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599B1 -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599B1
KR102553599B1 KR1020210027186A KR20210027186A KR102553599B1 KR 102553599 B1 KR102553599 B1 KR 102553599B1 KR 1020210027186 A KR1020210027186 A KR 1020210027186A KR 20210027186 A KR20210027186 A KR 20210027186A KR 102553599 B1 KR102553599 B1 KR 10255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floating
diving
aquacultur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3803A (ko
Inventor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진산업
Priority to KR102021002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서 굴, 김 등의 수산물 양식하기 위하여 물에 띄우는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수면에 뜨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상부표와 이들 부상부표의 아래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견인바의 끝단 고리에 잠수부표를 각각 1개씩 연결하고, 잠수부표의 하단에 형성한 견인바 끝단의 고리에 양식그물의 상단을 연결하여, 바닷물의 너울로 인한 부상부표의 동작충격이 양식그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부상부표에 부표의 잠수량을 식별하는 측정눈금을 구성하여 어패류의 성장정도를 확인하도록 하는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이다.
상기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이즈가 크고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체크밸브를 구성하며, 표면에 상측과 하측의 모양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식별이 가능한 측정눈금을 형성하도록 연결하여 부표의 잠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표식을 일체로 성형한 부상부표와; 상기 부상부표의 1/2 크기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하여 구성한 잠수부표와; 상기 부상부표와 잠수부표의 상,하측에 일체로 구성하고, 그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견인바를 구성하여, 상기 부상부표 하측의 양측에 형성한 견인바의 고리에 각각 잠수부표를 연결하여 양식용 부표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Buoy for aquaculture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바다에서 굴, 김 등의 수산물 양식하기 위하여 물에 띄우는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굴, 김 등의 수산물 양식하기 위해서는 물에 뜨는 부표에 수산물의 종자 또는 종패를 심은 밧줄을 연결하여 양식한다.
이때의 부표는 밧줄에 고정되어 부력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바다 위에 뜨서 양식망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게 된다.
이와 같은 어패류를 양식하는데 필수 불가결하게 사용되는 부표는 파도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어패류가 서식하는 양식망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야 만 어패류에 스트레스를 주지않아 양식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있다.
이에 지금까지는 단순히 부표의 부력만 고려하여 합성수지계, 합성수지 피복제, EVA 폼, UV코팅된 고밀도(High Density)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고강도 고무 파이프 및 우레탄, FRP 등으로 제작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부구를 폐기처분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되어 부표를 공급하면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알아서 설치하여 양식을 하는 실태이다.
이에 지금까지 개발된 대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95424호(2001.04.10)는 플로트 본체의 강도를 높인 구조의 부력 조절 식 플로트를 제공하고, 파동의 흔들림에 의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부력의 안정성을 얻는 것과 동시에, 보온 등의 종합적인 조작성의 향상, 부력의 조정 작업 등, 총체적 취급성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양 단면을 부풀린 원통형 중공 체의 플로트 본체의 거의 중앙에 빈 중공 관을 세워 외력의 변형에 강한 구조 플로트로서, 흡기 밸브가 고정된 상단 포트를 갖춘 밸브의 복수의 연통 구멍에서 플로트 본체에 공기와 물을 공급하고, 밸브의 반대편에 배치된 급수용 개구부에 플로트 본체의 외부로만 배수하는 단방향 밸브가 형성되어 파도에 의한 플로트 내부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의 압력 저하 없이 안정된 부력을 주는 단방향 밸브로 부력을 조절하는 흡입 압력으로 개폐되어 내부압이 일정하도록 한 부력 조절 식 플로트로서, 파동의 흔들림에 의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부력의 안정성을 얻는 것과 동시에, 보온 등의 종합적인 조작성의 향상과 부력의 조정 작업 은 물론, 파도에 의한 부동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흡기밸브와 배수용 단방향 밸브의 상호 작용으로 내부의 압력 저하 없이 안정된 일정한 압력으로 안정된 부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특허출원 제특허출원 제10-2010-0013188호(2010.02.12.)