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209B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209B1
KR100875209B1 KR1020070101709A KR20070101709A KR100875209B1 KR 100875209 B1 KR100875209 B1 KR 100875209B1 KR 1020070101709 A KR1020070101709 A KR 1020070101709A KR 20070101709 A KR20070101709 A KR 20070101709A KR 100875209 B1 KR100875209 B1 KR 10087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tank
case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777A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PCT/KR2007/0049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48014A1/en
Priority to MX2009004026A priority patent/MX2009004026A/es
Publication of KR2008003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원수의 공급을 통해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냉/원 연수를 배출하거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거나, 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거나, 냉/온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가 나란히 수직 배치된 탱크부와; 밸브어셈블리가 내장되고 상기 탱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및 상기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조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탱크부의 전면에 고정된 하우징에 실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연수기의 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제외한 상기 연수기의 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를 덮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을 연결하는 탑케이스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
본 발명은 연수기(water soft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의 4 가지 기본모드와 함께 사용자 편의를 위한 여러 가지 특수모드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며, 냉/온 수도관에 직결 고정될 수 있어 벽면을 손상시키는 못이나 스크류 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물론 냉/온 수도관의 돌출정도가 다르더라도 벽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이 가능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생활수는 연수(soft water:軟水)와 경수(hard water:硬水)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단물이라 불리는 증류수 등의 연수는 수소(H2)와 산소(O2)를 주성분으로 함에 따라 비교적 순수하고 경도가 낮아 부드러운 반면, 센물이라 불리는 지하수 등의 경수에는 칼슘이온(Ca2 +), 마그네슘이온(Mg2 +) 등의 경도성분이 함유되어 경도가 크고 뻣뻣한 느낌을 준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용가(需用家)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경도성분이 다량 함유된 경수이며, 정화과정에 사용된 염소(Cl)를 비롯해서 환경오염과 노후관에 의한 압송과정 등을 원인으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 등의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이진 않지만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이물질을 생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거나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수돗물 등의 경수를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연수로 변화시킬 수 있는 연수기(water softner)가 소개되었고, 간편하고 손쉽게 질 높은 생활수를 얻을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안으로 자리 잡았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경수 내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하여 부드럽게 한다. 해당 작용을 위해 연수기에는 나트륨(Na)을 주성분으로 하는 특수 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ion-exchange resin)가 사용되며, 이는 경수와 접촉될 경우에 수중(水中)의 칼슘이온(Ca2 +)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흡착하는 대신 나트륨이온(Na+)을 방출한다. 따라서 통상의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여기에 경수를 통과시켜 연수를 얻는다.
한편, 연수화가 거듭되면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이온(Na+)이 소진되어 연화능력이 저하되므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해당 작용을 위해 연수 기에는 소금과 같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물질이 사용되며, 이는 수용액 내에서 나트륨이온(Na+)을 방출한다. 따라서 통상의 연수기에는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연수탱크와 연결되고, 여기에 경수가 공급되면 나트륨이온(Na+)이 함유된 소금물 등의 재생수가 생성되며, 재생수는 연수탱크로 공급되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킨 후 재생폐수의 형태로 배출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의 블록도로서, 수돗물 등의 냉/온 경수를 그 온도에 따라 냉/온 연수로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냉/온 연수기에 해당되는바, 이하에서 '연수기'라 함은 '냉/온 연수기'를 의미하며, 연수기로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냉/온 경수'는 '냉/온 원수(原水)'라 한다.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인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와, 다수의 관로(31 내지 38)를 비롯한 밸브(V1 내지 V7)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는 재생물질이 충진된다.
그리고 다수의 관로(31 내지 38)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내부의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배출관로(37,38)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는 수용가에 기(旣) 장착된 냉/온 수도관에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밸브(V1 내지 V7)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에 부설되어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밸브(V1,V2)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를 연결하도록 부설되어 이들로부터 배출되는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를 단속하는 제 3 밸브(V3)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에 부설되어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4 및 제 5 밸브(V4,V5)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배출관로(37,38)에 부설되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공급되는 재생수를 단속하는 제 6 및 제 7 밸브(V6,V7)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3 밸브(V3)는 통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배출관로(33,34)의 연결정도를 토대로 냉/온 원수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수전구가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냉/온 원수를 공급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에 의한 냉/온 연수가 생성되고, 제 3 밸브(V3)를 열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거듭된 연수화로 인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4 및 제 5 밸브(V4,V5)를 열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로 냉/온 원수를 공급하면 재생수가 생성되고, 제 6 및 제 7 밸브(V6,V7)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전달하면 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되며, 이에 따른 재생폐수는 제 3 밸브(V3)를 열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일반적인 연수기는 몇 가지 단점을 나타낸다.
그중 하나로서 연수기의 사용방법, 특히 이온교환수지의 재생방법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숙련된 일손을 동원하더라도 장시간을 요구하며, 재생 시마다 사용자가 다수의 밸브(V1 내지 V7)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이로 인해 연수기의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사용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경우에 조작 미숙으로 인한 오동작 내지는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가 없어 사용자의 주관적 느낌이나 대략적인 기간계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불필요하게 잦은 재생으로 인해 재생물질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서, 적절한 재생시기를 놓쳐 이온교환수지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일반적인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상시적으로 일정량의 냉/온 연수가 저장되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식거나 데워지는 등의 온도변화가 뒤따르고, 때문에 샤워 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제 3 밸브(V3)를 열어 냉/온 연수의 온도를 고정시켜도 사용 중에 급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갑작스럽게 뜨거운 물로 인한 화상의 위험은 물론 차가운 물에 의한 불쾌감을 겪게 된다.
즉, 일반적인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의 저장용량이 클수록 냉/온 원수와 이온교환수지의 충분한 접촉을 유도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연화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의 저장용량은 통상 십 수L에 달하고, 그 내부에는 일정량의 냉/온 연수가 상시 저장된다. 하지만 장시 간 연수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저장된 냉/온 연수는 식거나 데워지는 등의 온도변화가 나타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3 밸브(V3)를 열면 한동안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저장된 냉/온 연수가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온도를 토대로 제 3 밸브(V3)를 열어 고정시키지만,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저장된 냉/온 연수가 모두 소진되면 외부에서 새로이 공급되는 냉/온 원수에 의한 냉/온 연수가 배출되며, 이는 제 3 밸브(V3)를 통해 그 온도가 기(旣) 조절된 냉/온 연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냉/온 연수의 사용 중에 갑작스럽게 뜨겁거나 차가운 온도변화를 겪게 되고, 자칫 화상의 위험은 물론,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목적하는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불필요하게 연수를 흘려보내야 하므로 수자원 낭비는 물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를 단축시키고 연수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불어 일반적인 연수기는 가정이나 업소 등의 욕실 벽면에 못이나 스크류 등으로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공급관로(31,32)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재생탱크공급관로(35,36)는 각각 냉/온 수도관에 별도의 튜브 등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20-1997-0000006호, 제10-1999-0000032호, 제20-2006-0017022호 등에 소개된 일반적인 연수기는 못이나 스크류 등으로 벽면에 브라켓(bracket)을 고정시킨 후 여기에 거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바,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벽면 손상이 불가피하며, 연수기의 설치장소가 습기 많은 욕실임을 감안하면 손상된 벽면을 통한 누수의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20-1999-0000020호, 20-1999-0000002호, 20-2004-0009315호 등을 통해 못이나 스크류 내지는 브라켓의 사용을 지양하고자, 냉/온 수도관에 직결 고정된 채 벽면에 거치되는 연수기가 소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가정이나 업소 등에 마련된 냉/온 수도관은 그 돌출정도가 상이하므로 연수기와 벽면 사이 간격이 불규칙해지는 등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어렵고, 시간경과에 따라 연수기가 기울어지거나 편심된 하중으로 인해 냉/온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리크(leak)와 같은 손상이 나타나 원활한 냉/온 수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냉/온 수도관을 절단하거나 연장하는 등이 추가조치가 필수적이며, 이로 인한 설치 곤란성과 작업성 저하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방법이 매우 간단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연수기로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판단 가능함은 물론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재생을 진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를 신속 정확하게 조절 및 배출할 수 있으며, 기타의 사용 및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정이나 업소 등의 욕실에 마련된 냉/온 수도관에 직결 고정됨에 따라 벽면을 손상시키는 못이나 스크류을 사 용하지 않으며, 냉/온 수도관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및 원활한 냉/온 원수 수급과 냉/온 직수, 냉/온 연수의 배출이 가능한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냉/온 원수의 공급을 통해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냉/원 연수를 배출하거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거나, 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거나, 냉/온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가 나란히 수직 배치된 탱크부와; 밸브어셈블리가 내장되고 상기 탱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및 상기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조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탱크부의 전면에 고정된 하우징에 실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연수기의 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제외한 상기 연수기의 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를 덮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을 연결하는 탑케이스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연산회로가 탑재된 PCB와; 사용자의 동작제어 입력을 위한 버튼과; 상기 연수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LCD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 전면을 향해 장착되어 상기 PCB가 실장되는 PCB 하우징과; 상기 PCB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및 LCD가 실장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LCD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CD 하우징의 전면은 투명재질이고, 상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버튼홀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CB 하우징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배터리가 실장되는 배터리케이스 및 이의 상면을 밀폐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배터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PCB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에 고정되는 PCB 리어하우징과; 상기 PCB 리어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된 PCB 프론트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PCB 리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PCB의 안착영역을 구획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탱크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로부터 관통노출되며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재생탱크 상단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3 입구홀 및 이들을 각각 밀폐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들케이스의 전단을 따라서 상향 돌출된 결합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미들케이스는 상기 결합턱을 관통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 배면으로 삽입되는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끝단 안쪽에 걸리는 복수개의 후크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돌기와;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에 맞닿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미들케이스는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미들케이스에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미들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 끝단이 삽입되는 끼움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네 가지 기본모드인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를 손쉽게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유의 특수모드로서, 냉/온 변환모드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수명연장 효과와 최적의 연수화 효율을 얻을 수 있고, 자동재생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도 정확한 시점에 자동으로 재생을 진행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크게 단축시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온도조절모드를 통해 목적하는 온도의 물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유량조절모드를 통해 물의 종류와 배출유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드레인모드를 통해 재생탱크마개를 개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재생수의 분출 현상을 제거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샤워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체온에 근거하여 최적 온도의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를 제공하므로 보다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온 수도관이 마련된 가정이나 업소 등의 벽면에 못이나 스크류 기타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냉/온 수도관의 돌출정도가 상이하더라도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원활한 냉/온 원수의 수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는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연수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공급 및 배출부(100,200)와, 본체부(250)와, 탱크부(700)와, 제어부(1000)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외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를 갖추고 있다.
