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381B1 - 부상력 측정기 - Google Patents

부상력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381B1
KR100842381B1 KR1020060129349A KR20060129349A KR100842381B1 KR 100842381 B1 KR100842381 B1 KR 100842381B1 KR 1020060129349 A KR1020060129349 A KR 1020060129349A KR 20060129349 A KR20060129349 A KR 20060129349A KR 100842381 B1 KR100842381 B1 KR 10084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tation
force
measuring
scale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442A (ko
Inventor
김홍길
Original Assignee
김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길 filed Critical 김홍길
Priority to KR102006012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381B1/ko
Priority to JP2007125696A priority patent/JP2008148686A/ja
Publication of KR2008005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에 사용하는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의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된 부상력을 나타내기 위한 눈금부;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하면 부상력 측정기를 바로 서도록 하는 몸체부; 및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고, 부상력 측정기의 0 점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가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상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찌, 봉돌, 수중찌 등의 부상력을 간단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찌, 봉돌, 낚시, 측정, 부상력

Description

부상력 측정기{Levitation Power Measuring Instru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눈금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몸체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다리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형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형추를 장착한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상력 측정기 110: 눈금부
120: 몸체부 130: 다리부
210: 하단부 310: 제 1 결합 홈
320: 제 2 결합 홈 410: 상단부
420: 균형추 결합부 510: 하부 균형추
520: 상부 균형추 610: 봉돌
본 발명은 부상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에 사용하는 채비에 사용하는 찌 또는 수중찌의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서 흔히들 말하는 부력은 뜨는 물체에만 있는 것으로 말해지고 있으나 낚시에서 사용하는 부력을 정의하면 '뜨는 물체에 대하여 그 물체를 완전히 유체 내로 잠기게 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힘'이므로, 원래의 부력의 정의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고, 침력이라 하여 '가라앉는 물체에 대하여는 그 값을 음으로 하고, 무게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을 뺀 값'으로 하고 그 값은 음수로 표시한다. 낚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력과 침력이란 것은 표기상으로 볼 때 유체역학에서 말하는 부상력과 같은 개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낚시에 사용되는 찌 또는 수중찌에는 부상력의 한 가지 단위인 호수가 표기되어 있다. 처음에는 봉돌의 크기가 기준이 되어 위의 호수를 표기하도록 함으로써, 1 돈(3.75 g)의 납으로 만들어진 봉돌을 1호라고 규정하였으며, 점차 봉돌의 호수를 음수로 표기하고, 이에 상응하는 부상력을 지닌 찌를 1호로 규정하고 있다.
낚시에서는 납 3.75 g과 같은 가라앉는 힘을 가진 수중찌나 봉돌을 -1호로 표기하는 데, 일반적으로 낚시하는 상황에서 보면 수중찌나 봉돌이 납이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경우에는 순수한 납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무게를 이용하여 그 가라앉는 힘을 알기 어려워 호수를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찌나 봉돌 등의 가라앉는 힘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그 부피와 무게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고, 계산식을 알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찌의 경우에는 호수를 표기하기 위하여 바닷물과 같은 비중의 유체 내에서 정확히 표시된 표준 봉돌을 결합하여 호수를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낚시를 할 때에 사용하는 찌, 봉돌 및 수중찌 등의 부상력을 측정할 수 있는 부상력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낚시에 사용하는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의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된 부상력을 나타내기 위한 눈금부;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하면 부상력 측정기를 바로 서도록 하는 몸체부; 및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고, 부상력 측정기의 0 점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가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낚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력은 뜨는 물체에 대하여 그 물체를 완전히 유체 내로 잠기게 하는데 필요한 힘으로 정의할 수 있고, 유체역학에서 말하는 부상력과 그 의미가 동일하므로, 낚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부력을 부상력으로 표현하고,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력은 유체가 유체 내의 물체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힘의 뜻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100)는 눈금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눈금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금부(110)는 측정한 부상력에 대응하는 호수를 표기하는 데, 동일한 부피 간격으로 눈금을 표기하도록 하는 데, 그 모양에 구애받지 않으나 동일한 부피에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원기둥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한 내구성을 가지는 가벼운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눈금부(110)는 부상력의 값이 음수 형태인 봉돌 및 수중찌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과 부상력의 값이 양수 형태인 찌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을 구비하고 있다.
