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975B1 - 가요성 부표 - Google Patents

가요성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975B1
KR101163975B1 KR1020067024532A KR20067024532A KR101163975B1 KR 101163975 B1 KR101163975 B1 KR 101163975B1 KR 1020067024532 A KR1020067024532 A KR 1020067024532A KR 20067024532 A KR20067024532 A KR 20067024532A KR 101163975 B1 KR101163975 B1 KR 10116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structure
flexible
longitudinal direction
ferrule
mooring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993A (ko
Inventor
마사시 와카바야시
미치토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경량으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타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가요성 부표를 제공하기 위해, 보강층(C)을 매설한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기밀성의 중공 구조체(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2)의 적어도 1개소에 기체 주입구를 구비한 페룰(4)을 설치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2)에 주입한 기체의 내압에 의해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가요성 부표, 보강층, 가요성 막, 중공 구조체, 페룰, 부력

Description

가요성 부표{Flexible buoy}
본 발명은 가요성 부표(buoy)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수중에서의 리그(rig)의 계류삭(係留索) 등의 부설이나 해체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가요성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해에서의 석유 굴삭 리그 등의 계류삭의 부설이나 해체에 사용되는 계류 부표에는 강철제의 부표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그렇지만, 석유 굴삭 리그는 굴삭 장소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시마다 앵커(anchor), 계류삭 및 계류 부표의 해체와 부설 공사가 반복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강철제 부표는 이동할 때마다 작업선(作業船)에 올리고, 다음의 굴삭 장소에서 내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그러나, 강철제 부표는 중량물인 동시에 강성이기 때문에, 작업선 및 작업선상의 물체와 접촉하면 손상되거나 작업선상의 스페이스를 점령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철제 부표는 완충성이 없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 충돌하면 자체가 움푹하게 들어가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또한, 강철제 부표는 잘못하여 규정의 수심보다 깊은 수역에서 사용된 경우 에는 수압에 의해 찌그러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찌그러져 버리면 강철제 부표의 회수는 곤란해지고, 가령 회수하였다고 해도 원형으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재사용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강철제 부표는 재료인 강철의 부식성때문에, 수중에 부설되어 있는 기간 중 정기적으로 육상으로 끌어올리거나 부식 방지 관리(maintenance)를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교환해야만 하였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3100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경량으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타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가요성 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요성 계류 부표는 보강층을 매설한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기밀성 중공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의 적어도 1개소에 기체 주입구를 구비한 페룰을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한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에 주입한 기체의 내압에 의해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정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보강층을 직포 또는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와, 둘레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로 구성하고, 또한 이 보강층에서의 둘레 방향의 인장 강성을 길이 방향의 인장 강성의 2배 이상 4배 이하로 함과 함께 상기 중공 구조체의 외측에 사슬로 형성한 연결 구조체를 외장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사슬 주위에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상체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육상에서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배치했을 때, 상기 중공 구조체의 최저면과 상기 육상면 사이에 간격 P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 P를 50mm 이상 100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1) 경량이고, 기체를 빼면 접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부설이나 해체 공사의 작업성이 좋고, 또한 육상 또는 선상에서의 보관을 쉽게 하고, 보관 스페이스도 확보하기 쉽게 한다.
(2) 가요성이기 때문에 수상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더라도 움푹하게 들어가거나 손상을 받거나 하지 않고, 또한 충돌한 배 등의 상대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3) 내압의 조절에 의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깊은 수중에서도 외압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여 원하는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4) 소정의 수심보다 깊게 들어가 눌려 찌그러진 경우에도 영구 변형되지 않고 원형(原形)으로 복원할 수 있다.
(5) 해수 등에 의해 잘 부식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는 상술된 바와 같은 가요성 부표를 단독 또는 복수개 연결하여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리고, 상기 가요성 부표의 하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가요성 부표의 페룰 근방에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가요성 부표의 외측에 연결 구조체를 외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가요성 부표를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육상에 둔 상태를 도시하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가요성 부표가 수중에 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단면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가요성 부표(1)는 보강층(C; 도 2 참조)을 매설한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구성되고, 기체 주입구를 갖는 페룰(4)을 설치한 기밀성의 중공 구조체(2)로서 형성된다. 중공 구조체(2)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이고, 기체를 뺀 상태에서 접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가요성 부표(1)는 수중 또는 수상에서 사용되고, 주입구로부터 공기 등의 기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여 고기밀성의 중공 구조체(2)의 내부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중공 구조체(2)를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한 원통형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공 구조체(2)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 통 모양(角筒狀)이어도 좋고 또는 중공의 구형(球狀)이어도 좋다.
