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493B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493B1
KR101158493B1 KR1020090031475A KR20090031475A KR101158493B1 KR 101158493 B1 KR101158493 B1 KR 101158493B1 KR 1020090031475 A KR1020090031475 A KR 1020090031475A KR 20090031475 A KR20090031475 A KR 20090031475A KR 101158493 B1 KR101158493 B1 KR 10115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kickboard
horizontal frame
torsion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932A (ko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오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우 filed Critical 오상우
Priority to KR102009003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493B1/ko
Priority to PCT/KR2010/002141 priority patent/WO2010117211A2/ko
Publication of KR2010011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0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팅된 조향부에 의해수평 프레임의 비틀림부에 비틀림으로 킥보드를 지면에 근접시킴으로써 조향 및 주행시 원심력을 제어하고, 동시에 추진력이 발생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는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는 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며,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양측 발을 각각 올려놓을 수 있는 한 쌍의 발판부;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바퀴;를 포함한다.
킥보드, 회전, 원심력, 비틀림부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프레임이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통해 자체추진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할 수 있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전방에 형성된 핸들에 양 손을 파지한 후 한발은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로 지면을 차면서 주행하도록 하는 놀이 기구 중의 하나로, 근래에 와서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연령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레저 용도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는 전후에 전, 후방 바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 후방 바퀴 사이에 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킥보드는 핸들에 의해서만 조향되는데, 가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급격히 회전을 가했을 경우엔 원심력이 발생되어 중심을 잃어 넘어지거나, 또는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프레임이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통해 자체추진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할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는 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며,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양측 발을 각각 올려놓을 수 있는 한 쌍의 발판부;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은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비틀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비틀림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에 구비 또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틀림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틀림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두께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과 발판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수평 프레임 방향으로 절접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전방바퀴와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의 외측을 감싸거나,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를 노출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힌지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바퀴는 회전축이 기울어진 방향성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프레임을 비틀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을 비틀고 탄성복원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방향성 캐스터를 좌우로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으로 지면을 발로 구르지 않더라도 추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시 조향부를 지면방향으로 틸팅하여 원심력 제어에 의해 안정적인 조향 및 주행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향부를 절첩하여 킥보드 보관시 차지 공간이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실시 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서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는 조향부(40)와, 수평 프레임(50)과, 발판부(6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조향부(40)는 전방 바퀴(30)와, 상기 전방 바퀴(30)와 연결된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 상부에 고정되는 핸들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킥보드(1)의 보관 용이성 등을 위해 절첩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핸들부(10)는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중심부가 고정되며, 좌, 우측에 사용자의 손을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10)에는 상기 전방 바퀴(30)를 제동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50)은 선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발판부(60)에 연결된다. 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은 한 쌍의 발판부(6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50)은 하면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등으로 사출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50)은 일부 구간에 비틀림부(51)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틀림부(51)는 상기 수평 프레임(50)의 두께 중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51a)가 있는 구간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조향부(40)의 틸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외력 제거시 원상태로 탄성복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틀림부(50)는 상기 수평 프레임(50)의 일부 구간에서 두께를 얇게 축소하여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부 구간에 고무재질의 바(bar)나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구비함으로써 비틀림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판부(60)는 좌우 발을 각각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이들 한 쌍의 발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61)는 상기 수평 프레임(50)의 타단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수평 프레임(50)과 상기 발판부(60)와 연결부재(61)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후방바퀴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60)의 저면에 부착되는 브라켓(71a)과, 상기 브라켓(71a)에 고정설치되는 롤러지지대(72a)와, 상기 롤러지지대(72a)에 연결되는 롤러(73a)를 포함하는 캐스터(70a)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바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회전이 가능하고, 회전축방향(S)이 수직인 통상적인 캐스터(70a)일 수도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방향성 캐스터(70b)일 수도 있다. 다만, 방향성 캐스터(70b)인 경우가 추진력을 얻는 측면에서는 용이하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캐스터(70b)는 회전축방향(S)이 수직선으로부터 소정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과 발판은 그 사잇각이 (a)에서와 달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1)는 지면을 발로 미는 동작 없이 자체추진이 가능한데,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60)에 각각 양발을 올려 놓는다.
다음으로 수직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가며 양발을 밀게 되면, 방향성 캐스터(70b)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우측과 좌측으로 번갈아가며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으로 자체 추진력이 발생되어 지면을 발로 미는 동작 없이도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방향성 캐스터(70b)를 이용한 자체 추진 메카니즘은 특허 제39484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한다.
한편, 이와 다른 방법으로도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바, 이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은 좌측으로 틸팅하게 되면, 지면에 근접하게 되고, 이 때 수평프레임(50)이 비틀리게 된다. 이 때 후방바퀴(70)의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틸팅을 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평프레임(50)의 비틀림이 풀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을 우측으로 틸팅하게 되면, 지면에 근접하게 되고, 이 때 수평프레임(50)이 아까와는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된다. 이 때 후방바퀴(70)의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방향성 캐스터(70a)가 우측, 좌측으로 번갈아가며 회전되면서 방향성 캐스터의 특성에 의해 자체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틀림부를 구비함으로써 수평 프레임이 비틀림과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는 자체 추진력을 얻는데에도 작용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킥보드가 어느 정도의 속력을 갖고 진행하는 중 급격한 커브로 회전을 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넘어지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급격한 커브로 회전시 몸을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눕힐 수 있어 원심력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킥보드는 전방바퀴(30)가 수직 프레임(20)을 통해 핸들(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핸들(10)의 움직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된다. 만약 고속으로 주행하는 중 사용자가 실수가 핸들(10)을 과도하게 움직이는 경우 넘어져서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방바퀴(30)를 조작하는 대신, 조향부(40)를 틸팅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조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프레임(50)이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 로써, 자체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바퀴(30)의 직접적인 조작 대신 조향부(40)의 틸팅으로 안정적인 조향 및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상기 수평 프레임(50)방향으로 절첩가능하다.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하부 프레임(23)과, 상부 프레임(21)과, 커버(25)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3)은 하부에 상기 전방 바퀴(30)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1)은 상기 하부 프레임(2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23)과 상기 상부 프레임(21)은 절첩가능하도록 힌지결합부(27)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커버(25)는 평상시 상기 하부 프레임(23)과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일측의 외측을 감싸며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1)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프레임(21, 23)과 상기 커버(25)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커버(25)가 상기 힌지결합부(27)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 부재(29)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29)는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상단에 직경을 선단보다 확장시켜 형성하는 턱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그 선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킥보드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힌 지결합부(27)가 절첩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결합부(27)를 상기 커버(25)가 감싸며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 하부 프레임(21, 23)과 상기 커버(25)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 부재(29)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커버(25)를 지지하고, 지지된 상기 커버(25)로 인해 상기 상부 프레임(21)이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킥보드(1)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25)를 상방향으로 밀면 상기 힌지결합부(27)가 노출되고,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21)을 상기 수평 프레임(50)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향부(40)가 절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29)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커버(25)가 후퇴하지 않도록 상기 걸림턱(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절첩된 상기 조향부(40)로 인해 공간 제한 없이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핸들부 20: 수직 프레임
21: 상부 프레임 23: 하부 프레임
25: 커버 27: 힌지결합부
29: 탄성부재 30: 전방 바퀴
40: 조향부 50: 수평 프레임
51: 비틀림부 51a: 절개부
60: 발판부 61: 발판 연결부재
70: 후방 바퀴

