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73B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73B1
KR100846473B1 KR1020070018456A KR20070018456A KR100846473B1 KR 100846473 B1 KR100846473 B1 KR 100846473B1 KR 1020070018456 A KR1020070018456 A KR 1020070018456A KR 20070018456 A KR20070018456 A KR 20070018456A KR 100846473 B1 KR100846473 B1 KR 10084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regeneration
col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광
Priority to KR102007001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해서 공간적인 효율성이 크고 사용이 편리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 및 이의 재생물질을 이용하여,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갖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어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끼워지되, 바닥 모서리에 세워지는 제 1 사용상태와, 상기 코너에 거치되는 제 2 사용상태와, 상기 바닥 모서리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는 제 3 사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상태로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제 2 사용상태에서 상기 코너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행거 또는 상기 제 3 장착상태에서 상기 바닥 모서리에 놓여져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공간적인 효율성이 크고 사용에 편리한 잇점과 함께, 그 사용상태에 따라 벽면을 손상시키는 못이나 스크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누수의 가능성을 줄이며, 필요에 따라서 그 설치장소 및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ner}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에 대한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하우징에 대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하우징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프론트케이스에 대한 내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미들케이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미들케이스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리어케이스 및 행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케이스 및 행거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3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스탠드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하우징 400 : 외장케이스
502,504 : 받침단 P : 욕조
C : 코너
본 발명은 연수기(water soft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해서 공간적인 효율성이 크고 사용이 편리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생활수는 연수(soft water:軟水)와 경수(hard water:硬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에서 단물이라 불리는 증류수 등의 연수는 수소(H2)와 산소(O2)를 주성분으로 하여 순수하고 경도가 낮은 반면, 센물이라 불리는 지하수 등의 경수에는 칼슘이온(Ca2 +), 마그네슘이온(Mg2+)과 같은 경도성분이 함유되어 경도가 크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이나 업소 등에 공급되는 수돗물은 경도성분이 다량 함유된 경수이며, 정화과정에 사용된 염소(Cl)를 비롯해서 환경오염과 노후관에 의한 압송과정 등을 원인으로 철(Fe), 구리(Cu), 주석(Sn), 아연(Zn), 수은(Hg)과 같은 중금속 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 이지는 않지만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하여 금속 이물질을 생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아토피(atophy)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수돗물과 같은 경수를 부드러운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water softner)가 소개되었고, 현재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질 높은 생활수를 얻을 수 있 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연수기의 연수화 원리는 경수 내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것으로, 해당 작용을 위해 나트륨(Na)을 주성분으로 하는 특수 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사용되며, 이는 경수와 접촉될 경우에 수중(水中)의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흡착하는 대신 나트륨이온(Na+)을 방출한다. 따라서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연수탱크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여기에 경수를 통과시켜 연수를 얻는다.
한편, 일반적인 연수기는 연수화를 거듭할수록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이온(Na+)이 소진되어 연화능력이 저하되므로 이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는데, 해당 작용을 위해 수용액 내에서 나트륨이온(Na+)을 생성하는 소금 등의 재생물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연수기에는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연수탱크와 연결되는바, 여기에 경수가 공급되면 나트륨이온(Na+)이 함유된 소금물 등의 재생수가 생성되고, 이는 연수탱크로 공급되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킨 후 재생폐수의 형태로 배출된다.
첨부된 도 1은 일반적인 연수기를 나타낸 블럭도로서, 경수의 온도에 따라 냉/온 연수를 제공하는 냉/온 연수기에 해당된다. 한편, 이하에서 연수기라 함은 이 같은 냉/온 연수기를 의미하며, 연수기로 공급되는 경수는 원수(原水)라 칭하는 바,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인 연수기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와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를 비롯한 다수의 관로(31 내지 38)와 밸브(V1 내지 V7)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각각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고,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는 재생물질이 투입된다.
그리고 다수의 관로(31 내지 38)는 각각,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31,32)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 내부의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 또는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33,34)과,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원수관(35,36)과,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37,38)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밸브(V1 내지 V7)는 각각,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31,32)으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밸브(V1,V2)와,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33,34)을 연결함으로서 각각을 통해 배출되는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를 단속하는 제 3 밸브(V3)와, 제 1 및 제 2 재생원수관(35,36)으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4 및 제 5 밸브(V4,V5)와, 제 1 및 제 2 재생수관(37,38)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로 공급되는 재생수를 단속하는 제 6 및 제 7 밸브(V6,V7)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밸브(V1,V2)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냉/온 원수를 공급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에 의한 냉/온 연수가 생성되고, 제 3 밸브(V3)를 열면 냉/온 연수가 배출된다. 또한 거듭된 연수화로 인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4 및 제 5 밸브(V4,V5)를 열어 제 1 및 제 2 재생탱크(22,24)에 원수를 공급함으로서 나트륨이온(Na+)이 함유된 재생수를 생성한 후, 제 6 및 제 7 밸브(V6,V7)를 열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2,14)에 재생수를 공급해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며, 이에 따른 재생폐수는 제 3 밸브(V3)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일반적인 연수기는 가정이나 업소 등의 욕실 벽면에 못이나 스크류 등으로 고정된다. 때문에 욕실 등의 협소한 벽면을 감안하면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해당 벽면의 활용범위를 제한시켜 공간적인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과정 중에 벽면 손상이 불가피하며, 한번 고정된 후에는 그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출원 제20-1997-0000006호, 제10-1999-0000032호, 제20-2006-0017022호 등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통상의 연수기는 못이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브라켓(bracket)을 벽면에 고정시킨 후 여기에 거치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욕실을 예로 들면, 거울, 세면대, 욕조, 수건걸이, 수납장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물품이 설치되는 협소한 벽면에 연수기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연수기의 설치 후에는 해당 벽면을 활용할 수 없어 공간효율이 크게 저하되며, 못이나 스크류 등으로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벽면 손상이 불가피하여 누수의 가능성이 커진다. 