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133Y1 -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 Google Patents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133Y1
KR200259133Y1 KR2020010030170U KR20010030170U KR200259133Y1 KR 200259133 Y1 KR200259133 Y1 KR 200259133Y1 KR 2020010030170 U KR2020010030170 U KR 2020010030170U KR 20010030170 U KR20010030170 U KR 20010030170U KR 200259133 Y1 KR200259133 Y1 KR 200259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 exchange
exchange resin
salt
water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태숙
Original Assignee
주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숙 filed Critical 주태숙
Priority to KR2020010030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133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수기의 통으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수기 통(10)으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30)의 재생를 별도 마련되어 있는 소금통(50)에 소금을 투입하여 소금이 녹아 염분을 가지는 수돗물을 이온교환수지(30)로 공급하여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연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omitted}
본 고안은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수기의 통으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그에 따른 환경오염원의 발생이 많아져 대기중의 공기 오염은 물론,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이 심각해져 이에 따른 대책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환경오염원에 의한 환경 오염중, 사람들이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 함은 물론, 식수원의 오염으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 원수는 정수장을 거쳐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철저하게 거제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숫도물을 끓이지 않고 그냥 사용하지 않는 것은 수돗물이 수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과정에서 수도관을 통해 오수가 혼입되거나 수도관의 부식으로 수돗물에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함유되어져 부득이하게 수돗물을 끓여 마실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돗물에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혼합되어 있으면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할때 비누물이 제대로 제거되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긍극적으로 피부질환을 유발 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다 편안하게 수돗물을 사용할 수있도록 착안된 것이 연수기이다.
상기한 연수기는 수돗물, 지하수 및 자연수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硬水)성분인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등과 반응하여 이온교환을 통해 온천수와 같은 연수(軟水)로 바꾸어 식수 및 생활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연수기의 구성을 보면,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소금을 투입할 수 있는 소금투입구가 용접 설치됨과 동시에 소금투입구로 나사결합되는 캡을 가지는 상부케이스가 용접 설치되어 있고, 하부로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연결유닛트가 중앙으로 설치되어 있는 하부케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 하부로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가 연결되는 연결유닛트가 설치되어 있는 통과; 상기 통의 내측으로 위치하여 하부케이스로 설치되어진 연결유닛트에 연결 설치되어지고, 상부로 여과필터를 가지는 입수관과; 상기 입수관을 통해 입수된 수돗물을 연수로 교환시키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수기는 입수관을 통해 수돗물이 통 내부로 입수되어지게 되고, 몸체로 입수된 수돗물은 아래로 흘러 몸체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연수로 바뀌어 통의 측면 하부로 설치되어 있는 연결유닛트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수도꼭지 또는 샤워기를 통해 배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돗물을 연수로 교환하는 통내의 이온교환수지는 일정기간 사용함으로서 그 표면에 물잇끼와 같이 이물질이 도포되어 연수기능이 상실되어지게 되는데, 교환능력이 상실된 이온교환수지는 통 내부로 소금을 투입하여 재생시키게 된다.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 때에는 통의 상부 케이스로 형성되어진 소금투입구로 결합되어진 캡을 열고 소금투입구를 통해 소금을 투입시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킨다.
상기한 종래 연수기의 통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때에는 연수기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그에 알맞는 방법을 채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작업이 번거럽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소금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수기 통 내의 수압을 빼야지만 캡이 소금투입구로부터 수월하게 분리되어지는 것이어서 수도꼭지를 틀어 놓아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둘째, 통으로 소금을 직접 투입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방식이어서 소금이 이온교환수지에 대하여 골고루 섞이게 함과 동시에 소금이 잘 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휘져어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셋째, 소금을 투입한 후 캡을 닫고 수도관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밸브를 열어 수도꼭지로 물을 세게 일정시간(약5∼10초)틀어준 후 잠그는 작업을 1∼5회에 걸쳐 반복한 다음 소금물이 통에 정체되어 있도록 수도꼭지를 20∼30분 잠가 두어야 하는 것으로 이온교환수지 재생에 따른 작업 공수가 복잡하여 별도의 설명서 없이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연수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연수기의 구조를 개량하여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시 사용되어지는 소금을 연수기통(몸체)에 직접 투입하지 않고 별도의 소금통에 부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를 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 연수기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통 11 : 걸고리편
12 : 상부케이스 13 : 투입구
14 : 나사산 15 : 하부케이스
16,18 : 필터 17 : 입수관연결유닛트
19 : 배출관연결유닛트 20 : 배출관
21 : 유닛트 30 : 이온교환수지
40 : 캡 50 : 소금통
52 : 중간밸브 60 : 수도꼭지
70 : 샤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인발 형성되어서 이온교환수지를 투입 또는 빼냄과 동시에 기밀재(패킹)(42)를 포함하고 있는 캡(4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4)이 가공되어 있는 투입구(13)를 구비한 반구형의 상부케이스(12)가 용접 설치되고, 하부로는 수도관에 연결 설치되어진 소금통(50)의 호스가 연결되어지는 입수관연결유닛트(17)가 중앙으로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이온교환수지가 입수관연결유닛트로 연결된 호스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16)를 구비하고 있는 반구형의 하부케이스(15)가 용접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로 연수된 수돗물이 배출될때 이온교환수지의 유출을 차단하는 필터(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18)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쪽으로 걸고리편(11)을 가지고 있는 통(10)과;
상기 통(10)의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진 필터(18)와 연결 설치되어진 배출관연결유닛트(19)에 상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하부로 수도꼭지(60) 또는 샤워기(70)가 연결되는 유닛트(21)를 포함 하고 있는 배출관(20)과;
상기 통(10)의 내부로 충전되어서 경수(硬水)인 수돗물을 온천수와 같은 연수(軟水)로 바꾸어 주는 이온교환수지(30)와;
상기 통(10)하부로 설치되어진 하부케이스(15)의 입수관연결유닛트(17)로 연결되어지는 호스가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 지고, 하부로 중간밸브(52)를 가지는 수도관이 설치되어지며, 소금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로 씌워지는 캡(51)을 가지는 소금통(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금통(50)에는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 때만 소금이 충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발췌한 사시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 연수기의 설치상태의 정면도며, 도4는 도3의 측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를 사용하여 경수(硬水)인 수돗물을 연수(軟水)로 교환 사용하게된다.
본 고안의 연수기는 수돗물이 수도관상에 설치되어진 소금통(50)을 거쳐 통(10)의 하부로 용접 설치되어진 하부케이스(15)의 입수관연결유닛트(17)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통(10)으로 유입되어진 수돗물은 통(10) 상부로 부상하면서 통(10)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30)를 통과하게 되고, 이온교환수지(30)를 통과한 경수(硬水)인 수돗물은 연수(軟水)로 바뀌어지게 된다.
연수로 교환되어진 수돗물은 통(10)의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연결유닛트(19)에 상부가 연결된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어서 배출관(20) 하부의유닛트(21)로 연결된 수도꼭지(60) 또는 샤워기(70)를 통해 배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돗물을 이온교환수지(30)에 의해 연수로 바꾸어 사용하던주으 연수기를 오랜기간 사용함으로서 이온교환수지의 표면으로 물잇끼와 같은 이물질이 도포되어 이온교환수지의 교환기능이 상실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연수기의 통(10) 내부로 소금(맛소금)을 투입하여 이온교환수지에 도포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생시키게 된다.
본원의 연수기 통(10)으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30)를 재생시킬 때에는 수도관의 중간밸브(52)를 잠근 다음 수도관상에 설치되어 있는 소금통(50)의 캡(51)을 열고 투입구를 통해 소금을 투입 한다.
소금통(50)에 소금의 투입이 완료되어지면, 투입구에 캡(51)을 체결한후, 잠겨있던 중간밸브(52)를 열고 수도꼭지(60) 또는 샤워기(70)를 틀어 수돗물을 배수시킨다.
이때, 소금통(50)으로 충진되어진 소금이 녹아 염분을 가지고 있는 수돗물(소금물)이 통(10)으로 유입되어 통(10)의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30)를 통과하게 되고, 소금물이 이온교환수지(30)를 통과할때 소금물에 의해 이온교환수지(30)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던 물잇끼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온교환수지로부터 제거되어진 이물질은 소금물과 함께 부상하여 통(10)의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 있는 배출관연결유닛트(19)로 연결 설치된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어서 배출관(20)의 하부로 설치되어 있는 유닛트(21)에 연결된 수도꼭지(50) 또는 샤워기(7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표면에 도포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온교환수지(3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짐으로서 원래의 기능을 갖게 되고, 재생된 이온교환수지(30)는 경수(硬水)인 수돗물을 연수(軟水)로 바꾸어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는, 첫째, 이온교환수지(30)를 재생시키는데 사용되어지는 소금(맛소금)을 통(10)에 직접 투입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소금통(50)에 부어 소금을 수돗물에 녹여 염분을 가지는 수돗물로 통(10)으로 수용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30)를 재생시키는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이온교환수지를 휘져어주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이온교환수지 재생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재생작업의 번거러움을 해소하였고;
둘째, 통으로 소금을 직접 투입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소금이 투입되어지는 통의 투입구로 결합된 캡의 분리를 위해서는 통내의 수압을 낮추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셋째, 종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방식에서는 작업주기 및 너무 오랜시간 이온교환수지가 염분에 놓여져 발생하는 역반응현상이 본원에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연수기의 구조 개량에 가능해진다.