는,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앙에 내부와 연결되는 삽입공을 갖는 밸브고정부가 일측에 형성된 부표몸체와 상기 밸브고정부에 삽입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부표밸브로 구성되는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표에 있어서, 상기 부표밸브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밸브고정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챔버; 하부가 밀폐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챔버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내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연질성의 하우징; 및 둥근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캡부와, 상기 하우징을 통한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캡부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져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는 밀착부로구성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될 때 개방되고 상기 부표몸체 내부 공기압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절개된 형상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잔고장이 없으며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편리할 뿐 아니라 공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허출원 제10-2005-0032816호(2005.04.15)는, 제조가 손쉽고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며 야간에 식별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누구의 양식장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산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로어 성형방법으로 구형의 공모양으로 된 내피를 제조하고, 내피를 소정의 금형에 넣은 상태로 성형하여 내피와 외피가 일체로 된 부구를 성형함으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고 외관이 단정한 부구를 제조하되, 내피 표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한 뒤 이를 소정의 금형에 넣은 상태에서 투명수지로서 외피를 성형하여 내피와 외피가 일체로 된 부구를 성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시 야간 식별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내부에 내피가 인서트(Insert)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서 접합부위가 전혀없어 부구의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피가 투명소재인데다가 내피 표면에 야광도료를 도포함으로서 야간 식별력이 뛰어나고, 더불어 상기 내피 표면에 소유자표기를 비롯한 소유자의 상호 등을 인쇄 또는 표기한 뒤 외피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어 소유자 식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는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게 된다. 특허출원 제10-2016-0180879호(2016.12.28)는 양식장, 어장표식, 그물표식 등 해상용 어로 표식과 선박의 안전항해를 위한 항로표지용 중공형 부구 및 승선자의 안전을 위한 각종 구명용품을 포함하는 소재의 부력 및 완충성이 요구되는 각종 해상활동 용구인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와 차폐된 하나 이상의 중공의 부력 공간부가 형성된 중공 라이너 조립체를 조립하여 형성하는 중공 라이너 조립체 형성공정과; 상기 중공의 부력 공간부가 형성된 중공 라이너 조립체를 인서트 사출 금형의 성형공간 내에 배치한 다음, 상기 성형공간 내에 용융물을 주입 및 냉각시켜 중공 라이너 조립체에 의해 중공을 형성한 중공 몰드 성형체를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중공 몰드 성형체는, 인서트된 중공 라이너 조립체에 의해 중공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 라이너 조립체 형성공정에서는, 중공 라이너 조립체의 외벽에 복수의 중심 정렬핀들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공정에서는, 상기 중공 라이너 조립체의 외벽에 돌출 형성된 중심 정렬핀들이 인서트 사출 금형장치의 성형공간의 내벽을 지지하여서, 중공 라이너 조립체를 성형공간의 중심부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이다. 특허출원 제10-2017-0033555호(2017.03.17)는 어구용 부구의 본체를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소재로 제조하되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구성하고 하부체에는 상온에서 기체화되는 증발체를 주입한 비닐봉지를 넣고 상부체와 하부체를 열융착하여 본체가 밀폐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밀폐된 본체 내부에서 증발체가 기체화되면서 비닐봉지가 팽창하여 본체 내면에 밀착되면서 본체 내부에 내부압이 형성되게 하고 본체의 외면에는 걸이부를 형성함에 따라 어구용 부구 내부에 높은 내부압을 형성하므로서 부력이 높아 종패류의 성장에도 어구용 부구가 수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내부압은 어구용 부구 전체를 내부에서 일정압력으로 지지해주므로 파도나 조류에 휩쓸려 바다 깊이 내려가도 수압 등 외력에 의하여 쉽게 찌그러지거나 균열 등의 손상 또는 파손되지 않아 견고성이 높으며, 어구용 부구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어 부구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비닐봉지가 본체를 보강하여 본체가 파손, 손상되어도 내부압이 유지되게 하고, 어민들이 운반 사용하기가 쉽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8-0006209호(1998.04.20.)