먼저 공급부(100)는 가정이나 업소의 욕실 벽면 등에 미리 갖추어진 냉/온 수도관에 직결 고정되어 외부의 냉/온 원수가 최초로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벽면을 손상시키는 못이나 스크류 사용을 배제하면서도 연수기 전체를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배출부(200)는 연수기 내의 각종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냉/온 연수나 냉/온 직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전구(224) 및 샤워헤드(227)와 더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배출을 최종적으로 단속하거나 수전구(224), 샤워헤드(227)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전환밸브(900)를 갖추며, 재생폐수와 재생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독립된 배출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실제 구성상 공급부(100)와 배출부(200)는 하나의 장치적 구조 내에 기능적으로 구분되게 구현될 수 있고, 전환밸브(900)는 공급부(100) 및 배출부(200)와 다른 별도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250)는 공급부(100)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비롯한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진행경로와 단속 및 배출 여부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위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탱크부(700)는 연수기 내에서 액체의 실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그리고 재생물질이 충진된 하나의 재생탱크(730)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냉/온 원수가 공급되면 냉/온 연수가 각각 변화 배출되고, 재생탱크(730)에 냉 또는 온 원수가 공급되면 재생수가 변화 배출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재생수가 공급되면 재생폐수가 변화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0)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수기의 모든 동작모드를 결정 및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소정 알고리즘이 내장된 논리연산회로(1010)를 비롯해서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버튼 등의 입력유닛(1012)과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의 표시유닛(1014)을 갖추며, 그 밖에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하는 측정유닛(280)과,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h)와, 연수기에 근접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020)를 갖추고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구비된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들을 살펴보면, 외부의 냉/온 수도관을 제 1 밸브어셈블리(350)에 접속시킴으로써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를 제 1 밸브어셈블리(35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와, 제 1 밸브어셈블리(350)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밸브어셈블리(350)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 크(710,72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와, 제 1 밸브어셈블리(350)를 재생탱크(730)에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밸브어셈블리(350)의 냉 또는 온 원수를 재생탱크(730)로 전달하는 재생원수관로(W5)와,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를 연결시킴으로써 제 1 밸브어셈블리(350)의 냉/온 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와, 재생탱크(730)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연결시킴으로써 재생탱크(730)의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W8,W9)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를 제 2 밸브어셈블리(450)에 접속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의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와, 제 2 밸브어셈블리(450)를 전환밸브(900)에 접속시킴으로써 제 2 밸브어셈블리(450)의 냉/온 연수나 냉/온 직수를 전환밸브(900)로 전달하는 제 1 배출관로(W12)와,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부터 인출되는 재생폐수나 재생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 배출관로(W13)와, 재생탱크(730)를 제 2 밸브어셈블리(450)에 접속시킴으로써 재생탱크(730)의 재생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 공급하는 드레인관로(W14)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에는 측정유닛(280)이 부설되어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감지하고, 제 1 배출관로(W12)에는 온도센서(Th)가 부설되어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앞서 설명을 토대로 할 때 제어부(1000)를 제외한 연수기의 각 부분은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들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에 연결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는 이들 관로(W1 내지 W14)들을 적절히 연결시켜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에 대한 진행경로와 단속 및 배출여부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연수기의 모든 동작모드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네 가지 기본모드와 여섯 가지의 특수모드를 제공한다.
먼저, 네 가지 기본모드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로서, 냉/온 원수의 공급에 따라 냉/온 연수를 배출하는 ① 연수모드,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② 직수모드, 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를 생성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③ 재생모드,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를 비롯한 재생폐수의 공급 및 배출을 단속하는 ④ 단속모드가 그것이다. 이때, '냉/온 직수'란 연수기로부터 제공되는 '냉/온 경수'를 지칭하며, 편의상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온 원수'와 구분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위하여 ① 연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350)에 의해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부터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의 냉/온 연수는 제 2 밸브어셈블리(450)에 의해 제 1 배출관로(W12) 및 전환밸브(900)를 통해서 수전구(224)와 샤워헤드(227)로 최종 배출된다. 또한 ② 직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350)에 의해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를 통해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 전달되고, 제 2 밸브 어셈블리(450)에 의해 제 1 배출관로(W12) 및 전환밸브(900)를 통해 수전구(224)와 샤워헤드(227)로 최종 배출된다. 또한 ③ 재생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 또는 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350)에 의해 재생원수관로(W5)를 통해 재생탱크(730)로 공급되고, 재생탱크(730)에서 생성된 재생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W8,W9)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부터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의 재생폐수는 제 2 밸브어셈블리(450)에 의해 제 2 배출관로(W13)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④ 단속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350)에 의해 공급이 단속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밸브어셈블리(350)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재생탱크(730), 제 2 밸브어셈블리(450) 중 하나로 공급하거나 단속하는 '공급조절'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 2 밸브어셈블리(450)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 또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를 통해 전달되어온 냉/온 원수 또는 냉/온 연수를 제 1 배출관로(W12)로 배출하거나,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 또는 드레인관로(W14)를 통해 전달되어온 재생폐수 또는 재생수를 제 2 배출관로(W13)로 배출하는 '배출조절'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어서, 여섯 가지 특수모드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주고자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가 제공하는 고유의 동작들로서, 제어부(1000)에 의해 진행되며 앞서 4가지 기본모드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들 여섯 가지 특수모드는 냉/온 연수의 실 사용량에 근거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상호 전환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연수효율을 균등하게 조절하는 ⑤ 냉/온 변환모드와, 냉/온 연수의 실 사용량에 근거해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⑥ 자동재생모드와, 최종 배출되는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의 온도를 토대로 냉/온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신속하게 일치시키는 ⑦ 온도조절모드와,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연수모드나 직수모드에서 단속모드를 자동 전환하여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⑧ 유량조절모드와, 재생탱크(730) 내의 잔류 재생수를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그 내부 압력을 낮추어 재생물질의 투입, 보충, 교환 등을 위해 재생탱크(730)를 개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솟구침 등을 제거하는 ⑨ 드레인모드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샤워에 가장 적절한 온도의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결정 및 배출하는 ⑩ 샤워모드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위하여, ⑤ 냉/온 변환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측정유닛(280)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량을 토대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각각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사용량 편중여부를 판단하고, 편중이 감지되면 제 1 밸브어셈블리(350)는 연수모드를 진행하는 도중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를 상호 변환해서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로 전달한다. 또한 ⑥ 자동 재생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측정유닛(280)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량을 토대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파악하고, 재생시기가 도래하면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는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한다. 또한 ⑦ 온도조절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설정온도와 온도센서(Th)의 측정결과인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비교하고, 차이가 나타나면 제 2 밸브어셈블리(450)는 연수모드의 경우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과 제 1 배출관로(W12)의 연통정도를, 직수모드의 경우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와 제 1 배출관로(W12)의 연통정도를 조절해서 목적하는 온도에 따른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⑧ 유량조절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설정유량과 측정유닛(280)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량을 비교하고, 이들이 일치되면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에서 단속모드로 전환하여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227)로 배출되는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의 배출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⑨ 드레인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제 2 밸브어셈블리(450)로 하여금 드레인관로(W14)와 제 2 배출관로(W13)를 연통시키도록 하여 재생탱크(730) 내의 잔류 재생수를 외부로 강제 배수한다. 마지막으로 ⑩ 샤워모드에서 제어부(1000)는 적외선 센서(1020)를 이용해서 연수기에 근접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기(旣) 설정된 값에 따라 온도조절모드를 통해 샤워에 적합한 온도의 냉/온 직수나 냉/온 연수를 배출한다.
이하, 도 2를 기초로, 별도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바람직한 일례를 살펴본다. 이하의 도면들에 있어서 기(旣) 설명된 부분과 동일역할을 수행하는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액체가 흐르는 이동경로를 이상에서는 편의상 '관로'라 칭하였지만, 이들은 각각 별도의 '관' 형태를 나타내거나 연수기 내에 적절히 정의된 '유로'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하나의 관 또는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한바, 이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첨부된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사시도로서, 도 3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반대편의 후면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연수기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높은 전면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6 연수기의 분해상태를 그보다 낮은 전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이때, 편의상 제어부(1000) 및 최종의 외장(外裝) 케이스는 생략하였고, 이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하의 탱크부(700)와 본체부(250)로 나누어 볼 수 있고, 본체부(250) 배면에 공급 및 배출부(100,200)가 장착된 형태를 나타낸다.
먼저, 공급 및 배출부(100,200)를 먼저 살펴본다.
첨부된 도 7은 공급 및 배출부(100,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그 후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공급부(100)는 냉/온 수도관에 직결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앵글밸브(angle valve : 110,130) 그리고 본체부(250) 배면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엘보(elbow : 150,160)가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 으로 각각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중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20)는 각각 제 1 및 제 2 니플(120,140)을 매개로 냉/온 수도관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밸브본체(112,132)와, 여기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냉/온 수도관을 개폐하는 제 1 및 제 2 밸브샤프트(124,144)를 포함한다.
편의상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20)를 나누어 살펴보면, 제 1 앵글밸브(110)의 제 1 밸브본체(112)는 임의로 냉 수도관을 향하는 제 1-1 단부(114) 및 이의 반대편인 제 1-2 단부(116)의 중간지점에 제 1-3 단부(118)가 수직하게 연결된 T자 형태를 보이고, 이중 제 1-1 단부(114)에는 냉 수도관에 결합된 제 1 니플(120)이 긴밀하게 체결되며, 제 1-2 단부(116)에는 제 1 밸브너트(122)가 체결된다. 또한 제 1 밸브너트(122)에는 제 1 밸브샤프트(124)가 나사 관통되어 일 끝단에 장착된 제 1 밸브디스크(125)를 제 1 밸브본체(112) 내로 삽입시키고, 제 1 밸브너트(122) 외부로 노출된 제 1 밸브샤프트(124) 타단에는 제 1 핸들(126)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핸들(126)의 회전에 의해 제 1 밸브샤프트(124)를 비롯한 제 1 밸브디스크(125)가 제 1 밸브본체(112) 내에서 전 후진되어 제 1-1 및 제 1-3 단부(114,118)의 연통지점인 제 1 밸브시트(113)를 냉 수도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폐하거나 개방하고, 이로써 제 1-1 단부(114)로 부터 제 1-3 단부(118)로 전달되는 냉 원수를 온/오프 단속한다. 그리고 제 2 앵글밸브(130)의 제 2 밸브본체(132) 역시 임의로 온 수도관을 향하는 제 2-1 단부(134) 및 이의 반대편인 제 2-2 단부(136)의 중간지점에 제 2-3 단부(138)가 수직하게 연결된 T자 형태를 보이고, 이 중 제 2-1 단부(134)에는 온 수도관에 결합된 제 2 니플(140)이 긴밀하게 체결되며, 제 2-2 단부(136)에는 제 2 밸브너트(142)가 체결된다. 또한 제 2 밸브너트(142)에는 제 2 밸브샤프트(144)가 나사 관통되어 일 끝단에 장착된 제 2 밸브디스크(145)를 제 2 밸브본체(132) 내로 삽입시키고, 제 2 밸브너트(142) 외부로 노출된 제 2 밸브샤프트(145) 타단에는 제 2 핸들(146)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 2 핸들(146)의 회전에 의해 제 2 밸브샤프트(144)를 비롯한 제 2 밸브디스크(145)가 제 2 밸브본체(132) 내에서 전 후진되어 제 2-1 및 제 2-3 단부(134,138)의 연통지점인 제 2 밸브시트(미도시)를 온 수도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밀폐하거나 개방하고, 이로써 제 2-1 단부(134)로 부터 제 2-3 단부(138)로 전달되는 온 원수를 온/오프 단속한다.
이때 제 1 밸브본체(112)의 제 1-3 단부(118)와 제 2 밸브본체(132)의 제 2-3 단부(138)는 서로 마주보고,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30)는 제 1 및 제 2 밸브본체(112,132)를 연결하는 서포트바(149)에 의해 그 사이 간격이 고정되어 제 1-3 및 제 2-3 단부(118,138)의 대면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50) 배면에 각각의 일단(152,162)이 삽입된 제 1 및 제 2 엘보(150,160)는 그 타단(154,164)이 각각 전면을 향하는 L자 형상을 보이는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엘보(150,160)가 본체부(250)에 보다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부(250) 배면에는 별도의 고정프레임(169)이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엘보(150,160)는 고정프레임(169)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본체부(250) 배면에 삽입된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일단(152,162)을 각각 제 1 및 제 2 공 급구(152,162)라 한다.
