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866B1 -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866B1
KR101160866B1 KR1020087025346A KR20087025346A KR101160866B1 KR 101160866 B1 KR101160866 B1 KR 101160866B1 KR 1020087025346 A KR1020087025346 A KR 1020087025346A KR 20087025346 A KR20087025346 A KR 20087025346A KR 101160866 B1 KR101160866 B1 KR 101160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film
gap
adhesive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810A (ko
Inventor
사토루 야마모토
히로아키 미즈시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95Solvent bonding, i.e. the surfac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reated with solvents, swelling or softening agents, without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 B29C65/54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etween pre-assembled part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6Single bevell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bevelled in the joint area
    • B29C66/1162Single bevel to bevel joints, e.g. mitr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the joint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B29C66/7338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2Drying adhesives, e.g. solvent based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25Pressure sensitive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3Reactive adhesives, e.g. chemically curing adhesives
    • B29C65/4845Radiation curing adhesives, e.g. UV light cur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 B29C65/48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being fibres or being spherical
    • B29C65/487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being fibres or being spherical being spherical, e.g. particles or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 B29C65/48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being fibres or being spherical
    • B29C65/48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being fibres or being spherical being longitudinal,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 B29C65/488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being non-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 B29C65/488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being non-plastics
    • B29C65/489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ontaining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being non-plastics being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대는 공정 (1),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적어도 편면으로부터 협지재를 사용하여 협지하는 공정 (2),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의 간극의 편측을,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와 연결하고,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정 (3), 및,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감압 제거하여, 상기 맞댐 단면을 접합하는 공정 (4) 을 갖는다. 이러한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조합형 광학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R1020087025346
조합형 광학 필름, 접착제, 유기 용제, 맞댐부, 간극, 협지재

Description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COMBINATION-TYPE OPTICAL FILM, APPARATUS FOR THE METHOD, COMBINATION-TYP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복수 장의 광학 필름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당해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합형 광학 필름, 나아가서는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자,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광학 필름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적층한 상태인 것을 조합형 광학 필름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이박리형 (易剝離型) 의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이면에는 점착제층을 통해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배경기술
텔레비젼이나 PC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는, 편광판 등으로 대표되는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텔레비젼 등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광학 필름에도 대면적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면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수반되는 대형 제조 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반송 (搬送) 은 포장 취급이 어려워, 그 만큼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또 그 대형의 제조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광대한 공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복수개의 액정 표시 장치를 나열하여 그 단면을 맞대고,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텔레비젼이나 PC 등의 액정 표시 장치는,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의 기능을 이용하여, 그 이면으로부터 광의 투과와 차단 (흡수) 에 의해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을 맞댄 경우에는, 그 맞댐부에 있어서 광 누설이 발생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에 광의 줄무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액정 표시 장치가 맞댐부 (맞댐 단면의 x-x 사이 상) 에, 편광판 (광학 필름 (A)) 상으로부터 필름 (F) 을 부착하여 광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특허 문헌 1 의 기술에서는, 광 누설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편광판의 표면에 부착한 필름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88163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으로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조합형 광학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합형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 나아가서는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등으로부터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대는 공정 (1),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적어도 편면으로부터 협지재 (狹持材) 를 사용하여 협지하는 공정 (2),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간극의 편측을,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와 연결하고, 부압 (負壓)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정 (3), 및,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감압 (減壓) 제거하여, 상기 맞댐 단면을 접 합하는 공정 (4)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2) 에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재에 의해 협지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3) 에서는,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을 진공 펌프와 연결하고, 진공 펌프에 의한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정 (4) 에서는,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을 진공 펌프와 연결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감압 제거하여, 상기 맞댐 단면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양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로서, 어느 쪽이나 평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양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로서, 상측면의 협지재는 평판을 사용하고,
하측면의 협지재는 단면 오목 형상이며,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 돌출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면 오목 형상의 오목부에는 상기 양측 관통구로 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를 사용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는 상기 홈 상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맞대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필름 대신에, 광학 필름의 표면에 이박리형 의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이면에는 점착제층을 통하여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조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맞댐 단면은, 공정 (3) 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단면의 유기 용제에 의한 용해 또는 접착제에 의한 밀착과, 공정 (4) 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감압 제거에 의한 고화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맞댐부는 간극 없이 용해 접합 또는 접착제 접합되어 있고, 간극에 의한 외관 손실이 없고, 또한 접합은 광학 필름의 용해 접합 또는 접착제 접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시인성을 저해하는 경우도 없다. 그 때문에, 당해 조합형 광학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적용한 경우에는, 표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면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한 광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공정 (3) 에 있어서, 맞댐 단면의 간극은 감압 조작에 의해 부압 상태가 되고, 당해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가 흡인되어, 주입 충전된다. 그 때문에, 좁은 간극이라도,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간극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간극은 정압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간극으로부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가 삐져 나오기 때문에, 그 잉여분을 닦아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본 발명에서는, 진공 펌프에 의한 감압 흡인에 의해 간극을 부압 상태로 하기 때문에, 간극에 충전하는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흡인량의 조 정이 가능하고, 간극의 충전에 필요한 양만큼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흡인할 수 있어,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충전 조작에 수반하는 여분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작업성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나아가서는,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간극이 정압 상태가 되면,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해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등이 들뜬 상태가 되거나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가 광학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에 들어가거나 할 우려도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들뜸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공정 (4) 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진공 펌프에 의해 감압 제거되지만, 상기 간극에 충전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는 소량이기 때문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제거 효율이 양호하여, 맞댐 단면의 접합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공정 (4) 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부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가 제거됨과 함께, 상기 간극은 다시 부압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맞댐 단면은 서로 끌어당겨 상기 간극이 좁아진다. 이러한 맞댐 단면의 끌어당김 효과에 의해, 맞댐 단면의 접합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맞댐 단면의 간극이 서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그 상태를 유지하는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의 맞댐 단면은, 모두, 표면 및 이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맞댐 단면은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략 수직 형상의 맞댐 단면은, 가공이 간단하고, 또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시에 있어서 상기 맞댐 단면을 조합하는 경우의 조작도 용이하다. 또, 공정 (3) 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흡인 조작, 공정 (4) 에 있어서의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의 제거 조작도 용이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의 맞댐 단면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부터 이면을 향하여 평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 경사의 맞댐 단면은 그 접합 면적을 확대하고,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한 고화 또는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의 공정 (1) 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은, 맞댐 단면의 간극의 폭이 50㎛ 이하가 되도록 맞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의 폭이 넓어지면, 공정 (3) 에 있어서 충전되는 유기 용제의 사용량이 증가된다. 그 때문에, 상기 폭은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은, 4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극은, 유기 용제를 충전시키기 위해, 상기 간극의 폭은 통상적으로 5㎛ 이상, 나아가서는 15㎛ 이상이 된다.