더군다나 한번 고정된 연수기는 그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움은 물론, 위치 변경 시 못이나 스크류 등에 의한 구멍이 남아 보기 흉하고 누수의 가능성을 더욱 크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사용 및 관리에 있어서도 사용자 편의를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와 이의 재생물질을 이용하여,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를 갖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어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끼워지되, 바닥 모서리에 세워지는 제 1 사용상태와, 상기 코너에 거치되는 제 2 사용상태와, 상기 바닥 모서리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는 제 3 사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상태로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제 2 사용상태에서 상기 코너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행거 또는 상기 제 3 장착상태에서 상기 바닥 모서리에 놓여져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 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사용상태에서 상기 외장케이스 저면에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받침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상단의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 하단에 결합된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며, 그 저면에 외부의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가 각각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재생폐수관로와, 재생수가 배출되는 재생수관로가 각각 관통 노출된 바디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으로 관통 노출되는 수전구와;상기 제 2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인출된 샤워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탱크부는, 상기 재생탱크를 사이에 둔 좌우측 전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가 각각 위치하여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 내에 실장되어,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하고,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직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하며,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 또는 온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에 공급한 후, 상기 재생탱크의 재쟁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한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재생폐수를 상기 재생폐수관로로 배출하고,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 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 내에 각각 실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원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특히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각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동작모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유닛과, 상기 동작모드의 전환에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갖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재생탱크를 사이에 둔 좌우측 전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가 각각 위치하여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입력유닛과, 상기 표시유닛을 그 내부에 실장시킨 채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중간지점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제외한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 상단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바디프레임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를 그 내부로 수용하는 버툼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들케이스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으로 노출된 입구를 제공하며, 상기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표시유닛의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실장되는 배터리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에 힌지로 젖힘 가능하게 구비된 배터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 1 후크단과;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후크단이 걸려지는 제 1 후크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케이스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논리연산회로 및 표시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핀이 관통되는 커넥터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기 배터리케이스와 상기 커넥터핀단자는 후크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상면에 마련된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며, 이 경우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제외 한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 상단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바디프레임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를 그 내부로 수용하는 버툼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후크결합단과; 상기 리어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후크결합단이 각각 체결되는 후크걸림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 구비된 제 1 돌기 및 제 1 끼움홀과; 상기 리어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 1 돌기 및 제 2 끼움홀과 각각 끼워 결합되는 제 2 끼움홀 및 제 2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면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의 하끝단을 끼워 수용하는 끼움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행거는, 상기 코너 경계에 근접한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두 벽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서로 수직한 좌우양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행거의 좌우양단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된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과; 상기 외장케이스의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을 각각의 내부로 수용한 채 상기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에 걸려지는 제 1 및 제 2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외장케이스 배면의 세 모서리에 각각 끼워진 채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제 1 내지 제 3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바의 가로질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바의 말단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바닥에 안착되며, 스크류 방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대 말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바닥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받침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해당 위치에서 세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편의상 임의의 한 가지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며, 그 밖의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각각의 경우를 통해 살펴본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설치상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 부분의 욕조(P)나 바닥 모서리에 세워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에 안정적으로 끼워 설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외관이 삼각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연수기의 바닥면에는 미끄러운 욕조 또는 바닥에도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받침단(502,504)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원수의 연수화와 재생물질에 의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등과 같이 실질적인 연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와, 이를 내부로 수용하여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상품화를 위한 미려한 외관을 조성하는 외장케이스(400) 그리고 본체부의 필요부분을 별도로 수용하면서 외장케이스(400)로부터 노출되어 사용자 조작에 편의를 주는 하우징(3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부 및 하우징(300)을 비롯한 외장케이스(400) 전체를 욕실 등의 코너(C)에 설치 및 사용하는바, 도 2를 통해 외장케이스(400) 및 이로부터 노출된 하우징(300)을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본체부가 실장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100)에 대한 블럭도로서, 공급부(110)와 전환밸브부(120)와 탱크부(130)와 배출부(140) 그리고 제어부(150)로 나누어볼 수 있고, 그 외에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를 갖추고 있다.