또한 제 1 앵글밸브(110)의 제 1-3 단부(118)와 제 1 엘보(150)의 타단(154)에는 제 1 L자형 연결관(170)의 양단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 1 앵글밸브(110)와 제 1 엘보(150)를 연결하고, 제 2 앵글밸브(130)의 제 2-3 단부(138)와 제 2 엘보(160)의 타단(164)에는 제 2 L자형 연결관(180)의 양단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 2 앵글밸브(130)와 제 2 엘보(160)를 연결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타단(154,164)으로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의 말단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152,162)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연통홀(174,184)이 그 삽입방향을 따라 소정길이의 장공(長孔) 형태로 관통되며,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의 양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O-ring)이 개재되어 기밀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냉/온 수도관에 직결되는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30)에 의해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엘보(150,152)는 그 높이가 고정되는 반면,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은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30)로부터 일정 정도의 좌우이동이 가능하고, 제 1 및 제 제 2 엘보(150,152)는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70,180)으로부터 일정 정도의 전 후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온 수도관의 돌출정도가 장소별로 상이하더라도 제 1 및 제 2 L 자형 연결관(170,180)과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삽입정도를 조절하면 벽면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의 제 1 및 제 2 연통홀(174,184)은 각각 슬라 이딩 삽입에 의한 위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152,162)와 안정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장공의 형태를 나타내므로 원활한 냉/온 원수의 수급을 가능케 하는바, 제 1 핸들(126)을 오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냉 원수는 제 1-3 단부(118)와 제 1 L자형 연결관(170)의 제 1 연통홀(174)을 통해 제 1 엘보(150)의 제 1 공급구(152)로 전달되고, 제 2 핸들(146)을 오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온 원수는 제 2-3 단부(138)와 제 2 L자형 연결관(180)의 제 2 연통홀(184)을 통해 제 2 엘보(160)의 제 2 공급구(162)로 전달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과 제 1 및 제 2 엘보(150,160) 사이의 삽입정도를 미세 조절함과 동시에 그 조절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절샤프트(190)가 동원될 수 있고, 일례로 그 선단이 서포트바(149)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 채 고정프레임(169)을 나사 관통하는 한편, 서포트바(149) 전면으로 노출된 조절샤프트(192) 끝단에 조절핸들(192)를 장착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고정프레임(169)이 서포트바(149)로 부터 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핸들(192)을 회전시킴으로서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과 제 1 및 제 2 엘보(150,160) 사이의 삽입정도에 대한 미세조절 및 그 조절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서포트바(149)는 실질적으로 연수기 전체를 벽면으로부터 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축으로 작용하는바, 강도를 높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따른 강화리브(149a)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배출부(200)는 본체부(250) 배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형태를 나타내며, 여기에는 재생폐수와 재생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22) 그리고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전구(224) 및 샤워헤드관(226)가 갖추어진다. 이때 샤워헤드관(226)에는 튜브 등을 통해 샤워헤드(도 2의 227 참조)가 연결되지만,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배출부(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접속구(212,214,216)가 상향 돌출된 프레임커버(210)와, 이의 배면에 밀착되어 제 2 접속구(214)와 연통되는 수전구(224)를 완성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3 접속구(212,216)와 각각 일대일 연통되는 배출구(222)와 샤워헤드관(226)이 하향 돌출된 프레임버툼(220)의 상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전구(224)는 슬릿(slit) 형상의 토출구(도 6의 225 참조)를 이루어 사용자에게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각각 소정폭의 물줄기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그 상면은 비스듬하게 하향하여 물방울이 튀거나 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수전구(224)의 토출구(225)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일정길이의 토출리브(도 6의 225c 참조)를 하향 돌출시켜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의 배출각도를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버툼(220)의 배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6ㅇ의 (228a,228b)이 하향 돌출시키는 한편,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2,132) 상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가이드홈(128,148)을 마련해서 제 1 및 제 2 가이드단(228a,228b)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바, 이들의 결합을 통해 제 1 및 제 2 앵글밸브(110,130)는 본체부(250) 배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제 1 및 제 2 L자형 연결관(170,180)에 대한 제 1 및 제 2 엘보(150,16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체부(250)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250)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와 측정유닛(280)을 비롯한 온도센서(Th)를 수용함과 동시에 공급 및 배출부(100,200) 상에 고정되어 탱크부(7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하여 본체부(250)의 분해사시도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이때 도 10은 본체부(250)의 분해상태를 이보다 높은 전면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11은 본체부(250)의 분해상태를 이보다 낮은 전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체부(250)는 탱크부(700)가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650)와, 상기 커버플레이트(650) 배면에 밀착되는 미들플레이트(55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550)의 배면 일부에 밀착되는 버툼플레이트(540) 및 상기 미들플레이트(550)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결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함체(函體) 형상을 나타내는 버툼케이스(260)로 이루어지며, 이중 버툼케이스(260)와 미들플레이트(550) 내부로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와 측정유닛(280)과 온도센서(Th)가 수용되고, 버툼케이스(260) 배면에는 공급 및 배출부(100,200)가 고정 부설된다.
이들 본체부(25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된 도 2 이하의 도면과 별도 언급되는 도면들을 참조한다.
먼저, 버툼케이스(260)는 측면(262) 및 바닥면(264)으로 이루어진 함체 형상을 나타내고, 이중 바닥면(264)에는 제 1 내지 제 5 관통홀(266,268,270,272,274)이 관통되어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관통홀(266,268)에는 각각 버툼케이스(260) 배면에 결합되는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152,162)가 관통 삽입되고, 제 3 내지 제 5 관통홀(270,272,274)에는 각각 버툼케이스(260) 배면에 결합되는 배출부(200)의 제 1 내지 제 3 접속구(212,214,216)가 관통 삽입된다.(도 7~도 9 참조)
또한 버툼케이스(260) 내에는 온도센서(Th)를 지지하는 센서브라켓(278)이 실장되어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버툼케이스(260) 내에는 측정유닛(280)이 실장되는데, 첨부된 도 12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측정유닛(280)은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152,162)로부터 전달되는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냉/온 원수를 후술하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및 제 2 미들홀에 전달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일정하게 감압하는 감압밸브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도 7~도 9 참조)
이를 위한 측정유닛(280)은 제 1 및 제 2 입수관(284,294)이 그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고 제 1 및 제 2 출수관(290,300)이 그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본체하우징(282) 및 이의 일 측면을 덮는 커버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및 제 2 입수관(284,294)은 버툼케이스(260)의 제 1 및 제 2 관통홀(266,268)을 매개로 공급부(100)의 제 1 및 제 2 공급구(152,162)와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출수관(290,300)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및 제 2 미들홀에 관통 삽입된다.(도 7~ 도 9, 도 11 참조)
그리고 본체하우징(282) 내에는 제 1 입수관(284)과 제 1 출수관(290)을 연 결시키는 제 1 감압공간(286)과 제 1 유량측정공간(288)이 상호 연통되게 정의되고, 제 2 입수관(294)과 제 2 출수관(300)을 연결시키는 제 2 감압공간(296)과 제 2 유량측정공간(298)이 상호 연통되게 정의되는바, 제 1 및 제 2 감압공간(286,296)에는 각각 고무 등의 가요성막(可撓性膜)으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이용한 제 1 및 제 2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 미도시)가 실장되고, 제 1 및 제 2 유량측정공간(288,298)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자석(304,314)이 부착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입수관(284,294)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출수관(290,300)으로 흐르는 액체의 흐름을 따라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임펠라(impeller : 302,312)가 실장된다. 그리고 커버하우징(32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유량측정공간(288,298)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제 1 및 제 2 임펠라(302,312)에 부착된 제 1 및 제 2 자석(304,314)의 근접여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임펠라(302,312)의 회전수를 계수하는 제 1 및 제 2 카운터(counter : 322,324)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부(100)의 제 1 공급구(152)를 통해 제 1 입수관(284)으로 전달되는 원수를 임의로 냉 원수라 하면, 이는 측정유닛(280)의 제 1 감압공간(286)과 제 1 유량측정공간(288)을 차례로 통과해서 제 1 출수관(290)으로 전달되고, 공급부(100)의 제 2 공급구(162)를 통해 제 2 입수관(294)으로 공급되는 온 원수는 제 2 감압공간(296)과 제 2 유량측정공간(298)을 차례로 통과해서 제 2 출수관(300)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 중에 제 1 및 제 2 카운터(322,324)의 계수결과인 제 1 및 제 2 임펠라(302,312)의 회전수를 토대로 냉/온 원수 각각의 공급유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감압밸브 각각의 감압작용을 통해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구체적인 형상에서 차이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냉/온 원수의 유량조절과 유량측정이 가능한 측정유닛(280)의 자세한 원리는 본 출원인에 의한 출원발명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4-50984호, 제 10-2004-15194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버툼케이스(260)에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가 실장된다.
첨부된 도 13은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축(352,452)을 구비한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352,452)에 결합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주기어(356,456)와, 상기 제 1 및 제 2 주기어(356,456)에 치합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보조기어(358,458)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기어(358,458) 상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며 그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 1 및 제 2 표시홈(t1,t2)이 구비된 제 1 및 제 2 회전플렌지(360,460)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기어(358,458) 중심에 직립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366,466)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366,466)만을 그 상면에 노출시킨 채 제 1 및 제 2 주기어(356,456)와 제 1 및 제 2 보조기어(358,458)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회전플렌지(360,460)를 회전 가능하게 덮어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기어커버(362,462)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커버(362,462) 배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회전플렌지(360,460)의 표시홈(t1,t2)을 식별해서 제 1 및 제 2 보조기어(358,458)의 회전정도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광센 서(364,464)와, 제 1 및 제 2 회전샤프트(366,466)에 그 중심이 관통 고정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볼베어링(368,468)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기어커버(362,462) 상에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디스크브라켓(370,470)과,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브라켓(370,470) 상면에 밀착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 상면에 밀착되지만 함께 회전되지 않고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390,490)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디스크브라켓(370,470)에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고정단(372,472)을 상향 돌출시키고,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 배면에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단(372,472)이 끼워지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고정홈(382,482)을 마련해서 공회전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390,490)에는 각각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이 관통된 상태로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에 밀착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 상면에는 각각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390,490)의 제 1 및 제 2 디스크홀 들을 일정 규칙으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회전유로가 구비된다.
이어서, 첨부된 도 14와 도 15는 각각 미들플레이트(55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도 14는 커버플레이트(650)에 밀착되는 상면을 나타내고 도 15는 버툼케이스(260)를 향하는 배면을 나타내는바, 이들은 상하가 서로 바뀌어 있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50)는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버툼플레이트(540) 가 밀착되는 유로영역(K)과, 제 1 고정디스크(390)가 밀착되는 원형의 제 1 디스크영역(L)과, 제 2 고정디스크(490)가 밀착되는 원형의 제 2 디스크영역(M)이 그것이며, 그 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외곽영역이 존재한다. 그리고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디스크영역(L,M) 각각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격벽(551a,551b)이 일정높이로 하방 돌출되며, 이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390,490)를 그 내부로 수용 및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의 밀착 회전 시(時) 중심축의 틀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미들플레이트(550)에 있어서 외곽영역에는 제 1 및 제 2 미들홀(552,556)과 제 7 내지 제 9 미들홀(568,572,576)과 온도센서홀(580)이 관통되고, 유로영역(K)에는 제 3 내지 제 6 미들홀(560,562,564,566)이 관통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미들홀(552,556)은 각각 그 배면으로부터 측정유닛(280)의 제 1 및 제 2 출수관(290,300)이 관통 삽입되어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긴밀한 삽입 및 고정을 위한 제 1 및 제 2 가이드구(554,55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측정유닛(280)의 제 1 및 제 2 출수관(290,300)과 제 1 및 제 2 미들홀(552,556) 사이로는 냉/온 원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체크밸브(ㄷ도 10, 도 11의 C1,C2 참조)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7 미들홀(568)은 그 배면의 배출관(570)으로 하방 연장되어 배출부(200)의 제 1 접속구(212)와 연결되고, 제 8 및 제 9 미들홀(572,576)은 각각 그 배면의 수전구접속관(574)과 샤워헤드접속관(578)으로 하방 연장되어 배출부(200)의 제 2 및 제 3 접속구(214,216)와 연결된다.