상기 제조 방법의 공정 (2) 에서 사용하는 협지재는, 그 적어도 표면이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지재는, 공정 (4) 에 있어서, 맞댐 단면의 간극이 부압 상태가 됨으로써, 맞댐 단면끼리 서로 가까워지기 쉬워지도록 미끄러짐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협지재의 표면은 적어도 미끄러짐성이 양호한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협지재는, 유기 용제에 접촉하기 때문에, 유기 용제에 대한 내(耐)용제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도 협지재의 표면 은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지재로는, 그 표면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표면 처리 재료) 의 정(靜)마찰 계수가 0.001 ~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재가 클수록, 정마찰 계수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댄 상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
상기 간극의 편측과 연결시키기 위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 및,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장치에 있어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는, 어느 쪽이나 평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에 있어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로서, 상측면의 협지재는 평판을 사용하고,
하측면의 협지재는 단면 오목 형상이며,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 돌출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면 오목 형상의 오목부에는 상기 양측 관통구로 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를 사용하고,
상기 관통구의 일방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를 연결하고,
다른 일방의 관통구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장치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조합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합형 광학 필름은 상기 복수 장의 광학 필름에 의해 제조되어 있어, 원하는 크기의 광학 필름을,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광학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대형화된 광학 필름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조합형 광학 필름은, 각 광학 필름을 따로 따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맞댐 기술에 의해, 지금까지 어중간한 크기 때문에 폐품이 되었던 나머지부 (광학 필름) 를 재이용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의 일례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의 일례이다.
도 3 은 도 2 에 사용한 협지재에 광학 필름을 적용한 사시도의 일례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을 맞댄 단면도의 일례이 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을 맞댄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을 맞댄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을 맞댄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8 은 종래의 조합형 광학 필름의 단면부의 일례이다.
부호의 설명
A 광학 필름
x 맞댐 단면
L1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L2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P 점착층
T1 협지재 (평판)
T2 협지재 (지지대)
PM 진공 펌프
C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s 간극
F 필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크기에 따라, 조합하는 광학 필름의 크기를 각각 조정한다. 조합하는 광학 필름의 장 수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 제조하고자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크기에 대해서도 제한되지 않지만, 65 인치 사이즈 이상 (또는 세로 800mm 이상, 가로 1350mm 이상) 의 대형 사이즈인 경우에 유효하다. 한편, 제조하고자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이 작은 경우에도, 개개의 광학 필름을 수송·반송하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대는 공정 (1),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적어도 편면으로부터 협지재를 사용하여 협지하는 공정 (2),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간극의 편측을,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와 연결하고,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정 (3), 및,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감압 제거하여, 상기 맞댐 단면을 접합하는 공정 (4) 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도 1, 도 2 에서는, 각 공정 (1) 내지 공정 (4) 에 맞춰서 도 1, 도 2 의 (1) 내지 (4)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 에 기재된 각 조합형 광학 필름은, 이것을 제조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의 상면도를 기재하고 있다. 또, 그 상부에는, 당해 상면도의 d-d' 단면도를 기재하고 있다.
도 1 에 기재된 제조 장치는,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간극 (s) 을 형성하여 맞댄 상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 (A) 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1 쌍의 협지재 (T1) 를 갖는다. 협지재 (T1) 로는 평판이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 간극 (s) 이 형성된 위치에는, 당해 간극 (s) 의 편측과 연결하기 위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함유하는 용기 (D) 를 갖는다.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맞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 (s) 과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는, 라인 (m1) 에 의해 연결된다. 라인 (m1) 에는 밸브 (B1) 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간극 (s) 의 다른 일방의 편측에는, 당해 간극 (s) 과 연결하기 위한 진공 펌프 (PM) 를 갖는다. 간극 (s) 과 진공 펌프 (PM) 는 라인 (m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라인 (m2) 에도 밸브 (B2)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라인 (m2) 에는, 밸브 (3) 를 갖는 보조 라인 (m3) 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인 (m1, m2) 은, 협지재 (T1) 에 의해 간극 (s) 이 밀폐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2 에 기재된 제조 장치는,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간극 (s) 을 형성하여 맞댄 상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 (A) 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1 쌍의 협지재 (T1, T2) 를 갖는다. 협지재 (T1) 는 평판이 사용되 고 있다. 한편, 협지재 (T2) 는, 단면 오목 형상의 지지대이며, 그 오목부에 광학 필름 (A) 이 배치된다. 단면 오목 형상은, 간극 (s) 이 밀폐 상태가 되도록,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 돌출부의 높이 (h) 는 광학 필름 (A) 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고, 오목부의 폭 (w) 은 광학 필름 (A) 의 폭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 돌출부에는, 협지재 (T2) 의 상하에 관통구 (H1, H2)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면 오목 형상의 오목부에는 상기 양측 관통구 (H1, H2) 를 통하는 홈 (G) 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끼리는, 상기 홈 (G) 상에 간극 (s) 이 형성되도록 맞대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협지재 (T2) 의 오목부에 광학 필름 (A) 을 맞댄 후, 상기 협지재 (T1) 가 배치된다.
