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007Y1 - 걷기 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걷기 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007Y1
KR200390007Y1 KR20-2005-0010985U KR20050010985U KR200390007Y1 KR 200390007 Y1 KR200390007 Y1 KR 200390007Y1 KR 20050010985 U KR20050010985 U KR 20050010985U KR 200390007 Y1 KR200390007 Y1 KR 200390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ody
walking
height
r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훈
Original Assignee
장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훈 filed Critical 장동훈
Priority to KR20-2005-0010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2Elastic sti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의 양발을 딛고 걷기 등을 하는데 사용되는 걷기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을 딛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봉 몸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체격조건이나 키에 따라서 봉 몸체의 높이 및 발판의 높이를 여러 단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흥미를 제공하기 위한 놀이기구는 물론, 근력강화와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 균형감각 등을 발달시켜 주는 신체건강에 아주 유익한 운동기구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걷기 놀이 기구{THE PLAYING APPARATUS WHICH IT WALKS}
본 고안은 걷기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지팡이 형상으로 된 놀이기구는 기다란 막대기에 고정시켜 놓은 정도의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일명 '스카이콩콩' 이라는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하늘로 도약하는 놀이기구가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걷기 놀이 기구는 막대기 및 발판이 고정되어 있어 손잡이와 발판간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자의 체격조건이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막대기의 높이도 조절할 수 없어서 보관이나 들고 다니는데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봉 몸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체격조건이나 키에 따라서 봉 몸체의 높이 및 발판의 높이를 여러 단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걷기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근력강화와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 균형감각 등을 발달시켜 주는 신체건강에 아주 유익한 운동기구 뿐만 아니라 적절한 흥미를 제공하기 위한 놀이기구로도 이용할 수 있는 걷기 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을 딛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봉 몸체는, 상기 봉 몸체의 외측으로 상하이동 자재토록 삽입되는 높이조절봉과;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이 구비되며, 하단으로 스프링 일측선단을 지지하도록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발판지지봉과; 상기 발판지지봉의 하방으로 삽입되며,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바닥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봉 몸체의 측면으로 높이에 따라 일렬로 다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봉의 내측으로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누름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누름스위치가 상기 봉 몸체의 고정홈의 적당한 높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높이조절봉이 봉 몸체에 고정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바닥지지봉은, 하부 끝단에 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팩킹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봉 몸체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접철이 가능한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봉 몸체는 높이에 따라 일렬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은 상기 구멍을 이용하여 착탈 고정되어 발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때 쿠션감을 부여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봉 몸체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봉 몸체의 하부 끝단에는 고무팩킹이 부착된 것으로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걷기 놀이 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높이조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발판의 높이 조절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닥지지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봉 몸체(10)와, 손잡이(20)와, 발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봉 몸체(10)는 3개의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있는데, 우선 봉 몸체(10)의 외측으로 높이조절봉(110)이 상하이동 자재토록 삽입되어지며, 상기 높이조절봉(110)의 외측으로 발판지지봉(120)이 삽입되어진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봉(120)의 하방으로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바닥지지봉(130)이 봉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봉 몸체(10)는 강철막대기나 플라스틱 막대기 중에서 어느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봉 몸체(10)는 양측으로 높이에 따라 일렬로 다수 개의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봉(110)의 내측에는 스프링(114)이 끼워져 있는 누름스위치(112)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2(가)에서와 같이 양측 누름스위치(112)를 눌러주면 스프링(114)이 수축하게 되고, 도 2(나)에서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112)를 상기 봉 몸체(10)의 고정홈(12)의 적당한 높이에서 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시키면 상기 누름스위치(112)가 양측 고정홈(12)에 걸려 상기 높이조절봉(110)이 고정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봉(110)의 상단에는 손잡이(20)가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판지지봉(120)에는 상기 봉 몸체(10)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30)은 상기 발판지지봉(120)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지지봉(120)에 발판(30)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발판지지봉(120)의 측면에는 다단계의 발판높이조절홈(122)이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발판높이조절홈(122)에 발판(30)이 착탈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판(30)은 끼움부(32)가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발판높이조절홈(122)에 끼워지고 고정볼트(34)로 체결하여 발판(30)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지지봉(12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바닥지지봉(130)의 스프링(132) 일측선단을 지지하도록 걸림부(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봉(130)의 하단에는 스프링(132)이 설치되고, 하부 끝단에는 고무팩킹(134)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32)은 완충장치로서, 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때 땅과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스프링(132)의 감쇄작용에 의하여 점차 약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무팩킹(134)은 지면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여 봉 몸체(10)가 바닥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손잡이(20)를 두 손으로 쥐고 발판(30) 위에 올라서서 걸을 수 있는 즐거운 놀이를 즐길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봉 몸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체격조건이나 키에 따라서 봉 몸체의 높이 및 발판의 높이를 여러 단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는, 근력강화와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 균형감각 등을 발달시켜 주는 신체건강에 아주 유익한 운동기구 뿐만 아니라 적절한 흥미를 제공하기 위한 놀이기구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높이조절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놀이 기구의 발판의 높이 조절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닥지지봉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봉 몸체 12. 고정홈
20. 손잡이 30. 발판
32. 끼움부 34. 고정볼트
110. 높이조절봉 112. 누름스위치
114,132. 스프링 120. 발판지지봉
122. 발판높이조절홈 124. 걸림부
130. 바닥지지봉 134. 고무팩킹