또한 유로영역(K)에는 버툼플레이트(540)가 밀착 결합되는데, 이들의 밀착에 의해 제 3 및 제 4 미들홀(560,562)을 연결하는 제 1 미들유로(561)와, 제 5 및 제 6 미들홀(564,566)을 연결하는 제 2 미들유로(565)가 정의된다. 이때 제 3 및 제 5 미들홀(560,564)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체크밸브(C3,C4)가 부설될 수 있고, 미들플레이트(550)와 버툼플레이트(540)의 밀착 결합은 이른바 '진동융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크영역(L)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디스크홀로서, 제 1-1 디스크홀(582)을 기준으로 도 14의 반 시계방향(도 15의 시계방향)을 따라 제 1-2 내지 제 1-9 디스크홀(584,586,588,590,592,594,596,598)이 차례로 관통되고, 그 배면에는 제 1-8 디스크홀(596)을 연장하는 제 1 분배유로(597)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 1 분배유로(597)는 제 1-8 디스크홀(596)을 각각 제 1-2 및 제 1-3 디스크홀(584,586) 사이로 연장하는 제 1 끝단(597a)과, 제 1-4 및 제 1-5 디스크홀(588,590) 사이로 연장하는 제 2 끝단(597b)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제 1-4 디스크홀(588)과 제 1 분배유로(597)의 제 2 끝단(597b) 사이로는 밀폐된 버퍼홀(H)이 위치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1 디스크홀(582)이 도 14의 6시 방향(도 15는 12시 방향) 즉, 전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상기 제 1-1 디스크홀(582)을 시작으로 제 1 디스크영역(L) 가장자리를 따라 도 14의 반 시계방향(도 15는 시계방향)으로 제 1-2 디스크홀(584), 분배유로(597)의 제 1 끝단(597a), 제 1-3 및 제 1-4 디스크홀(586,588), 버퍼홀(H), 분배유로(597)의 제 2 끝단(597b), 제 1-5 내지 제 1-9 디스크홀(590,592,594,596,598)이 차례로 둘러 배열되며, 이들은 특히 제 1 회전디스크(390)의 회전중심인 제 1 디스크영역(L)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동일반경을 따라 동일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디스크영역(L)의 제 1-1 디스크홀(584)을 편의상 도 14의 6시 방향(도 15는 12시 방향)이라 하면 상기의 순서가 각각 반 시계방향에 따른 5시 내지 7시 방향(도 15는 시계방향에 따른 1시 내지 11시 방향)을 차지한다.
또한 제 2 디스크영역(M)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2 디스크홀로서, 제 2-1 디스크홀(602)을 기준으로 도 14의 반 시계방향(도 15는 시계방향)을 따라 제 2-2 내지 제 2-6 디스크홀(604,606,608,610,612)이 차례로 관통되고, 그 배면에는 제 2-4 디스크홀(608)을 연장하는 제 2 분배유로(609)가 형성되는바, 상기 제 2 분배유로(609)는 제 2-4 디스크홀(608)을 제 2-1 디스크홀(602)과 제 2-2 디스크홀(604) 사이로 연장하는 하나의 일끝단(609a)을 갖추고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2-1 디스크홀(602)이 전면에 가장 근접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이를 시작으로 제 2 디스크영역(M) 가장자리를 따라 도 14의 반 시계방향(도 15는 시계방향)으로 제 2 분배유로(609)의 일 끝단(609a), 제 2-2 내지 제 2-6 디스크홀(604,606,608,610,612)이 차례로 둘러 배열되며, 이들은 특히 제 2 회전디스크(490)의 회전중심인 제 2 디스크영역(M)의 정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반경을 따라 동일간격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6과 도 17은 각각 커버플레이트(65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6은 커버플레이트(650)의 평면도, 도 17은 커버플레이트(650)의 배면을 나 타내는바, 이들은 상하가 서로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커버플레이트(650)에는 제 1 내지 제 13 커버홀(652 내지 676)이 관통된다. 이때 제 1 커버홀(652)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2 디스크홀(584)과 연결되고, 제 2 커버홀(654)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3 디스크홀(586)과 연결되고, 제 3 커버홀(656)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7 디스크홀(594)과 연결되고, 제 4 커버홀(658)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9 디스크홀(598)에 연결되고, 제 6 커버홀(662)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5 미들홀(564)에 연결되고, 제 7 커버홀(664)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4 미들홀(562)에 연결되고, 제 8 커버홀(666)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6 미들홀(566)에 연결되고, 제 9 커버홀(668)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4 디스크홀(608)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플레이트(650) 배면에는 제 1 내지 제 10 커버유로(680 내지 698)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커버유로(680)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과 제 1-1, 제 1-4, 1-6 디스크홀(582,588,592)을 연통시키고, 제 2 커버유로(682)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과 제 1-8 디스크홀(596)을 연통시키고, 제 3 커버유로(684)는 제 9 커버홀(668)을 비롯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5 디스크홀(590)과 제 2-4 디스크홀(608)을 연통시키고, 제 4 커버유로(686)는 제 6 커버홀(66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3 및 제 5 미들홀(560,564)을 연통시키고, 제 5 커버유로(688)는 제 5 커버홀(660)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6 디스크홀(612)을 연통시키고, 제 6 커버유로(690)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1, 제 2-2 디스크홀(602,604)과 제 7 미들홀(568)을 연통시키고, 제 7 커버유로(692)는 제 11 커버 홀(67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5 디스크홀(610) 및 온도센서홀(580)을 연통시키고, 제 8 커버유로(694)는 제 12 커버홀(674)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8 미들홀(572)을 연통시키고, 제 9 커버유로(696)는 제 13 커버홀(67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9 미들홀(576)을 연통시키고, 제 10 커버유로(698)는 제 10 커버홀(670)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3 디스크홀(606)을 연통시키고 있다.
이때, 상술한 미들플레이트(550)의 홀들과 커버플레이트(650)의 홀들이 상기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한 제 1 내지 제 10 커버유로(680 내지 698)의 구체적인 형상 및 숫자 등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탱크부(700)는 재생탱크(730)를 사이에 둔 좌우측에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가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재생탱크(730)의 하단 적절한 지점에는 전환밸브(900)가 장착되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를 비롯한 재생탱크(730)의 상하면은 각각 탑커버(top cover : 850)와 탱크플레이트(760)로 밀폐되고, 탱크부(700) 내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재생탱크(730)의 경계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통공(732,734)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바, 이들을 통해서는 연수모드와 재생모드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본체부(250)의 냉/온 원수와 재생수가 전달된다.
도 18은 탱크부(700)의 배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를 비롯한 재생탱크(730)의 하면을 밀폐하는 탱크플레이트(760)가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 는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을 비롯한 제 1 내지 제 8 탱크홀(766 내지 780)이 관통되어 있다.
본 도면을 도 3 및 도 4와 도 5 및 도 6 그리고 앞서의 도 16 및 도 17과 함께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은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연통되고, 제 1 탱크홀(766)은 탱크부(730)의 제 1 통공(732)과 연통되고, 제 2 탱크홀(768)은 탱크부(730)의 제 2 통공(734)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8 커버홀(666)에 연통되고, 제 3 탱크홀(770)은 재생탱크(730)에 연통되고, 제 4 탱크홀(772)은 재생탱크(730)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6 커버홀(662)에 연통되고, 제 5 탱크홀(774)은 전환밸브(900)에 연통되고, 제 6 탱크홀(776)은 전환밸브(900)를 비롯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2 커버홀(674)에 연통되고, 제 7 탱크홀(778)은 전환밸브(900)를 비롯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3 커버홀(676)에 연통되고, 제 8 탱크홀(780)은 재생탱크(730)에 연통된다. 아울러 탱크플레이트(760) 배면에는 제 1 내지 제 8 탱크유로(782 내지 796)가 정의되는바, 제 1 탱크유로(782)는 제 1 배출홀(762)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3 및 제 5 커버홀(656,660)을 연통시키고, 제 2 탱크유로(784)는 제 2 배출홀(764)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9 커버홀(668)을 연통시키고, 제 3 탱크유로(786)는 제 1 탱크홀(766)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홀(652)을 연통시키고, 제 4 탱크유로(788)는 제 2 탱크홀(768)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4 커버홀(658)을 연통시키고, 제 5 탱크유로(790)는 제 1 탱크홀(766)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7 커버홀(664)을 연통시키고, 제 6 탱크유로(792)는 제 3 탱크홀(770)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 홀(654)을 연통시키고, 제 7 탱크유로(794)는 제 5 탱크홀(774)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1 커버홀(672)을 연통시키고, 제 8 탱크유로(796)는 제 8 탱크홀(780)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0 커버홀(670)을 연통시킨다. 이때, 상술한 탱크플레이트(760)의 홀들과 커버플레이트(650)의 홀들이 상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한 제 1 내지 제 8 탱크유로(782 내지 796)의 구체적인 형상 및 숫자 등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는 탑커버(85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탑커버(850)의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B-B 선에 대한 단면을 보인 수직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3의 C-C 선에 대한 단면을 보인 수평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탑커버(850)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재생탱크(730)의 상면을 밀폐하는 리드플레이트(852)와, 이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리드커버(870,88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리드플레이트(852)에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와 재생탱크(730)에 일대일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입구홀(854,856)과 재생탱크입구홀(858) 그리고 제 1 및 제 2 통공(732,734)에 일대일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유로홀(862,864)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리드플레이트(852) 상면으로부터는 재생탱크입구홀(858)을 상향 연장하는 원통형의 가이드플렌지(860)가 상향 돌출되어 재생탱크마개(866)로 밀폐된다. 따라서 재생탱크마개(866)를 열어 재생탱크(730) 내로 재생물질을 투입 및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리드플레이트(852) 상에는 제 1 연수탱크입구홀(854) 및 제 1 유로홀(862)을 함께 덮는 제 1 리드커버(870) 그리고 제 2 연 수탱크입구홀(856) 및 제 2 유로홀(864)을 함께 덮는 제 2 리드커버(88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리드커버(870,880)는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입구홀(854,856)을 상향 연장하도록 리드플레이트(852) 상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상의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 그리고 제 1 및 제 2 유로홀(862,864)을 덮음과 동시에 이들 각각을 연장하는 환형의 제 1 및 제 2 내부유로를 정의하도록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의 외곽을 둘러 리드플레이트(852)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및 제 2 유로하우징(874,88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리드커버(870) 내부로는 제 1 필터가이드(872)에 의해 제 1 연수탱크입구홀(854) 및 제 1 연수탱크(710)와 연결된 제 1 필터영역이 정의되고, 그 외곽을 따라서는 제 1 유로하우징(874)에 의해 제 1 유로홀(862)과 연결된 환형의 제 1 내부유로가 구분 정의된다. 또한 제 2 리드커버(880) 내부로는 제 2 필터가이드(882)에 의해 제 2 연수탱크입구홀(856) 및 제 2 연수탱크(720)와 연결된 제 2 필터영역이 정의되고, 그 외곽을 따라서는 제 2 유로하우징(884)에 의해 제 2 유로홀(862)과 연결된 환형의 제 2 내부유로가 구분 정의된다.
그리고 이중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의 측면을 따라서는 각각 제 1 및 제 2 내부유로와 연결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유입홀(876,886)이 관통되고,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에는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92,894)가 실장되며,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로 밀폐된다. 따라서 탱크부(700)의 제 1 및 제 2 통공(732,734)으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와 재생수는 각각 제 1 및 제 2 유로홀(862,864)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유로하우징(874,884) 내부로 유입된 후, 제 1 및 제 2 유입홀(876,886)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 내로 유입되며, 각각에 삽입된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92,894)를 거쳐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유입홀(876,886)은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의 외곽을 두르는 일정간격의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냉/온 원수와 재생수의 고른 유입에 유리한데, 제 1 및 제 2 유로홀(862,864)을 통해 제 1 및 제 2 유로하우징(874,884)으로 공급된 냉/온 원수 및 재생수는 제 1 및 제 2 유로하우징(874,884)을 따라 선회하면서 제 1 및 제 2 유입홀(876,886)을 통해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 내로 유입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92,894)는 각각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 내면에 밀착되는 원통형상을 나타낼 수 있고, 특히 제 1 및 제 2 필터가이드(872,882)의 하단에는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확산플레이트(879,889)가 추가로 구비되어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892,882)를 통과한 냉/온 원수 및 재생수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전 면적으로 확산되어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제까지 살펴본 버툼플레이트(540) 및 미들플레이트(550)와 커버플레이트(650)와 탱크플레이트(760)에 있어서,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과 제 1 내지 제 8 탱크홀(766 내지 780)은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내지 제 8 탱크유로(782 내지 796)을 비롯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내지 제 13 커버홀(652 내지 676)과 제 1 내지 제 10 커버유로(680 내지 698)를 매개로 미들플 레이트(550)의 제 1-1 내지 제 1-9 디스크홀(582, 584,586,588,590,592,594,596,598)과 제 2-1 내지 제 2-6 디스크홀(602,604,606,608,610,612)에 적절히 연결되고,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내지 제 9 미들홀(552,556,560,562,564,566,568,572,576) 역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내지 제 13 커버홀(652 내지 676)과 제 1 내지 제 10 커버유로(680 내지 698) 및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내지 제 8 탱크유로(782 내지 796)를 매개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내지 제 1-9 디스크홀(582, 584,586,588,590,592,594,596,598)과 제 2-1 내지 제 2-6 디스크홀(602,604,606,608,610,612)에 적절히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내지 제 1-9 디스크홀(582, 584,586,588,590,592,594,596,598)과 제 2-1 내지 제 2-6 디스크홀(602,604,606,608,610,612) 각각을 적절히 연결할 경우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의 제 1 디스크영역(L)에는 복수의 제 1 고정홀이 관통된 제 1 밸브어셈블리(350)의 제 1 고정디스크(390)가 밀착 고정되고, 그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유로를 갖춘 제 1 회전디스크(380)가 밀착 회전하여 각 모드별로 복수의 제 1 고정홀을 적절히 연통시키며,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의 제 2 디스크영역(M)에는 복수의 제 2 고정홀이 관통된 제 2 밸브어셈블리(450)의 제 2 고정디스크(490)가 밀착 고정되고, 그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전유로를 갖춘 제 2 회전디스크(480)가 밀착 회전하여 각 모드별로 복수의 제 2 고정홀을 적절히 연통시키는바, 결론적으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 각 각의 회전에 따른 제 1 및 제 2 회전유로의 상대적 위치변화를 통해서 연수기의 모든 동작모드를 결정 및 제어하게 된다.
