수기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연수기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사시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배면도.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6과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유로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18과 도 1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밸브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0과 도 2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밸브부 중 밸브시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22와 도 2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밸브부 중 고정디스크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24와 도 2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밸브부 중 회전디스크에 대한 평면도와 저면도.
도 26 내지 도 3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동작모드 별 작동상태를 나타낸 간략도.
도 31과 도 3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응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편의상 공급부(I), 탱크부(T), 밸브부(V), 배출부(O), 제어부(SC) 그리고 다수의 관로(L1~L10) 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급부(I)는 외부의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냉/온 원수의 공급압력을 조절하고 각각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50984호, 제10-2004-15194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탱크부(T)는 냉/온 원수에 의해 냉/온 연수, 재생수, 재생폐수가 생성되는 부분으로서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를 매개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연결되고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RT)를 포함한다. 따라서 냉/온 원수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 유입되면 냉/온 연수가 생성되고, 냉/온 원수가 재생탱크(RT)에 유입되면 재생수가 생성되어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며, 재생수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 유입되면 재생폐수가 생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에는 제 1 및 제 2 체크밸브(ch1,ch2)가 장착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재생탱크(RT)에는 콕 등의 수동밸브(m)가 장착된 별도의 드레인구(P3)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재생탱크(RT) 내부의 재생수를 외부로 드레인 한다.
밸브부(V)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모든 종류의 액체, 예컨대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다수의 관로(L1~L10) 간 연결관계를 일정한 규칙으로 설정 또는 전환하는 밸브어셈블리(SV), 밸브어셈블리(SV)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MV)을 포함한다.
배출부(O)는 냉/온 연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냉/온 연수,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TO), 온도조절수단(TO)에 연결되고 출수구(P4) 및 샤워헤드 연결구(P5)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출수구(P4) 또는 샤워헤드 연결구(P5)로 연수 또는 직수를 전달하는 출수선택수단(SO)을 포함한다. 이때, 온도조절수단(TO), 출수선택수단(SO)은 각각 공지의 수전밸브, 방향전환밸브 등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사용자는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적절히 조작해서 원하는 온도의 연수 또는 직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SC)는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의 측정결과 내지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밸브부(V)의 구동수단(MV)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알고리즘이 탑재된 마이컴 등의 논리연산회로,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입력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입력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한다.
다수의 관로(L1~L10)는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실질적인 이동경로로서 냉/온 수도관과 밸브어셈블리(SV)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 밸브어셈블리(SV)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밸브어셈블리(SV)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 밸브어셈블리(SV)와 재생탱크(RT)를 연결하는 재생탱크공급관로(L7), 밸브어셈블리(SV)와 온도조절수단(TO)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 밸브부(V)에 연결된 배출관로(L10)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에는 냉/온 수도관으로부터 밸브어셈블리(SV)로 전달되는 냉/온 원수가 흐르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2,L3)에는 밸브어셈블리(SV)로부터 제 1 및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는 냉/온 원수가 흐르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부터 밸브어셈블리(SV)로 전달되는 냉/온 연수가 흐르고, 재생탱크공급관로(L7)에는 밸브어셈블리(SV)로부터 재생탱크(RT)로 전달되는 냉 원수가 흐르며,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에는 밸브어셈블리(SV)로부터 온도조절수단(TO)으로 전달되는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흐르고, 배출관로(L10)에는 밸브어셈블리(SV)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재생폐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내 잔류 재생폐수와 냉 연수가 혼합된 린싱수가 흐른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이상의 설명과 도면을 토대로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모든 관로(L1~L10)는 밸브어셈블리(SV)와 목적하는 지점을 연결한다.
따라서 밸브어셈블리(SV)를 이용하여 다수의 관로(L1~L10) 간 연결관계를 일정규칙으로 설정 또는 전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모든 동작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냉/온 원수의 공급에 의해 각각 ①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연수모드 ②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제공하는 직수모드 ④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한 재생물질의 수용액인 재생수를 생성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⑤ 연수탱크 내 잔류 재생폐수를 제거하는 린스모드를 전환 수행한다.
이하, 동작모드 별 밸브어셈블리(SV)에 의한 관로(L1~L10)의 연결관계를 살펴본다.
(1) 연수모드
연수모드에서 밸브어셈블리(SV)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를 연결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를 연결한다.
그 결과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서는 냉/온 연수가 생성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의 냉/온 연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를 통해 배출부(O)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적절히 조작해서 출수구(P4) 또는 샤워헤드를 통해 원하는 온도의 연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2) 오프모드
오프모드에서 밸브어셈블리(SV)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를 단속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 내부의 모든 액체 흐름은 정지되고, 사용자가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조작하더라도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는 제공되지 않는다.