이중에서 공급부(110)는 욕실 등에 기(旣) 설치된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가 최초로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냉/온 원수 각각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이 구비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은 각각 냉/온 원수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감압변이라 불리는 그것과 같이 가요성막(可撓性膜)의 다이어프램(diaphragm)이 사용된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내에 액체의 흐름을 따라 회전하는 임펠라(impeller) 및 이의 회전수를 측 정하는 카운터(counter) 등을 실장시켜 완성할 수 있다. 이로써 카운터에 계수결과에 따라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측정할 수 있고, 다이어프램 등을 통해서 냉/온 원수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 측정과 공급압력 제어가 가능한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50984호, 제10-2004-15194호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환밸브부(120)는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 원수를 비롯한 연수기 내의 모든 액체, 예컨대 냉/온 연수,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 재생수, 재생폐수의 진행경로와 단속 및 배출 여부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이를 위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는 제 1 및 제 2 모터(124,128)의 회전력을 통해서 해당역할을 수행하는바, 각각 후술하는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가 적절히 연결된 복수 개의 고정홀을 갖춘 제 1 및 제 2 고정디스크 그리고 이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모터(124,128)에 의해 각각 회전함으로서 연수기의 동작모드 별로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적절히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을 갖춘 제 1 및 제 2 회전디스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탱크부(130)는 액체의 실질적인 종류변화가 나타나는 부분으로서,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 그리고 재생물질이 충진된 연수탱크(13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에 냉/온 원수가 공급되면 냉/온 연수가 배출되고, 재생탱크(136)에 냉 또는 온 원수가 공급 되면 재생수가 배출되며, 재생수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에 공급되면 재생폐수가 배출된다. 덧붙여,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전처리필터(133,135)가 실장되어 냉/온 원수 및 재생수 내의 불순물을 걸러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출부(140)는 연수기 내의 각종 액체를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의 배출을 최종적으로 온/오프(on/off) 단속하는 조절밸브(142)와, 이를 통한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전구(144) 및 샤워헤드(146)를 포함하며, 이들과는 별도로 재생폐수와 재생수를 각각 배출시킬 수 있는 독립된 배출경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제 1 및 제 2 모터(124,126)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토대로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를 적절히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연수기의 모든 동작모드를 결정 및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지시입력을 위한 버튼 등의 입력유닛(152)과, 조절밸브(142)로 전달되는 냉/온 원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4)를 갖추며, 그 외에 입력유닛(152)을 통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온도센서(154)와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의 측정결과를 근거로 제 1 및 제 2 모터(124,126)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논리연산회로(156)를 비롯, 사용자에게 연수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등의 표시유닛(158)을 갖추고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 본체부(100)에 마련된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를 살펴보면, 외부의 냉/온 수도관을 제 1 밸브어셈블리(122)에 접속시킴으 로서 냉/온 수도관의 냉/온 원수를 제 1 밸브어셈블리(122)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와, 제 1 밸브어셈블리(122)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에 접속시킴으로서 제 1 밸브어셈블리(122)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와, 제 1 밸브어셈블리(122)를 재생탱크(136)에 접속시킴으로서 제 1 밸브어셈블리(122)의 냉 또는 온 원수를 재생탱크(136)로 전달하는 재생원수관로(W5)와,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를 연결시킴으로서 제 1 밸브어셈블리(122)의 냉/온 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와, 재생탱크(136)를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에 연결시킴으로서 재생탱크(136)의 재생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W8,W9)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를 제 2 밸브어셈블리(126)에 접속시킴으로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의 냉/온 연수와 재생폐수를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와, 제 2 밸브어셈블리(126)를 조절밸브(142)에 접속시킴으로서 제 2 밸브어셈블리(126)의 냉/온 연수나 냉/온 직수를 조절밸브(142)로 전달하는 제 1 배출관로(W12)와, 제 2 밸브어셈블리(126)의 재생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 배출관로(W13)와, 재생탱크(136)의 재생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로(W14)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은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에 부설되어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감지하고, 온도센서(154)는 제 1 배출관로(W12)에 부설되어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드레인관로(W14) 에는 별도의 수동밸브(V)가 부설되어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통해 재생탱크(136)를 드레인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제어부(150)를 제외한 본체부(100)의 각 부분은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를 통해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는 각각 제 1 및 제 2 모터(124,126)의 회전력을 토대로 다수의 관로(W1 내지 W14)들을 적절히 연결시켜 본체부(100) 내의 모든 액체에 대한 진행경로와 단속 및 배출여부를 조절하고, 이로써 모든 동작모드를 진행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네 가지 기본모드와 네 가지 특수모드를 나타낸다.
이중에서 네 가지 기본모드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로서, 냉/온 원수의 공급에 따라 각각, ① 냉/온 연수를 배출하는 연수모드, ② 냉/온 원수 그대로의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직수모드, ③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에 따른 재생폐수를 배출하는 재생모드, ④ 냉/온 원수, 냉/온 연수, 냉/온 직수를 비롯한 재생폐수의 공급 및 배출을 단속하는 단속모드가 그것이다.
이들 각각을 위하여, ① 연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122)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탱크공급관로(W3,W4)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부터 배출되는 냉/온 연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를 통해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공급된 후, 제 2 밸브어셈블리(126)에 의해서 제 1 배출관로(W12) 및 조절밸브(142)를 통해 수전구(144)와 샤워헤드(146)로 최종 배출 된다. 또한 ② 직수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122)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를 통해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전달되고, 제 2 밸브어셈블리(126)에 의해서 제 1 배출관로(W12) 및 조절밸브(142)를 통해 수전구(144)와 샤워헤드(146)로 최종 배출된다. 또한 ③ 재생모드에서 제 1 또는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 또는 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122)에 의해서 재생원수관로(W5)를 통해 재생탱크(136)로 공급되고, 재생탱크(136)의 재생수는 제 1 및 제 2 재생수관로(W8,W9)를 통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 공급되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의 재생폐수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를 통해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전달된 후, 제 2 밸브어셈블리(126)에 의해서 제 2 배출관로(W13)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또한 ④ 단속모드에서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는 제 1 밸브어셈블리(122)에 의해서 단속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 1 밸브어셈블리(122)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냉/온 원수를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 재생탱크(136), 제 2 밸브어셈블리(126) 중 하나로 공급 또는 단속하는 '공급조절'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 2 밸브어셈블리(126)는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나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를 통해 전달되어온 냉/온 원수 또는 냉/온 연수를 제 1 배출관로(W12)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를 통해 전달되어온 재생폐수를 제 2 배출관로(W13)로 배출하는 '배출조절'의 역할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네 가지 특수모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수 기가 제공하는 고유의 동작들로서, 앞서 4가지 기본모드를 바탕으로 제어부(150)에 의해 진행되는데, ⑤ 냉/온 연수의 실 사용량에 근거해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상호 전환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연수효율을 균등하게 조절하는 냉/온 변환모드와, ⑥ 냉/온 연수의 실 사용량에 근거해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재생모드를 진행하는 자동재생모드와, ⑦ 최종 배출되는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의 온도를 토대로 냉/온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일치시키는 온도조절모드와, ⑧ 연수모드나 직수모드에서 단속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냉/온 연수 내지는 냉/온 직수를 배출하는 유량조절모드가 그것이다.