페룰(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 장착 금구(7; clamper)를 개재하여 페룰구(8)를 장착하고, 이 페룰구(8)에 기체 주입구(9) 및 안전 밸브(10) 등의 적어도 1종류의 밸브를 장착한다. 또한, 페룰(4)은 맨홀(6; manhole)에서 페룰 장착 금구(7)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금속 링(B)에 가요성 막에 매설된 보강층(C)의 단부(Ca)를 권취시킴으로써 중공 구조체(2)에 장착된다.
보강층(C)은 복수개가 배열된 보강 코드 또는 직포(織布)로 구성되고, 가요성 막을 구성하는 고무 또는 수지 등의 가요성 부재에 매설되어 중공 구조체(2)가 내부로 압입되는 기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기능하고 있다. 보강 코드 및 직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 섬유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중공 구조체(2)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내부의 기체를 뺀 상태로 중공 구조체(2)의 접기가 용이해진다.
가요성 막은 가요성의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이 고무나 수지로서는 와사비 추출물이나 이소티아졸론 유도체 등의 방오(防汚) 성분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 표면 마찰 저항이 작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의 수지 등의 방오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중공 구조체(2)가 해수에 부식되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조개류 등의 해양 생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해양 생물의 부착에 의한 가요성 부표(1)의 부력 변화를 없애고 수중에서의 부력의 안정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해양 생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1)경량이고, 기체를 빼면 접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부설이나 해체 공사의 작업성이 좋고, 또한 육상 또는 선상에서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보관 스페이스도 확보하기 쉽게 하고, (2) 가요성이기 때문에 수상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더라도 움푹하게 들어가거나 손상을 받거나 하지 않고, 또한 충돌한 배 등의 상대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3) 내압의 조절에 의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깊은 수 중에서도 외압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여 원하는 부력을 유지할 수 있고, (4) 소정의 수심보다 깊게 들어가 눌려 찌그러진 경우에도 영구 변형되지 않고, 원형으로 복원할 수 있고, (5) 해수 등에 의해 부식되기 어렵고, 해양 생물 등의 부착에 의한 손상을 받기 어렵다는 등의 우수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중공 구조체(2)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보강층(C)의 구성을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와, 둘레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보강층(C)에서의 둘레 방향의 인장 강성을 길이 방향의 인장 강성의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4배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중공 구조체(2)를 구성하는 가요성 막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더욱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기체를 뺀 상태에서의 접기 작업이 용이하면서, 수심이 깊은 해양에서 사용하기 쉬워져 유리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중공 구조체(2)의 유연성을 높여 기체를 뺀 상태에서의 접기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층(C)을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교차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와,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의 경사로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 코드를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평행하게 배치한 복수의 플라이를 구성하고, 인접하는 플라이들 사이에서 보강 코드의 방향이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등각도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시켜 교차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인접하는 플라이들 사이에서의 코드 교차 각도를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9.5도로 설정하면 더욱 좋다. 이러한 교차 각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2)는 상기한 효과에 덧붙여 내부 압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기체의 주입구를 갖는 페룰(4)을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룰(4)은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장착하는 방법 외에, 양쪽 단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가요성 부표(1)를 경량화하여 취급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는, 한쪽 단부에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페룰(4)을 양쪽 단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주입구나 안전 밸브 등을 쌍방의 페룰에 분담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공 구조체(2)의 단부에 장착하는 페룰(4)은 원반형의 형태이고, 그 외경(R)을 중공 구조체(2)의 외경(H)에 대하여 10 내지 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초과시에는 접을 때의 작업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다른 물체와 충돌하였을 때에 손상을 받기 쉬워지고, 10% 미만의 경우는 주입구나 안전 밸브 등을 설치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주입구 등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강층(C)과 중공 구조체(2)의 부착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 구조체(2)의 기밀성 및 내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페룰(4)의 주위에 금속 링(B)을 설치하고, 금속 링(B)의 주위에 보강층(C)의 단부(Ca)를 꺽어 돌아오는 모양으로 결합하고, 그 보강층(C)의 꺽은 길이(L)를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 단부의 반구형 외형의 길이(M; 도 1 참조)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로 