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646Y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646Y1
KR200360646Y1 KR20-2004-0014665U KR20040014665U KR200360646Y1 KR 200360646 Y1 KR200360646 Y1 KR 200360646Y1 KR 20040014665 U KR20040014665 U KR 20040014665U KR 200360646 Y1 KR200360646 Y1 KR 200360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caffold
kickboard
fixing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수
김형종
Original Assignee
이갑수
김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수, 김형종 filed Critical 이갑수
Priority to KR20-2004-0014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축(1)의 하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한 쌍의 발판(5)이 탄성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는 연결수단에 의해 설치되고, 각 발판(5)의 하측에서 캐스터(6)가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두 발을 각 발판(5)에 올려놓고 외측과 안쪽으로 반복하여 오므리거나 전개시켜 추진력을 얻을 때 각 발판이 자체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면서 탄력적으로 요동되어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항상 수직으로 전달되면서 안정적이고 큰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이 발판에 안정적으로 착지되어 미끄러지는 위험이 줄어들어 운동의 묘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발판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반복적으로 전개시키거나 오므리면 자체적으로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도록 된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발판이 자체적으로 탄성적인 비틀림과 약간의 탄성적인 휘어짐을 가짐으로서 추진력을 증대시키면서 조작의 묘미를 향상시킨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한 쌍의 발판을 가지는 킥보드는 길게 형성되어 그 상단에 핸들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앞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앞바퀴의 상측에서 양 측으로 돌출된 연결판이 구비되어 있는 핸들축과; 각각 판형으로 되어 그 선단이 상기 연결판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하단으로 설치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발판은 핸들축에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각 뒷바퀴는 캐스터로 되어 각 발판에 두 발을 올려놓고, 두 발을 좌ㆍ우로 전개 및 오무리는 동작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여 전진하게 된다.
즉, 발판을 좌ㆍ우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뒷바퀴는 발판의 측방 이동에 따라 일정 각도를 회동하면서 앞바퀴에 대한 추진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 기술은 자체적인 추진력을 가짐과 동시에 색다른 오락 및 운동의묘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나, 발판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좌ㆍ우로의 밀고 당김이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쌍의 발판이 자체적으로 탄성적인 비틀림 또는 휘어짐을 가짐으로서 발을 밀고 당기는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조작의 묘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의 발판의 일부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7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핸들축 2 ; 핸들
3 ; 앞바퀴 4 ; 연결대
5 ; 발판 6 ; 캐스터
7 ; 고정대 8 ; 코일스프링
9 ; 보호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에 바퀴를 가지는 핸들축의 하측 일단으로부터 한 쌍의 발판이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발판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어 각 발판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으로 추진력을 얻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발판과 핸들축의 사이에는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연결대가 더 설치되고, 이 연결대의 단부가 발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대에 탄성적으로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이루어지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한 쌍의 발판위에 올라서서 양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데 즉, 두 발판을 좌ㆍ우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킥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캐스터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킥보드에 의하면,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고, 별도로 지면을 차고 나갈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추진력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판을 좌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면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레져용으로도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특히, 두 발의 조작시 각 발판이 연결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이루어져서 발판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발의 조작에 따라 적당히 경사면을 이루면서 발의 압력이 항상 수직상태로 가해짐으로써 압력의 전달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서 더 큰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판의 탄력적인 유동에 의해 조작의 묘미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의 킥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발판의 저면을 나타낸 일부 저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관 형태로 길게 형성된 핸들축(1)의 상단에는 좌ㆍ우로 연장된 핸들(2)이 부착되어 있고, 하단에는 앞바퀴(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1)의 하측 일단에는 한 쌍의 연결대(4)가 핸들축(1)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이 연결대(4)의 회전폭은 선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각 연결대(4)의 후방으로는 발판(5)이 각각 연결되는데, 각 발판(5)은 상기 연결대(4)와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각 발판(5)의하측으로 캐스터(6)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5)은 압력을 가할 시에 탄성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면서 좌우로 요동되고, 하측의 캐스터(6) 또한 요동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항상 수직으로 전해지면서 안정적인 압력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발이 발판으로부터 미끄러져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도 방지된다.