(3) 직수모드
직수모드에서 밸브어셈블리(SV)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와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를 연결한다.
그 결과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와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를 통해 배출부(O)로 전달되고, 사용자는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적절히 조작해서 출수구(P4) 또는 샤워헤드를 통해 원하는 온도의 직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4) 재생모드
재생모드에서 밸브어셈블리(SV)는 제 1 원수공급관로(L1)와 재생탱크공급관로(L7)를 연결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배출관로(L10)를 연결한다. 그 결과 제 1 원수공급관로(L1)의 냉 원수는 재생탱크공급관로(L7)를 통해 재생탱크(RT)로 전달되고, 재생탱크(RT)에서는 재생수가 생성되어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가 생성되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배출관로(L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재생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부(SC)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다. 예컨대 제어부(SC)는 소정의 연산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 충진된 이온교환수지의 연화능력과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의 감지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량을 토대로 적정한 재생시기를 산출하고, 재생시기가 도래하면 재생모드의 필요성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SC)가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선택하는 시간은 가급적 연수사용량이 적은 밤중이나 새벽 시간이 적절하며, 이를 위해 논리연산회로에는 별도의 타이머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4) 린스모드
린스모드에서 밸브어셈블리(SV)는 제 1 원수공급관로(L1)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를 연결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배출관로(L10)를 연결한다.
그 결과 제 1 원수공급관로(L1)의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내부의 잔류 재생폐수는 냉 연수와 함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L5,L6)와 배출관로(L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해당 모드 역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어부(SC)에 의해 재생모드에 연이어 자동 선택되며, 일정시간 후 제어부(SC)는 연수모드 내지는 오프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불필요한 냉/온 연수의 손실을 막는다.
이하, 도 3과 함께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를 살펴본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살펴본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제어부(SC)는 생략하였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액체의 이동경로를 '관로'라 총칭하였지만 각각은 '관', '홈', '유로' 등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바,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정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를 그보다 높은 시점에서 내려다 본 경우에 해당되고 도 6은 그보다 낮은 시점에서 올려다본 경우에 해당된다. 이들 각각의 시점은 이하의 도면에서 적절히 사용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외관상 상단부(U)와 하단부(D)로 나누어볼 수 있다.
상단부(U)는 탱크부(T), 배출부(O)의 일부로서 온도조절수단(TO)을 포함하고, 하단부(D)는 공급부(I), 밸브부(V), 배출부(O)의 나머지로서 출수선택수단(SO)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하단부(D)는 탱크부(T)의 하단에 결합되는 별도의 커버(CA)에 실장되고, 온도조절수단(TO)은 탱크부(T)의 하단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을 위한 제 1 핸들(H1)을 전면에 노출시키며, 출수선택수단(SO)은 커버(CA)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을 위한 제 2 핸들(H2)을 전면에 노출시킨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핸들(H1,H2)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에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편의를 준다.
그리고 커버(CA)의 하단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 배출관로(L10), 드레인구(P3), 출수구(P4), 샤워헤드 연결구(P5)가 각각 관통 노출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말단은 통상의 관이음 부재인 제 1 및 제 2 엘보(52,62), 제 1 및 제 2 편심 유니온(62,64)을 매개로 냉/온 수도관에 직결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는 별도의 밸브장치 없이 냉/온 수도관에 직결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연수모드, 오프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린스모드를 자유로이 전환 수행하는바, 설치 및 분해가 간편하고 한층 개선된 미관을 제공한다.
첨부된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높은 시점에서 내려다 본 경우에 해당되고 도 8은 그보다 낮은 시점에서 올려다본 경우에 해당된다. 편의상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말단에 장착되는 관이음 부재는 생략하였다.
보이는 것처럼, 탱크부(T)의 하단 전면에는 별도의 결합공간(102)이 만입되어 온도조절수단(TO)이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CA) 내에는 밸브부(V), 공급부(I), 배출부(O)의 일부로서 출수선택수단(SO)이 실장되고, 이들은 탱크부(T)의 배면에 밀착된 유로플레이트(200)에 적절히 고정된다. 즉, 탱크부(T)의 배면에는 유로플레이트(200)가 밀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유로플레이트(200)는 탱크부의 배면에 진동 융착되어 긴밀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출수선택부(SO)는 유로플레이트(200)의 전면에 장착되며, 밸브부(V), 공급부(I)는 각각 유로플레이트(200)의 배면에 장착된다. 아울러, 출수선택수단(SO)으로부터는 출수구(P4), 샤워헤드 연결구(P5)가 하향 인출되고, 유로플레이트(200)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가 하향 인출되어 각각에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이 장착되며, 밸브부(V)로부터는 배출관로(L10)가 하향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각 부분을 상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탱크부(T)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는 탱크부(T)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탱크부(T)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과 도 12는 각각 탱크부(T)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탱크부(T)의 배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탱크부(T)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재생탱크(RT) 그리고 이들의 상면을 덮는 탑커버(1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는 재생탱크(RT)를 사이에 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재생탱크(RT) 사이로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의 일부로서 탱크부(T)의 배면에 관통 연결된 제 1 및 제 2 통공(124,126)이 존재한다.