상기 관통구 (H1 ; 공급구) 및 관통구 (H2 ; 배출구) 는, 간극 (s) 의 하측에 있는 홈 (G) 에 의해 간극 (s) 에 통하고 있다. 관통구 (H1 ; 공급구) 에는, 상기 간극 (s) 의 편측과 연결하기 위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함유하는 용기 (D) 와 연결된다.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맞댄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 (s) 과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는, 라인 (m1) 에 의해 연결된다. 라인 (m1) 에는 밸브 (B1) 를 갖는다. 또한 관통구 (H2 ; 배출구) 에는, 상기 간극 (s) 의 다른 일방의 편측과 연결하기 위한 진공 펌프 (PM) 가 연결된다. 간극 (s) 과 진공 펌프 (PM) 는, 라인 (m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라인 (m2) 에도 밸브 (B2)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라인 (m2) 에는, 밸브 (3) 를 갖는 보조 라인 (m3) 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인 (m1, m2) 은, 협지재 (T1) 에 의해 간 극 (s) 이 밀폐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진공 펌프 (PM) 및 용기 (D) 는 관통구 (H1 ; 공급구) 및 관통구(H2 ; 배출구) 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3 은, 광학 필름 (A) 을 맞대어, 협지재 (T1) 와 협지재 (T2) 로 협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는, 광학 필름 (A) 을 2 장 조합하고, 하나의 단면 (x) 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맞댐 단면 (x) 의 간극 (s) 을 접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광학 필름 (A) 의 표면, 이면은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측을 표면 또는 이면으로 해도 된다. 또한, 맞댐 단면 (x) 은, 절삭이나 연마 등의 방법에 의해, 양호한 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맞댐 단면 (x) 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 1, 도 2 에서는, 맞댐 단면 (x) 은, 광학 필름 (A) 의 표면 및 이면에 대해 대략 수직이다. 그 밖의 맞댐 단면 (x) 의 형상으로는, 광학 필름 (A) 의 표면에서부터 이면을 향하여 평면 경사시킨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 외에, 각종 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조합하는 광학 필름 (A) 은, 통상적으로는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각 도면에 있어서, 좌우에 1 쌍으로 나타내는 광학 필름 (A) 은 동일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 (A) 으로는 각종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 도 2 에서는, 광학 필름 (A) 으로서 1 층을 사용한 경우이다. 광학 필름 (A) 은, 1 층이어도 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 이상을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 는, 광학 필름 (A) 으로서, 광학 필름 (a1) 의 양면을, 광학 필름 (a2) 으로 적층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 에 있어서, a1 : 편광자, a2 : 편광자의 보호 필름이면, 광학 필름 (A) 은,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이다. 도 5 에 있어서의 적층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해도 되지만, 도 5 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광학 필름으로는, 상기 예시한 것 외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양태는, 다른 도면에 나타낸 광학 필름 (A) 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도 4, 도 5 는, 도 1, 도 2 의 (1) (2) 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A) 의 양태를 예시하는 것이고, 도 4, 5 에 대해서도, 도 1, 도 2 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 은, 도 4 와 동일한 양태에 있어서, 맞댐 단면 (x) 의 형상으로서, 광학 필름 (A) 의 표면에서부터 이면을 향하여 평면 경사시킨 것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7 은, 도 1, 도 2 의 (1) (2) 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A) 대신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 (A') 을 사용한 경우의 예이다. 도 7 에 대해서도, 도 1, 도 2 와 동일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필름 (A') 은, 광학 필름 (A) 의 표면에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L1) 이 형성되어 있고, 이면에는 점착제층 (P) 을 통하여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 L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서는, 보호 필름 (L1) 과 보호 필름 (L2) 이 광학 필름 (A) 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어느 일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L1) 은, 통상적으로 기재 필름에 이박리성 점착층을 적층한 것이 사용된다. 한편, 점착제층 (P) 에 대한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 L2) 은 점착제 (P) 와의 접착 계면에서 박리 제거되는 것인 데 비해, 보호 필름 (L1) 은 통상적으로 기재 필름에 이박리성 점착층을 적층한 것으로, 점착층과 함께 기재 필름이 박리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7 에서는, 광학 필름 (A)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A') 을 2 장 조합한 경우의 예이지만, 이들은 가로 세로로 각각 2 장 이상 (합계 4 장 이상) 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공정 (1) 및 공정 (2) 을 실시한다. 도 1, 도 2 의 (1) (2) 는, 공정 (1) 및 공정 (2) 를 나타낸다. 공정 (1) 에 의해,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끼리를, 간극 (s) 을 형성하여 맞대고 있다. 또, 공정 (2) 에 의해, 상기 광학 필름 (A) 의 맞댐부의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재에 의해 협지하고 있다. 도 1 에서는, 1 쌍의 협지재 (T1) 가 사용되고 있다. 도 2 에서는, 협지재 (T1) 및 협지재 (T2) 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협지재에 의해, 상기 맞댐부의 간극 (s) 은, 양 편측 이외의 부분이 시일된다. 또한, 공정 (1) 및 공정 (2) 는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 외에, 일방의 협지재에 광학 필름 (A) 을 배치함으로써 공정 (1) 을 실시하고, 이어서 다른 일방의 협지재를 배치하여, 광학 필름을 협지함으로써, 공정 (2) 을 완료할 수도 있다. 도 2 에서는, 협지재 (T2) 의 오목부에 광학 필름 (A) 를 배치한 후에, 배치된 광학 필름 (A) 에 협지재 (T1) 를 배치하여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1) 및 공정 (2) 에서는, 진공 펌프 (PM) 는 구동시키고 있지 않다. 각 밸 브 (B1 내지 B3) 는,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이다.