는 공해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합성인조고무나 연질합성수지를 이용한 부구에 관한 것으로, 로프연결구가 형성되도록 고무로 형성된 부구와, 상기 부구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를 구비함으로서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한 고안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16306호(2009.12.15)는 해수면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부구의 부력기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부구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지 않아도 되며 충격 또한 외부로부터가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부구를 만들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부구가 되도록 어구용 부구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어 주벽 두께2~3mm 되는 원통형을 이루고 주벽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환상의 보강체가 나란히 돌출 형성되며 양단 개방부 외주연에 외향 플랜지로 된 접합부가 형성되고 중앙내부에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벽에 걸고리가 형성된 몸체부와,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어 주벽두께 2~3mm 되며 반구형체로 이루어져 내면중심에서 외주방향으로 방사형의 보강체가 형성되고 개방부 외주연을 따라 외향 플랜지로 된 접합부가 형성된 커버체로 이루어져 커버체의 접합부를 몸체부의 양단 접합부에 융착하여 내부에 칸막이로 구획된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시킨 어구용 부구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02323호(2001.02.01)는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 안정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어구용 부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어구용 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구 몸체 테두리에 환형지지테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테 외면에 방수시트를 고주파 접착방법으로 접착되게 한 다음, 체결밴드로 결합되게 하고, 일측 부구몸체에 구성된 주입관체는 요입부 내에 구성되게 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며, 상기 주입관체 내측에는 튜브를 끼운 다음 체결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튜브 내에 공기를 주입하면 팽창하면서 방수시트와 튜브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부상부표와 잠수부표를 구성하고, 상기 부상부표와 잠수부표의 하측양단에 연결공을 형성한 견인바를 구성하여 하나의 부상부표에 2개의 잠수부표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다의 너울로 발생하는 출렁임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충격이 양식망에 최소로 전달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조류를 양식하는 양식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해수면에 뜨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상부표와 이들 부상부표의 아래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견인바의 끝단 고리에 잠수부표를 각각 1개씩 연결하고, 잠수부표의 하단에 형성한 견인바 끝단의 고리에 양식그물의 상단을 로프로 연결하여, 바닷물의 너울로 인한 부상부표의 동작충격이 양식그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부상부표에 부표의 잠수량을 식별하는 측정눈금을 구성하여 어패류의 성장정도를 확인하도록 하는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를 실시하기 위하여, 사이즈가 크고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체크밸브를 구성하며, 표면에 상측과 하측의 모양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표식을 구성하고, 이들 표식 사이를 부상부표의 잠수량이 식별 가능하도록 측정부를 형성한 부상부표와; 상기 부상부표의 1/2 크기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하여 구성한 잠수부표와; 상기 부상부표와 잠수부표의 하측 양단에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견인바를 구성하여, 상기 1개의 부상부표에 2개의 잠수부표를 일체로 연결하여 양식용 부표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잠수부표와 부상부표를 구성하고 상기 부상부표와 잠수부표에 일체로 구성한 2개의 견인바에 2개의 잠수부표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다의 너울로 발생하는 출렁임을 최대한 흡수하여 출렁임 충격이 양식망에 최소로 전달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양식이 이루져서 보다 빠른 양식효율을 기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상부표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잠수부표 구성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구조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조류를 양식하는 양식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해수면에 뜨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상부표(10)와 이들 부상부표(10)의 아래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견인바(11)의 끝단 고리(12)에 2개의 잠수부표(20)를 결합하고, 잠수부표(20)의 하단에 형성한 견인바(21) 끝단의 고리(22)에 양식그물(50)의 상단을 연결하여, 바닷물의 너울로 인한 부상부표(10)의 흔들림 충격이 양식그물(5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부상부표(10)에 부상부표(10)의 잠수량을 식별하는 측정부(31)를 구성하여 어패류의 성장 정도를 확인하도록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를 실시한다.