이에 앞서 설명을 유보했던 부분으로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의 제 1 회전 및 고정디스크(380,390)와 제 2 회전 및 고정디스크(480,49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작용을 살펴본다. 이하, 필요에 따라 앞서 언급된 도면들을 적절히 참조한다.
먼저, 도 22와 도 23은 각각 제 1 고정디스크(39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의 제 1 디스크영역(L)에 밀착되는 상면과 그 이면의 배면을 나타내며, 서로 상하가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1 고정디스크(39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의 제 1 고정홀로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디스크홀(582)에 대응되는 제 1-1 고정홀(39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2 디스크홀(584)에 대응되는 제 1-2 고정홀(394)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분배유로(597) 제 1 끝단(597a)에 대응되는 제 1-3 고정홀(39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3 디스크홀(586)에 대응되는 제 1-4 고정홀(398)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4 디스크홀(588)에 대응되는 제 1-5 고정홀(400)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5 디스크홀(590)에 대응되는 제 1-6 고정홀(40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6 디스크홀(592)에 대응되는 제 1-7 고정홀(404)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7 디스크홀(594)에 대응되는 제 1-8 고정홀(40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8 디스크홀(596)에 대응되는 제 1-9 고정홀(408)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9 디스크홀(598)에 대응되는 제 1-10 고정 홀(410)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디스크(390) 배면에는 제 1-1 내지 제 1-10 고정홀(392 내지 410)과 별개로 복수의 제 1 오일홈(412)이 구비되며, 이는 후술하는 제 1 회전디스크(380)와의 밀착 시(時) 기름막에 의한 방수 및 윤활작용을 기대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 소량의 오일이 머금어진다.
다음으로 도 24는 제 1 회전디스크(380)에 대한 평면도로서, 제 1 고정디스크(390)에 밀착 및 회전되는 상면이 나타나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유로로서 홈 형상의 제 1-1 및 제 1-2 회전유로(384,386)가 구비되며, 이들은 각각 제 1 회전디스크(380)의 회전에 의해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1 내지 제 1-10 고정홀(392 내지 410)을 적절히 연결시킨다.
이어서 도 25와 도 26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평면도와 배면도로서, 미들플레이트(550) 배면의 제 2 디스크영역(M)에 밀착되는 상면과 그 이면의 배면을 나타내며, 서로 상하가 바뀌어 있다.
보이는 것처럼 제 2 고정디스크(490)에는 복수의 제 2 고정홀로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1 디스크홀(602)에 대응되는 제 2-1 고정홀(49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분배유로(609) 일 끝단(609a)에 대응되는 제 2-2 고정홀(494)과, 미들플레이트(550) 제 2-2 디스크홀(604)에 대응되는 제 2-3 고정홀(496)과, 미들플레이트(550) 제 2-3 디스크홀(606)에 대응되는 제 2-4 고정홀(498)과, 미들플레이트(550) 제 2-4 디스크홀(608)에 대응되는 제 2-5 고정홀(500)과, 미들플레이트(550) 제 2-5 디스크홀(610)에 대응되는 제 2-6 고정홀(502)과, 미들플레이 트(550) 제 2-6 디스크홀(612)에 대응되는 제 2-7 고정홀(504)이 관통되고, 그 외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분배유로(609)와 대응되는 동일형상의 홈(50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디스크(490) 배면에는 제 2-6 고정홀(502) 중심을 향해 제 2-5 고정홀(500)과 제 2-7 고정홀(504)을 각각 연장시키되 제 2-6 고정홀(502)을 향할수록 그 폭이 점차 줄어드는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이 구비되며, 이들 제 2-1 내지 제 2-7 고정홀(492 내지 504)과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과는 별개로 제 2 오일홈(510)이 구비되는바, 이는 후술하는 제 2 회전디스크(480)와의 밀착 시(時) 기름막에 의한 방수 및 윤활작용을 기대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내부로 소량의 오일이 머금어진다.
다음의 도 27은 제 2 회전디스크(480)의 평면도로서, 제 2 고정디스크(490) 배면으로 밀착 및 회전되는 상면이 나타나 있다.
보이는 것과 같이 제 2 회전디스크(480) 상면에는 하나의 제 2-1 회전유로(482)가 구비되고, 이는 제 2 회전디스크(480)의 회전에 의해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1 내지 제 2-7 고정홀(492 내지 504)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을 적절히 연결시킨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각 모드별 액체의 이동경로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앞서 언급된 도면들과 함께 도 28 내지 도 33을 참조하는데, 이들은 각각 탱크플레이트(760)와 커버플레이트(650)와 미들플레이트(550)의 홀 및 유로를 간략하게 위에서 아래로 투시해서 나타낸 모식도로서, 편의상 각 모드별 상호 연결관계를 보이기 위해 각각의 도면 상중하에 탱크플레이 트(760)와 커버플레이트(650)와 미들플레이트(550)를 배치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해당모드에서 액체의 이동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는 생략하였다. 이때, 본격적인 설명 이전에 배출부(900)의 전환밸브(910)에 대한 기능을 간단히 살펴보면, 전환밸브(910)은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5 탱크홀(774)을 단속하거나 제 6 또는 제 7 탱크홀(776 또는 77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1. 연수모드
첨부된 도 28은 연수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1 회전유로(384)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9 고정홀(408)과 제 1-10 고정홀(410)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1 고정홀(392)과 제 1-2 고정홀(394)을 연결시킨다.
한편, 외부의 냉 수도관으로부터 임의로 공급부(100)의 제 1 공급구(152)를 통해 측정유닛(280)의 제 1 입수관(284) 및 제 1 출수관(290)으로 공급된 냉 원수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을 통해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유로(680)로 전달되어 다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제 1-4, 1-6 디스크홀(582,588,592)로 전달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디스크홀(582)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1 고정홀(392)에 연통되고, 상기 제 1-1 고정홀(392)은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2 회전유로(386)에 의해 제 1-2 고정홀(394)과 연결되며, 상기 제 1-2 디스크홀(584)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홀(652)을 통 해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3 탱크유로(786)와 연결되고, 상기 제 3 탱크유로(786)는 제 1 탱크홀(760)을 통해 탱크부(700)의 제 1 통공(732)에 연결되는바, 냉 원수는 제 1 통공(732)을 비롯한 리드플레이트(852)의 제 1 유로홀(862)과 제 1 유입홀(876)을 통해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다.
반면, 외부의 온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부(100)의 제 2 공급구(162)를 통해 측정유닛(280)의 제 2 입수관(294) 및 제 1 출수관(300)으로 공급된 온 원수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유로(682)를 통해서 다시 미들플레이트(550)의 1-8 디스크홀(596)을 비롯한 제 1 분배유로(597) 전체로 전달된다. 이때, 제 1-8 디스크홀(596)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9 고정홀(408)과 연결되고, 상기 제 1-9 고정홀(408)은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1 회전유로(384)에 의해 제 1-10 고정홀(410)과 연결되며, 상기 제 1-10 고정홀(410)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9 디스크홀(598)과 연결되는바, 온 원수는 제 1-9 디스크홀(598) 및 이와 연통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4 커버홀(658)을 통해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4 탱크유로(788)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제 2 탱크홀(768)과, 탱크부(700)의 제 2 통공(734)과, 리드플레이트(852)의 제 2 유로홀(864)과 제 2 유입홀(886)을 통해 제 2 연수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연수모드를 위해,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의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한편, 제 1 연수탱크(710)의 냉 연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배출 홀(762) 및 제 1 탱크유로(782)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5 커버홀(660) 및 제 5 커버유로(688)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6 디스크홀(612)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의 온 연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2 배출홀(764) 및 제 2 탱크유로(784)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9 커버홀(668)을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4 디스크홀(608)로 전달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6 디스크홀(612)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7 고정홀(504) 및 제 2 테이퍼홈(508)과 연결되고,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4 디스크홀(608)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5 고정홀(500) 및 제 1 테이퍼홈(506)과 연결되어 있고,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의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바, 결국 냉/온 연수는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에서 서로 합쳐져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5 디스크홀(610)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7 커버유로(692) 및 제 11 커버홀(672)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7 탱크유로(794) 및 제 5 탱크홀(774)을 통해 전환밸브(900)로 전달된다.
또한 앞서 전환밸브(900)는 제 5 탱크홀(774)을 단속하거나 제 6 또는 제 7 탱크홀(776,77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하였으므로, 제 5 및 제 6 탱크홀(774,776)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 냉/온 연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2 커버홀(674) 및 제 8 커버유로(694)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8 미들홀(572) 및 수전구접속관(574)과, 배출부(200)의 제 2 접속구(214) 및 수전구(224)를 통해 사 용자에게 제공되고, 달리 제 5 및 제 7 탱크홀(774,778)이 연결된 경우에 냉/온 연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3 커버홀(676) 및 제 9 커버유로(69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9 미들홀(576) 및 샤워헤드접속관(578)과, 배출부(200)의 제 3 접속구(216) 및 샤워헤드관(226)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환밸브(900)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관(226)에 연결된 샤워헤드(227)를 통해 배출되는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2. 직수모드
첨부된 도 29는 직수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는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384)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6 및 제 1-7 고정홀(402,404)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8 및 제 1-9 고정홀(406,408)을 연결시킨다. 또한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앞서의 연수모드와 동일하게,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의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한편,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로 공급된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유로(680)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제 1-4, 1-6 디스크홀(584,588,592)로 전달된다. 이때 제 1-6 디스크홀(592)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1-7 고정홀(404)과 연결되고, 상기 제 1-7 고정홀(404)은 제 1 회전디스 크(380)의 제 1-1 회전유로(384)에 의해 제 1-6 고정홀(402)과 연결되며, 상기 제 1-6 고정홀(402)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5 디스크홀(59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3 커버유로(684) 및 제 9 커버홀(668)을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4 디스크홀(608)에 전달된다.
또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로 공급된 온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유로(682)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1-8 디스크홀(596) 및 제 1 분배유로(597) 전체로 전달된다. 이때 제 1-8 디스크홀(596)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9 고정홀(408)과 연결되고, 상기 제 1-9 고정홀(408)은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2 회전유로(386)에 의해 제 1-8 고정홀(406)과 연결되며, 상기 제 1-8 고정홀(406)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7 디스크홀(594)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온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3 커버홀(656)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탱크유로(782)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5 커버홀(660) 및 제 5 커버유로(688)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6 디스크홀(612)로 전달된다.