도 1 의 (1), (2) 의 맞댐 단면 (x) 의 간극 (s) 의 폭 (t) 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재 (T1, T2) 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협지재 (T1) 는, 통상적으로 평판이고, 그 두께는 0.1 ~ 5mm 정도인 것이 취급하기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또, 협지재 (T1) 는, 광학 필름 (A) 의 맞댐부의 간극 (s) 전부를 덮을 수 있도록, 광학 필름 (A) 의 맞댐 단면의 한 변의 길이보다 긴 것을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맞대는 광학 필름 (A) 의 폭보다 10 ~ 60% 정도 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의 양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통구 (H1, H2) 까지 덮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협지재 (T1) 는, 표면의 미끄러짐이 나쁘고 부드러운 것, 표면의 미끄러짐이 양호하고 딱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의 미끄러짐이 양호하고 부드러운 것도 사용되지만, 이것은 간극 (s) 에 물려 들어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강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이 나쁘고 딱딱한 것은 사용하기 어렵다. 또, 협지재 (T1) 는 맞댐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지재 (T1) 의 재료로는, 상기 이외에, 유리판, 내용제성을 갖는 수지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협지재 (T2) 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지재 (T2) 의 오목 형상 단면의 돌출부 두께는 1 ~ 3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재 (T2) 의 재료로는, 상기 이외에, 내용제 성을 갖는 수지판, 금속판, 세라믹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판은 가공하기 용이하고, 금속판은 내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협지재 (T2) 에 형성되어 있는 홈 (G) 의 폭, 깊이는, 접합하는 광학 필름 (A) 의 강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가 흘러 광학 필름 (A) 의 패임이 없는 범위에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 (G) 의 폭, 깊이는 0.5 ~ 3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공정 (3) 에 의해, 진공 펌프 (PM) 에 의한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충전한다. 유기 용제에 의해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은 용해되고, 접착제에 의해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은 밀착된다. 도 1, 도 2 의 (3) 이 상기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가 충전된 상태이다.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가 충전된 것은, 예를 들어,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가 배출구 (진공 펌프측) 로부터 잉여로 유출됨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도 2 의 (1), (2) 에 있어서, 밸브 (B1, B3) 를 폐쇄로 하고, 밸브 (B2) 를 개방으로 하여 진공 펌프 (PM) 의 구동에 의해,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한다. 이어서, 밸브 (B2) 를 폐쇄로 하고 밸브 (B1) 를 개방으로 하여, 부압 상태의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충전한다.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의 충전시에는 밸브 (B1) 의 조정에 의해, 충전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또 밸브 (B2) 를 폐쇄로 한 상태에서, 밸브 (B1) 와 함께, 또는 밸브 (B3) 에 의해 상기 충전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 다. 또, 밸브 (B1, B2) 를 개방 상태로 하고 밸브 (B3) 를 폐쇄 상태로 하여 진공 펌프 (PM) 에 의해,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함과 함께,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진공 펌프 (PM) 에 의해,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할 때에는,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충전할 수 있고, 간극 (s) 이 유지될 정도로 감압이 실시된다. 공정 (3) 의 부압은 공정 (4) 보다 정도가 작아, 광학 필름을 끌어당길 수 없을 정도이다. 조합하는 광학 필름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0.001 ~ -0.03PaG 정도의 부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펌프 (PM)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감압 정도에 따라, 오일 회전 펌프, 오일 확산 펌프 등의 시판 펌프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공정 (3) 에서는, 도 1(3) 과 같이, 간극 (s) 에 유기 용제 (C) 를 충전하여,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용해한다. 또는 접착제 (C) 에 의해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밀착시킨다. 유기 용제 (C) 는, 광학 필름 (A) 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 (편광자의 보호 필름) 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용제로는, 할로겐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화메틸렌, 아세트산에틸의 용해성이 양호하다. 광학 필름 (편광자의 보호 필름) 으로서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용제로는, 탄화수소계 용제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헥산, 헵탄, 옥탄 등이 용해성에 있어서 양호하다. 접착제 (C) 로는, 상기 유기 용제에 용해한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착제로는, 광학 필름의 형성 재료를 상기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간극 (s)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충전시키고,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을 용해하는 시간은, 광학 필름 (A),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의 종류 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데, 통상적으로 0.1 ~ 30 초간, 바람직하게는 0.1 ~ 10 초간 정도이다.
또한, 상기 공정 (2) 내지 공정 (3) 으로는 상기 이외의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정 (1) 을 정치대 (靜置臺) 상에서 실시하고, 이어서, 공정 (2) 로서,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편면만 협지재를 사용하여 협지한다. 이 경우, 일방의 면은 정치대에 의해 덮여 있고, 협지재는 편면에만 사용하면 된다. 이어서, 공정 (3) 으로서, 협지재를 볼록한 형상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간극 (s) 의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한다. 협지재를 들어 올림으로써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하기 위해, 협지재로는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한다.