상기한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성형한 부표에 있어서,
사이즈가 크고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체크밸브(13)를 구성하며, 표면에 상측과 하측의 모양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표식(30)을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잠수 정도를 식별이 가능한 측정부(31)를 형성하여 잠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표식(30)을 일체로 성형한 부상부표(10)와;
상기 부상부표(10)의 1/2 크기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하여 구성한 잠수부표(20)와;
상기 부상부표(10)와 잠수부표(20)의 하측에는 끝단에 고리(12)(22)를 형성한 견인바(11)(21)를 구성하여 상기 1개의 부상부표(10) 견인바(11)의 고리(12)에 2개의 잠수부표(20)를 연결고리(40)로 일체로 연결하여 양식용 부표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부상부표(10)의 체크밸브(13)에 결합하여 밀폐하는 체크밸브캡(14)을 일체로 구성한 표식봉(36)에 발광표식(35)을 구성하여 체크밸브(13)를 밀폐함과 동시에 별도의 발광표식(35)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표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이즈가 크고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체크밸브(13)를 구성하며, 적어도 일면이 원호상으로 내향 만곡진 면을 형성하거나 평면을 이루도록 부상부표(10)를 성형한다.
상기 부상부표(10)의 내향 만곡지거나 평면을 구성한 면에 표식(20)을 일체로 융착 성형한다.
이때, 부상부표(10)의 표면에 일체로 융착하는 표식(30)은 상측과 하측의 삼각모양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고, 이들 사이를 식별이 가능한 측정부(31)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상부표(10)의 체크밸브(13)에 체크밸브캡(14)을 구성하여 체크밸브(13)를 보호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캡(14)을 일체로 형성한 표식봉(36)의 끝단에 별도의 발광표식(35)을 구성하여 체크밸브(13)에 체크밸브캡(14)을 결합 함으로써 별도의 발광표식(35)을 갖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표식(35)은 야광체로 형성하거나 전등으로 구성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상부표(10)의 1/2 크기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한 잠수부표(20)를 성형한다.
여기서 잠수부표(20)의 내부 공간에는 대기압상태가 되어 밀봉된다.
이와 같이 잠수부표(10)의 사이즈가 부상부표(20)의 1/2가 되고 내부압을 대기압으로 하여 밀봉상태로 구성함은 잠수부표(20)의 부력이 부상부표(10) 보다는 낮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상부표(10)와 잠수부표(20)의 하측 양단에 고리(12)(22)를 형성한 견인바(11)(21)를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부상부표(10) 하측의 양측에 형성한 견인바(11)의 고리(12)에 2개의 잠수부표(20)를 연결고리(40)로 결합하여 양식용 부표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견인바(11)는 신축성과 접힘이 유리하도록 "ㄹ"자형이 연속되는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함이 유리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부상부표(10)와 잠수부표(20)를 이용하여, 부상부표(10)는 해수면에 뜨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상부표(10)의 아래 양측에 일체로 형성한 견인바(11)의 끝단 고리(12)에 잠수부표(20)를 각각 1개씩 연결고리(40)로 연결하고, 잠수부표(20)의 하단에 형성한 견인바(21) 끝단의 고리(22)에 양식그물(50)의 상단 을 연결하여 설치한 다음 부상부표의 상단 고리(12)를 로프(51)로 연결하면, 바닷물의 너울로 인한 부상부표(10)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동작충격이 양식그물(50)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 되어 양식그물(50)이 흔들리거나 털어내는 충격이 최소화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양식그물(50)에 붙어 서식하는 어패류의 성장이 촉진된다.
이때, 상기 부상부표(10)에 구성한 측정부(31)로 부상부표(10)의 잠수량을 식별하여 어패류가 양식그물(50)에 붙어 성장한 정도를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양식용 부표 설치구조를 실시하게 된다.
10: 부상부표 11: 견인바 12: 고리
13: 체크밸브 14: 체크밸브캡 20: 잠수부표
21: 견인바 22: 고리 30: 표식
31: 측정눈금 35: 발광표식 36: 표식봉
40: 연결고리 50: 양식그물 51: 로프.