하면 좋다. 50% 초과시에는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는 반구형 부분에서의 경도(硬度)가 늘어 중공 구조체(2)를 접기 어렵게 되고, 5% 미만일 경우는 보강층(C)과 중공 구조체(2)의 장착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요성 부표(1)는 사용에 앞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구조체(2)의 주위에 사슬로 형성한 연결 구조체(3)를 외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 구조체(3)의 양단부에, 즉 연결 구조체(3)의 길이 방향 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조구(5, 5; 吊具: 연결 구조체를 매달 수 있는 부품)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구조체(3)는 중공 구조체(2)를 외부로부터의 물체의 충돌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수중에서의 사용시 중공 구조체(2)를 외부로부터 감싸 중량물을 매다는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구조체(3)를 구성하는 사슬(3a; 도 4 참조)의 주위에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상체(11; 筒狀體)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연결 구조체(3)를 구성하는 사슬(3a)이 직접 중공 구조체(2)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막는 동시에, 사슬(3a)이 작업선이나 작업선상의 물체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통상체(11)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는, 와사비 추출물이나 이소티아졸론 유도체 등의 방오 성분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 표면 마찰 저항이 작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의 고무나 수지 등으 로 이루어지는 방오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조개류 등의 해양 생물이 부착하기 어려워져 해양 생물의 부착에 따른 부력의 변화가 없고, 또 부착된 해양 생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거의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 부표(1)를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을 육상에서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배치하였을 때, 중공 구조체(2)의 최저면과 육상면(G) 사이에 간격(P)을 형성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P)은 사슬(3a) 및 통상체(11)의 외경(d)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 간격(P)은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m 이상 100mm 이하로 설정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중공 구조체(2)가 작업선의 데크(deck) 등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중공 구조체(2)가 손모(損耗)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요성 부표(1)를 작업선에 올릴 때 데크상에 있는 어떤 여러가지 물체로부터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요성 부표(1)를 수상에 부설하는 경우에는 수심에 따른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보강층(3) 및 가요성 막을 갖는 중공 구조체(2)를 준비하고, 이것에 장착된 페룰(4)의 주입구(9)로부터 공기 등의 기체를 주입하여 중공 구조체(2)를 소정의 내압이 될 때까지 부풀릴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중공 구조체(2) 주위에 연결 구조체(3)를 외장한 후, 가요성 부표(1)를 단독 또는 복수개 연결(도 5 참조)하여 수중에 내려뜨려 사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렸을 때, 중공 구조체(2)의 하단부와 연결 구조체(3)의 하단부 사이에 간 격(Q)을 형성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Q)의 조정은 연결 구조체(3)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 간격(Q)은 바람직하게는 200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m 이상 2000mm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또한, 가요성 부표(1)를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렸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4)측을 하측으로 하여 내려뜨리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간격(Q)을 형성함으로써, 가요성 부표(1)의 하측에 장착된 페룰(4)이나 주입구가 연결 구조체(3)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가요성 부표(1)가 풍랑 등에 의해 상하로 강하게 동요하더라도 페룰(4)이나 주입구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부표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심에 따른 수(數)의 가요성 부표(1)를 중공 구조체(2)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리고, 연결 구조체(3)의 최하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중량물의 중량을 경감하는 역할이나 수상 또는 수중에 부유시켜 두는 역할을 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복수개의 가요성 부표(1)를 연결하여 수중에 내려뜨리는 경우에는,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연결 구조체(3)의 단부에 설치된 조구(5)들끼리를 로프나 체인(3b)에 의해 연결하여 수중에 내려뜨리고, 가장 낮은 물 바닥측에 설치된 조구(5w)에 도시하지 않은 중량물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요성 부표를 수중에 내려뜨려 최하단부에 중량물을 연결시킴으 로써 수중에서 가요성 부표(1)가 안정된 상태로 정지하기 때문에, 로프나 체인(3b)에 불필요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가요성 부표(1)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큰 부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무거운 중량물을 매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중의 중량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계류삭, 수중 설치물과 연결한 밧줄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중공 구조체(2)의 형상이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하는 대략 원통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중공 구조체(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 통 모양이어도 좋고, 중공의 구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이고, 기체를 빼면 접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상에서의 부설이나 해체 공사의 작업성이 좋고, 또한 육상 또는 선상에서의 보관을 쉽게 하고, 보관 스페이스도 확보하기 쉬우며, 가요성이기 때문에 수상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하더라도 움푹하게 들어가거나 손상을 받거나 하지 않고, 또한 충돌한 배 등의 상대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내압의 조절에 의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깊은 수중에서도 외압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여 원하는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소정의 수심보다 깊게 들어가 눌려 찌그러진 경우에도 영구 변형되지 않고 원형(原形)으로 복원할 수 있으며, 또한 해수 등에 의해 잘 부식되지 않는 가요성 부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1)