또한, 재생탱크(RT)의 하단 전면에는 별도의 결합공간(102)이 만입되고, 여기에 온도조절수단(TO)이 장착된다. 이때, 결합공간(ST1)의 내면에는 제 1 및 제 2 전달관로(L8,L9)의 일부로서 탱크부(T)의 배면에 관통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2 전달홀(104,106), 탱크부(T)의 배면에 관통 연결되어 출수선택수단(SO)과 연결되는 출수홀(108)이 존재한다. 따라서 온도조절수단(TO)은 제 1 및 제 2 전달홀(104,106)의 연통 정도를 토대로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해서 출수홀(108)을 통해 출수선택수단(SO)로 전달한다.
해당 역할을 위한 온도조절수단(TO)은 이른바 카트리지 타입의 공지된 수전밸브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온도조절수단(TO)은 결합공간(102)에 스크류 또는 나사 플랜지 방식으로 긴밀하게 결합되고, 결합공간(ST1)을 향하는 온도조절수단(TO)의 일 측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기(도 8의 110 참조) 또는 홈이 존재하는 한편 온도조절수단(TO)과 밀착되는 결합공간(102)의 내면에는 돌기 또는 홈에 대응되는 홈(112) 또는 돌기가 존재하여 서로 끼워짐으로써 온도조절수단(TO)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재생탱크(RT)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1~50mm 간격을 유지하는 슬릿판(114)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복수의 홈이 슬릿의 형태로 관통된다. 이때 슬릿판(114)은 미처 용해되지 못한 재생물질 입자로 인해 재생탱크(RT)로부터 탱크부(T)의 배면을 관통하는 제 6 및 제 7 탱크홀(182,18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재생탱크(ST1,ST2)의 바닥에는 제 1 및 제 3 탱크홀(172,176)이 관통되고, 제 1 및 제 3 탱크홀(172,176)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흐르는 냉/온 연수, 재생폐수, 린싱수의 일 방향 흐름만을 허용한다.
탑커버(130)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재생탱크(RT)와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입구홀(132,134,136), 제 1 및 제 2 통공(124,126)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리드홀(138,140), 재생탱크(RT)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홀(142,미도시)이 관통된다. 그리고 제 1 입구홀(132)에는 제 1 입구홀(132), 제 1 리드홀(138), 제 1 재생수홀(142)을 제 1 연수탱크(ST1)와 연결하는 제 1 커버하우징(152)이 결합되어 제 1 마개(C1)로 밀폐되고, 제 2 입구홀(134)에는 제 2 입구홀(134), 제 2 리드홀(140), 제 2 재생수홀(144)을 제 2 연수탱크(ST2)와 연결하는 제 2 커버하우징(154)이 결합되어 제 2 마개(C2)로 밀폐된다. 이를 위해 제 1 커버하우징(152)의 내부에는 제 1 입구홀(132), 제 1 리드홀(138), 제 1 재생수홀(142)을 연결하는 제 1 커버유로(154)가 존재하고, 제 2 커버하우징(162)의 내부에는 제 2 입구홀(134), 제 2 리드홀(140), 제 2 재생수홀(미도시)을 연결하는 제 2 커버유로(164)가 존재한다. 그리고 제 3 입구홀(136)은 원통 형상의 플랜지로 상향 연장되어 제 3 마개(C3)로 밀폐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탑커버(130)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재생탱크(RT)의 상면을 따라 그 보다 큰 면적을 나타내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재생탱크(RT) 상면과 진동 융착된다. 이를 위해 탑커버(130)의 배면을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재생탱크(RT)의 상단부를 일부 수용하는 융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융착홈의 폭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재생탱크(RT)의 두께보다 약간 커서 진동 융착시 발생되는 버(burr)가 밀려나오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통공(124,126)으로 전달되는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2 커버하우징(152,162)의 제 1 및 제 2 커버유로(154,16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재생수홀(142,미도시)로 전달되는 재생수 역시 제 1 및 제2 커버하우징(152,162)의 제 1 및 제 2 커버유로(154,16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커버하우징(152,162)의 제 1 및 제 2 커버유로(154,164)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L3,L4)의 일부인 동시에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가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냉/온 연수가 재생탱크(RT)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재생수홀(142,미도시)에는 제 1 및 제 2 체크밸브(ch1,ch2)가 장착되어 재생탱크(RT)로부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흐르는 재생수의 일 방향 흐름만을 허용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커버하우징(152,162)에는 제 1 및 제 2 필터(F1,F2)가 내장되어 제 1 및 제 2 커버유로(154,164)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유입되는 냉/온 원수, 재생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 제거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필터(F1,F2)는 기능성 물질인 비타민 등을 함유할 수 있고, 이로써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는 냉/온 원수에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다. 