이어서, 공정 (4) 에 의해, 도 1(4) 과 같이,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를 상기 진공 펌프 (PM) 에 의해 감압 제거하고, 상기 맞댐 단면 (x) 을 고화시켜 접합한다. 또 맞댐 단면 (x) 은, 감압에 의해 서로 가까워져서 고화되어 맞댐 단면 (x) 은 접합된다.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의 감압 제거시에, 밸브 (B1, B3) 는 폐쇄로 되고 밸브 (B2) 는 개방으로 된다. 이러한 감압에 의 해, 맞댐 단면 (x) 으로부터 유기 용제가 제거되어 고화된다. 또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는 맞댐 단면 (x) 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필요는 없고, 상기 맞댐 단면 (x) 을 고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제거되어 있으면 된다.
진공 펌프 (PM) 에 의한 유기 용제 (C) 의 감압 제거시에는,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 (C) 가 제거되고 또한 맞댐 단면 (x) 을 접합할 수 있도록, 감압이 실시된다. 통상적으로는, -0.01 ~ -0.07PaG 정도의 부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공정 (4) 에서의 감압은, 광학 필름 (A) 의 단면 (x) 이 서로 가까이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공정 (3) 에서 실시하는 감압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한다) 보다 감압 정도는 크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조합형 광학 필름은, 제조 장치로부터 꺼내어 각종 용도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학 필름을 이하에 예시한다.
광학 필름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이용되는 것이 사용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을 각각, 개별적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의 2 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 연신한 후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는, 통상적으로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되는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 탄성 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에서 1 ~ 500㎛ 정도이다. 특히 1 ~ 300㎛ 가 바람직하고, 5 ~ 2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은 5 ~ 150㎛ 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의 양측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및 (메트)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이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 스, 트리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디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어 있고,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의 점에서도 유리하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시판품의 예로는, 후지 사진 필름사 제조의 상품명 「UV-50」,「UV-80」,「SH-80」,「TD-80U」,「TD-TAC」,「UZ-TAC」나, 코니카사 제조의 「KC 시리즈」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는, 면내 위상차 (Re) 는 거의 제로이지만,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60nm 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작은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셀룰로오스 수지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제를 도공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스테인리스 등의 기재 필름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부착하고, 가열 건조 (예를 들어, 80 ~ 150℃ 에서 3 ~ 10 분간 정도) 시킨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 노르보르넨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시클로펜타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제에 용해한 용액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에 도공하여 가열 건조 (예를 들어, 80 ~ 150℃ 에서 3 ~ 10 분간 정도) 시킨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두께 방향 위상차가 작은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으로는, 지방 치환도를 제어한 지방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는 아세트산 치환도가 2.8 정도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치환도를 1.8 ~ 2.7 로 제어함으로써 Rth 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디부틸프탈레이트, p-톨루엔술폰아닐리드,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등의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Rth 를 작게 제어할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지방산 셀룰로오스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부이다.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체예로는,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계 수지이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중합한 수지의 총칭이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 그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그리고, 그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여러 가지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로는,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제오넥스」,「제오노아」, JSR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아톤」, TICONA 사 제조의 상품명 「토파스」,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APEL」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 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가 115℃ 이상인 것에 의해, 편광판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부터는, 면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거의 제로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 주식회사 제조의 아크리펫트 VH 나 아크리펫트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분자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수지계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2 축 연신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유사한 고리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2120644-pct00001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20 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 이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5 중량% 보다 적으면 내열성, 내용제성, 표면 경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90 중량% 보다 많으면, 성형 가공성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성형 가공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 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가 115℃ 이상인 점에서, 예를 들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판에 협지했을 경우에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ASTM-D-1003 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 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투명성의 기준으로, 전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정면 위상차가 40nm 미만,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nm 미만인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정면 위상차 Re 는, Re = (nx-ny)×d 로 나타낸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Rth = (nx-nz)×d 로 나타낸다. 또, Nz 계수는, Nz = (nx-nz)/(nx-ny) 로 나타낸다.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nm) 는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필름 면내의 굴절률의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상차값의 측정은, 평행 니콜 회전법을 원리로 하는 위상차계〔오우지 계측 기기 (주) 제조, 제품명 「KOBRA21-ADH」〕를 사용하여, 파장 590nm 의 값에 대해 측정하였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은, 가능한 한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이 -90nm ~ +75nm 인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 (Rth) 이 -90nm ~ +75nm 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에서 기인하는 편광판의 착색 (광학적인 착색) 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 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nm ~ +60nm, 특히 -70nm ~ +45nm 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정면 위상차가 40nm 이상 및/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nm 이상의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정면 위상차는, 통상적으로 40 ~ 200nm 의 범위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통상적으로 80 ~ 300nm 의 범위로 제어된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위상차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위상차판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위상차판으로는 후술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서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접착제, 라텍스계 접착제,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이외에,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로는, 자외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발생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절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스티킹 방지 처리는 다른 부재의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 안티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샌드 블라 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5 ~ 50㎛ 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을 갖기도 하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비즈를 포함한다)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2 ~ 50 중량부 정도이고, 5 ~ 4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시켜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상기 편광판에 실용시에 적층하여,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으로,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쉽다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서 투명 보호층 등을 개재하여 편광판의 편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에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의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액정 셀의 이측에 형성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 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전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 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하에서도 내장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혹은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판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는, 이른바 1/4 파장판 (λ/4 판이라고도 한다) 이 사용된다. 1/2 파장판 (λ/2 판이라고도 한다) 은, 통상적으로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 (STN) 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생긴 착색 (청색 또는 황색) 을 보상 (방지) 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3 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발생하는 착색도 보상 (방지)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화상이 컬러 표시가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조절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으로는, 고분자 소재를 1 축 또는 2 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에 의해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고분자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 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노르보넨계 수지, 또는 이들의 2 원계, 3 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 (연신 필름) 이 된다.