눈금부(110)의 하단부(210)는 몸체부(120)와의 결합을 위하여 볼트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눈금부(110)에 표기하는 눈금의 위치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눈금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1호 봉돌에 작용하는 바닷물의 부력을 계산하여야 하는데, 부력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부력 = 유체에 잠겨있는 부피×유체의 밀도×중력가속도
납의 밀도가 11.3437 g/㎤이고, -1호 봉돌이 3.75 g의 질량을 가지므로, -1호 봉돌의 부피는 납의 질량을 납의 밀도로 나눈 값인 0.330 ㎤가 되고, 위의 부력 계산식에 -1호 봉돌의 부피인 0.330 ㎤와 바닷물의 평균밀도인 1.03 g/㎤를 대입하면 -1호 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은 0.34 g중이다. -1호 봉돌의 무게인 3.75 g중에서 -1호 봉돌에 작용하는 부력인 0.34 g중을 빼면 -1호 봉돌의 가라앉는 힘은 약 3.42 g중이다.
따라서, 눈금은 바닷물에서 3.42 g중의 부력을 받는 부피인 3.320 ㎤ 간격으로 1호의 표기가 되고, 그 간격은 눈금부(110)의 굵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10 등분하여 0.1호로 표시되며, 같은 방식으로 이하 단위의 표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눈금부(110)가 직경이 8 mm인 굵기가 일정한 원기둥 형태라면 3.320 ㎤의 부피를 원기둥의 윗면 넓이인 3.14 × 0.4 ×0.4 = 0.5024 ㎠로 나눈 값인 약 6.6 cm 간격으로 1호가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20)는 부상력 측정기(100)가 입수하는 경우에 부상력 측정기(100)를 바로 서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눈금 부(110)를 결합하기 위한 제 1 결합 홈(310)과 다리부(130)를 결합하기 위한 제 2 결합 홈(320)을 포함하고, 제 1 결합 홈(310) 및 제 2 결합 홈(320)은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 형태로 형성된 눈금부(110)의 하단부(210)과 다리부(130)의 상단부(410)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결합 홈(310)과 제 2 결합 홈(320)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눈금부(110)와 다리부(130)가 몸체부(120)를 중심으로 일직선 상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부상력 측정기(100)를 바로 서도록 한다는 것은 도 6과 같이 부상력 측정기(100)에 균형추(510, 520)를 결합하여 입수시키면, 부상력 측정기(100)의 눈금부(110) 및 다리부(130)가 수면과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몸체부(120)는 필요한 내구성을 가지는 한 가벼운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형이나 타원구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상력 측정기(100)가 바로 서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몸체부(120)가 타원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부상력 측정기(100)가 바로 서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직육면체로 몸체부(1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 다리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130)는 부상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찌, 봉돌 및 수중찌 등을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다리부(130)는 찌, 봉돌 및 수 중찌 등에 구비된 통공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지름을 가지고, 볼트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410)가 몸체부(120)와 결합하며, 볼트 형태로 형성된 균형추 결합부(420)가 균형추와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형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균형추(510) 및 상부 균형추(520)는 부상력 측정기(100)를 입수하는 경우에 눈금부(110)의 0 점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 납과 같은 비중이 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에 다리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다리부 결합 홈(512, 522)이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의 제한은 없다.