  1. 보강층을 매설한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기밀성 중공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의 적어도 1개소에 기체 주입구를 구비한 페룰을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한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에 주입한 기체의 내압에 의해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정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보강층을 직포 또는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와, 둘레 방향에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로 구성하고, 또한 이 보강층에서의 둘레 방향의 인장 강성을 길이 방향의 인장 강성의 2배 이상 4배 이하로 함과 함께 상기 중공 구조체의 외측에 사슬로 형성한 연결 구조체를 외장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사슬 주위에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상체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육상에서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배치했을 때, 상기 중공 구조체의 최저면과 상기 육상면 사이에 간격 P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 P를 50mm 이상 100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보강층을 매설한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막에 의해 기밀성 중공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의 적어도 1개소에 기체 주입구를 구비한 페룰을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반구형으로 한 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 구조체에 주입한 기체의 내압에 의해 수중에서의 부력을 조정 가능하게 함과 함께 상기 보강층을 직포 또는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교차하도록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한 복수의 보강 코드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중공 구조체의 외측에 사슬로 형성한 연결 구조체를 외장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사슬 주위에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상체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육상에서 수평으로 안정적으로 배치했을 때, 상기 중공 구조체의 최저면과 상기 육상면 사이에 간격 P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 P를 50mm 이상 100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페룰을 설치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외경을 상기 중공 구조체의 외경의 10 내지 50%로 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의 주위에 금속 링을 설치하고, 상기 금속 링의 주위에 상기 보강층의 단부를 꺽어 돌아오는 모양으로 결합하고, 그 보강층의 꺽은 길이를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 단부의 반구형 외형의 길이의 50% 이하로 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막을 방오성 재료로 구성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를 방오성 재료로 구성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렸을 때, 상기 중공 구조체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 구조체의 하단부 사이에 간격(Q)을 형성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Q)은 200mm 이상인, 가요성 계류 부표.
  19. 상기 중공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하여 수중에 내려뜨리고, 그 최하단부에 중량물을 연결하도록 한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가요성 계류 부표의 사용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수중에 내려뜨리는, 가요성 계류 부표의 사용 방법.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이 상기 보강 코드의 인접하는 플라이들 사이에서의 교차 각도를 100 내지 120도로 하는, 가요성 계류 부표.
KR1020067024532A 2004-04-30 2005-04-28 가요성 부표 KR101163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5346 2004-04-30
JPJP-P-2004-00135346 2004-04-30
PCT/JP2005/008119 WO2005105564A1 (ja) 2004-04-30 2005-04-28 可撓性ブ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993A KR20070004993A (ko) 2007-01-09
KR101163975B1 true KR101163975B1 (ko) 2012-07-09

Family

ID=3524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532A KR101163975B1 (ko) 2004-04-30 2005-04-28 가요성 부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1965B2 (ko)
EP (1) EP1746023B1 (ko)
JP (1) JP4748062B2 (ko)
KR (1) KR101163975B1 (ko)
BR (1) BRPI0509825A (ko)
WO (1) WO2005105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29Y1 (ko) 2013-11-11 2014-05-20 (주)정진누리마루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6018B2 (ja) * 2005-11-11 2011-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可撓性浮体
JP5556045B2 (ja) * 2009-03-31 2014-07-23 横浜ゴム株式会社 海中ブイ