액정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 형상 원자단 (메소겐) 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형이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형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를 들어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마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개재하여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고리형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 폴리머는, 예를 들어,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 규소를 사방 증착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 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야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과 같은 사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위상차를 갖 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절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으로 되도록 이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니라 약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라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 위상차판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위상차판은 그 면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데 비해,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2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 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여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소재 원료 폴리머는 앞 서 위상차판에서 설명한 폴리머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기인하는 시인각의 변화에 의한 착색 등의 방지나 양호한 시인성의 시야각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시인성의 넓은 시야각을 달성한다는 점 등에서,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부착한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액정 셀의 이측 사이드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시키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그 뒤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등의 화상 표시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반사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가 된다.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되어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으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 불균일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회수가 적당하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맞물려 균일하고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 어느 일방의 원 편광은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고르게 맞추어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 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에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파장 550㎚ 의 담색광에 대하여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한 것의 조합으로 하여 2 층 또는 3 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 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 기초하여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 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한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 층 또는 3 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절한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다른 광학층의 접착시에, 이들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서 적당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의 적층에도 사용할 수 있고, 점착층에는 세퍼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에서는, 점착층 (P) 에 대하여,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L2) 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추가하여,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이나 박리 현상의 방지, 열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나 액정 셀의 휨 방지, 나아가서는 고품질이며 내구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면에서, 흡습률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층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은,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나, 유리 섬유, 유리 비즈, 금속 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 제나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의 점착층에 첨가되는 경우가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층 등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대한 점착층의 부설은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적당한 용제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매에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10~40 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여,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절한 전개 방식으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또는 상기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이착시키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은 상이한 조성 또는 종류 등을 갖는 층의 중첩층으로서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표리에서 상이한 조성이나 종류나 두께 등을 갖는 점착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500㎛ 이고, 5~200㎛ 가 바람직하고, 특히 10~100㎛ 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사용되기까지의 사이에, 그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임시로 부착되어 커버된다. 이로써, 통상적인 취급 상태에서 점착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상기 두께 조건을 제외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 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 (薄葉體) 를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로 코팅 처리한 것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광학 필름에는, 광학 필름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에서는, 이박리형 보호 필름 (L1)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에만 형성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재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그 점착층과 함께 기재 필름을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필름, 점착층 등의 각 층에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장착시키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 또는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 타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 또는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양측에 상기 조합형 광학 필름 또는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합형 광학 필름 또는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 (편광판 등) 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차례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각종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의 적층체, 혹은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나, 또는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가지의 조합을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 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판)
편광판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두께 25㎛) 의 양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두께 80㎛) 를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부착한 것을 사용하였다.
편광판의 표면에는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닛토 덴코사 제조, PPF100T, 두께 59㎛) 을 형성하고, 한편, 이면에는 점착제층 (닛토 덴코사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 건조 두께 23㎛) 을 사이에 두고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 두께 38㎛) 을 형성하여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으로 하였다.
상기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세로 100mm, 가로 50mm) 의 하나의 단면 (세로측) 을, 가공 단면이 편광판에 대한 법선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가공하였다.
(협지재)
상측 협지재 (평판) : 유리판, 150mm×50mm, 두께 3mm
하측 협지재 (지지대)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제 판, 150mm×150mm, 두께 15mm 이다. 단면 오목 형상이며, 양측 돌출부의 높이 (h) 는 305㎛, 오목부의 폭 (w) 은 100mm, 길이는 150mm 이다. 홈의 폭은 1mm, 깊이는 1mm.
실시예 1
도 2 에 따라, 조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하측 협지재의 오목부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수직 단면) 의 가공 단면을 맞대었다. 맞댐 단면의 간극 (s) 의 폭 (t) 은 25㎛ 였다. 또, 상기 가공 단면의 맞댐부 전부를 협지재 (T1) 에 끼워 시일하였다. 맞댐부의 간극 (s) 의 편측에는, 유기 용제 (염화메틸렌) 를 함유하는 용기를 라인으로 연결하였다.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에는 진공 펌프 (괴테형의 회전 날개형 진공 펌프, G-100D : 알박 기공사 제조) 와 라인으로 연결하였다.
이어서, 밸브 (B1, B3) 를 폐쇄로 하고 한편 밸브 (B2) 를 개방으로 하여, 진공 펌프에 의한 감압 조작 (-0.01PaG 의 부압) 을 실시하고, 간극 (s) 을 부압 상태로 하였다. 이어서, 밸브 (B2) 를 폐쇄로 하고 밸브 (B1) 를 서서히 개방하여, 상기 간극 (s) 에 유기 용제를 충전하였다. 그 후, 밸브 (B1) 를 폐쇄로 하고 밸브 (B2) 를 개방으로 하여,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감압 조작 (-0.05PaG 의 부압) 에 의해 제거하고, 상기 맞댐 단면을 고화시켜 본 발명의 조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당해 감압에 의해, 맞댐 단면은 맞대여졌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단순히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의 가공 단면을 맞댐으로써 조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수직 단면) 의 가공 단면을 맞대었다. 이어서, 맞댐부의 간극에 염화메틸렌을 붓을 사용하여 섞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용융한 후, 건조에 의해 고화시켜 접합하여, 조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조합형 편광판에 대해 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액정 셀 (LC-26GD1, 샤프 주식회사 제조의 AQUOS 의 액정 패널로부터,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을 제거한 것) 의 편측 (시인측) 에 편광판 (NPF-SEG1224DU : 닛토 덴코 (주) 제조) 을 부착하고, 다른 일방측 (백라이트측) 에는 조합형 편광판을 부착한 액정 패널로 하였다. 액정 셀의 양측 편광판은 크로스 니콜로 배치하였다. 당해 액정 패널의 조합형 편광판측을 백라이트 상 (상기 동일한 LC-26GD1 로부터 취출한 것) 에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로 하였다. 액정 표시 장치에 전원을 넣어 백표시 또는 흑표시인 경우의 간극 (맞댐부) 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하기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육안 판정 기준)
샘플과의 거리 50cm 로부터 육안으로 보아, 맞댐부의 광 누설에 대해 하기 3 단계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 : 정면 관찰에서, 맞댐부의 광 누출을 시인할 수 없다.
