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865Y1 - 점핑스틱보드 - Google Patents

점핑스틱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865Y1
KR200413865Y1 KR2020060002540U KR20060002540U KR200413865Y1 KR 200413865 Y1 KR200413865 Y1 KR 200413865Y1 KR 2020060002540 U KR2020060002540 U KR 2020060002540U KR 20060002540 U KR20060002540 U KR 20060002540U KR 200413865 Y1 KR200413865 Y1 KR 20041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ear wheel
spring
jumping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최용선
Original Assignee
임선우
최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우, 최용선 filed Critical 임선우
Priority to KR2020060002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0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mediate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스틱보드에 점핑이 가능하도록 스프링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점핑 스틱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퀴를 이용한 주행과 중행 중 스틱보드를 가압시켜 스프링을 압축하고 그 탄성으로 점핑과 동시에서 신축에 의한 기어 구동으로 전진을 할 수 있도록 한 점핑 스틱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틱보드(Stick Board 또는 통상적으로 퀵보드 quick board로 불리어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어린이들의 주행완구로서 주행용 뒤 바퀴를 구성한 발판부와 이 발판부에 힌지된 앞바퀴 그리고 앞바퀴를 조절하기 위한 조종간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한쪽 발을 발판부에 얻진 상태에서 다른 발로 밀어낼 때 그 반작용에 의해 바퀴 굴림으로 전진하는 승용완구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스틱보드에 점핑가능한 탄발스프링과 상하승강에 의한 바퀴굴림을 더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점핑과 전진이 이루어져 레포츠로서 더 많은 흥미를 유도하여 상품성과 운동효과 및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T”형의 핸들과 핸들에 끼워진 해드파이프에 고정된 브라킷과 판상의 보드를 절첩 가능하도록 한 절곡장치부, 상기 해드파이프 하부로 핸들봉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스프링을 체결하여 앞바퀴를 구성함과,
상기 보드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되는 스프링지지판을 구성하여 탄발스프링과 뒤바퀴를 힌지구성하는 스프링지지판, 상기 뒤바퀴 축에는 일방향클럿치기어를 구 성시켜 상기 보드 저면에 힌지되는 승하강구동랙을 구성시켜 일방향클럿치기어를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진과 전후 스프링으로 점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점핑, 스틱보드, 일방향클럿치기어