제 1 및 제 2 커버하우징(152,162)과 제 1 및 제 2 필터(F1,F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제 10-2007-0018462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난 것처럼 탱크부(T)의 배면에는 제 3 체크밸브(ch3)를 매개로 제 1 연수탱크(ST1)와 연결되는 제 1 탱크홀(172), 결합공간(102)의 제 1 전달홀(104)과 연결되는 제 2 탱크홀(174), 제 4 체크밸브(ch4)를 매개로 제 2 연수탱크(ST2)와 연결되는 제 3 탱크홀(176), 결합공간(102)의 제 2 전달홀(106)과 연결되는 제 4 탱크홀(178), 결합공간(102)의 출수홀(108)과 연결되는 제 5 탱크홀(180), 재생탱크(RT)와 각각 연결되는 제 6 및 제 7 탱크홀(182,184), 제 1 및 제 2 통공(124,126)과 각각 연결되는 제 8 및 제 9 탱크홀(186,188)이 관통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탱크부(T)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탱크홀(172,174)을 연결하는 제 1 탱크유로(173), 제 3 및 제 4 탱크홀(176,178)을 연결하는 제 2 탱크유로(177), 제 8 탱크홀(186)과 연결된 제 3 탱크유로(185), 제 9 탱크홀(188)과 연결된 제 4 탱크유로(187), 독립된 제 5 내지 제 7 탱크유로(191,193,195)가 존재한다. 참고로, 제 1 내지 제 7 탱크유로(173,177,185,187,191,193,195)는 일정깊이의 홈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유로플레이트(200)와 밀착되어 비로소 독립된 액체의 이동경로가 된다. 이는 상호 밀착되는 구성요소의 명칭은 다를 수 있지만 이하 '유로'라 불리는 모든 부분에 동일하다. 아울러 제 1 내지 제 9 탱크홀(172,174,176,178,180,182,184,186,188)은 전달홀(104,106), 출수홀(108)을 비롯해서 후술하는 플레이트홀, 밸브홀, 고정홀과 적절히 연결되는데, 이 과정 중에 제 1 내지 제 7 탱크유로(173,177,185,187,191,193,195)는 후술하는 플레이트유로, 밸브유로, 고정유로와 함께 목적하는 홀간 연결을 지원한다. 따라서 유로의 구체적인 형상 내지 수량 등은 변동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 6 탱크홀(182)은 여타의 홀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다.
첨부된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일부에 대한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커버를 제외한 하단부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하단부는 탱크부(T)의 배면에 밀착되는 유로플레이트(200), 유로플레이트(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출수선택수단(SO), 유로플레이트(200)의 배면에 장착되는 밸브부(V), 유로플레이트(200)의 배면에 장착되는 공급부(O)의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 유로플레이트(200)의 장착되는 드레인구(P3)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출수선택부(SO)는 출수구(P4)와 함께 유로플레이트(20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샤워헤드 연결구(P5)는 별도로 결합된다. 또한 드레인구(P3)는 통상의 관이음 부재로서 하나 이상의 피팅(fitting), 튜브, 수동밸브(m)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유로플레이트(200)는 출수선택수단(SO), 밸브부(V),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 드레인구(P3)의 장착을 위한 모체(母體)인 동시에 온도조절수단(TO), 출수선택수단(SO), 밸브부(V),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MI1,MI2), 탱크부(T), 배출부(O)를 적절히 연결하는 일종의 매개물로 작용한다.
첨부된 도 16과 도 17은 각각 유로플레이트(200)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유로플레이트(200)에는 제 1 감압측정수단(MI1)과 제 5 탱크유로(191)를 연결하는 제 1 플레이트홀(202), 제 5 탱크유로(191)에 연결되는 제 2 및 제 3 플레이트홀(204,206), 제 2 감압측정수단(MI2)과 제 6 탱크유로(193)를 연결하는 제 4 플레이트홀(212), 제 6 탱크유로(193)에 연결되는 제 5 및 제 6 플레이트홀(214,216), 제 1 탱크홀(172)과 연결되는 제 7 및 제 8 플레이트홀(222,224), 제 2 탱크홀(176)과 연결되는 제 9 플레이트홀(232), 제 8 탱크홀(186)과 연결되는 제 10 및 제 11 플레이트홀(242,252), 제 9 탱크홀(188)과 연결되는 제 12 플레이트홀(262), 제 7 탱크유로(195)와 연결되는 제 13 내지 제 15 플레이트홀(272,274,276), 제 6 탱크홀(182)과 연결되는 제 16 플레이트홀(282), 제 7 탱크홀(184)과 드레인구(도 14 및 도 15의 P3 참조)를 연결하는 제 17 플레이트홀(284)가 관통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유로플레이트(200)의 저면에는 제 2, 제 5, 제 9, 제 12, 제 13, 제 15, 제 16 플레이트홀(204,214,232,262,272,276,282)을 각각 목적하는 위치로 연장하는 제 1 내지 7 플레이트유로(205,215,233,263,273,277,283)가 존재한다.