Claims (3)

  1. 내부에 공기실을 갖도록 튜브로 성형한 부표에 있어서,
    사이즈가 크고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체크밸브(15)를 구성하며, 표면에 상측과 하측의 모양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표식(30)을 구성하고, 상기 표식(30) 사이를 잠수정도 식별이 가능한 측정부(31)를 형성한 표식(30)을 일체로 성형한 부상부표(10)와;
    상기 부상부표(10)의 1/2 크기로 내부공간을 외부와 밀폐하여 구성한 잠수부표(20)와;
    상기 부상부표(10)와 잠수부표(20)의 하측에는 끝단에 고리(12)(22)를 형성한 견인바(11)(21)를 구성하여 상기 1개의 부상부표(10) 견인바(11)의 고리(12)에 2개의 잠수부표(20)를 연결고리(40)로 일체로 연결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표(10)의 체크밸브(13)에 결합하여 밀폐하는 체크밸브캡(14)을 일체로 구성한 표식봉(36)에 발광표식(35)을 구성하여 체크밸브(13)를 밀폐함과 동시에 별도의 발광표식(35)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부표.
  3. 삭제
KR1020210027186A 2021-03-02 2021-03-02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KR10255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186A KR102553599B1 (ko) 2021-03-02 2021-03-02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186A KR102553599B1 (ko) 2021-03-02 2021-03-02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03A KR20220123803A (ko) 2022-09-13
KR102553599B1 true KR102553599B1 (ko) 2023-07-17

Family

ID=8328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186A KR102553599B1 (ko) 2021-03-02 2021-03-02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5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632Y1 (ko) 1998-06-17 2000-12-01 신귀열 양식용 부구연결구
JP3181957B2 (ja) * 1991-12-16 2001-07-03 モーク・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義足用液圧制御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2643B2 (ja) * 1993-07-23 1998-10-22 日立造船株式会社 浮漁礁
KR980006209U (ko) 1996-07-26 1998-04-30 육상수 포리카보라이트톱과 스테인레스보디의 조립찌
KR20010002323U (ko) 1998-12-18 2001-10-23 구자홍 실외기 결빙방지장치가 구비된 히트펌프 공기조화기
JP2001095424A (ja) 1999-09-30 2001-04-10 Molten Corp 浮力調整型フロート
KR100986532B1 (ko) 2003-10-02 201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BRPI0509825A (pt) * 2004-04-30 2007-10-23 Yokohama Rubber Co Ltd bóia flexìvel e método para uso da mesma
KR100842381B1 (ko) * 2006-12-18 2008-07-01 김홍길 부상력 측정기
KR101298398B1 (ko) 2008-07-30 2013-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10011895U (ko) * 2010-06-18 2011-12-26 최승국 중층 부구와 수심 조절 로프를 형성하여 양식 로프의 수심 조절이 용이한 수산물 양식장치
JP3181957U (ja) * 2012-12-17 2013-02-28 株式会社東北総合研究社 帆立貝養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957B2 (ja) * 1991-12-16 2001-07-03 モーク・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義足用液圧制御ユニット
KR200205632Y1 (ko) 1998-06-17 2000-12-01 신귀열 양식용 부구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03A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7938B1 (en) Animal toy with floatation device
US8327576B2 (en) Floating fishing tackle box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5536679A (ja)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KR101792551B1 (ko)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142B1 (ko) 부구 조립체
KR102553599B1 (ko)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KR20190021585A (ko)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US4672764A (en) Portable game fish attracting device
KR101789797B1 (ko) 양식용 친환경 부자
US4023297A (en) Decoy products for game birds with compact nesting facilities
US20130174786A1 (en) Aquatic feeding device
JP2007000039A (ja) 牡蠣筏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1923A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양식용 부자
KR102392220B1 (ko) 양식장용 부표의 표식 융착방법과 구조 및 표식
CN208317917U (zh) 一种新型象拔蚌养殖笼
CN211532431U (zh) 一种去壳材料电子漂
KR200317819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102392219B1 (ko)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27105Y1 (ko) 낚시찌
CN205455366U (zh) 一种带海浪空压泵的人工鱼礁
KR102184091B1 (ko) 구명구 기능이 구비된 낚시 가방
US20100251597A1 (en) Roman's movable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