이들 각각을 위하여, ⑤ 냉/온 변환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량을 토대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 각각의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연수화 동작의 편중 여부를 판단하고, 편중이 감지되면 연수모드를 진행하는 도중에 제 1 밸브어셈블리(122)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로 공급되는 냉/온 원수의 종류를 상호 변환하도록 한다. 또한 ⑥ 자동재생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토대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파악하고, 재생시기가 도래하면 단속모드를 진행하는 도중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로 하여금 재생모드를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⑦ 온도조절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설정온도와 온도센서(154)의 측정결과인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의 온도를 비교하고, 차이가 나타나면 연수모드의 경우에 제 2 밸브어셈 블리(126)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탱크배출관로(W10,W11)과 제 1 배출관로(W12)의 연통정도를 조절하고, 직수모드의 경우에 제 2 밸브어셈블리(126)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원수전달관로(W6,W7)와 제 1 배출관로(W12)의 연통정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목적하는 온도에 따른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⑧ 유량조절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지시유량과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의 측정결과인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비교하고, 이들이 일치되면 연수모드나 직수모드를 진행하는 도중 제 1 밸브어셈블리(122)로 하여금 단속모드를 진행하도록 하여 제 1 배출관로(W12)로 배출되는 냉/온 연수 또는 냉/온 직수의 배출유량을 조절한다.
더불어, 이들 네 가지 기본모드와 네 가지 특수모드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재생탱크(136) 내의 잔류 재생수를 강제 배출시킴으로서 그 내부압력을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재생물질의 투입, 보충, 교환 등을 위하여 재생탱크(136)를 개방할 때 나타나는 재생수의 솟구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재생탱크(136)를 개방하기 전, 드레인관로(W14)에 부설된 수동밸브(V)를 열어 재생탱크(136)를 드레인 한다.
참고로,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10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출원 제10-2006-10216호, 제10-2006-10217호, 제10-2006-90096호에 상세히 나타나 있는바, 각 부의 구성요소는 그 위치가 다소 변동될 수 있고, 특히 이상에서는 액체의 이동경로를 액체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관로'로 구분하였지만, 이들은 본체부(100)에 매립되는 '관'이나 그 내 부에 적절히 정의된 '유로'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임의의 관로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관로와 공유할 수도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체부(100)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a는 본체부(100) 전면을 그보다 높은 시점에서 내려다본 경우이고, 도 4b는 본체부(100)의 전면을 그보다 낮은 시점에서 올려다본 경우에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는 상하로 결합된 탱크부(130)와 바디프레임(20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중 탱크부(130)의 중간으로부터 하단에 치우친 위치에는 전환밸브(142)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앞서의 도 3과 비교하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와 재생탱크(136)를 포함하는 탱크부(130)와, 배출부(140)의 조절밸브(142)를 확인할 수 있고, 탱크부(130) 하단에 결합된 바디프레임(200)에는 공급부(110)의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과, 제 1 및 제 2 모터(124,128)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와, 제어부(150)의 온도센서(154) 등이 실장된다.
이하, 도 3을 함께 참조해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난 본체부(100)의 각 부분을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탱크부(130)의 경우에 재생탱크(136)를 사이에 둔 좌우 측 전면으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가 나란히 배치된다. 이로써 탱크부(130)는 삼각형의 배열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와 재생탱크(136)의 상면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 )로 개방되어 이온교환수지와 재 생물질의 투입, 보충, 교체를 가능케 한다.
다음으로 바디프레임(200)에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112,114)을 포함하는 공급부(110)와, 제 1 및 제 2 모터(124,128) 그리고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122,126)를 포함하는 전환밸브부(120)와, 조절밸브(142)를 제외한 배출부(140)가 각각 내장된다. 이에 따라 바디프레임(200) 저면으로부터는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말단과, 제 1 배출관로(W12)의 말단으로서 수전구(144)와 샤워헤드(146)가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구(145,147)와,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관로(W13)의 말단과, 재생수가 배출되는 드레인관로(W14)의 말단이 관통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부(140)의 조절밸브(142)는 탱크부(130)의 중간으로부터 하단에 치우친 위치의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 사이로 장착되며,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위한 조절핸들(143)을 전면에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핸들(143)을 조작하면 연수모드의 냉/온 원수 또는 직수모드의 냉/온 직수는 최종적으로 단속되거나 제 1 또는 제 2 연결구(145,147)를 통해서 수전구(144) 또는 샤워헤드(146)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하우징(300) 및 외장케이스(400)에 대해 살펴본다. 이 과정 중에 앞서의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며, 기(旣) 설명된 부분과 동일역할을 수행하는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본체부(100)에 하우징(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각각 하우징(300)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하우징(300)은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 사이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상단에 치우쳐 고정되는 리어하우징(310)과, 이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하우징(3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바, 그 내부에는 온도센서(154)를 제외한 제어부(150)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논리연산회로(156)가 탑재된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 332)와, 입력유닛(152)인 복수의 버튼 및 표시유닛(158)인 LCD가 탑재된 구동회로 PCB(334)이 실장된다.
이때 메인 PCB(332)와 구동회로 PCB(334)가 각각 밀착 고정되는 리어하우징(310)의 내부로는 메인 PCB(332)와 구동회로 PCB(334)의 방수 및 보호를 위한 절연성 수지가 충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몰딩공정을 간소화하고 절연성 수지를 절약하는 것은 물론, 메인 PCB(332)와 구동회로 PCB(334)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리어하우징(310) 내면에는 메인 PCB(332)와 구동회로 PCB(334) 안착영역을 각각 별도로 구획하는 복수의 고정리브(3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어하우징(310)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하우징(320)의 일부는 표시유닛(158)의 표시내용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투명창(322)으로 이루어지며, 입력유닛(152)의 버튼을 노출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버튼홀(324)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우징(300)을 탱크부(130)의 상단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어하우징(310)과 프론트하우징(320) 외면을 따라서는 각각 스크류홀이 관통된 복수개의 제 1 및 제 2 결합돌기(314,326)가 측방 돌출되는 한편, 이들과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와 재생탱크(136) 전면에는 너트홀이 마련된 복수개의 제 1 결합리브(340)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결합돌기(314,326)를 관통해서 제 1 결합리브(340)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하우징(300) 전체를 탱크부(130) 상단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와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 본체부(100)의 바디프레임(200) 저면으로부터 관통 노출된 제 1 배출관로(W12)의 제 1 연결구(145)에 결합되는 수전구(350)가 함께 나타나 있다.
