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74Y1 -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 Google Patents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74Y1
KR200324974Y1 KR20-2003-0018514U KR20030018514U KR200324974Y1 KR 200324974 Y1 KR200324974 Y1 KR 200324974Y1 KR 20030018514 U KR20030018514 U KR 20030018514U KR 200324974 Y1 KR200324974 Y1 KR 200324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우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우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우아쿠아
Priority to KR20-2003-0018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경수 공급관을 연수기 본체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형성하되, 그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되는 복수의 소용돌이 관을 설치하여서 경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경수가 상기 연수기 본체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상을 보다 장시간에 걸쳐 고르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경수가 보다 확실하게 연수로 변환되어 배수되도록 한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본체의 내부에 경수를 공급하기 위한 경수 공급관이 하부측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양이온교환수지의 주입이나 교체 또는 염수로서의 세척시 개폐를 위한 개폐 마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수기에 있어서, 경수 공급관(30)이 상기 본체(12)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설치되면서, 그 상단면은 폐쇄되고,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된 복수의 소용돌이 관(30-1)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경수 공급관(30)의 소용돌이 관(30-1)을 통해 유입되는 경수가 연수로 변환된 상태로 배수되기 위한 연수 배수관(40)이 연수기 본체(12)의 내부 상측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Soft water maker having whirlpool pipe}
본 고안은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수 공급관을 연수기 본체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형성하되, 그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되는 복수의 소용돌이 관을 설치하여서 경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경수가 상기 연수기 본체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상을 보다 장시간에 걸쳐 고르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경수가 보다 확실하게 연수로 변환되어 배수되도록 한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또는 지하수 중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순물 중 칼륨 · 마그네슘과 같은 경도성분, 철 · 납 · 알루미늄 · 망간 · 크롬과 같은 금속이온, 수은 · 납 ·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온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들이 포함된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통상 '센물'또는 '경수'(Hard water)라 지칭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와 같은 경수로부터 상기한 불순물들을 제거한 물을 '연수'(Soft water)라 지칭하는데, 이와 같은 연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수를 사용할 때보다 피부미용, 온천욕 효과, 각종 피부염 예방, 모발 보호, 세제 절감 및 우수한 세탁효과, 식물 성장 촉진 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수돗물 및 지하수 등의 경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수로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그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서 이 양이온교환수지로서 불순물을 흡착하도록 한 연수기가 개발,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연수기 본체(12) 내부에 미립자 형상의 양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연수기 본체(12)의 내부에는 수돗물 및 지하수 등의 경수를 공급하기 위한 경수 공급관(14)이 하부측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수기 본체(12)의 전측에는 양이온교환수지(20)를 통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 배수관(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수기 본체(12)의 상단에는 양이온교환수지(20)의 주입이나 교체 또는 염수로서의 세척시 개폐를 위한 개폐마개(18)가 설치되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경수 공급관(14)을 통하여 수돗물 또는 지하수의 경수가 연수기 본체(12)로 유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경수는 연수기 본체(12)에 충진된 다량의 양이온교환수지(20) 사이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에 양이온교환수지(20)는 흘러내리면서 통과하는 경수내의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경수가 연수로 변환되어 연수 배수관(1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수기는, 상기 경수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경수가 양이온교환수지상을 통과하게 될 때, 자연낙하에 의하여 통과할 수 밖에 없어 양이온교환수지 전체에 걸쳐 고르게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순물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수 공급관을 연수기 본체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형성하되, 그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되는 복수의 소용돌이 관을 설치하여서 경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경수가 상기 연수기 본체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상을 보다 장시간에 걸쳐 고르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경수가 보다 확실하게 연수로 변환되어 배수되도록 한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수기 12 : 본체
20 : 양이온교환수지 30 : 경수 공급관
30-1 : 소용돌이 관 40 : 연수 배수관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본체의 내부에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경수를 공급하기위한 경수 공급관이 하부측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양이온교환수지의 주입이나 교체 또는 염수로서의 세척시 개폐를 위한 개폐 마개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경수 공급관이 상기 본체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설치되면서, 그 상단면은 폐쇄되고,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된 복수의 소용돌이 관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경수 공급관의 소용돌이 관을 통해 유입되는 경수가 연수로 연화된 상태로 배수되기 위한 연수 배수관이 연수기 본체의 내부 상측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소용돌이 관은 서로 대응되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수기 본체(12)의 하측으로부터 내부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경수 공급관(30)이 상기 연수기 본체(12)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된 복수의 소용돌이 관(3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용돌이 관(30-1)은 서로 대응되게 나선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 본체(12)의 전측으로부터 내부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연수 배수관(40)은 상기 연수기 본체(40)의 내부 상측까지 연장형성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수 공급관(30)을 통해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경수가 연수기 본체(12)로 유입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경수가 소용돌이 관(30-1)을 통해 연수기 본체(12)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20)상으로 분출된다.