하부 균형추(510)를 다리부(130)의 균형추 결합부(420)에 결합하면 눈금부(110)의 상부 0 점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하고, 상부 균형추(520)를 부상력 측정기(100)의 다리부(130)에 결합하면 눈금부(110)의 하부 0 점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리부(130)의 균형추 결합부(420)와 하부 균형추(510) 또는 상부 균형추(520)를 결합하기 위하여 균형추 결합부(420)가 볼트 형태이고, 하부 균형추(510) 및 상부 균형추(520)는 일측에 균형추 결합부(420)와 결합하기 위한 너트 형태의 다리부 결합 홈(512, 5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리부(130)와 하부 균형추(510) 또는 상부 균형추(520)를 반복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상력 측정기(100)의 다리부(130)의 하단을 갈고리 형태로 형성 하고, 하부 균형추(510) 및 상부 균형추(520)에 통공이 있는 고리를 형성하도록 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 균형추(510)와 상부 균형추(520)의 구분을 위하여 그 크기를 다르게 하였지만 하부 균형추(510)와 상부 균형추(520)를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에 따라 하부 균형추(510)와 상부 균형추(520)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형추를 장착한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되어 있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균형추(520)를 결합한 부상력 측정기(100)를 입수시키면 6A와 같이 하부 0 점이 수면에 일치하고, 부상력 측정기(100)의 눈금부(110)와 다리부(130)는 수면과 직각을 이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상력 측정기(100)를 이용하여 수중찌 및 봉돌(610)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상력 측정기(100)의 다리부(130)에 상부 균형추(520)를 결합하기 전에 수중찌 또는 봉돌에 구비된 통공에 다리부(130)를 통과시킨 후 볼트 형태로 형성된 다리부(130)의 하단에 상부 균형추(520)를 결합하는 데, 그 실시예가 6B와 같다.
수중찌 및 봉돌(610)은 가라앉으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음의 부상력을 가지고, 음의 부상력은 눈금부(110)의 하부 0 점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수중찌나 봉돌(610)을 결합한 부상력 측정기(100)의 눈금부(110)가 수면 아래로 내려간 만큼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수중찌 및 봉돌(610)의 부상력은 상부 균형추(520)를 결합하 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부 균형추(510)를 결합한 부상력 측정기(100)를 입수시키면 6C와 같이 상부 0 점이 수면에 일치하고, 부상력 측정기(100)의 눈금부(110)와 다리부(130)는 수면과 직각을 이룬다.
찌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상력 측정기(100)의 다리부(130)에 하부 균형추(510)를 결합하기 전에 찌에 구비된 통공에 다리부(130)를 통과시킨 후 볼트 형태로 형성된 다리부(130)의 하단에 하부 균형추(510)를 결합한다.
찌는 뜨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양의 부상력을 가지고, 양의 부상력은 눈금부(110)의 상부 0 점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하여 찌를 결합한 부상력 측정기(100)의 눈금부(110)가 수면 위로 올라온 만큼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찌의 부상력은 하부 균형추(510)를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눈금부(110)에 양의 부상력과 음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하부 0 점과 상부 0 점을 기준으로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눈금부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단면적을 넓게 하여 눈금부(110)의 중앙에 0 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눈금부(110)의 중앙에 0 점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균형추는 하나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눈금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 간의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 볼트, 너트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눈금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를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눈금부(110), 몸체부(120) 및 다리부(130)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 플라스틱 본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상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찌, 봉돌, 수중찌 등의 부상력을 간단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낚시에 사용하는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의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부상력을 나타내기 위한 눈금부;
    상단이 상기 눈금부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하면 상기 부상력 측정기를 바로 서도록 하는 몸체부; 및
    상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고, 상기 부상력 측정기의 0 점을 맞추기 위한 균형추가 결합되는 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부는,
    동일한 부피 간격으로 눈금이 표기되어 있고, 음수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과 양수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일측이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눈금부 및 상기 다리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양단에 너트 형태의 홈을 구비하되, 상기 너트 형태의 홈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찌, 봉돌 및 수중찌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통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균형추와의 결합을 위하여 양단이 볼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상기 부상력 측정기가 입수하는 경우에 음수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의 0 점을 수면과 맞추기 위한 상부 균형추와 양수의 부상력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의 0 점을 수면과 맞추기 위한 하부 균형추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와의 결합을 위하여 일측에 너트 형태의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력 측정기는,
    상기 눈금부의 중앙에 상기 부상력의 측정을 위한 0 점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균형추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력을 측정하는 부상력 측정기.