△ : 정면 관찰에서, 맞댐부의 광 누출을 약간 시인할 수 있다.
× : 정면 관찰에서, 맞댐부의 광 누출을 분명히 시인할 수 있다.
(휘도)
휘도계 (CA-1500, 미놀타 제조) 에 의해, 맞댐부의 중심 휘도 A(cd/㎠) 및 주변부 휘도 B(cd/㎠) 를 측정하였다. 이들의 값으로부터 차이 (중심 휘도 A- 주변부 휘도 B) 를 산출하였다. 또한, 조합형 광학 필름 편광판에서는, 맞댐부에 대해 중심 휘도 A 가 측정되고, 맞댐부 이외에 대해 주변부 휘도 B 가 측정된다.

육안 판정
휘도
중심 휘도 A
(cd/㎠)
주변부 휘도 B
(cd/㎠)
차 (A-B)
(cd/㎠)
실시예 1 0.4 0.4 0
비교예 1 × 25 0.4 24.6
비교예 2 12 0.4 11.6

Claims (16)

  1.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대는 공정 (1),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적어도 편면으로부터 협지재를 사용하여 협지하는 공정 (2),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간극의 편측을,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와 연결하고,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정 (3), 및,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상기 부압 상태보다도 높은 감압조건으로 감압 제거하여, 맞댐 단면을 끌어당겨서 접합하는 공정 (4)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2) 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재에 의해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3) 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을 진공 펌프와 연결하고, 진공 펌프에 의한 부압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간극 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4) 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을 진공 펌프와 연결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감압 제거하여, 상기 맞댐 단면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양면에 사용하는 협지재가 모두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양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로서, 상측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는 평판이고, 하측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는 단면 오목 형상이고,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의 돌출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면 오목 형상의 오목부에는 상기 양측의 관통구로 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이고,
    상기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는, 상기 홈 상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맞대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 대신에, 광학 필름의 표면에 이박리형 (易剝離型) 의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이면에는 점착제층을 통하여 이박리형의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의 맞댐 단면은, 모두, 표면 및 이면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의 맞댐 단면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서부터 이면을 향하여 평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1) 에 있어서,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은, 맞댐 단면의 간극의 폭이 50㎛ 이하가 되도록 맞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2) 에서 사용하는 협지재는, 그 적어도 표면이,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2. 제 1 항에 기재된 조합형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복수의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는 조합형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광학 필름의 단면끼리를, 간극을 형성하여 맞댄 상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의 맞댐부 전부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
    상기 간극의 편측과 연결시키기 위한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 및
    다른 일방의 간극의 편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가 모두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기 위한 협지재로서, 상측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는 평판이고, 하측면에 사용하는 협지재는 단면 오목 형상이고, 단면 오목 형상의 양측의 돌출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단면 오목 형상의 오목부에는 상기 양측의 관통구로 통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이며,
    상기 관통구의 일방에, 유기 용제 또는 접착제를 함유하는 용기를 연결하고,
    다른 일방의 관통구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광학 필름 제조 장치.
  15. 제 1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접착제 또는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학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서로 맞대어 접합하여 얻어진, 조합형 광학 필름.
  16. 제 15 항에 기재된 조합형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7025346A 2006-05-09 2007-04-23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60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9768 2006-05-09
JPJP-P-2006-129768 2006-05-09
PCT/JP2007/058755 WO2007129562A1 (ja) 2006-05-09 2007-04-23 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その装置、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10A KR20090009810A (ko) 2009-01-23
KR101160866B1 true KR101160866B1 (ko) 2012-07-02

Family

ID=3866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346A KR101160866B1 (ko) 2006-05-09 2007-04-23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2462B2 (ko)
EP (1) EP2022621A1 (ko)
KR (1) KR101160866B1 (ko)
CN (1) CN101432124B (ko)
TW (1) TWI395661B (ko)
WO (1) WO2007129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2124B (zh) * 2006-05-09 2012-06-13 日东电工株式会社 组合型光学薄膜的制造方法、及其装置、组合型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JP4707697B2 (ja) * 2006-10-31 2011-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その装置、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853877B2 (ja) * 2007-11-19 2012-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09066604A1 (ja) * 2007-11-19 2009-05-28 Nitto Denko Corporation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562792B2 (ja) * 2007-11-20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結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連結シート製品および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167083B2 (ja) * 2007-12-06 2013-03-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915281B2 (en) * 2008-01-10 2014-12-23 Nitto Denko Corporation System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unit and feed mechanism
JP5399082B2 (ja) * 2008-01-17 2014-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324316B2 (ja) *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I417587B (zh) 2009-03-10 2013-12-01 Au Optronics Corp 導光板組合
EP2439056B1 (de) 2010-10-09 2013-12-11 Qui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korteiles und ein solches Dekorteil
JP5203497B2 (ja) * 2011-01-07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同士の熱溶着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並びに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894797B2 (en) * 2012-05-24 2014-11-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of splicing polarized films
CN103207471B (zh) * 2013-03-21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器
CN109387897B (zh) * 2017-08-10 2021-04-23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线栅组件、起偏照明装置及光配向设备
CN109387898A (zh) * 2017-08-10 2019-02-26 上海微电子装备(集团)股份有限公司 线栅组件、起偏照明装置及光配向设备