참고로, 도면에 의할 때 제 7 및 제 8 플레이트홀(222,224)은 제 1 탱크유로(173)를 통해 제 1 탱크홀(172)과 연결되고, 제 9 플레이트홀(232)은 제 2 탱크유로(177)를 통해 제 2 탱크홀(176)과 연결되며, 제 10 플레이트홀(242)은 제 3 탱크유로(185)를 통해 제 8 탱크홀(186)과 연결되고, 제 12 플레이트홀(262)은 제 4 탱크유로(187)를 통해 제 9 탱크홀(188)과 연결되는데, 앞서 언급된 것처럼 탱크유로, 플레이트유, 고정유로는 홀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하에서 별도의 언급을 생략한다.
아울러, 유로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제 5 탱크홀(180)과 연결되는 제 17 플레이트홀(294)이 존재한다. 따라서 출수선택수단(SO)은 제 17 플레이트홀(294)로 전달되는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출구(P4) 또는 샤워헤드 연결구(P5) 중 하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른바 3웨이(3way) 밸브라 불리는 방향전환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8과 도 19는 각각 밸브부(V)의 분해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밸브부(V)는 밸브어셈블리(SV) 및 이의 구동을 위한 구동수단(MV)을 포함한다.
밸브어셈블리(SV)는 유로플레이트(200) 배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서 배출관로(L10)가 하향 인출되고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밸브플랜지(302)에 의해 소정깊이의 원통형 밸브영역을 제공하는 밸브플레이트(300), 밸브플랜지(302) 내에서 밸브플레이트(300)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원판형의 고정디스크(400), 밸브플랜지(302) 내에서 고정디스크(40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판형의 회전디스크(460), 밸브플랜지(302) 내에서 회전디스크(290)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원판형으로서 그 중심으로부터 샤프트(484)가 하향 돌출된 디스크브라켓(482), 디스크브라켓(482)의 하단에서 샤프트(484)를 제외한 밸브플랜지(302)를 덮어 밀폐하는 밸브커버(492), 밸브커버(492)의 배면에 고정되는 포토센서(498), 포토센서(498)를 사이에 둔 밸브커버(492)의 하단에서 샤프트(484)에 그 중심이 고정되는 종동기어(G2), 밸브커버(492)와 종동기어(G2) 사이로 개재되어 종동기어(G2)와 함께 회전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포토센서(498)가 감지 가능한 복수의 표시홈(503)이 마킹된 가이드플랜지(502)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수단(MV)은 밸브커버(492)에 고정되는 모터(510), 모터(51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종동기어(G2)와 치합되는 주동기어(G1)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510)에 의해 주동기어(G1)가 회전하면 종동기어(G2), 가이드플랜지(502), 디스크브라켓(482), 회전디스크(460)가 함께 회전하고, 이 과정 중에 포토센서(498)는 가이드플랜지(502)의 표시홈(503)을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부(SC)는 포토센서(498)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모터(5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종동기어(G2)와 디스크브라켓(484) 사이의 유격 내지는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샤프트(484)로부터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의 결합돌기(486)가 돌출되어 종동기어(G2)에 관통 고정된다.
첨부된 도 20과 도 21은 각각 밸브플레이트(300)의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22와 도 23은 고정디스크(400)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먼저, 도 20과 도 21에 나타난 것처럼 밸브플레이트(300)의 밸브영역에는 제 2 및 제 3 플레이트홀(204,206)을 통해 제 1 플레이트홀(202)에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밸브홀(302,304,306,308), 제 5 및 제 6 플레이트홀(214,216)을 통해 제 4 플레이트홀(212)에 연결되는 제 5 및 제 6 밸브홀(312,314), 제 7 및 제 8 플레이트홀(222,224)을 통해 제 1 및 제 2 탱크홀(172,174)에 연결되는 제 7 및 제 8 밸브홀(322,324), 제 9 플레이트홀(232)를 통해 제 3 및 제 4 탱크홀(176,178)에 연결되는 제 9 및 제 10 밸브홀(332,334), 제 10 및 제 11 플레이트홀(242,252)을 통해 제 8 탱크홀(186)에 연결되는 제 11 및 제 12 밸브홀(352,354), 제 12 플레이트홀(262)을 통해 제 9 탱크홀(188)에 연결되는 제 13 및 제 14밸브홀(356,358), 제 13 내지 제 15 플레이트홀(272,274,276)을 통해 배출관로(L10)에 연결되는 제 15 및 제 16 밸브홀(362,364), 제 16 플레이트홀(282)을 통해 제 6 탱크홀(182)에 연결되는 제 17 밸브홀(372)이 관통된다.