이때 수전구(350)는 제 1 연결구(145)에 끼워 고정되는 접속구(354)가 상향 돌출된 상태로 바디프레임(200) 저면에 결합되어 본체부(100)의 전면으로 연장 및 노출되는 상프레임(352)과, 토출구(364)가 관통 구비된 상태로 상프레임(352)의 저면에 결합되어 그 사이로 접속구(354) 및 토출구(364)를 연결하는 소정의 수전공간을 정의하는 하프레임(36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중 상프레임(352)의 저면에는 접속구(354)를 통해서 수전공간으로 유입된 냉/온 원수 또는 냉/온 직수를 토출구(364) 전체로 분산시키는 분산리브(356)가 마련될 수 있고, 하프레임(362)의 토출구(364)는 가로방향이 더 긴 슬릿(slit)의 형태를 나타내어 물줄기를 커튼형상으로 공급하며, 토출구(364)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집중리브(366)가 하향 돌출되어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200) 저면으로부터 관통 노출된 제 2 연결구(147)에는 별도의 튜브를 통해서 샤워헤드(146)가 접속되지만,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이어서, 첨부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400)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장케이스(400)는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이들의 결합을 통해서 도 2와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바, 이들은 각각 하우징(300) 일부를 제외한 본체부(100)의 전면 전체와 좌우측면 및 저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410)와, 본체부(100)의 후면 전체와 좌우측면 및 저면 일부를 덮어 프론트케이스(410)의 좌우측면에 연결되는 리어케이스(430)와,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를 제외한 본체부(100)의 상단을 덮어 프론트케이스(140) 및 리어케이스(430)의 상단에 연결되는 미들케이스(450)와,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를 비롯한 본체부(100)의 상단 전체를 은폐하도록 미들케이스(470)의 상단을 덮는 탑케이스(470)와, 수전구(350)를 노출시킨 상태로 바디프레임(200) 저면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말단과, 제 1 배출관로(W12)의 제 2 연결구(147)와, 제 2 배출관로(W13)의 말단과, 드레인관로(W14)의 말단을 수용하는 버툼케이스(490)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하, 도 7a 및 7b와 함께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들을 참조해서 외장케이스(400)의 각 부분을 살펴본다.
먼저, 프론트케이스(410)는 본체부(100)의 전면 전체를 비롯한 좌우측면 및 저면 일부를 덮는 부분으로서, 이의 전면에는 하우징(300)의 투명창(도 6a, 도 6b의 322 참조, 이하 동일하다.) 및 표시유닛(도 6a, 도 6b의 152 참조, 이하 동일하 다.)인 버튼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부(412)와, 조절밸브(142)의 조절핸들(143)을 노출시키는 제 2 개구부(414)와, 수전구(350)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3 개구부(416)가 차례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론트케이스(410)의 좌우측면은 후술하는 리어플레이트(430)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고, 상단은 후술하는 미들플레이트(450)의 하단에 맞닿아 연결되며, 저면은 바디프레임(200) 저면의 전단 측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된다.
따라서 프론트케이스(410)는 그 저면을 관통해서 바디프레임(200) 저면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첨부된 도 8은 프론트케이스(410)의 내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프론트케이스(410)의 내면에는 전면 및 좌우측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418)가 마련되어 하중 및 외부압력에 대한 형태변형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리어케이스(430)는 본체부(100)의 후면 전체를 비롯한 좌우측면 및 저면 일부를 덮는 부분으로서, 이의 내면을 따라서는 탱크부(130)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턱(432)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좌우측면은 프론트케이스(410)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고, 상단은 후술하는 미들플레이트(450)의 하단에 맞닿아 연결되며, 저면은 바디프레임(200) 저면의 후단 측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된다.