이때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앞서의 연수모드와 동일하게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의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바, 결국 냉/온 원수는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에서 서로 합쳐져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5 디스크홀(610)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7 커버유로(692) 및 제 11 커버홀(672)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7 탱크유로(794) 및 제 5 탱크홀(774)을 통해 전환밸브(9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환밸 브(900)에 의해 제 5 및 제 6 탱크홀(774,776)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2 커버홀(674) 및 제 8 커버유로(694)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8 미들홀(572) 및 수전구접속관(574)과, 배출부(200)의 제 2 접속구(214) 및 수전구(22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달리 제 5 및 제 7 탱크홀(774,778)이 연결된 경우에 냉/온 직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3 커버홀(676) 및 제 9 커버유로(69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9 미들홀(576) 및 샤워헤드접속관(578)과, 배출부(200)의 제 3 접속구(216) 및 샤워헤드관(226)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환밸브(900)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관(226)에 연결된 샤워헤드(227)를 통해 배출되는 냉/온 직수를 사용할 수 있다.
3. 재생모드
첨부된 도 30은 재생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는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384)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4 고정홀(398)과 제 1-5 고정홀(400)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어느 홀에도 연결되지 못한다. 그리고 제 2 회전디스크(480) 역시 회전되어 제 2-1 회전유로(482)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1 고정홀(492)을 비롯한 제 2-2 고정홀(494)과 제 2-7 고정홀(504)을 연결시키고 있다.
한편,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로 공급된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유로(680)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제 1-4, 제 1-6 디스크홀(582,588,592)로 전달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50)의 1-4 디스크홀(588)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5 고정홀(400) 및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1 회전유로(384)에 의해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4 고정홀(398) 및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3 디스크홀(586)과 연결되는바,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홀(654)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6 탱크유로(792) 및 제 3 탱크홀(770)을 통해 재생탱크(730)로 전달된다.
그리고 탱크플레이트(740)의 제 4 탱크홀(772)로부터는 재생수가 배출되어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6 커버홀(662)을 비롯한 제 4 커버유로(686)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3 및 제 5 미들홀(560,564)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미들유로(561,565)와 제 4 및 제 6 미들홀(562,566)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7 및 제 8 커버홀(664,666)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5 탱크유로(790) 및 제 1 탱크홀(766) 그리고 제 2 탱크홀(768)로 전달되며, 탱크부(700)의 제 1 및 제 2 통공(732,734)과, 리드플레이트(852)의 제 1 및 2 유로홀(862,864)과 제 2 및 4 유입홀(876,886)을 통해 제 1 및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로 공급된 온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유로(682)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1-8 디스크홀(596) 및 제 1 분배유로(597) 전체로 전달되지만 이후의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된다.
이후, 제 1 연수탱크(710)의 재생폐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배출 홀(762) 및 제 1 탱크유로(782)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5 커버홀(660) 및 제 5 커버유로(688)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6 디스크홀(612)을 통해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7 고정홀(504)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의 재생폐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2 배출홀(764) 및 제 2 탱크유로(784)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9 커버홀(668)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4 디스크홀(608) 및 제 2 분배유로(609)를 통해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2 고정홀(494)로 전달된다.
이때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1 고정홀(492)을 비롯한 제 2-2 고정홀(494)과 제 2-7 고정홀(504)을 연결시키므로, 재생폐수는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에서 합쳐진 후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1 고정홀(492)을 통해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6 커버유로(690)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7 미들홀(568) 및 배출관(570)과, 배출부(200)의 제 1 접속구(212) 및 배출구(22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의 재생모드에서 재생수는 적은 양으로도 이온교환수지를 충분히 재생시킬 수 있고, 오히려 재생수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재생의 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4 고정홀(398)과, 미들플레이트(550)의 1-3 디스크홀(586) 등은 여타의 홀보다 작은 직경을 나타내고, 그 크기는 수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2mm 정도가 알맞다.
4. 단속모드
첨부된 도 31은 단속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가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384)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5 고정홀(400)에만 연결되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6 고정홀(402)에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로 공급된 냉 원수는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유로(680)에 의해 다시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제 1-4, 제 1-6 디스크홀(582,588,592)로 전달되지만, 이후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되고,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로 공급된 온 원수 또한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유로(682)를 통해 미들플레이트(550)의 1-8 디스크홀(596) 및 제 1 분배유로(597) 전체로 전달되지만 이후의 진행경로가 없어 단속된다.
이 경우 제 2 회전디스크(480)의 회전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온 원수의 공급을 비롯한 모든 액체의 흐름이 정지된 단속상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특수모드를 살펴본다.
5. 냉/온 변환모드
첨부된 도 32는 냉/온 변환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가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384)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1 및 제 1-10 고정홀(392,410)을 연결시키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2 및 1-3 고정홀(394,396)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는 앞서의 연수 및 직수모드와 동일하게,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6 고정홀(502)을 비롯한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의 일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그 결과 냉 원수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 미들홀(552)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유로(680)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1 디스크홀(582)과,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1 고정홀(392)과,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1 회전유로(384)와, 제 1 고정디스크(360)의 제 1-10 고정홀(410)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9 디스크홀(598)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4 커버홀(658)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4 탱크유로(788) 및 제 2 탱크홀(768)과, 탱크부(700)의 제 2 통공(734)과, 리드플레이트(852)의 제 2 유로홀(872)과 제 2 유입홀(886)을 통해 제 2 연수탱크(720)로 공급된다.
반면, 온 원수는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 미들홀(556)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2 커버유로(682)와, 미들플레이트(550)의 1-8 디스크홀(596) 및 분배유로(597)의 제 1 끝단(597a)과, 제 1 고정디스크의 제 1-3 고정홀(396)과, 제 1 회전디스크(380)의 제 1-2 회전유로(386)와,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2 고정홀(394)과,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1-2 디스크홀(584)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 커버홀(652)과,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3 탱크유로(786) 및 제 1 탱크홀(766)과, 탱크부(700)의 제 1 통공(732)과, 리드플레이트(852)의 제 1 유로홀(862)과 제 1 유입홀(876)을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다.
이상의 내용을 앞서 살펴보았던 연수모드와 비교하면, 냉 원수가 제 2 연수탱크(720)로 공급되고, 온 원수가 제 1 연수탱크(710)로 공급된 것이 상이하며, 결 국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대해 냉/온 원수가 서로 변환 공급된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수탱크(710)의 온 연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1 배출홀(762)로 전달되고, 제 2 연수탱크(720)의 냉 원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2 배출홀(382)로 전달되는바, 냉/온의 종류만 바뀌었을 뿐 이후 진행경로는 연수모드와 유사하므로 생략하면,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전환밸브(900)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관(226)에 연결된 샤워헤드(227)를 통해 배출되는 냉/온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6. 자동재생모드
다음으로 자동재생모드는 앞서 살펴보았던 네 가지 기본모드 중에서 재생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드에서 단속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가 차례로 진행되는 것으로, 별도의 도면이 없어도 앞서 내용을 토대로 하면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의 회전에 의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7. 유량조절모드
또한 유량조절모드는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에서 일정 유량의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가 배출된 후 단속모드로 변환되는 것이며, 이 역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의 회전에 의해 가능하므로 별도의 도면은 생략한다.
8. 온도조절모드
한편, 앞서 살펴본 연수모드와, 직수모드와, 냉/온 변환모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는 각각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7 커버유로(692)를 지나는 과정 중에 미들플레이트(550)의 온도센서홀(580)에 관통 삽입된 온도센서(Th)를 지난다.(도 11a 및 도 11b와 도 12a 및 도 12b 참조)
따라서 온도센서(Th)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 2 회전디스크(480)의 회전정도, 다시 말해 제 2-1 회전유로(482)의 회전정도를 제어하면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1 및 제 2 테이퍼홈(506,508)에 대한 상대적인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최종 배출되는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혼합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목적하는 온도에 일치시킬 수 있다.
9. 드레인모드
첨부된 도 33은 드레인모드를 표시하며, 편의상 실질적인 액체 이동경로를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내었다. 본 모드는 앞서 살펴본 기본모드 중 단속모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해당모드를 위해 제 1 회전디스크(380)가 회전되어 제 1-1 회전유로(384)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5 고정홀(400)에만 연결되고, 제 1-2 회전유로(386)는 제 1 고정디스크(390)의 제 1-6 고정홀(402)에만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회전디스크(480)가 회전되어 제 2-1 회전유로(482)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3 및 제 2-4 고정홀(496,498)을 연결시킨다.
이때 제 1 회전디스크(380)는 단속모드와 동일하므로 냉/온 원수의 공급이 단속된다.
반면, 재생탱크(730) 내의 재생수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8 탱크홀(780) 및 제 8 탱크유로(796)와,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10 커버홀(670) 및 제 10 커버유로(698)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2-3 디스크홀(606)과,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4 고정홀(498)과, 제 2 회전디스크(480)의 제 2-1 회전유로(482)와, 제 2 고정디스크(490)의 제 2-3 고정홀(496)과, 미들플레이트(550)의 2-4 디스크홀(604)과, 커버플레이트(650)의 제 6 커버유로(690)와,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7 미들홀(568) 및 배출관(570)과, 배출부(200)의 제 1 접속구(212) 및 배출구(22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탱크(730) 내부의 재생수를 강제 드레인 해서 그 내부압력을 낮출 수 있다.
10. 샤워모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1000)에는 특히 연수기에 근접한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1020)가 구비되는바, 이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온도조절모드를 수행하여 샤워에 가장 적합한 온도의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224)를 통해 공급한다. 참고로, 사람이 샤워할 때 가장 적절하다고 느끼는 물의 온도는 체온±2℃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샤워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000)는 적외선 센서(10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온도조절모드에 따라 최적 온도의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공급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 없이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9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도면과 함께 F-F 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37을 함께 참조해서 전환밸브(9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 이전에, 앞서 전환밸브(900)는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5 탱크홀(774)을 단속하거나 제 6 또는 제 7 탱크 홀(776,77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였다.