Claims (2)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상부에는 인발 형성되어서 이온교환수지를 투입 또는 빼냄과 동시에 기밀재(패킹)(42)를 포함하고 있는 캡(4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4)이 가공되어 있는 투입구(13)를 구비한 반구형의 상부케이스(12)가 용접 설치되고, 하부로는 수도관에 연결 설치되어진 소금통(50)의 호스가 연결되어지는 입수관연결유닛트(17)가 중앙으로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 이온교환수지가 입수관연결유닛트로 연결된 호스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16)를 구비하고 있는 반구형의 하부케이스(15)가 용접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로 연수된 수돗물이 배출될때 이온교환수지의 유출을 차단하는 필터(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18)의 설치 방향과 반대되는 쪽으로 걸고리편(11)을 가지고 있는 통(10)과;
    상기 통(10)의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진 필터(18)와 연결 설치되어진 배출관연결유닛트(19)에 상단부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하부로 수도꼭지(60) 또는 샤워기(70)가 연결되는 유닛트(21)를 포함 하고 있는 배출관(20)과;
    상기 통(10)의 내부로 충전되어서 경수(硬水)인 수돗물을 온천수와 같은 연수(軟水)로 바꾸어 주는 이온교환수지(30)와;
    상기 통(10)하부로 설치되어진 하부케이스(15)의 입수관연결유닛트(17)로 연결되어지는 호스가 일측면 상부로 설치되어 지고, 하부로 중간밸브(52)를 가지는 수도관이 설치되어지며, 소금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로 씌워지는 캡(51)을 가지는 소금통(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통(50)에는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 때만 소금이 충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2020010030170U 2001-09-29 2001-09-29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200259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70U KR200259133Y1 (ko) 2001-09-29 2001-09-29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70U KR200259133Y1 (ko) 2001-09-29 2001-09-29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62A Division KR20020039303A (ko) 2002-04-30 2002-04-30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133Y1 true KR200259133Y1 (ko) 2001-12-29