이 경우, 상기 소용돌이 관(30-1)은 나선형으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바, 분출과 동시에 그 관성력에 의해 회오리 치면서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승함과 동시에 연수기 본체(12)에 충진된 다량의 양이온교환수지(20)를 충분히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양이온교환수지(20)는 회오리 치면서 상승하게 되는 경수와 충돌하면서 접촉하게 됨으로써, 보다 접촉의 활성화로 인하여 경수내의 불순물을 보다 확실하게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불순물이 제거되어 연화된 연수는 연수기 본체(12)의 내부 상측까지 연장형성되게 설치된 연수 배수관(40)을 통해 자유낙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에 의하면,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과 같이 각종 불순물을 포함하는 경수의 공급관에 나선형의 소용돌이 관이 측방향으로 복수개수 형성됨으로써, 이 경수 공급관을 통해 연수기 본체내로 공급되는 경수가 회오리 치면서 분출되는 바, 상기 연수기 본체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와 충돌하면서 보다 활성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져 이 경수내에 함유된 불순물의 제거가 확실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이온교환수지(20)가 충진된 본체(12)의 내부에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경수를 공급하기 위한 경수 공급관(14)이 하부측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2)의 전측에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20)를 통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연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 배수관(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2)의 상단에는 양이온교환수지(20)의 주입이나 교체 또는 염수로서의 세척시 개폐를 위한 개폐 마개(18)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수기(10)에 있어서,
    경수 공급관(30)이 상기 본체(12)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근접한 높이까지 설치되면서, 그 상단면은 폐쇄되고, 측면부에 대하여 연통된 복수의 소용돌이 관(30-1)이 형성된 것과;
    상기 경수 공급관(30)의 소용돌이 관(30-1)을 통해 유입되는 경수가 연수로 연화된 상태로 배수되기 위한 연수 배수관(40)이 연수기 본체(12)의 내부 상측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용돌이 관(30-1)은 서로 대응되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KR20-2003-0018514U 2003-06-12 2003-06-12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KR200324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514U KR200324974Y1 (ko) 2003-06-12 2003-06-12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514U KR200324974Y1 (ko) 2003-06-12 2003-06-12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981A Division KR100531106B1 (ko) 2003-06-12 2003-06-12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974Y1 true KR200324974Y1 (ko) 2003-08-29

Family

ID=4941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514U KR200324974Y1 (ko) 2003-06-12 2003-06-12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4974Y1 (ko)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KR100531106B1 (ko)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EP1177027B1 (en) Water softener tank
US729726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water treatment with preliminary screen
KR20040105409A (ko) 연수기
KR100392144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262873Y1 (ko) 이중 연수기능을 갖는 연수기
KR100531107B1 (ko) 필터기 및 염수기가 교환설치 가능한 연수기
KR100396904B1 (ko) 연수기
KR200479629Y1 (ko)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수지 탱크를 포함하는 연수기
KR200326914Y1 (ko) 필터기 및 염수기가 교환설치 가능한 연수기
KR200289583Y1 (ko) 노즐식 연수기
KR200230335Y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0382121B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200314645Y1 (ko)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 세척장치
KR101594184B1 (ko)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수기
KR200231557Y1 (ko) 연수기
KR100408016B1 (ko) 재생제 공급기를 구비한 연수기
KR200150322Y1 (ko) 경수연화수단이 구비된 세탁기
KR200290138Y1 (ko) 연수기의 원수분산장치
KR100458981B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KR200182046Y1 (ko) 분리형 연수기
KR960005870Y1 (ko) 경수 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