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121B1 -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121B1
KR100382121B1 KR10-2001-0008182A KR20010008182A KR100382121B1 KR 100382121 B1 KR100382121 B1 KR 100382121B1 KR 20010008182 A KR20010008182 A KR 20010008182A KR 100382121 B1 KR100382121 B1 KR 10038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filling
inlet pipe
resin
cas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479A (ko
Inventor
임병식
Original Assignee
임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식 filed Critical 임병식
Priority to KR10-2001-000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121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내부에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설치되고, 유입관의 외측으로 이온교환수지가 담겨지는 수지충진통이 장착되어 이온교환수지의 교환 및 세척시 수지충진통을 몸체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수지충진통의 개방된 상측에는 각각 착탈가능하게 내, 외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수지충진통과 내부캡의 상단에는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중의 캡 구조를 제공하여 유입관을 통해 토출되는 물이 외측의 캡 내면에 튀거나, 물이 캡의 내부로 차올라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이로인해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판매효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Case structure of machine for soft water make}
본 발명은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연수기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여 연수시에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양이온 교환수지에 의해 경도성분이 함유된 물인 경수(센물)에서 이 경도성분인 칼슘, 마그네슘, 철분등의 금속성이온 성분을 제거하여 부드러운 물인 연수(단물)로 전화시키기 위한 기기이다.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특수고분자 화합물로써 알갱이나 막대모양으로 되어있는 수지이며 화학약품에 대하여 안정하며 팽윤성이 적고 우수한 이온교환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채택된다.
상기와 같은 연수기는 주로 가정의 주방 수도에 설치되어 제작된 연수를 일반 음용수로 사용하거나 비누와 세제가 잘 용해되기 때문에 목욕수나 세척수등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상기된 연수기의 종래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수기는 상기된 연수기는 외장이 되는 몸체(1)의 일측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2)와, 유입된 물이 이온교환수지(R) 등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3)가 형성되며, 상기 이온교환수지(R)가 충진된 상측과 하측에는 입수되는 물과 출수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4)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된 구성의 연수기는 물이 유입구(2)를 통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유입구(2)와 연결된 진행파이프(5)를 거쳐 상측으로 진행된 후, 이온교환수지(R)로 낙하되어 연수과정이 수행된 후 배출구를 통해 연수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수기의 구조는 내부의 이온교환수지 교체나 세척등의 이유로 이온교환수지를 꺼낼 때, 연수기의 몸체를 수도관과 분리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상태 및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 작업자를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말미암아 본 출원인이 2000년 11월 16일자로 20-2000-0032035호의 연수기 케이스 구조를 출원(이하, 기 출원발명이라 칭함)한 바 있다.
도 2는 상기된 기 출원발명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 출원발명의 케이스 구조는 상, 하단부가 각각 캡(30, 40)에 의해 마감된 몸체(10)의 내부에 이온교환수지(R)가 담겨지는 수지충진통(20)이 장착되고, 수지충진통(20)을 상, 하로 관통하여 하단부에서 수돗물이 유도되는 유입관(11)이 장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지충진통(20)의 유입관(11)이 관통되는 길이방향 선상에는 유입관(11)이 삽입되도록 한 결합관(21)이 상, 하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11)은 하부캡(30)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1)에 고정결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 출원발명의 연수기는 특정의 공구가 없이도 상측의 캡(30)을 분리시키고, 결합관(21)을 유입관(11)에서 빼내는 작업의 수행만으로 수지충진통(20)의 분리가 가능하여 이온교환수지의 교환 및 수지충진통의 세척이쉽게 행해질 수 있으며, 유입관(11)을 유입구(41)의 조인트(42)와 분리시키지 않고도 간편하게 상기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연수기의 분해작업이 미 숙련된 자라도 작업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된 기 출원발명의 연수기는 유지보수의 용이함이 있는 반면, 높은 수압으로 유입관(11)을 통해 입수된 물은 토출부(12)를 통해 분출되고, 이와 같이 높은 압력으로 토출된 물은 캡(30) 내측면으로 튀어 캡(30)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려 캡(30)과 몸체(10)의 사이로 누수되는 심각한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입관(11)을 통해 입수되는 물의 양이 많아질 경우에는 수지충진통(20)의 이온교환수지(R)를 통과하는 물의 양에 비해 입수되는 물이 많아져 수지충진통(20)의 상측에는 물이 차오르게 되며, 이와 같이 물이 차오른 물은 캡(30)과 몸체(10)의 사이로 누수되는 현상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몸체(10)의 외측으로 물이 누수되면, 소비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낮추게 되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요인에 의해 판매효율 및 제조회사의 이미지가 실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기 출원발명에서의 간단한 분해조립구조를 가지면서도 연수작용시 내부의 물이 누수됨을 방지하도록 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단면도.