따라서 리어케이스(430)는 지지턱(432)을 관통해서 탱크부(130) 상면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와, 그 저면을 관통해서 바디프레임(200)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들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는 본체부(100)의 전후면 전체를 덮어 감싸는 부분으로서, 이들 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한 별도의 추가요소를 갖출 수 있는바, 프론트케이스(410)의 좌우측면 안쪽으로부터는 각각 복수개의 후크결합단(420)가 돌출되어 리어케이스(430)의 좌우측면 안쪽에 마련된 복수개의 후크걸림단(434)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로써 본체부(100)는 상하단을 제외한 전후좌우가 모두 은폐되고, 프론트케이스(410,430)와 리어케이스는 서로 전후에서 결합된 채 본체부(1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미들케이스(450)는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만을 노출시키면서 본체부(100)의 상단 전체를 은폐하는 부분으로서,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를 각각 관통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마개홀(452,454,456)이 투공된 수평부분 그리고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절곡되어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의 상단에 맞닿아 연결되는 측면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미들케이스(450)의 전단에는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제 1 수용단(458)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미들케이스(450)는 연수기의 사용 중에 가장 빈번하게 개방되는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있는바, 사용자는 이온교환수지나 재생물질의 교체, 투입을 위해서 미들케이스(450)로부터 노출된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 만을 개방하면 된다. 따라서 미들케이스(450)는 본체부(100)에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연수탱크(132,134)와 재생탱크(136) 상면으로부터는 너트홀이 관통된 복수개의 파스너리브(456a)가 상향 돌출될 수 있고, 미들케이스(450)의 저면으로부터는 스크루홀이 관통된 상태로 파스너리브(456a)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파스너돌기(458a)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미들케이스(450)는 파스너리브(456a)와 파스너돌기(458a)의 억지끼움 그리고 파스너돌기(458a)를 관통해서 파스너리브(456a)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본체부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미들케이스(450)에는 제어부(150)의 구동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케이스(460)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별도로 첨부된 도 9와 도 10은 각각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미들케이스(450)의 분해상태를 이보다 낮은 시점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기준으로 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미들케이스(450) 저면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가 실장되는 배터리케이스(460)가 일체로 하향 돌출되어 미들케이스(450) 상면으로 입구를 노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케이스(460) 저면에는 배터리의 충전전력을 하우징(300)의 메인 PCB(도 6a, 도 6b의 332 참조, 이하 동일하다.)와 구동회로 PCB(도 6a, 도 6b의 334 참조, 이하 동일하다.)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핀케이스(464)가 결합되어 커넥터핀(미도시)을 통해 배터리와 메인 PCB 및 구동회로 PCB(332,334)를 접속시키는바, 배터리케이스(460)와 커넥터핀케이스(464)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배터리케이스(460) 외면에는 제 1 후크홀(462)이 마련되는 한편 커넥터핀케이스(464)에는 제 1 후크단(466)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미들케이스(450)의 상면에는 배터리케이스(460)의 입구를 밀폐하기 위한 배터리커버(469)가 마련되며, 이는 일측 가장자리의 힌지축(H)을 기준으로 타 측의 제 2 후크단(452)이 미들케이스(450) 상면에 별도로 마련된 제 2 후크홀(549)에 걸려지거나 탈착되도록 젖힘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터리케이스(460) 하단에 배터리핀케이스(464)가 고정된 상태로 미들케이스(450)가 본체부(100) 상단에 결합된 후, 사용자는 미들케이스(450)를 따로 분리할 필요 없이, 배터리커버(469)의 제 2 후크단(468)을 미들케이스(450) 상면의 제 2 후크홀(459)로부터 탈착시킨 다음 힌지축(H)을 매개로 젖혀 개방함으로서 배터리를 삽입 또는 교체할 수 있고, 다시 배터리커버(469)를 닫아 제어부(150)의 필요부분에 충전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탑커버(470)는 미들케이스(450)를 덮어 제 1 내지 제 3 마개(132a,134a,136a)를 비롯한 본체부(100) 상단을 최종적으로 은폐시키는 부분으로서, 이온교환수지 및 재생물질의 교체 및 투입을 위해 가장 빈번하게 개방되는 것을 감안하여 미들케이스(450) 상에 단순 안착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이의 전단에 역시 하우징(300)을 수용할 수 있는 제 2 수용단(472)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장케이스(400)의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를 비롯한 미들케이스(450) 등은 각각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하중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 두께는 수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 압력에 대해 서로의 연결지점이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도 7a 및 도 8의 원내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프론트케이스(410)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서 복수개의 제 1 홀(422) 및 제 2 돌기(424)를 돌출시키는 반면, 이들과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430)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제 2 돌기(436) 및 제 2 홀(438)을 마련함으로서 이들의 결합을 통해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의 상단을 따라서는 미들플레이트(450)의 측면부분 하단이 끼워질 수 있는 제 1 및 제 2 끼움홀(426,439)을 마련함으로서 이들의 결합을 통해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 및 미들케이스(450)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버툼케이스(490)는 수전구(350)를 노출시킨 상태로 본체부(100)의 바디프레임(200) 저면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원수공급관로(W1,W2)의 말단과, 제 1 배출관로(W12)의 제 2 연결구(147)와, 제 2 배출관로(W13)의 말단과, 드레인관로(W14)의 말단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하면이 개방된 삼각통 형상의 측면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의 세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받침단(502,504,506)을 끼우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구(492,494,496)가 구비되며, 이들 제 1 내지 제 3 끼움구(492,494,49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각각 스크류홀이 관통된 별도의 제 3 결합돌기(497)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버툼케이스(490)는 제 3 결합돌기(497)를 관통해서 바디프레임(200) 저면으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바디프레임(200)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특히 스크류는 프론트케이스(410)와 리어케이스(430)의 저면을 함께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버툼케이스(490)의 측면을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홀(498)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냉/온 수도관과 제 1 및 제 2 원수급관로(W1,W2)의 말단을 별도의 연결관으로 각각 연결할 수 있고, 제 2 연결구(147)와 샤워헤드(146)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 2 배출관로(W13)와 드레인관로(W14)를 각각 외부로 연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제 1 장착상태에서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에 끼워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욕조나 바닥(P) 모서리에 안정적으로 세워진다.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사용상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 부분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거치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 연수기 바닥면의 받침단(도 7a의 502,504,506 참조)은 생략될 수 있고, 이러한 제 2 사용상태를 위해서는 별도의 행거가 동원된다.
첨부된 도 12a와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앞서의 도 11과 함께 참조하는바, 이들은 각각 외장케이스(400)로부터 행거(43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에 해당되며, 편의상 본체부 및 프론트케이스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b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2 사용상태를 위한 행거(600)는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에 선(先)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코너(C)의 경계에 근접한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좌우양단이 서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각각의 벽면에 밀착되는 L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이러한 행거(600)에는 복수개의 스크류홀(602)이 관통되며, 좌우양단에는 각각 상하방향의 제 1 및 제 2 렌싱절곡 단(604,614)이 마련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은 후술하는 리어케이스(430)의 제 1 및 제 2 삽입단(440,444)에 각각 끼워져 연수기 전체를 지탱하는 부분으로, 전방을 향해 1차 절곡된 후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하게 2차 절곡된 2단 절곡구조를 나타낸다. 이에 편의상,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 각각의 1차 절곡부분을 1차 절곡부(606,616)라 하고, 2차 절곡부분을 2차 절곡부(608,618)이라 한다.