또한, 도 22과 도 23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디스크(400)에는 제 1 내지 제 17밸브홀(302,304,306,308,312,314,322,324,332,334,352,354,356,358,362,364,372)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17 고정홀(402,404,406,408,412,414,422,424,432,434,442,444,446,448,452,454,462)이 관통된다.
여기서 이상의 설명 및 도면을 토대로 제 1 내지 제 17 고정홀(402,404,406,408,412,414,,422,424,432,434,442,444,446,448,452,454,462)과 주요부 간 연결관계를 정리하면, 제 1 내지 제 4 고정홀(402,404,406,408)은 제 1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고, 제 5 및 제 6 고정홀(412,414)은 제 2 원수공급관로(L2)에 연결되며, 제 7 내지 제 10 고정홀(422,424,432,434)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배출부(0)에 연결되고, 제 11 및 12 고정홀(442,444)은 제 1 연수탱크(ST1)에 연결되고, 제 13 및 제 14 고정홀(446,448)은 제 2 연수탱크(ST2)에 연결되며, 제 15 및 제 16 고정홀(452,454)은 배출관로(L10)에 연결되고, 제 17 고정홀(462)은 재생탱크(RT)에 연결된다.
이때, 제 7 내지 제 10 고정홀(422,424,432,434)과 제 11 내지 제 14 고정홀(442,444,452,454)은 모두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연결되지만 그 성격이 다른데, 제 7 내지 제 10 고정홀(422,424,432,434)은 제 3 및 제 4 체크밸브(ch3,ch4) 매개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와 연결되므로 각각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 재생폐수, 린싱수가 흐르고, 제 11 내지 제 14 고정홀(442,444,452,454)은 외부에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유입되는 액체, 예컨대 냉/온 원수, 재생수가 흐른다. 따라서 편의상 제 7 내지 제 10 고정홀(422,424,432,434)을 출수측이라 하고 제 11 내지 제 14 고정홀(442,444,452,454)을 입수측으로 구분하여 상기의 연결관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 1, 제 17, 제 2, 제 11, 제 5, 제 13, 제 6, 제 9, 제 7, 제 4, 제 12 고정홀(402,462,404,442,412,446,414,432,422,408,444)은 회전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차례로 배치되는데, 도 23에 의거, 제 1 고정홀(402)을 임의로 3시 방향이라 가정하면 나머지는 차례로 4시 부터 1시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그 안쪽으로는 제 3 및 제 4 고정홀(406,448)이 근접 배치되고, 제 15 고정홀(452)은 제 7 및 제 9 고정홀(422,432)과 근접 배치되며, 제 8, 제 10, 제 16 고정홀(424,434,454)이 근접 배치되는바, 상기의 배치관계를 얻기 위해 제 1 내지 제 7 탱크유로(173,177,185,187,191,193,195), 제 1 내지 7 플레이트유로(205,215,233,263, 273,277,283)는 적절한 형태 및 수량이 사용되고, 그외 필요하다면 고정디스크(400)에도 제 15 고정홀(452)을 연장하는 고정유로(453)가 존재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4와 도 25는 각각 회전디스크(400)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고정디스크(400)에 밀착되는 회전디스크(460)의 밀착면에는 제 1 내지 제 3 회전유로(462,464,466)가 존재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회전유로(462,464,466)는 탱크유로, 플레이트유로, 고정유로와 달리 회전디스크(290)의 회전시 제 1 내지 제 17 고정홀(402,404,406,408,412,414,422,424,432,434,442,444,446,448,452,454,462)의 연결관계를 일정규칙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방식에 따라 밸브어셈블리(SV)는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모든 액체, 예컨대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흐름을 목적하는 대로 설정 또는 전환한다.
첨부된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동작모드별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편의상 회전디스크(460)는 투시도의 형태로 나타내었다.