이를 위해 재생탱크(730) 전면으로부터는 일정공간을 제공하는 밸브하우징(902)이 컵 형상으로 만입 형성되며, 그 내면(903)에는 각각 탱크플레이트(760)의 제 5 내지 제 7 탱크홀(774,776,778)과 일대일 대응 연통된 제 1 내지 제 3 연결홀(904,906,908)이 관통된다. 아울러 전환밸브(900)는 밸브하우징(902) 내면(903)에 밀착 고정되는 밸브고정디스크(910)와, 이의 전면에 밀착되는 밸브회전디스크(920)와, 상기 밸브회전디스크(920) 전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밸브하우징(902) 외부로 인출되는 핸들축(932)을 제공하는 밸브브라켓(930)과, 상기 핸들축(932)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밸브하우징(902)을 밀폐하는 밸브커버(940) 그리고 상기 밸브커버(940)로부터 관통 노출된 핸들축(932)에 결합되는 전환핸들(950)을 포함한다. 이때 밸브고정디스크(910)에는 제 1 및 제 3 연결홀(904,906,908)을 일대일 대응 연통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연장홀(912,914,916)이 관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5 탱크홀(774) 및 제 1 연결홀(904)에 연통된 제 1 연장홀(912)을 사이에 둔 양편에 각각 제 6 탱크홀(776) 및 제 2 연결홀(904)과 연통된 제 2 연장홀(914) 그리고 제 7 탱크홀(778) 및 제 3 연결홀(906)에 연통된 제 3 연장홀(916)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밀착되는 밸브회전디스크(920) 일면에는 홈 형상의 밸브유로(922)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유로(922)는 밸브회전디스크(920)의 회전에 의해 각각 밸브고정디스크(910)의 제 1 연장홀(912)과 제 2 연장홀(914)을 연결하거나 제 1 연장홀(912)과 제 2 연장홀(916)을 연결하거나 제 1 연장홀(912)을 제 2 및 제 3 연장홀(914,916) 중 어느 하나에도 연결시키기 않음으로써 실질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환핸들(950)을 회전시켜 밸브회전디스크(920)의 밸브유로(922)가 밸브고정디스크(910)의 제 1 연장홀(912)과 제 2 연장홀(914)을 연통하도록 하면 결국 제 5 탱크홀(774)의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는 제 6 탱크홀(776)로 공급되고, 밸브유로(922)가 밸브고정디스크(910)의 제 1 연장홀(912)과 제 3 연장홀(916)을 연통하도록 하면 제 5 탱크홀(774)과 제 7 탱크홀(778)이 연결되며, 밸브유로(922)가 밸브고정디스크(910)의 제 1 연장홀(912)을 제 2 및 제 3 연장홀(914,916) 중 어느 것과도 연통시키지 않도록 하면 제 5 탱크홀(774)을 단속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밸브커버(940) 외면에 볼베어링(942)을 장착하고, 이를 향하는 전환핸들(950) 내면에 상기 볼베어링(942) 일부를 수용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홈(952) 및 그 중간 중간의 스토퍼홈(954)이 구비해서 전환핸들(950)의 정지위치를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핸들(950)의 정지위치는 각각 상기의 세 가지 경우, 즉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관(226)으로 배출하거나 단속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도 35와 도 36은 각각 도 34의 D-D, E-E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의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에는 각각 냉/온 연수 또는 재생폐수의 배출 시(時)에 이온교환수지의 유실을 방지하고 역류를 억제하는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10,820)가 개재되며, 재생탱크(730) 내에는 제 3 탱크홀(770)로 재생원수가 유입되면 제 4 탱크홀(772)로 재생수를 유출시킬 수 있는 재생수생성관(8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5와 같이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10,820)는 각각 제 1 및 제 2 재생탱크(710,720) 내에서 제 1 및 2 배출홀(762,764)을 덮는 컵 형상의 제 1 및 제 2 메쉬커버(812,822)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의 상단 일부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 1 및 제 2 결합플렌지(814,824)가 하방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재생탱크(710,720) 내부에서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에 각각 제 1 및 제 2 메쉬커버(812,822)의 제 1 및 제 2 결합플렌지(814,824)를 끼워 결합시키면,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에는 각각 환형의 단턱이 부여되고, 제 1 및 제 2 메쉬커버(812,822)를 통해 이온교환수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5 및 제 6 체크밸브(810,820)는 각각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 내에 개재되어 제 1 및 제 2 메쉬커버(812,822)의 제 1 및 제 2 결합플렌지(814,824)에 걸려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밸브플레이트(816,826)와, 커버플레이트(650) 상에 각각 지지되어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에 삽입되며 제 1 및 제 2 밸브플레이트(816,826)를 제 1 및 제 2 결합플랜지(814,824)에 밀착시키도록 아래에서 위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818,828)이 개재된다. 따라서 제 5 및 6 체크밸브(810,820) 각각은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을 일 방향, 즉 위에서 아래를 향해서만 오픈시키는 구조를 취하는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는 자체하중으로 제 1 및 제 2 밸브플레이트(816,826)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스프링(818,828)을 누름으로써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 개방한 후 배출될 수 있는 반면, 그 반대방향의 압력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밸브플레이트(816,826)가 각각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 막아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메쉬커버(812,822)는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를 비롯한 재생탱크(730)의 사출제조 시에 함께 틀 안에 넣어져 고정되는, 이른바 인서트 사출방법으로 제 1 및 제 2 배출홀(762,764)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6과 같이 재생탱크(730) 내에 개재되는 재생수생성관(830)은 제 3 및 제 4 탱크홀(770,772)을 연결하도록 양 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U자의 형태를 보인다. 이때 재생수생성관(830) 중에서 제 3 탱크홀(770)에 끼워지는 일단(832)은 통상의 밀폐된 파이프 형태를 나타내는데 반해, 제 4 탱크홀(772)에 끼워지는 타단(836)은 그물조직의 메쉬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내경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환형 돌출단(836)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탱크홀(770)을 통해 재생원수가 유입되면 재생수생성관(830)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 중에 돌출단(836)에 부딪혀 메쉬로 이루어진 재생수생성관(830)의 타단(834) 주변부로 강한 와류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재생탱크(730) 내에 충진된 고 농도의 재생수가 재생원수와 혼입되어 제 4 탱크홀(772)로 배출되며, 이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재생수로 활용된다. 참고로, 이 과정 중에 미들플레이트(550)의 제 3 및 제 5 미들홀(560,564)과 버툼플레이트(540) 사이로 개재된 제 3 및 제 4 체크밸브(C3,C4)는 재생원수와 재생수의 역류 및 혼입을 방지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첨부된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10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도면과 함께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100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를 제어함으로써 네 가지 기본모드를 비롯한 여섯가지 특수모드를 수행토록 한다. 이를 위해 논리연산회로(1010)를 비롯한 입력유닛(1012)과 표시유닛(1014)과 적외선 센서(1020)을 포함하고, 그 외에 부가적으로 타이머(1016)나 스피커(101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중 입력유닛(1012)은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button) 내지는 다이얼(d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지시란 네 가지 기본모드와 여섯 가지 특수모드 중 어느 하나의 지정과 더불어 이들의 조합에 대한 지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 중에 LC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로 이루어지는 표시유닛(1014)은 사용자의 입력내용과 연수기의 동작상태를 비롯한 냉/온 원수와 냉/온 연수의 유량 및 온도 등의 각종 필요 데이터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메뉴얼(manual)을 표시하며, 상기의 입력유닛(1012) 및 표시유닛(1014)의 모든 동작과 모드조절을 위한 소정 알고리즘이 내장된 논리연산회로(1010)는 메모리(memory)를 비롯한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가 사용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논리연산회로(1010)는 측정유닛(280)과, 온도센서(Th)를 비롯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364,464)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제 1 및 제 2 모터(354,36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6,366)에 대한 회전정도와 회전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연수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즉, 앞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본체부(250)의 측정유닛(280)을 통해서는 냉/온 원수의 공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고, 온도센서(Th)를 통해서는 연수기로부터 제공되는 냉/온 연수 및 냉/온 직수의 배출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350,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364,464)를 통해서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의 현재위치 및 회전정도를 알 수 있다. 더불어 적외선 감지센서(1020)를 이용하면 연수기에 근접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2,452)에 대한 회전정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네 가지 기본모드를 비롯한 여섯 가지 특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네 가지 기본모드로서,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에 마련된 버튼 내지는 다이얼을 이용하여 연수모드나 직수모드를 선택하고,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6,456)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를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전환밸브(900)에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전환밸브(900)의 전환핸들(950)을 직접 조작해서 수전구(224) 또는 샤워헤드관(226)를 통해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통해 재생모드나 단속모드를 선택하면,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6,456)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를 재생모드 또는 단속모드로 회전시키며, 이로써 단속모드나 재생모드가 수행된다. 이 과정 중에 제 1 및 제 2 밸브 어셈블리(350,450)의 제 1 및 제 2 광센서(364,464)는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의 현재위치와 회전상태를 감지해서 해당모드가 정확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다음은 여섯 가지 특수모드 중에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에 각각 충진된 이온교환수지의 연수능력을 균등하게 조절할 수 있는 냉/온 변환모드이다. 해당 기능이 요구되는 예로는 여름철과 같이 냉 연수의 사용량이 많거나 겨울철과 같이 온 연수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이며, 제 1 또는 제 2 연수탱크(710,720) 중 어느 하나가 주로 활용되어 해당 연수탱크(710 또는 720)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주기가 빠르게 도래한 경우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의 이온교환수지 모두에 대한 재생을 반복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수명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통해 냉/온 변환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논리연산회로(1010)는 측정유닛(280)과 제 1 및 제 2 광센서(364,464)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연수모드에서의 냉/온 원수 공급량을 산출한다. 그 결과 냉/온 연수 어느 하나의 사용량이 편중된 경우에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2,452)에 대한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를 결정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상호 전환하며, 이 같은 냉/온 변환동작은 사용자의 정지명령이 있을 때까지 되풀이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연수탱크(710,720) 내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재생주기와 수명이 균등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자동재생모드이다. 이때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는 연수모드에서 측정유닛(280)을 통해 감지된 냉/온 원수의 공급량으로 산출될 수 있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라 판단한 경우에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는데, 필요하다면 표시유닛(1014)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지시키고 스피커(1018) 등을 이용해서 경보음 또는 음성안내를 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자동재생모드는 연수기 사용량이 많지 않은 심야시간 등에 재생모드를 진행할 수 있는데, 제어부(1000)의 논리연산회로(1010)는 타이머(1016)를 이용해서 적절한 시각이 되면 제 1 및 제 2 모터(354,454)의 제 1 및 제 2 회전축(352,452)에 대한 회전정도 및 회전방향을 결정해서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380,48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고, 재생이 완료되면 단속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적절한 시각과 자동 재생모드의 선택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의 온도를 정확히 일치시키는 온도조절모드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연수기 사용 시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이용해서 목적하는 물의 종류와 온도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회전디스크(380)를 적절히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물의 종류를 일치시키며, 제 2 회전디스크(480)의 회전정도와 온도센서(Th)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온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이용하여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드이다. 해당 기능이 필요한 예로는 목욕 등을 위해 욕 조에 물을 받는 경우 등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타이머(1016)를 연동시켜 목적하는 시간에 목적하는 종류 및 유량의 물이 욕조에 받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부(1000)의 입력유닛(1012)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물의 종류와 유량을 선택하면, 논리연산회로(1010)는 제 1 회전디스크(380)를 적절히 회전시켜 연수모드 또는 직수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물의 종류를 일치시키고, 측정유닛(280)의 감지결과, 다시 말해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토대로 냉/온 연수 또는 직수의 배출량을 조절해서 해당 유량에 도달하면 단속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재생탱크(730) 내의 재생물질의 투입, 보충, 교체 등이 필요할 경우에 단속모드에서 드레인모드를 선택해서 재생탱크(730) 내부압력을 낮출 수 있고, 이후 재생탱크마개(746)를 개방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샤워모드에서 제어부(1000)의 적외선 센서(1020)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논리연산회로(1010)는 샤워에 가장 적합한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상기의 네 가지 기본모드와 여섯 가지 특수모드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를 혼합해서 목적하는 유량 및 온도로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목적에 따른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39와 도 40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제어부(100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도 38과 함께 참조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는 제어부(1000)의 각 부분이 실장될 수 있는 하우징(1300)으로서, PCB 하우징(1310)과 LCD 하우징(1320)이 구비되어 탱크부(700)의 전면 상단부에 장착되는바, 메인 PCB(1011)에 탑재된 논리연산회로(1010)는 탑커버(850)의 전면 상단에 안착된 PCB 하우징(1310)에 실장되고, 표시유닛(1014)인 LCD(1014)와 입력유닛(1012)인 버튼 등은 PCB 하우징(1310) 전면에 일체로 결합된 LCD 하우징(1320)에 실장된다.
이중 PCB 하우징(1310)은 탑커버(850)의 제 1 및 제 2 유로하우징(870,880)에 장착되는 PCB 리어하우징(1312) 및 이의 전면에 덮어 결합되는 PCB 프론트하우징(1314)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논리연산회로(1010)가 탑재된 메인 PCB(1011)는 PCB 하우징(1310) 내부, 엄밀하게는 PCB 리어하우징(1312)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메인 PCB(1011)의 방수 및 보호를 위하여 PCB 하우징(1310) 내부에는 몰딩공정을 통해 절연성수지가 충진될 수 있고, 특히 절연성수지를 절약하고 몰딩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은 물론, 메인 PCB(1011)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PCB 리어하우징(1312) 내면에는 그 안착영역을 별도 구획하는 고정리브(131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LCD 하우징(1320)은 PCB 프론트하우징(1314)의 전면에 일체로 결합된 LCD 리어하우징(1322) 및 이의 전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LCD 프론트하우징(1324)으로 이루어질 있고, 이로써 표시유닛(1014)인 LCD는 입력유닛(1012)인 버튼과 함께 구동회로 PCB(1324)에 탑재된 채 LCD 하우징(1320) 내부에 함께 실장된다. 이때 투명재질의 LCD 프론트하우징(1324)에는 버튼을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버튼홀(1326)이 관통되어 LCD의 표시내용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물론 버튼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LCD 리어하우징(1322)의 외측으로는 스크류홀이 관통된 소정길이의 고정단(1323)이 마련되는 한편, 탱크부(700) 전면에는 너트홀을 제공하는 제 1 결합돌기(1328)가 갖추어질 있는바, 스크류홀을 관통해서 너트홀로 삽입되는 스크류 등에 의해 하우징(1300) 전체가 탱크부(700)의 상단 전면에 긴밀하게 장착된다.