Claims (10)

  1. 전방바퀴(30)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부(10)를 포함하는 조향부(40);
    상기 수직 프레임(20)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부가 좌우로 틸팅될 수 있도록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수평 프레임(50);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양측 발을 각각 올려놓을 수 있는 한 쌍의 발판부(60);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 각각의 저면에 구비되는 후방바퀴(7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부 또는 일부 구간에는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용이한 비틀림부(51)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후방바퀴(70)는 회전축이 기울어진 방향성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부(51)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두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부(51)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두께가 축소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5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50)과 발판부(6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상기 수평 프레임(50) 방향으로 절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상기 전방바퀴(30)와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23)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1)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는 힌지결합부(27)의 외측을 감싸거나, 또는 상기 힌지결합부를 노출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이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커버(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힌지결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0. 삭제
KR1020090031475A 2009-04-10 2009-04-10 킥보드 KR10115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75A KR101158493B1 (ko) 2009-04-10 2009-04-10 킥보드
PCT/KR2010/002141 WO2010117211A2 (ko) 2009-04-10 2010-04-07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75A KR101158493B1 (ko) 2009-04-10 2009-04-10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932A KR20100112932A (ko) 2010-10-20
KR101158493B1 true KR101158493B1 (ko) 2012-06-21

Family

ID=4293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475A KR101158493B1 (ko) 2009-04-10 2009-04-10 킥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8493B1 (ko)
WO (1) WO20101172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0587A1 (en) 2015-02-11 2016-08-18 Razor Usa Llc Scooter with rotational connection
USD855116S1 (en) 2017-09-12 2019-07-30 Razor Usa Llc Personal mobility vehicle
JP6915179B1 (ja) * 2020-05-01 2021-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646Y1 (ko) * 2004-05-27 2004-09-01 이갑수 킥보드
KR20050096787A (ko) * 2004-03-29 2005-10-06 문명일 인라인 보드식 롤키
KR200413865Y1 (ko) 2006-01-27 2006-04-11 임선우 점핑스틱보드
KR200438635Y1 (ko) * 2007-01-23 2008-02-28 주식회사 슬로비 조향수단의 독립 틸팅이 가능한 트라이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383B2 (ja) * 2001-03-01 2005-05-11 ジェイディジャパン株式会社 三輪スケ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787A (ko) * 2004-03-29 2005-10-06 문명일 인라인 보드식 롤키
KR200360646Y1 (ko) * 2004-05-27 2004-09-01 이갑수 킥보드
KR200413865Y1 (ko) 2006-01-27 2006-04-11 임선우 점핑스틱보드
KR200438635Y1 (ko) * 2007-01-23 2008-02-28 주식회사 슬로비 조향수단의 독립 틸팅이 가능한 트라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211A2 (ko) 2010-10-14
WO2010117211A3 (ko) 2011-03-10
KR20100112932A (ko)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432B2 (en) Self-balancing foot platform devices
CN109789908B (zh) 可折叠防震滑板车
KR101158493B1 (ko) 킥보드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KR101033658B1 (ko) 발판 탈부착식 킥보드
KR200442895Y1 (ko) 킥보드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JP5736060B2 (ja) ベビーカー
KR100987927B1 (ko) 보드
JP6773338B2 (ja) 手押し車
TWI731621B (zh) 助行器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3426852B2 (ja) 雪上滑走具
KR20100134262A (ko) 놀이기구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102585658B1 (ko) 휴대가 용이한 전동 킥보드의 접이식 구조
JP5316052B2 (ja) 走行装置
KR101922335B1 (ko)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1918401B1 (ko)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JP2012241390A (ja) ハンドガイドローラ
US200201671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hibiting stones and other objects from wedging under the wheels of a scooter
KR101244951B1 (ko) 카빙 선회방식의 트라이보드
KR100823934B1 (ko)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KR200360646Y1 (ko) 킥보드
CN213057346U (zh) 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