TWI815389B (zh) * 2022-04-01 2023-09-1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7A (ja) 1997-06-27 1999-01-29 Sharp Corp マルチパネル型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4093825A (ja) 2002-08-30 2004-03-25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4807A (ja) 1983-05-20 1984-12-04 Arisawa Seisakusho:Kk 偏光板の切断方法
JPS61189506A (ja) 1985-02-19 1986-08-23 Nitto Electric Ind Co Ltd 偏光板形成用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825157B2 (ja) 1988-03-22 1998-11-18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
JP2881751B2 (ja) 1989-03-10 1999-04-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メッキ用組成物およびメッキ物
JP2712643B2 (ja) 1989-10-06 1998-02-16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成形品
JPH0588163A (ja) 1991-09-26 1993-04-09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673127A (en) * 1993-12-01 1997-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a display panel
JP2640081B2 (ja) 1994-03-29 1997-08-13 株式会社有沢製作所 偏光板付反射体並びに反射体
DE4430703C2 (de) 1994-08-30 1996-08-08 Continental Ag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von Materialenden bei Materialbahnen
US5935377A (en) * 1994-08-30 1999-08-10 Continental Ag Device for joining ends of material strips
US6104457A (en) * 1997-06-13 2000-08-15 Sharp Kabushiki Kaisha Sealed multi-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055035A (en) * 1998-05-11 2000-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s
US6459467B1 (en) * 1998-05-15 2002-10-01 Minolta Co., Ltd. Liquid crystal light modulat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JP4953494B2 (ja) 1998-12-09 2012-06-13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成形材料、そ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DE60017274T2 (de) * 1999-10-04 2005-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Verbessertes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itzerndem würfeleckecken-bahnmaterial
JP2001121619A (ja) 1999-10-26 2001-05-08 Mitsuboshi Belting Ltd ベルトの製造方法
WO2001037007A1 (fr) 1999-11-12 2001-05-25 Kaneka Corporation Film transparent
JP4769348B2 (ja) 1999-11-26 2011-09-07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の製造方法
JP2001343529A (ja) 2000-03-30 2001-1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3128A (ja) * 2000-07-06 2002-01-23 Minolta Co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空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4414080B2 (ja) 2000-10-18 2010-02-10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熱可塑性樹脂積層体
JP5082172B2 (ja) * 2001-02-05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703869B2 (ja) 2001-03-05 2011-06-15 株式会社日本触媒 熱可塑性樹脂積層体
JP2002277782A (ja) 2001-03-16 2002-09-25 Sharp Corp 光学部品の取付構造
JP3928842B2 (ja) 2001-04-05 2007-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及び表示装置
US6459462B1 (en) * 2002-01-28 2002-10-01 Rainbow Displays, Inc. Process and tool for maintaining three-dimensional tolerances for manufacturing tiled AMLCD displays
JP2004070296A (ja) 2002-06-14 2004-03-04 Toray Ind Inc 偏光板保護シートおよび偏光板
JP2004253335A (ja) 2003-02-21 2004-09-0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CN1458363A (zh) * 2003-05-05 2003-11-26 崔建伟 一种对阳光有选择性分光功能的复合玻璃及应用
JP4340128B2 (ja) 2003-11-13 2009-10-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ラクトン環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CN1238762C (zh) * 2004-02-20 2006-01-25 北京中电金蜂显示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展宽显示屏幕视角的光学薄膜的制备方法
JP4535798B2 (ja) 2004-07-22 2010-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類、粘着型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4335773B2 (ja) 2004-09-27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JP2007062350A (ja) * 2005-03-10 2007-03-15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イルムの製造方法、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イルム、位相差フイ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8094271B2 (en) * 2006-02-03 2012-01-10 Fujifilm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m plat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JP4858005B2 (ja) * 2006-03-07 201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CN101432124B (zh) * 2006-05-09 2012-06-13 日东电工株式会社 组合型光学薄膜的制造方法、及其装置、组合型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KR101308557B1 (ko) * 2007-01-15 2013-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7A (ja) 1997-06-27 1999-01-29 Sharp Corp マルチパネル型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4093825A (ja) 2002-08-30 2004-03-25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5661B (zh) 2013-05-11
CN101432124A (zh) 2009-05-13
EP2022621A1 (en) 2009-02-11
WO2007129562A1 (ja) 2007-11-15
US20090186170A1 (en) 2009-07-23
CN101432124B (zh) 2012-06-13
TW200808530A (en) 2008-02-16
KR20090009810A (ko) 2009-01-23
US7972462B2 (en)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866B1 (ko)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 필름및 화상 표시 장치
TWI420160B (zh) A combination optical film, a liquid crystal panel,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202889B2 (ja) 積層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KR100899971B1 (ko) 조합형 광학 필름, 적층 조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JP5072747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84944B2 (ja) 偏光解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375461B1 (ko)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필름,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적층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050048517A (ko) 점착형 광학 필름의 박리 방법
JP4667414B2 (ja) 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その装置、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38283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15277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292935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64075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707691B2 (ja) 連結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連結組み合わせ型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
JP2008298871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241910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169279A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849052B1 (ko) 보호필름 부착 위상차판, 그 제조방법, 보호필름 부착점착형 위상차판 및 보호필름 부착 점착형 광학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