반면, 외장케이스(400)의 리어케이스(430)에는 행거(600)의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삽입단(440,444)이 마련되는바, 이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랜싱절곡단(604,614)을 여유있게 수용하는 상하방향으로 입구를 제공하되, 그 상단에는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이 걸려지는 단턱이 마련되며, 특히 제 1 및 제 2 삽입단(440,444)의 상단에 치우친 입구에는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의 2차 절곡부(608,618)가 각각 걸려지는 복수 개의 제 1 및 제 2 지지단(442,446)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스크류 등을 이용해서 홀더(600)를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에 선 장착한 후, 연수기를 충분히 들어올려 리어케이스(630)의 제 1 및 제 2 삽입단(440,444)에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이 수용되도록 밀착시킨 다음, 연수기를 서서히 내리면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604,614)의 상단이 각각 제 1 및 제 2 삽입단(440,444)의 상단 단턱에 걸려지는 것과 동시에 각각의 2차 절곡부(608,618)가 제 1 및 제 2 지지단(442,446)에 걸려진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제 2 사용상태로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3 사용상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욕실 등의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C)에 끼워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바닥(P')에 세워진 스탠드(700) 상에 연수기를 설치 및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3 사용상태를 위해서는 별도의 스탠드(700)가 동원되는데, 첨부된 도 15a와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3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앞서의 도 14와 함께 참조하는바, 이들은 각각 스탠드(700)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에 해당된다.
보이는 것처럼, 제 3 사용상태를 위한 스탠드(700)는 연수기를 지탱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복수 개의 지지바(702,704,706,712,714,716)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이들의 적절지점을 가로지르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반(720,730)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지지바(702,704,706,712,714,716)는 버툼케이스(490) 저면의 제 1 내지 제 3 끼움구(492,494,496)에 각각 끼워지는 세 개가 동원될 수 있고, 임의의 제 1 및 제 2 선반(720,730)을 통해 상하로 연결되는 2단의 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바, 도면에 의거, 버툼케이스(490) 저면의 제 1 끼움구(492)에 끼워지는 제 1 단 제 1 지지바(702)와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제 2 단 제 1 지지바(712)가 상하로 연결되고, 버툼케이스(490) 저면의 제 2 끼움구(494)에 끼워지는 제 1 단 제 2 지지바(704)와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제 2 단 제 2 지지바(714)가 상하로 연결되며, 버툼케이스(490) 저면의 제 3 끼움구(496)에 끼워지는 제 1 단 제 3 지지바(706)와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제 2 단 제 3 지지바(716)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1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02,704,706)와 제 2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 사이에는 제 1 선반(720)이 개재되고,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의 하단에는 제 2 선반(730)이 개재될 수 있으며, 편의상 제 1 및 제 2 선반(720,730)이 삼각형과 유사하다는 전제하에, 제 1 선반(720)의 세 모서리는 각각 제 1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02,704,706)의 하단과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의 상단을 아래위로 끼워 수용하고, 제 2 선반(730)의 세 모서리는 각각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의 하단을 끼워 수용할 수 있다.
더불어, 제 2 선반(730) 배면의 세 모서리에는 각각 스탠드의 높이 및 수평조절을 위한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단(740,750,760)이 끼워져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단(740,750,760)은 각각, 제 2 선반(730) 배면의 두 모서리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연결바(742,752)와, 이들 제 1 및 제 2 연결바(742,752) 하단 외면의 제 1 및 제 2 나사산(744,754)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너트연결단(746,75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너트연결단(746,756)과 제 3 높이조절단(760) 저면에 제 1 내지 제 3 받침단(502,504,506)을 끼워 바닥에 안착시킨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받침단(502,504,50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제 1 사용상태에서 버툼플레이트(490)의 제 1 내지 제 3 끼움단(492,494,496)에 끼워지는 그것과 동일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선반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물빠짐구멍(722,732)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선반(730) 배면의 세 모서리에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단(740,750,760)을 끼워 바닥에 안착시킨 후, 제 2 선반(730)의 상면 세 모서리에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12,714,716)를 끼운 다음, 이들 상단에 제 1 선반(720)의 세 모서리를 끼운 후, 최종적으로 제 1 선반(720) 상면의 세 모서리에 제 1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02,704,706)를 끼워 스탠드(7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필요하다면 제 1 및 제 2 높이조절단(740,750)의 제 1 및 제 2 너트연결단(746,756)을 적절히 회전시켜 스탠드(700)의 수평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 2 단 제 1 내지 제 3 지지바(702,704,706)의 상단에 버툼하우징(490)의 제 1 내지 제 3 끼움단(492,496,498)이 끼워지도록 연수기를 올려 제 3 사용상태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사용상태를 구분해서 살펴보았지만,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사용상태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바, 일례로 스탠드를 이용해서 욕조 모서리에 연수기를 세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탠드를 이용해서 바닥으로부터 세움은 물론 행거로 코너에 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바, 공간적인 효율성이 크고 사 용에 편리한 잇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그 사용상태에 따라 벽면을 손상시키는 못이나 스크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누수의 가능성을 줄이며, 필요에 따라서 그 설치장소 및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네 가지 특수모드를 제공하는바, 누구나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이온교환수지 및 이의 재생물질을 이용하여, 연수모드, 직수모드, 재생모드, 단속모드를 수행하는 연수기로서,
    상기 재생물질이 충진된 재생탱크와, 상기 재생탱크를 사이에 둔 좌우측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재생탱크와 함께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보이며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를 갖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어 두 벽면이 교차하는 코너에 끼워지되, 바닥 모서리에 세워지는 제 1 사용상태와, 상기 코너에 거치되는 제 2 사용상태와, 상기 바닥 모서리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는 제 3 사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상태로 고정되는 외장케이스와;
    상기 제 2 사용상태에서 상기 코너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행거 또는 상기 제 3 장착상태에서 상기 바닥 모서리에 놓여져 상기 외장케이스를 지지하는 스탠드
    를 포함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상태에서 상기 외장케이스 저면에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받침단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를 포함하는 상단의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 하단에 결합된 삼각통 형상을 나타내며, 그 저면에 외부의 냉/온 원수가 공급되는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냉/온 연수와 냉/온 직수가 각각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재생폐수가 배출되는 재생폐수관로와, 재생수가 배출되는 재생수관로가 각각 관통 노출된 바디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으로 관통 노출되는 수전구와;
    상기 제 2 연결구에 연결된 상태로 외부로 인출 연결된 샤워헤드