도 3은 상기 연결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그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수단이 핸들축으로부터 연결되는 각 연결대(4)가 구비되고, 발판(5)의 하측으로 고정대(7)가 설치되며, 각 연결대(4)와 고정대(7)가 코일스프링(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판(5)은 연결대(4)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코일스프링(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부분에서 탄성을 가지게 되며, 발판(5)에 좌,우로의 압력을 가할 경우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발판(5)이 연결대(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비틀려지거나 측방으로 휘어질 수 있고, 따라서 발의 조작에 따라 발판의 각도가 적당히 요동되면서 발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의 전달이 항상 수직으로 전달되어 캐스터의 요동과 더불어 더욱 명확한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쉽게 복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8)은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대(4)와 고정대(5)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외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바라형의 보호관(9)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대(4)와 고정대(7)가 분리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경우에는 발판(5)이 측방으로의 휘어짐이 다소 많아질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휘어짐을 줄이고, 비틀림 작용에 중점을 둘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대(4)와 고정대(7)의 지름을 달리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면서 코일스프링(8)을 연결대(4)와 고정대(7)의 내측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휘어짐이 억제되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그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대와 발판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대(14)와 발판의 하측으로 고정되는 고정대(17)의 내부에 판스프링(18)이 설치되며, 이 판스프링(18)의 양 단부가 각각 연결대(14)와 고정대(17)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외부에 자바라형의 보호관(19)이 씌워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판에 압력을 가할 경우, 상기 판스프링(18)의 탄력으로 발판이 연결대(1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짐으로써 발판에 전달되는 압력이 항상 수직으로 작용되면서 탄성적으로 요동되어 더욱 큰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조작의 묘미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연결대(14)와 고정대(17)의 지름을 달리하여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면서 판스프링(18)을 연결대(14)와 고정대(17)의 내측으로 설치하여 그 양 단부를 연결대(14)와 고정대(17)의 일단에 각각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발판이 연결대에 대하여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면서 비틀림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면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압축스프링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장스프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스프링의 장착 위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축(1)의 하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한 쌍의 발판(5)이 탄성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는 연결수단에 의해 설치되고, 각 발판(5)의 하측에서 캐스터(6)가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두 발을 각 발판(5)에 올려놓고 외측과 안쪽으로 반복하여 오므리거나 전개시켜 추진력을 얻을 때 각 발판이 자체적으로 비틀려지거나 휘어지면서 탄력적으로 요동되어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항상 수직으로 전달되면서 안정적이고 큰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발이 발판에 안정적으로 착지되어 미끄러지는 위험이 줄어들어 운동의 묘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하단에 바퀴를 가지는 핸들축의 하측 일단으로부터 한 쌍의 발판이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발판의 하측으로 캐스터가 설치되어 각 발판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으로 추진력을 얻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발판과 핸들축의 사이에는 상기 핸들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연결대가 더 설치되고, 이 연결대의 단부가 발판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대에 탄성적으로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이루어지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발판의 하측으로 고정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와 고정대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와 고정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 단부가 연결대와 고정대의 각 일단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발판의 하측으로 고정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와 고정대가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와 고정대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양 단부가 연결대와 고정대의 각 일단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20-2004-0014665U 2004-05-27 2004-05-27 킥보드 KR200360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65U KR200360646Y1 (ko) 2004-05-27 2004-05-27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665U KR200360646Y1 (ko) 2004-05-27 2004-05-27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646Y1 true KR200360646Y1 (ko) 2004-09-01

Family

ID=4943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665U KR200360646Y1 (ko) 2004-05-27 2004-05-27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6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58B1 (ko) * 2006-02-22 2008-02-27 주식회사 슬로비 삼륜 캐스터 스케이트
WO2010117211A2 (ko) * 2009-04-10 2010-10-14 Gang Sin Gi 킥보드
WO2011062323A1 (ko) * 2009-11-18 2011-05-26 (주)타이젠 킥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58B1 (ko) * 2006-02-22 2008-02-27 주식회사 슬로비 삼륜 캐스터 스케이트
WO2010117211A2 (ko) * 2009-04-10 2010-10-14 Gang Sin Gi 킥보드
WO2010117211A3 (ko) * 2009-04-10 2011-03-10 Gang Sin Gi 킥보드
KR101158493B1 (ko) * 2009-04-10 2012-06-21 오상우 킥보드
WO2011062323A1 (ko) * 2009-11-18 2011-05-26 (주)타이젠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206B2 (en) Stowable lower body fitness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muscle engagement, body stability and range of motion
US20180148977A1 (en) Folding ladder with armrest
US7311319B1 (en) Therapeutic scooter system
JP2011500420A (ja) 自転車サドルの位置調整装置
US20150069733A1 (en) Manual tractor assembly for tracking wheel chair
JP2011510691A (ja) 三輪付き立乗り型乗物
KR200360646Y1 (ko) 킥보드
AU2008250921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100668623B1 (ko) 보행 운동 기구
KR20060136054A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US6306065B1 (en) Exercising cart structure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0390007Y1 (ko) 걷기 놀이 기구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JP6773338B2 (ja) 手押し車
KR101017241B1 (ko) 스텝 앤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275320Y1 (ko) 복합 운동기구
KR102551947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0397820Y1 (ko) 운동기구
KR102509674B1 (ko) 등 마사지 기능을 갖는 스쿼트 운동장치
KR20160000784U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373318Y1 (ko) 킥보드
US20110221163A1 (en) Standing bike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