도 2는 기 출원된 연수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 중 내부 뚜껑이 결합되는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 중 필터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몸체 51: 외부캡
52: 유입관 51a: 핀
60: 수지충진통 61: 결합관
62: 내부캡 70: 필터부
80: 체결부 81: 걸림편
82: 체결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 내부에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설치되고, 유입관의 외측으로 이온교환수지가 담겨지는 수지충진통이 장착되어 이온교환수지의 교환 및 세척시 수지충진통을 몸체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수지충진통의 개방된 상측에는 각각 착탈가능하게 내, 외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수지충진통과 내부캡의 상단에는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가 설치된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상기 체결부는 수지충진통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2이상 구비되고, 일측에 홈이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홈에 각각의 끝단이 끼워져 수지충진통과 내부캡의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캡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체결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 구조는 몸체와 수지충진통에 각각 캡이 결합된 2중의 캡 구조를 제공하여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토출될 때, 토출된 물이 몸체와 결합된 외부캡에 튀어 흘러내리며 외부로 누수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지충진통의 상측으로 물이 차오를때, 차오르는 물이 내부캡 내에 충진되기 때문에 몸체와 외부캡의 체결부위로 물이 누수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된 구성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는 수돗물의 유입을 안내하는 유입관(51)이 내부에 세워져 설치된 몸체(50)와, 상기 몸체(50)의 내부에서 이온교환수지(R)(이온교환수지는 옥돌이나 기타 인체에 유익한 갖종 광물과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음)가 충진되며, 상기 유입관(51)에 끼워지는 결합관(61)이 내부 중앙에 설치된 수지충진통(60)과, 상기 몸체(50)와 수지충진통(60)의 각각 개방된 상측을 마감하는 내, 외부캡(52, 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50)와 외부캡(52)은 원내도면에서와 같이 몸체(50)의 내측에 연결부재(53)가 결합되고, 외부캡(52)이 연결부재(53)와 나사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몸체(50)와 외부캡(52)의 상호 대향되는 끝단사이에는 주로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재의 실링부재(54)가 간섭되어 결합된다.
상기 유입관(51)은 몸체(50)의 하측을 마감하는 하부캡(55)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56)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56)와 이격되어 수지충진통(60)을 통과한 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7)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56)와 배출구(57)에는 수도관, 수도꼭지, 호스(미도시) 등과 결합되기 위해 조인트(58)가 장착되며, 상기 수지충진통(60)의 상, 하 내측에는 유입관(51)에서 토출된 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7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에서 수지충진통(60)과 내부캡(62)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지충진통(60)과 내부캡(62)에는 상호 결합력을 갖기 위해 체결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80)는 수지충진통(60)의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도면에서는 2개)가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편(81)과, 걸림편(81)과 대응결합되기 위해 내부캡(62)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체결편(82)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편(81)의 일측에는 홈(81a)이 각각 형성되며, 이 홈(81a)에는 체결편(82)이 일정각도 회전되어 그 각각의 끝단이 끼워져 걸려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82)은 소정의 탄성을 내재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재작함이 바람직하며, 연수기의 크기나 토출되는 물의 양을 감안하여 결합되는 끝단부가 2개 이상이 되도록 구비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82)의 개수도 결합되는 끝단의 개수와 대응되게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유입관(51)에 핀(51a)이 결합되는데, 이 핀(51a)은 결합관(61)의 상단부위의 유입관(5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물이 수지충진통(60)을 거쳐 몸체(50)에 차오르는 수압에 의해 수지충진통(60)이 상측으로 떠오르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된 연수상태를 제공한다.
그리고, 부호 63는 고무 또는 연질합성수지로 된 실링부재이며, 이는 도 5에 나타난 필터(71)가 받침판(72)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병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에서 필터부(7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된 필터부(70)는 유입관(51)에서 토출되는 수돗물(일반적인 경수를 의미)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망(73)과, 상기 필터망(73)을 판체의 형태로 유지시키며 물이 통과되기 위한 통공(74a)이 다수개 형성된 형태유지판(74)과, 상기 필터망(73)과 형태유지판(74)을 수합하여 필터(71)의 형태를 유지하는 수합부재(75)와, 상기 수합부재(75)에 의해 형태유지된 필터망(73)과 형태유지판(74)이 얹어지는 받침판(7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72)은 내측이 결합관(61)과 용접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외측이 수지충진통(60)의 내면에 스포트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관(61)과 수지충진통(60)을 일체화하는 기능을 병행한다.