    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 내에 실장되어, 상기 연수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상기 냉/온 연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하고, 상기 직수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 그대로의 직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하며, 상기 재생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 또는 온 원수를 상기 재생탱크에 공급한 후, 상기 재생탱크의 재쟁수를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로 공급한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재생폐수를 상기 재생폐수관로로 배출하고, 상기 단속모드에서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를 단속하는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 내에 각각 실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어셈블리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의 상기 냉/온 원수의 공급유량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측정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로 배출되는 상기 냉/온 원수 및 냉/온 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유닛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각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동작모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되는 입력유닛과, 상기 동작모드의 전환에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갖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입력유닛과, 상기 표시유닛을 그 내부에 실장시킨 채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의 중간지점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외장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을 제외한 상기 본체부의 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제외한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 상단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바디프레임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를 그 내부로 수용하는 버툼케이스
    를 포함하는 연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툼케이스 측면에는 튜브홀이 관통되어,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2 연결구와,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는 각각 상기 튜브홀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연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케이스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으로 노출된 입구를 제공하며, 상기 논리연산회로와, 상기 표시유닛의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실장되는 배터리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에 힌지로 젖힘 가능하게 구비된 배터리커버
    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 1 후크단과;
    상기 미들케이스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후크단이 걸려지는 제 1 후크홀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와 상기 논리연산회로 및 표시유닛을 연결하는 커넥터핀이 관통되는 커넥터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와 상기 커넥터핀단자는 후크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수기.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수탱크와 상기 재생탱크를 개방하도록 각각의 상면에 마련된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는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 전체와 좌우측면 일부를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리어케이스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개를 제외한 상기 탱크부의 상단을 덮어,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단면에 맞닿아 연결되는 미들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 상단을 덮는 탑케이스와;
    상기 바디프레임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냉/온 원수공급관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재생폐수관로와, 상기 재생수관로를 그 내부로 수용하는 버툼케이스
    를 포함하는 연수기.
  20. 제 11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된 복수개의 후크결합단과;
    상기 리어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 안쪽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후크결합단이 각각 체결되는 후크걸림단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 구비된 제 1 돌기 및 제 1 끼움홀과;
    상기 리어케이스의 좌우측면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 1 돌기 및 제 2 끼움홀과 각각 끼워 결합되는 제 2 끼움홀 및 제 2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 및 리어케이스의 상면 끝단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미들케이스의 하 끝단을 끼워 수용하는 홈 형상의 끼움단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코너 경계에 근접한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두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양단을 포함하는 연수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좌우양단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된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과;
    상기 외장케이스의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을 각각의 내부로 수용한 채 상기 제 1 및 제 2 렌싱절곡단에 걸려지는 제 1 및 제 2 삽입홈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외장케이스 배면의 세 모서리에 각각 끼워진 채 바닥으로부터 직립된 제 1 내지 제 3 지지바를 포함하는 연수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바의 가로질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지바의 말단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바닥에 안착되며, 스크류 방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대
    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높이조절대 말단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바닥에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받침단
    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KR1020070018456A 2007-02-23 2007-02-23 연수기 KR10084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56A KR100846473B1 (ko) 2007-02-23 2007-02-23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56A KR100846473B1 (ko) 2007-02-23 2007-02-23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73B1 true KR100846473B1 (ko) 2008-07-17

Family

ID=3982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56A KR100846473B1 (ko) 2007-02-23 2007-02-23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856A (ja) 2000-07-28 2002-02-12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KR200321418Y1 (ko) * 2003-04-24 2003-07-31 주식회사 하이큐텍 재생기능과 활성기능을 갖는 연수기
KR200433936Y1 (ko) * 2006-09-29 2006-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하는 연수기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856A (ja) 2000-07-28 2002-02-12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KR200321418Y1 (ko) * 2003-04-24 2003-07-31 주식회사 하이큐텍 재생기능과 활성기능을 갖는 연수기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200433936Y1 (ko) * 2006-09-29 2006-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하는 연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049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875207B1 (ko) 연수기
KR102267887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6463600B1 (en) Automatic shower and bathtub cleaner
KR20200102800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13403817A (zh) 衣物处理设备的前封门和衣物处理设备
CN111074498A (zh) 洗涤剂盒和衣物处理设备
KR20200134193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30058338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846473B1 (ko) 연수기
KR100926077B1 (ko) 연수기
CN212103372U (zh) 衣物处理设备的前封门和衣物处理设备
JP2017099443A (ja) 水栓装置および洗面化粧台
KR102481846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JP6660017B2 (ja) 再生液供給ユニット
KR102664357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14059303B (zh) 衣物处理设备的投放装置和衣物处理设备
KR102599999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32805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JP7038324B2 (ja) 手洗システム
CN114059305B (zh) 洗涤剂盒和衣物处理设备
CN213282680U (zh) 一种自动感应皂液器
KR100907743B1 (ko) 연수기
CN210748924U (zh) 浴室柜
CN109938500B (zh) 一种多功能集成厨房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