더불어 PCB 리어하우징(1312)의 후면 상단에는 배터리케이스(1332)가 일체로 고정되어 배터리커버(1334)를 통해 상면이 밀폐되며, 여기에 삽입된 배터리의 충전전력으로 제어부(1000)의 각 부분에 필요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은 타이머(1016), 스피커(1018) 등은 메인 PCB(1011) 또는 구동회로 PCB(1324)에 탑재될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1020)는 사용자의 근접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탱크부(700) 전면 중앙부에 장착되어 메인 PCB(10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도 41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1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1은 외장케이스(15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2 내지 도 44 각각 외장케이스(1500)를 분해해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도 43은 외장케이스(1500)의 분해상태를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4는 외장케이스(1500)의 분해상태를 그 반대편의 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보이는 것처럼 외장케이스(1500)는 연수기의 보호와 더불어 미려한 외관을 위한 최종의 케이스로서, 사용자는 외장케이스(1500)와 함께 연수기를 욕실 등의 벽면에 거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한 외장케이스(1500)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도 41과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바, 공급 및 배출부(100,200)를 제외한 연수기의 전면 전체와 측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1510)와, 공급 및 배출부(100,200)와 탑커버(850)를 제외한 연수기의 후면 및 측면 일부를 덮어 프론트케이스(1510)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1540)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와 재생탱크마개(866)와 배터리커버(1334)를 제외한 탑커버(850)의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1510,1540)에 결합되는 미들케이스(1550)와, 공급 및 배출부(100,200)를 제외한 연수기 상면 전체를 은폐하도록 미들케이스(1550)를 덮어 프론트케이스(1510)와 리어케이스(1540)을 연결하는 탑케이스(1570)를 포함한다.
먼저, 프론트케이스(1510)는 연수기의 전면 전체를 비롯해서 공급 및 배출부(100,200)를 제외한 상하좌우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서, 그 전면에는 LCD 하우징(1320)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홀(1512)와, 적외선 센서(102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 2 개구홀(1514)과, 전환밸브(900)의 전환핸들(950)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 3 개구홀(1516) 그리고 수전구(224)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4 개구홀(1518)이 관통된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스(1510)의 내면에는 연수기의 탱크부(700)를 비롯한 본체부(250)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1522)가 마련되어 외부압력에 대한 형태변형을 방지하고, 특히 수전구(224)를 관통 노출시키는 제 4 개구홀(1518) 저면으로는 수전구(224)의 토출구(225)를 제외한 나머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플레이 트(1520)가 별도로 마련되어 프론트케이스(1510) 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케이스(1510)의 상측면은 좌우측면에 비해 그 폭이 좁아 연수기의 탑커버(850)를 완전히 노출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리어케이스(1540)는 공급 및 배출부(100,200)와 탑커버(850)를 제외한 연수기의 후면 및 좌우측면을 덮으면서 프론트케이스(15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리어케이스(1540)의 좌우측면 안쪽으로부터는 각각 복수개의 후크(1542)가 돌출되어 프론트케이스(1510)의 좌우측면 안쪽에 마련된 걸림단(1524)에 걸려진다. 그리고 비록 도면상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리어케이스(1540)의 내면을 따라서 연수기의 탱크부(700)를 비롯한 본체부(250) 외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가 마련되어 외부압력에 대한 형태변형을 방지한다. 이로써, 연수기는 공급 및 배출부(100,200)와 탑커버(850)를 제외한 전후좌우가 모두 은폐되었고, 탑커버(850)는 후방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미들케이스(1550)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와 재생탱크마개(866)와 배터리커버(1334)를 제외한 연수기의 상면 전체를 덮고, 탑케이스는 미들케이스(1550)에 의해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을 가림으로써 최종적인 외관을 완성하는바, 미들케이스(1550)는 연수기의 사용 중에 빈번하게 개방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와 재생탱크마개(866)와 배터리커버(1334) 만을 노출시킨 채 연수기 전체를 실질적으로 은폐하는 것과 동시에 프론트케이스(1510)와 리어케이스(1540)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시키며, 탑케이스(1570)는 미들케이스(1550) 상부로 단순하게 안착되어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미들케이 스(1550)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와 재생탱크마개(1554)를 각각 관통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마개홀(1552,1554,1556)을 비롯해서 배터리커버(1334)를 관통 노출시키는 배터리커버홀(1558)이 투공된 수평부분 및 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프론트케이스(1510)와 리어케이스(1540)의 상끝단에 밀착되는 측면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미들케이스(1550)의 수평부분 전단을 따라서는 스크류홀(1562)이 관통된 결합턱(1560)이 상향 돌출되고, 이와 대응되는 프론트케이스(1510)의 상단 내면에는 너트공이 마련된 제 2 결합돌기(1530)가 마련된다. 따라서 결합턱(1560)을 관통해서 제 2 결합돌기(153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미들케이스(1550)는 프론트케이스(1510)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프론트케이스(1510)와 리어케이스(1540)를 비롯한 미들케이스(1550) 등은 각각 합성수지의 사출성형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장케이스(1500)로 인해 연수기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도록 그 두께는 수 mm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한바, 외부 압력에 대해 외장케이스(1500)의 연결지점이 어긋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도 43 및 도 44의 원내도면과 같이 리어케이스(1540)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돌기(1544)를 돌출시키는 반면, 프론트케이스(1510)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끼움홈(1526)을 마련해서 이들의 결합을 통해 프론트케이스(1510)와 리어케이스(1540)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프론트케이스(1510) 및 리어케이스(1540)의 상 끝단면을 따라서는 미들플레이트(1550)의 하끝단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및 제 2 끼움단(1528,1546)을 마련하여 리어케이스(1540)와 미들케이스(1550)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들케이스(1550) 상부로 탑커버(1570)를 덮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마개(878,888)와 재생탱크마개(866)와 배터리커버(1334)를 은폐시킴으로써 외장케이스(1500)를 완성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블록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공급 및 배출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공급 및 배출부에 대한 후면도.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측정유닛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미들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16과 도 1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커버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탱크부에 대한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탑커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0과 도 21은 각각 도 3의 B-B, C-C 선에 대한 단면도.
도 22와 도 2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고정디스크에 대한 평 면도와 배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회전디스크에 대한 평면도.
도 25와 도 2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고정디스크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회전디스크에 대한 평면도.
도 28 내지 도 3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동작모드별 모식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5 내지 도 37은 각각 도 34의 D-D, E-E, F-F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어부에 대한 블럭도.
도 39 및 도 4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에 대한 사시도.
도 42 내지 도 4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연수기의 외장케이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급부 200 : 배출부
224 : 수전구 227 : 샤워헤드
250 : 본체부 280 : 측정유닛
350 : 제 1 밸브어셈블리 450 : 제 2 밸브어셈블리
700 : 탱크부 710,720 : 제 1 및 제 2 연수탱크
730 : 재생탱크 900 : 전환밸브
1000 : 제어부 W1 내지 W14 : 관로
1010 : 논리연산회로 1012 : 입력유닛
1014 : 표시유닛 1016 : 타이머
1018 : 스피커 1010 : 적외선센서
th : 온도센서

Claims (43)

  1. 냉/온 원수의 공급을 통해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냉/원 연수를 배출하거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거나, 재생물질에 의한 재생수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거나, 냉/온 원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가 나란히 수직 배치된 탱크부와;
    밸브어셈블리가 내장되고 상기 탱크부 하단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부 및 상기 냉/온 연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조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탱크부의 전면에 고정된 하우징에 실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연수기의 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제외한 상기 연수기의 후면과 좌우측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를 덮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을 연결하는 탑케이스를 포함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연산회로가 탑재된 PCB와;
    사용자의 동작제어 입력을 위한 버튼과;
    상기 연수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LCD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 전면을 향해 장착되어 상기 PCB가 실장되는 PCB 하우징과;
    상기 PCB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및 LCD가 실장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LCD 하우징을 포함하는 연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CD 하우징의 전면은 투명재질이고, 상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버튼홀이 관통된 연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CB 하우징의 후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배터리가 실장되는 배터리케이스 및 이의 상면을 밀폐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배터리커버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CB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에 고정되는 PCB 리어하우징과;
    상기 PCB 리어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된 PCB 프론트하우징을 포함하는 연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CB 리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PCB의 안착영역을 구획하는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로부터 관통노출되며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재생탱크 상단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3 입구홀 및 이들을 각각 밀폐하며 상기 미들케이스로부터 관통 노출되는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케이스의 전단을 따라서 상향 돌출된 결합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미들케이스는 상기 결합턱을 관통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 배면으로 삽입되는 볼트로 고정되는 연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끝단 안쪽에 걸리는 복수개의 후크단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돌기와;
    상기 리어케이스의 끝단에 맞닿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케이스는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미들케이스에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미들케이스에 맞닿는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 끝단이 삽입되는 끼움단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70101709A 2006-10-17 2007-10-09 연수기 KR10087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4946 WO2008048014A1 (en) 2006-10-17 2007-10-10 Water softener
MX2009004026A MX2009004026A (es) 2006-10-17 2007-10-10 Ablandador de agu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00902 2006-10-17
KR1020060100902 2006-10-17
KR20070018462 2007-02-23
KR1020070018462 2007-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13A Division KR100926077B1 (ko) 2008-10-29 2008-10-29 연수기
KR1020080106404A Division KR100907743B1 (ko) 2008-10-29 2008-10-29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77A KR20080034777A (ko) 2008-04-22
KR100875209B1 true KR100875209B1 (ko) 2008-12-22

Family

ID=3957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709A KR100875209B1 (ko) 2006-10-17 2007-10-09 연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75209B1 (ko)
MX (1) MX2009004026A (ko)
RU (1) RU2407707C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94Y1 (ko) 2004-04-03 2004-07-12 김재천 수도관 연결이 용이한 연수기 구조
KR200427070Y1 (ko) 2006-06-23 2006-09-2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기 설치용 브라켓
KR100748213B1 (ko) 2006-10-17 2007-08-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994Y1 (ko) 2004-04-03 2004-07-12 김재천 수도관 연결이 용이한 연수기 구조
KR200427070Y1 (ko) 2006-06-23 2006-09-2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연수기 설치용 브라켓
KR100748213B1 (ko) 2006-10-17 2007-08-10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07707C1 (ru) 2010-12-27
KR20080034777A (ko) 2008-04-22
MX2009004026A (es)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97B1 (ko) 연수기
KR100875207B1 (ko) 연수기
KR100926077B1 (ko) 연수기
KR20110120646A (ko) 출수구 및 이를 이용한 냉/온 연수기
KR100907743B1 (ko) 연수기
KR100748213B1 (ko) 연수기
KR100875209B1 (ko) 연수기
KR100522566B1 (ko) 온도세분화 및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100521843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냉온연수기
KR101621104B1 (ko) 적산유량계 및 이를 구비한 수압 재생식 연수기
KR20080103128A (ko) 냉온 혼합형 하향식 자동화 연수기
JP4025887B2 (ja) 軟水化装置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US20230303415A1 (en) Faucet water softener
KR20110110426A (ko) 직결식 냉/온 연수기
KR20110085213A (ko) 자동제어형 냉/온 연수기
KR20100035390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JP6701914B2 (ja) イオン交換装置
WO2008048014A1 (en) Water softener
WO2008126967A1 (en) Water softener
JP6701915B2 (ja) イオン交換装置
KR20100066225A (ko) 연수기
KR100461502B1 (ko) 입출수의 전환이 가능한 연수기
KR20080093579A (ko) 전처리필터 및 이를 이용한 연수기
KR101649690B1 (ko) 타이머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압 재생식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