US8087371B1 (en) * 2009-09-25 2012-0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ployable and inflatable f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JP5540853B2 (ja) * 2010-04-12 2014-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ロートの自沈方法
JP4941589B1 (ja) 2010-11-26 2012-05-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搬送方法
KR200468881Y1 (ko) * 2011-05-20 2013-09-06 김중협 오징어잡이 배 정체망 연결추
CN103434623B (zh) * 2013-08-12 2016-12-28 大连巅峰橡胶机带有限公司 一种超大型漂浮护舷组合装置
KR102280800B1 (ko) * 2021-02-10 2021-07-22 주식회사 알루부이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
KR102553599B1 (ko) * 2021-03-02 2023-07-17 주식회사 전진산업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3400A (en) * 1960-08-17 1962-11-13 Yokohama Rubber Co Ltd Floating ship fender
JPS62170856U (ko) * 1986-04-21 1987-10-29
JP2002264885A (ja) * 2001-03-06 2002-09-18 Zeni Lite Buoy Co Ltd 浮揚構造物の係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076B2 (ko) * 1972-06-05 1976-11-26
JPS5928689B2 (ja) * 1978-03-03 1984-07-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円筒胴を受衝面とする空気式防げん材
US4197233A (en) * 1978-03-15 1980-04-08 Kennecott Copper Corporation Anti-fouling and anti-sliming coating material
US4273065A (en) * 1979-12-06 1981-06-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nergy absorbing device
JPS6158753A (ja) 1984-08-31 1986-03-26 Fujitsu Ltd 印刷制御鑑査方式
JPS6158753U (ko) * 1984-09-22 1986-04-19
JPS62137295A (ja) * 1985-12-11 1987-06-20 Bridgestone Corp 水中用荷物吊上げ装置
JPH0248639B2 (ja) 1986-05-02 1990-10-25 Mitsuzo Odagaki Zenjidometsukisochi
JPS6324097U (ko) * 1986-08-01 1988-02-17
US4924796A (en) * 1988-04-11 1990-05-15 Nelson A. Taylor Co., Inc. Replaceable inflation valve
JPH0824850B2 (ja) 1989-06-23 1996-03-13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物乾燥調製施設における穀物品質検出装置
JPH05278150A (ja) * 1992-04-03 1993-10-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2901B2 (ja) * 1992-04-07 2002-09-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製袋体の製造方法
JP3690898B2 (ja) 1997-05-09 2005-08-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洋上石油積出し設備
JP4219007B2 (ja) * 1998-06-01 2009-02-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用チェーンネット
JP2003090025A (ja) * 2001-09-14 2003-03-2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用保護カバー
JP4255325B2 (ja) 2002-08-07 2009-04-15 横浜ゴム株式会社 水中運搬装置及びこの水中運搬装置を用いた引き上げ対象物の運搬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3400A (en) * 1960-08-17 1962-11-13 Yokohama Rubber Co Ltd Floating ship fender
JPS62170856U (ko) * 1986-04-21 1987-10-29
JP2002264885A (ja) * 2001-03-06 2002-09-18 Zeni Lite Buoy Co Ltd 浮揚構造物の係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29Y1 (ko) 2013-11-11 2014-05-20 (주)정진누리마루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6023A1 (en) 2007-01-24
JPWO2005105564A1 (ja) 2008-03-13
EP1746023B1 (en) 2014-04-09
WO2005105564A1 (ja) 2005-11-10
US20070275614A1 (en) 2007-11-29
EP1746023A4 (en) 2012-03-21
JP4748062B2 (ja) 2011-08-17
US7421965B2 (en) 2008-09-09
BRPI0509825A (pt) 2007-10-23
KR20070004993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975B1 (ko) 가요성 부표
US7140599B1 (en) Coupl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rine barriers
RU2607492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швартовочной систем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US6767162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apidly installed breakwater
EP3265641B1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CN102481970B (zh) 海上建筑的防护装置
JPH09508186A (ja) 高張力脚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その架設方法
US10138714B2 (en) Subsea noise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DK2638236T3 (en) RISK UNIT AND PROCEDURE
US20140205383A1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RU2328589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US20200063390A1 (en) Containment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06272973A2 (en) An artificial reef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artificial reef
EP1735505B1 (en) Stepped tendon with sealed bulkheads for offshore platform
KR20140046681A (ko) Tlp의 계류 시스템
RU2418222C2 (ru) Способ прокладки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глубоководного перехода
ES2639399T3 (es) Conector de cadena retráctil
JPH11140856A (ja) 浮体構造物
KR101164221B1 (ko) 다기능 경량 등부표
RU2574427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одводного шумоподавления
KR20160003562U (ko) 라이저 보호용 부유식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