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5017A - 연수기용 재생통 - Google Patents

연수기용 재생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5017A
KR20090025017A KR1020070090038A KR20070090038A KR20090025017A KR 20090025017 A KR20090025017 A KR 20090025017A KR 1020070090038 A KR1020070090038 A KR 1020070090038A KR 20070090038 A KR20070090038 A KR 20070090038A KR 20090025017 A KR20090025017 A KR 2009002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guide
regeneration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5017A/ko
Publication of KR2009002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의 기능을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수기의 연수통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수통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주입받아 소금을 녹이는 한편, 소금이 녹은 재생액을 연수통에 주입시킬 수 있는 연수기용 재생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을 재생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소금을 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소금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캡, 상기 캡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캡으로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유로가이드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용해된 재생액을 상기 케이스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여과필터를 포함한다.
연수기, 연수통, 재생통

Description

연수기용 재생통{REGENERATIVE BOTTLE FOR SOFT WATER APPARATUS}
본 발명은 경수에 들어 있는 칼슘과 마그네슘 같은 양이온을 제거하여 연수를 만드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수기의 연수통의 기능을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경수)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된 관 및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 각종 중금속(이온)도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나트륨이온(Na+)형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경도(硬度) 성분인 Ca2 +와 Mg2 +을 수지중의 Na+과 교환시켜 줌으로써, 단물인 연수(soft water)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주로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켜 부드럽게 하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수통의 기능은,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소금)이 들어있는 재생통을 이용하여 재생된다.
즉, 연수기는 연수통 내에 미세한 알갱이(ball)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상기 연수통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수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Na+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해 NaCl 성분으로 이루어진 재생액을 재생통을 이용하여 연수통 내로 투입하게 된다.
재생통을 이용하여 연수통에 재생액을 투입하는 종래의 연수기 재생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생통의 뚜껑을 열고 소금을 넣은 후, 수돗물을 부어서 뚜껑을 닫고 상하로 흔들어서 소금을 녹인다.
상기 과정을 통해 재생액이 준비되면 연수통으로 유입되는 급수를 차단하고 연수기에 재생통을 연결한 후, 재생통 바닥의 공기마개를 열어서 재생액이 연수통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생통을 이용한 연수기 재생 방법은, 재생에 필요한 재생액(소금물)을 만들기 위해서 재생통에 물과 소금을 넣고 흔들어 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재생통의 무게가 무거워서 혼합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통을 흔들어 소금을 물에 녹이는 과정에서 재생액이 쉽게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온수를 사용하더라도 소금을 완전히 녹이기가 어려워 재생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수기의 연수통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수통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주입받아 소금을 녹이는 한편, 소금이 녹은 재생액을 연수통에 주입시킬 수 있는 연수기용 재생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을 재생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소금을 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소금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캡, 상기 캡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캡으 로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유로가이드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용해된 재생액을 상기 케이스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여과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연수기의 연수통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주입받아 소금을 녹인 후, 소금이 녹은 재생액을 직접 연수통으로 주입시킬 수 있으므로, 소금을 인위적으로 녹이기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수통 재생 과정을 간단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수기용 재생통의 캡 내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을 담는 케이스(510), 케이스로부터 소금이 유출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뚜껑역할을 하는 캡(520), 캡에 조립되어 있으며 캡으로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케이스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유로가이드(530) 및 유로가이드에 체결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에서 용해된 재생액만 캡 외부로 통과시키는 여과필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510)는 소금을 담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자는 적정량의 소금을 케이 스에 넣은 후 캡(520)으로 밀폐 시킨다.
캡(520)은 케이스(5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체결되어 케이스 내부를 외부와 밀봉시키기 위한 결합부(521) 및 결합부의 중앙 부분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수통의 주입부로 투입되는 주입봉(5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입봉(522)의 원통형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22a) 내부의 중간 부분은 차단막(522c)에 의해 막혀져 있으며, 차단막의 중앙 부분에는 케이스(510) 내부의 재생액이 연수통의 주입부로 이송될 수 있는 이송홈(522b)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막(522c)과 결합부(521) 사이의 하우징(522a)의 표면에는 유입홈(522d)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수통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하우징(522a)을 통해 케이스(510) 내부로 이송된다.
유로가이드(5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봉(522)의 하우징(522a)과 차단막(522c)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A)으로 삽입된다. 유로가이드(5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가이드(532)와 하우징(522a)의 내주면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홈(522d)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제1가이드(532)를 따라 이동되어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차단막(522c)과 인접해 있는 제1가이드(532)의 외주면에는 제1오링(531)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홈(522d)을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차단막(522c)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유로가이드(530)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제2가이드(533)가 제1가이드(532)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1가이드(532)와 제2가이드(533)는, 유로가이드(530) 중 차단막(522c)과 접하는 면인 가이드면(534)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 2가이드(533)에 의해 형성되는 양쪽 면 중 케이스(510) 방향으로 향하는 제1면(536)은 밀봉되어 있고, 차단막(522c)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제2면의 중앙부분과 인접된 차단막(522c)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홈(5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면(534)에는 배출홈(5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510) 내부의 재생액은 여과필터(540)에 흡수되어 가이드면(534)으로 이송된 후 배출홈(535)을 통해 하우징(522a)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 후 이송홈(522b)을 통해 연수통의 주입부로 이송된다.