KR1020060129349A 2006-12-18 2006-12-18 부상력 측정기 KR10084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49A KR100842381B1 (ko) 2006-12-18 2006-12-18 부상력 측정기
JP2007125696A JP2008148686A (ja) 2006-12-18 2007-05-10 浮上力測定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349A KR100842381B1 (ko) 2006-12-18 2006-12-18 부상력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42A KR20080056442A (ko) 2008-06-23
KR100842381B1 true KR100842381B1 (ko) 2008-07-01

Family

ID=3965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349A KR100842381B1 (ko) 2006-12-18 2006-12-18 부상력 측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148686A (ko)
KR (1) KR100842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08A (ko) * 2018-04-13 2019-10-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수조의 내부 온도층 표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599B1 (ko) * 2021-03-02 2023-07-17 주식회사 전진산업 양식용 부표 및 그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869U (ko) * 1988-03-29 1989-10-11
JP3060104U (ja) * 1998-11-09 1999-07-30 燕清 陳 浮 き
KR19990040635U (ko) * 1998-05-04 1999-12-06 진호권 부력이 조절되는 낚시찌
JP2004081007A (ja) * 2002-08-22 2004-03-18 Seiji Matsudo 釣り用浮きおよび浮きト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869U (ko) * 1988-03-29 1989-10-11
KR19990040635U (ko) * 1998-05-04 1999-12-06 진호권 부력이 조절되는 낚시찌
JP3060104U (ja) * 1998-11-09 1999-07-30 燕清 陳 浮 き
JP2004081007A (ja) * 2002-08-22 2004-03-18 Seiji Matsudo 釣り用浮きおよび浮きト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08A (ko) * 2018-04-13 2019-10-2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수조의 내부 온도층 표시기
KR102114803B1 (ko) * 2018-04-13 2020-05-25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 수조의 내부 온도층 표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442A (ko) 2008-06-23
JP2008148686A (ja)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482B1 (ko) 액체 수위 및 밀도 측정 장치
KR101370958B1 (ko) 자동 균형유지형 해상 관측 부이
JP5394359B2 (ja) 透明度測定器具
KR100842381B1 (ko) 부상력 측정기
CN206410703U (zh) 一种水力学量尺
CN108344407A (zh) 一种深水钢护筒垂直度检测装置
CN213902554U (zh) 用于模块钻机计量罐的外置式液位读取装置
CN209945511U (zh) 一种航道水位测量装置
CN202547735U (zh) 一种明渠堰槽水位测量装置
KR101378958B1 (ko) 수위 측정 장치
CN208059897U (zh) 一种深水钢护筒垂直度检测装置
US11821907B2 (en) Buoyometer
JP6725812B2 (ja) ブイ式波高計測装置
JP6313047B2 (ja) 打設杭の水平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US5308272A (en) Ascent rate indicator
CN215003848U (zh) 一种用于河床测绘的测绘杆
CN215098149U (zh) 一种船舶吃水量检测装置
KR101608297B1 (ko) 물놀이 안전용 수심 측정기구
TW201945245A (zh) 水下設置錨之強度測試方法及浮體
KR20200019336A (ko) 경사 시험 선박
CN219551647U (zh) 一种浸入式防误报水位检测装置
Keighley Archimedes’ principle and flotation
CN217560745U (zh) 一种水文监测用水位尺
JP2018004528A (ja) ブイ式波高計測装置
CN210514003U (zh) 一种密度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