(1) 연수모드
도 26은 연수모드에서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회전디스크(290)의 제 1 회전유로(462)는 제 2 및 제 11 고정홀(404,442)을 연결하고, 제 2 회전유로(464)는 제 5 및 제 13 고정홀(412,446)을 연결한다. 이때,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제 2 고정홀(404)은 제 1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고 제 11 고정홀(442)은 제 1 연수탱크(ST1)에 연결되며, 제 5 고정홀(512)은 제 2 원수공급관로(L2)에 연결되고 제 13 고정홀(446)은 제 2 연수탱크(ST2)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의 냉/온 연수는 제 1 및 제 3 탱크홀(172,176), 제 1 및 제 2 탱크유로(173,177), 제 2 및 제 4 탱크홀(174,178)을 통해 온도조절부(TO)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적절히 조작해서 출수구(P4) 또는 샤워헤드를 통해 원하는 온도의 연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2) 오프모드
도 29는 오프모드에서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회전디스크(460)의 제 1 회전유로(462)는 제 5 고정홀(412)과 연결되고 제 2 회전유로(464)는 제 6 고정홀(414,432)에 연결된다. 이때,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제 5 및 제 6 고정홀(421,432)은 각각 제 2 원수공급관로(L2)에 연결되지만 이후의 흐름은 사실상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도조절수단과 출수선택수단을 조작하더라도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는 제공되지 않는다.
(3) 직수모드
도 28은 직수모드에서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회전디스크(460)의 제 1 회전유로(462)는 제 6 및 제 9 고정홀(414,432)을 연결하고, 제 2 회전유로(464)는 제 4 및 제 7 고정홀(408,422)을 연결한다. 이때,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제 6 고정홀(414)은 제 2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고 제 9 고정홀(432)은 온도조절수단(TO)에 연결되며, 제 4 고정홀(408)은 제 1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고 제 7 고정홀(422)은 온도조절수단(TO)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의 냉/온 원수는 온도조절부(TO)로 직접 전달되고, 사용자는 온도조절수단(TO)과 출수선택수단(SO)을 적절히 조작해서 출수구(P4) 또는 샤워헤드를 통해 원하는 온도의 직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4) 재생모드
도 29는 재생모드에서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회전디스크(460)의 제 1 회전유로(462)는 제 12 고정홀(444)에만 연결되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제 2 회전유로(464)는 제 1 및 제 17 고정홀(402,462)을 연결하며, 제 3 회전유로(466)는 제 8, 제 10, 제 16 고정홀(434,424,454)을 연결한다. 이때,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제 1 고정홀(402)은 제 1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고, 제 17 고정홀(462)은 재생탱크(RT)에 연결되며, 제 8 고정홀(434)은 제 1 연수탱크(ST1)에 연결되고, 제 10 고정홀(424)은 제 2 연수탱크(ST2)에 연결되며, 제 16 고정홀(454)은 배출관로(L10)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제 1 원수공급관로(L1)의 냉 원수는 재생탱크(RT)로 전달되고, 재생탱크(RT) 내에서는 재생수가 생성되어 제 1 및 제 2 연결구(P1,P2)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로 전달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의 재생폐수는 배출관로(L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제 8 및 제 10 고정홀(434,424)은 온도조절수단(TO)에도 연결되지만 온도조절수단(TO)이 오프되면 각각은 실질적으로 폐쇄되는바, 재생폐수는 배출관로(L10)로만 배출된다.
(5) 린스모드
도 30은 린스모드에서 고정디스크(400)와 회전디스크(46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회전디스크(460)의 제 1 회전유로(462)는 제 7, 제 9, 제 15 고정홀(422,432,452)을 연결하고, 제 2 회전유로(464)는 제 4 및 제 12 고정홀(408,444)을 연결하며, 제 3 회전유로(466)는 제 3 및 제 14 고정홀(406,448)을 연결한다. 이때,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제 7 고정홀(422)은 제 1 연수탱크(ST1)의 출수측에 연결되고, 제 9 고정홀(432)은 제 2 연수탱크(ST2)의 출수측에 연결되며, 제 15 고정홀(452)은 배출관로(L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및 4 고정홀(408)은 각ㄱ가 제 1 원수공급관로(L1)에 연결되며 제 12 및 제 14 고정홀(444,448)은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의 입수측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제 1 원수공급관로(L1)의 냉 원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에 전달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ST1,ST2) 내부의 잔류 재생폐수와 냉 연수의 혼합액인 린싱수는 배출관로(L1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첨부된 도 31과 도 3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의 활용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별도의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를 이용하여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냉/온 수도관을 연결한 경우이다.