여과필터(540)는 제1가이드(532)와 제2가이드(533)의 간격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532)와 제2가이드(533) 사이에 삽입된다. 여과필터(540)는 수돗물에 녹은 나트륨이온(Na+) 및 염소이온(Cl-) 만을 통과시키고, 수돗물에 녹지 않은 소금은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이 연수통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수기는 수돗물을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켜 연수로 만들어내는 연수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온수를 연수화시키는 온연수통(200)과 냉수를 연수화시키는 냉연수통(300)이 구비되어 있는 연수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연수통의 갯 수 및 기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온연수통(200)과 냉연수통(300)을 구비하고 있는 도 3에 도시된 연수기(100)를 일예로 하 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수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유입부(210)를 통해 온수유입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는 온연수통(200), 냉수유입부(310)를 통해 냉수유입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는 냉연수통(3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온연수통(200)과 냉연수통(300) 각각의 하부에는 연수를 배출하기 위한 온연수 출수부(220)와 냉연수 출수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온연수통(200)은 외부로부터 온경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관과 온수유입부(2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온경수를 연수화시켜 출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연수통(200)에 의해 연수화된 온연수는 온연수 출수부(220)에 연결되어 있는 출수관을 통해 수돗꼭지로 출수된다.
냉연수통(300)은 외부로부터 냉경수가 유입되는 냉수유입관과 냉수유입부(310)를 연결되어 있으며, 냉경수를 연수화시켜 출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연수통(300)에 의해 연수화된 냉연수는 냉연수 출수부(320)에 연결되어 있는 출수관을 통해 수돗꼭지로 출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을 나트륨이온(Na+)으로 치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연수통(200, 300) 내에는 미세한 알갱이(ball)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유입부(210, 310)을 통해 연수통(200, 300) 내 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연수통 내부의 이온교환수지와 접촉되어 연수로 변한 후 출수부(220, 320)을 통해 수도꼭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Na+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므로, 연수통(200, 300)은 주기적으로 재생통(500)에 의해 Na+ 성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즉, 연수통(200, 300)의 상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통(500)의 캡(520)의 주입봉(522)이 삽입되는 주입부(230, 330)가 형성되어 있어서, 소금이 담겨진 재생통(500)의 주입봉(522)이 주입부에 연결되면, 유입부(210, 310)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이 재생통(500)의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되어 소금을 녹이게 되며, 소금이 녹은 재생액은 여과필터(540)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홈(535)과 이송홈(522b)을 통해 주입부(230, 330)를 거쳐 연수통(200, 300)으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재생통(500)에 의해 연수통(200, 300)이 재생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연수기(100)의 온연수통(200)(이하, 간단히 '연수통(200)'이라 함)에 재생통(500)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냉연수통(300)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통(5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재생통과 연수통의 연결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B'영역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연수기(100)가 일정 기간 사용되어 연수통(200) 내부의 Na+ 성분이 감소된 경우, 사용자는 재생통(500)를 이용하여 연수통 내부에 Na+ 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우선, 재생통의 캡(520)을 케이스(510)에서 분리시킨 후 케이스(510) 내부에 적당량의 소금을 담는다. 소금의 양은 연수통(200)의 크기 및 기능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조절될 수 있다.
소금이 적정량 담겨지면 사용자는 재생통의 캡(520)을 케이스(510)에 결합킨 후, 연수통(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부(230)에 주입봉(522)을 끼워넣는다. 연수기의 사용 중에는 주입부는 미도시된 커버에 의해 닫혀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미도시된 커버를 주입부(230)로부터 분리시킨 후 주입봉(522)을 주입부로 끼워넣는다.
이때, 유입홈(522d) 상단의 주입봉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3오링(522f)은 주입부(230)의 내부면과 밀착되며, 이로 인해, 유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주입부(230)와 하우징(522a)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다. 또한, 주입봉의 끝단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2오링(522e) 역시 주입부(230)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부(210)를 통해 주입부(230)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연수통(20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없다.
따라서, 유입부(210)를 통해 주입부(230)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주입봉(522)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홈(522d)을 통해 하우징(522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하우징(522a)의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제1오링(531)에 의해 차단막(522c)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제1가이드(532)를 따라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510)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케이스(510)를 가득 메우게 되며, 케이스(510) 내부에 담겨져 있는 소금을 녹이게 된다.
한편, 여과필터(540)는 소금이 녹아 Na+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재생액을 흡수하게 되며, 흡수된 재생액은 제1가이드(532)와 제2가이드(533)에 삽입된 여과필터(540)를 따라 중력에 의해 가이드면(534) 방향으로 이송된다.
가이드면(534)으로 이송된 재생액은 배출홈(535)을 통해 차단막(522c)으로 토출된 후, 차단막(522c)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홈(522b)을 통해 주입부(230)를 경유하여 연수통(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통(500)은 연수통(200)의 주입부(2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수통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유입부(210)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이용하여 소금을 녹인 후, 소금이 녹은 재생액을 여과필터(540)와 이송홈(522b)을 통해 최종적으로 연수통으로 이송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생통은 소금을 녹이기 위한 인위적인 동작 없이도 재생액을 연수통(200) 내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수기용 재생통의 캡 내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이 연수통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재생통과 연수통의 연결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10 : 케이스 520 : 캡
530 : 유로가이드 540 : 여과필터