Family

ID=7310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70U KR200259133Y1 (ko) 2001-09-29 2001-09-29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45B1 (ko) * 2002-01-18 2005-1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45B1 (ko) * 2002-01-18 2005-1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6458A (zh) 一种过滤器滤芯及滤水龙头
KR200259133Y1 (ko)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20020039303A (ko)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100193046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560132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연수 바디샤워기
KR200328073Y1 (ko) 연수기
CN206168233U (zh) 具有分质供水功能的一种原水压力罐
KR100193048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200220514Y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0568902B1 (ko) 연수 바디샤워기
KR100396904B1 (ko) 연수기
KR100374005B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KR200220435Y1 (ko) 연수기의 케이싱 구조
KR200426293Y1 (ko) 맥반석 정수기
CN213652024U (zh) 一种小型污水净化装置
KR200230335Y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200240602Y1 (ko) 이온자화 연수기
CN219774938U (zh) 一种可换挡的节水水龙头
KR200231557Y1 (ko) 연수기
KR200239999Y1 (ko) 연수기
CN214880665U (zh) —种用于水体净化的净水器内外层芯储存安装结构
KR200305738Y1 (ko) 연수기 구조
KR100382121B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CN2931452Y (zh) 新型净水软水机
KR200211635Y1 (ko) 수전금구 원적외선 방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320

Effective date: 2004062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723

Effective date: 2005042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