Claims (5)

  1. 걷기 놀이 기구에 있어서,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을 딛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 몸체는,
    상기 봉 몸체의 외측으로 상하이동 자재토록 삽입되는 높이조절봉과;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이 구비되며, 하단으로 스프링 일측선단을 지지하도록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발판지지봉과;
    상기 발판지지봉의 하방으로 삽입되며,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바닥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봉 몸체의 측면으로 높이에 따라 일렬로 다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봉의 내측으로 스프링이 끼워져 있는 누름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누름스위치가 상기 봉 몸체의 고정홈의 적당한 높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높이조절봉이 봉 몸체에 고정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봉의 하부 끝단에는 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무팩킹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 몸체는
    다단으로 형성되며,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5. 걷기 놀이 기구에 있어서,
    다단으로 형성되어 접철이 가능한 봉 몸체와;
    상기 봉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봉 몸체의 하부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올라서서 발을 딛기 위한 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봉 몸체는 높이에 따라 일렬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은 상기 구멍을 이용하여 착탈 고정되어 발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기구를 이용하여 걸을 때 쿠션감을 부여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봉 몸체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봉 몸체의 하부 끝단에는 고무팩킹이 부착된 것으로, 상기 걷기 놀이 기구는 2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걷기 놀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놀이 기구.
KR20-2005-0010985U 2005-04-20 2005-04-20 걷기 놀이 기구 KR200390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85U KR200390007Y1 (ko) 2005-04-20 2005-04-20 걷기 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85U KR200390007Y1 (ko) 2005-04-20 2005-04-20 걷기 놀이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69A Division KR20060110903A (ko) 2005-04-20 2005-04-20 걷기 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007Y1 true KR200390007Y1 (ko) 2005-07-18

Family

ID=4369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85U KR200390007Y1 (ko) 2005-04-20 2005-04-20 걷기 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0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384A (ko) * 2005-07-01 2007-01-05 장동훈 걷기놀이기구
KR101293864B1 (ko) 2011-08-26 2013-08-07 원자력안전평가원 주식회사 성장 촉진 및 다리 근육 강화 운동 기구
KR101307520B1 (ko) * 2012-07-12 2013-09-11 박초록 키 높이 부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384A (ko) * 2005-07-01 2007-01-05 장동훈 걷기놀이기구
KR101293864B1 (ko) 2011-08-26 2013-08-07 원자력안전평가원 주식회사 성장 촉진 및 다리 근육 강화 운동 기구
KR101307520B1 (ko) * 2012-07-12 2013-09-11 박초록 키 높이 부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KR20090004805U (ko)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US7950975B1 (en) Simulation play kit
KR200390007Y1 (ko) 걷기 놀이 기구
KR101433339B1 (ko) 기립용 손잡이를 구비한 지팡이
KR20060110903A (ko) 걷기 놀이 기구
KR200290252Y1 (ko) 레져용 롱스틱 스텝퍼
US20120021879A1 (en) Exercise apparatus
KR200396271Y1 (ko) 걷기놀이기구
KR200265540Y1 (ko) 트램폴린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US20040214691A1 (en) Pogo sticks
KR200275259Y1 (ko) 점핑 놀이구
KR101739685B1 (ko) 복합운동 헬스자전거
KR100765417B1 (ko) 걷기놀이기구
KR200238592Y1 (ko) 뜀뛰기용 놀이구
KR20070003384A (ko) 걷기놀이기구
KR200360646Y1 (ko) 킥보드
KR200348299Y1 (ko) 장대 보행식 운동기구
KR200493837Y1 (ko) 개량형 스트래칭 기구
KR200337167Y1 (ko) 시소와 시소 겸용 미끄럼틀
JP3149428U (ja) ウォーキング補助具
KR200237972Y1 (ko) 스프링 뜀다리
KR960005755Y1 (ko) 지팡이 유희구
ES1306732U (es) Bastón con mecanismo de propuls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