Claims (5)

  1. 연수기의 연수통을 재생하는 재생통에 있어서,
    소금을 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소금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캡;
    상기 캡에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캡으로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상기 케이스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유로가이드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용해된 재생액을 상기 케이스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어 케이스 내부를 외부와 밀봉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중앙 부분에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수통에 형성된 주입부로 투입되는 주입봉을 포함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봉은,
    원통형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를 차단시키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막의 중간 부분에는 여과필터를 통해 이송된 재생액이 상기 연수통의 주입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막과 상기 결합부 사이의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연수통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제1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제2가이드;
    상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연결시키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배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제1가이드, 제2가이드, 가이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KR1020070090038A 2007-09-05 2007-09-05 연수기용 재생통 KR20090025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38A KR20090025017A (ko) 2007-09-05 2007-09-05 연수기용 재생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38A KR20090025017A (ko) 2007-09-05 2007-09-05 연수기용 재생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17A true KR20090025017A (ko) 2009-03-10

Family

ID=4069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038A KR20090025017A (ko) 2007-09-05 2007-09-05 연수기용 재생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5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185A (ko) * 2017-04-28 2018-11-07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 탱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185A (ko) * 2017-04-28 2018-11-07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 탱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0092T3 (es) Electrodomestico que utiliza, especialmente una maquina lavadora, con un dipositivo perfeccionado para reducir la dureza del agua.
KR20090025017A (ko) 연수기용 재생통
KR101307063B1 (ko) 연수통
KR102223012B1 (ko)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EP1177027B1 (en) Water softener tank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JP5007831B2 (ja) 軟水化システム及び給湯システム
KR20080005511U (ko) 연수기의 재생장치
JPH081155A (ja) 軟水装置
KR100458981B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KR100408016B1 (ko) 재생제 공급기를 구비한 연수기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324963Y1 (ko) 이온교환수지 교체형 연수기
KR200324962Y1 (ko) 수도직결형 연수기
KR100639798B1 (ko) 연수기용 재생장치
KR101086538B1 (ko)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KR100382121B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JP3598527B2 (ja) 軟水化装置
KR200466826Y1 (ko) 연수기용 재생통
KR20110115428A (ko) 경도 성분 저하기능을 구비한 연수기
KR200263100Y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KR19980074317A (ko)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자동세척식 연수기
KR200259133Y1 (ko)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용이한 연수기
KR200359720Y1 (ko)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