또한, 상기된 필터부(70)의 구조는 상측의 필터부(70)와 하측의 필터부(70)에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수지충진통(60)의 이온교환수지(R)를 꺼내기 위해서는 상측 필터부(70)의 필터(71)만 이탈시켜도 되기 때문에 하측에는 필터(71)의 수합부재(75)를 수지충진통(60)의 내면과 직접고정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된 상측의 필터부(70)에는 필터망(73)의 상면에 손잡이편(76)을 접합시켜 필터(71)를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는 유입관(51)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토출되면, 토출된 물은 수지충진통(60)의 상측 필터부(70), 이온교환수지(R), 하측필터부(70)를 통과하여 배출구(57)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토출되는 물은 내부캡(62)에 의해 외부캡(52)으로 튀는 현상이 방지되며, 수지충진통(60)의 상측으로 물이 차오를 경우에 내부캡(62)의 내부에 물이 충진되기 때문에 물이 몸체(50)와 외부캡(52)의 사이로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2중의 캡 구조를 제공하여 유입관을 통해 토출되는 물이 외측의 캡 내면에 튀거나, 물이 캡의 내부로 차올라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이로인해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판매효율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된 효과를 발현하는 케이스 구조에서 수압에 의해 결합관이 유입관에 안내되어 상승됨을 방지하여 안정된 연수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며, 이온교환수지의 취출을 위해 상측의 필터를 이탈시키는 행위가 편리해지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4)

  1. 몸체(50) 내부에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51)이 설치되고, 유입관(51)의 외측으로 이온교환수지(R)가 담겨지는 수지충진통(60)에 결합된 결합관(61)이 끼워져 이온교환수지(R)의 교환 및 세척시 수지충진통(60)을 몸체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지충진통(60)의 상, 하측에 유입관(51)을 통해 토출된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71)가 이탈가능하게 구비된 연수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50)와 수지충진통(60)의 개방된 상측에는 각각 착탈가능하게 내, 외부캡(52, 62)이 결합되고, 상기 수지충진통(60)과 내부캡(62)의 상단에는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부(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80)는
    수지충진통(60)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2이상 구비되고, 일측에 홈(81a)이 형성된 걸림편(81)과,
    상기 걸림편(81)의 홈(81a)에 각각의 끝단이 끼워져 수지충진통(60)과 내부캡(62)의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캡(62)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체결편(8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51)에는 결합관(61)이 끼워진 상단부에 수지충진통(60)이 상측으로 떠오름을 방지하는 핀(51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71)의 상면에는 필터(71)를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핀(76)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2001-0008182A 2001-02-19 2001-02-19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038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82A KR100382121B1 (ko) 2001-02-19 2001-02-19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82A KR100382121B1 (ko) 2001-02-19 2001-02-19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177U Division KR200230335Y1 (ko) 2001-02-19 2001-02-19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479A KR20010035479A (ko) 2001-05-07
KR100382121B1 true KR100382121B1 (ko) 2003-05-09

Family

ID=1970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182A KR100382121B1 (ko) 2001-02-19 2001-02-19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787A (zh) * 2019-08-30 2019-11-01 云南玉溪玉昆钢铁集团有限公司 铁矿提炼软水罐用补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9789A1 (en) * 2007-03-07 2008-09-12 Ambroiggio Michael A Hot water filter for a dishwa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787A (zh) * 2019-08-30 2019-11-01 云南玉溪玉昆钢铁集团有限公司 铁矿提炼软水罐用补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479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376B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382121B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200230335Y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KR200220514Y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0596485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장치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KR200328073Y1 (ko) 연수기
KR200403931Y1 (ko) 연수기
KR100374005B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KR200220435Y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CN217616365U (zh) 一种瓶塞自循环清洗装置
KR20090104334A (ko) 연수기 필터
KR200259133Y1 (ko)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102399882B1 (ko) 재생 탱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101595570B1 (ko) 이온교환수지탱크구조
KR0127665Y1 (ko) 전자동세탁기의 연수제조장치
KR200239999Y1 (ko) 연수기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289582Y1 (ko) 분리판식 연수기
KR200314645Y1 (ko)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 세척장치
KR20040105409A (ko) 연수기
KR100456773B1 (ko) 연수기
KR20100035389A (ko) 유로전환 밸브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연수기
KR200324974Y1 (ko)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