해당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가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했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냉/온 원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5 및 도 6과 비교할 때 제 1 및 제 2 엘보(52,62)를 대신해서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가 사용되고,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를 매개로 별도의 수전구(K)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는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를 수전구(K) 또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로 전달하는 통상의 방향전환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가 냉/온 수도관과 수전구(K)를 연결하도록 하여 냉/온 원수를 사용하거나 제 1 및 제 2 밸브장치(1002,1004)가 냉/온 수도관과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L1,L2)를 연결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냉/온 연수기에 의한 냉/온 연수, 냉/온 직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탱크부 I : 공급부
O : 배출부 V : 밸브부
m : 수동밸브 P1,P2 : 제1 및 제 2 연결구
P3 : 드레인구 P4 : 출수구
P5 : 샤워헤드 연결구 SC : 제어부
ST1,ST2 :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RT : 재생탱크 MI1,MI2 : 제 1 및 제 2 감압측정수단
MV : 구동수단 ch1,ch2 : 제 및 제 2 체크밸브
L1,L2 :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
L3,L4 :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
L5,L6 :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
L7 :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
L8,L9 : 제1 및 제 2 전달관로
L10 : 배출관로

Claims (10)

  1.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냉/온 연수를 생성하고 재생수로 재생폐수를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재생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냉/온 원수로 재생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는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탱크부;
    상기 냉/온 연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재생폐수, 상기 재생폐수와 상기 냉/온 연수의 혼합액인 린싱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로; 및
    상기 공급부, 탱크부, 배출부, 배출관로와 연결되고, ①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배출부로 배출하는 연수모드, ②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 ③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재생폐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재생모드, ④ 상기 냉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전달하고 상기 린싱수를 상기 배출관로로 배출하는 린스모드를 전환 수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밸브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재생탱크를 연결하는 재생탱크공급관로, 상기 밸브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전달관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는, ①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관로를 연결하며, ②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차단하고, ③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제 1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재생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결하며, ④ 상기 린스모드에서 상기 제 1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와 상기 배출관로를 연결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온 수도관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편심 유니온; 및
    상기 제 1 및 제 2 편심 유니온과 상기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엘보를 더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냉/온 연수 또는 상기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 및
    상기 온도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출수구 및 샤워헤드 연결구가 구비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수단의 상기 연수 또는 직수를 상기 출수구 또는 샤워헤드 연결구로 배출하는 출수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는 상기 재생탱크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탱크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유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급부, 상기 밸브부, 상기 배출부의 상기 출수선택수단은 상기 유로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재생탱크의 전면 하단에 만입 형성된 결합공간에 스크류 또는 나사 플렌지로 장착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과 상기 온도조절수단의 외면에 구비되어 서로 끼워지는 홈 또는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선택수단은 상기 온도조절수단 하단의 상기 유로플레이트 전면에 장착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와 상기 유로플레이트는 진동 융착된 직결식 냉/온 연수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생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유로플레이트 배면에 장착된 드레인구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구는 적어도 하나의 피팅, 튜브, 수동밸브를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 상면에 진동 융착되어 각각을 밀폐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상기 재생탱크의 두께보다 큰 폭의 융착홈이 구비된 직결식 냉/온 연수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홈이 슬릿의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 재생탱크의 바닥으로부터 1~50mm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재생탱크에 삽입된 슬릿판을 더 포함하는 직결식 냉/온 연수기.








KR1020100029729A 2010-04-01 2010-04-01 직결식 냉/온 연수기 KR2011011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29A KR20110110426A (ko) 2010-04-01 2010-04-01 직결식 냉/온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29A KR20110110426A (ko) 2010-04-01 2010-04-01 직결식 냉/온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26A true KR20110110426A (ko) 2011-10-07

Family

ID=4502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29A KR20110110426A (ko) 2010-04-01 2010-04-01 직결식 냉/온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0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00A (ko) *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20190035299A (ko) *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300A (ko) *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20190035299A (ko) *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7B1 (ko) 연수기
KR20110120646A (ko) 출수구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연수기
KR100875207B1 (ko) 연수기
CN213012250U (zh) 净水器及用于净水器的控制阀
KR101239534B1 (ko) 타이머 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연수기
KR20110110426A (ko) 직결식 냉/온 연수기
CN210600290U (zh) 一种无压水龙头及自动皂液器装置
KR100926077B1 (ko) 연수기
KR101621104B1 (ko) 적산유량계 및 이를 구비한 수압 재생식 연수기
KR100748213B1 (ko) 연수기
KR20100035390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CN110862166A (zh) 多功能水处理机
US20230303415A1 (en) Faucet water softener
CN215756572U (zh) 龙头软水机和用于龙头软水机的逆流控制阀
KR100503738B1 (ko) 연수기용 전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CN212076579U (zh) 一种全自动软化水器设备
KR100596485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100907743B1 (ko) 연수기
CN110594450A (zh) 一种无压水龙头及自动皂液器装置
KR100821366B1 (ko) 연수탱크 편중사용 방지를 위한 연수기
KR20110085213A (ko) 자동제어형 냉/온 연수기
KR20100035391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100875209B1 (ko) 연수기
CN217422272U (zh) 具有软水功能的沐浴机
KR20050089675A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