Description

점핑스틱보드 {A jumping-Stick board}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뒤바퀴 굴림작용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작동설명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구동랙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동랙과 일방향클럿치기어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중요부분 확대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핸들 11; 핸들봉 12; 해드파이프
13; 앞바퀴 14; 앞바퀴포크 15; 탄발스프링
16; 브라킷 20; 보드 20-1; 보드본체
21; 절곡장치부 22; 보강돌기부 23; 뒤바퀴
24; 힌지부 25; 발판 30; 구동랙
31; 전후다리 40; 스프링지지판 41; 뒤바퀴축
41-1; 연동피니어 45; 탄발스프링 50; 일방향클럿치기어
50-1; 연동기어 51; 일방향키 52; 밸트
본 고안은 통상의 스틱보드에 점핑이 가능하도록 스프링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점핑 스틱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퀴를 이용한 주행과 중행 중 스틱보드를 가압시켜 스프링을 압축하고 그 탄성으로 점핑과 동시에서 신축에 의한 기어 구동으로 전진을 할 수 있도록 한 점핑 스틱보드에 관한 것이다.
스틱보드(Stick Board 또는 통상적으로 퀵보드 quick board로 불리어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어린이들의 주행완구로서 주행용 뒤 바퀴를 구성한 발판부와 이 발판부에 힌지된 앞바퀴 그리고 앞바퀴를 조절하기 위한 조종간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한쪽 발을 발판부에 얻진 상태에서 다른 발로 밀어낼 때 그 반작용에 의해 바퀴 굴림으로 전진하는 승용완구이다.
이러한 스틱보드는 한쪽 발을 언제든지 지면에 착지 시킬 수 있어 스케이트보드나 자전거에 비해 충돌의 위험이 적고 인라인(롤러브레이드)이나 스케이트보드에 비해 넘어질 염려가 적어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레포츠로 알려지고 있으며 레포츠로서도 이동이 간편하고 이용 면적이 적어 복잡한 도시에서나 야외 등 어디서나 쉽게 즐기고 이용할 수 있는 특징과 그 운동량이 적절하여 폐활량을 늘려주는 유산소 운동기능과 비용도 저렴한 특징으로 많은 어린이와 함께 청소년 및 근래에는 청장년층까지도 스틱보드를 레포츠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틱보드는 주행완구 뿐만 아니라 레포츠로 선호되고 있으나, 그 사용기능이 승용한 상태에서의 전진으로 한정되어 보다 효과적인 선호도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어린이들의 승용완구와 함께 최근의 청소년과 청장년들이 레포츠로 즐기고 있으나 단순히 전진하는 정도에 불과함으로써 오랜 기간동안 레포츠로서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고 쉽게 그 흥미를 읽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특히 통상의 스틱보드에 점핑 가능한 탄발스프링과 상하승강에 의한 바퀴굴림을 더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점핑과 전진이 이루어져 레포츠로서 더 많은 흥미를 유도하여 상품성과 운동효과 및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T”형의 핸들과 핸들에 끼워진 해드파이프에 고정된 브라킷과 판상의 보드를 절첩 가능하도록 한 절곡장치부, 상기 해드파이프 하부로 핸들봉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스프링을 체결하여 앞바퀴를 구성함과,
상기 보드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되는 스프링지지판을 구성하여 탄발스프링과 뒤바퀴를 힌지구성하는 스프링지지판, 상기 뒤바퀴 축에는 일방향클럿치기어를 구성시켜 상기 보드 저면에 힌지되는 승하강구동랙을 구성시켜 일방향클럿치기어를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진과 전후 스프링으로 점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T”형의 핸드과 핸들에 끼워진 해드파이프에 고정된 브라킷에 판상의 보드가 절첩 가능하도록 한 절곡장치부를 구성하여 스틱보드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해드파이프 하부 핸들봉에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스프링을 체결하여 앞바퀴를 구성함으로써 점핑을 하도록 하고,
상기 보드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되는 스프링지지판을 구성하여 탄발스프링이 보드와 사이에서 탄성으로 점핑되고 이러한 점핑에 따른 승하강을 승하강되는 보드가 보드 저면에 힌지된 승하강구동랙이 승하강 하면서 스프링지지판에 힌지된 뒤바퀴축의 일방향클럿치기어를 구동시켜 뒤바퀴 굴림에 의한 전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뒤바퀴굴림작용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작동설명도.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구동랙의 작용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구동랙과 일방향클럿치기어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조향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T”형 핸들(10)의 기다란 핸들봉(11)이 해드파이프(12)에 끼워지고 그 끝단에 통상의 앞바퀴(13)를 구성하되, 상기 해드파이프(12)와 앞바퀴포크(14)상단으로 탄발스프링(15)을 구비하여 탄발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핸들봉(11)에 끼워지고 탄발스프링(15)으로 탄력설된 핸들파이프(12)는 탄발스프링의 신축으로 점핑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해드파이프(12)에 고정된 브라킷(16)에는 판상의 보드(20)가 절첩 가능하도록 보드(20)에 고정된 공지의 절곡장치부(21)와 체결시켜 핸들(10)과 보드(20)가 절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드(20)의 끝단은 상부로 굴절시켜 그 하부로 공간을 구성하여 뒤바퀴(23)가 위치되고 이 굴절부 하부면에 힌지된 구동랙(30)이 형성되며 이 구동랙(30)은 도 5와 6에서 도시한 포크형상으로 구성됨과 함께 포크내측으로 전후로 각각의 랙이 구성된다.
상기 구동랙(30)은 절곡장치부(21) 하단측 보드(20)에서 돌출된 보강돌기부(22)에 한쪽이 힌지되어 승하강되는 스프링지지판(40)의 끝단에 뒤바퀴축(41)으로 축설치되는 뒤바퀴(23)와 이 뒤바퀴축(23)에 체결된 일방향키(51)로 구성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을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랙(30)은 도면에서와 같이 전후다리(31)에 이격된 랙을 구비하고 상기 뒤바퀴축(41)결합된 한 쌍의 일방향클럿치기어(50)이 각각의 회전방향에 따라 설치된다.
즉, 구동랙(30)이 승강할 때에는 일방향키(51)가 체결되어 하나의 일방향클 럿치기어(50)을 회전시켜 뒤바퀴축(41)을 회전하여 뒤바퀴(23)의 구동과 다른 하나의 일방향클럿치기어(50)는 공전상태에 있고 다시 구동랙(30)이 하강할 때에 상기 회전한 일방향클럿치기어(50)는 공전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하여 뒤바퀴축(41)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스틱보드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은 사용자가 보드(20)에 발을 언지 상태에서 보드(20)에 체중으로 가압함으로써 하강되는 보드(20)는 핸들봉(11)과 보드(20)하부로 형성된 탄발스프링(15,45)의 신축으로 보드(20)가 하강과 탄발로 승강되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방향키(51)와 일방향클럿치기어(51)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작용효과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도 8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도와 도 9의 중요부분 확대 작동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T”형 핸들(10)의 기다란 핸들봉(11)이 해드파이프(12)에 끼워지고 그 끝단에 통상의 앞바퀴(13)를 구성하고, 상기 해드파이프(12)와 앞바퀴포크(14)상단으로 탄발스프링(15)을 구비하여 탄발력을 발휘하도록 함과,
상기 해드파이프(12)에 고정된 브라킷(16)에는 판상의 보드본체(20-1)가 절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이 보드본체(20-1)의 끝단에 뒤바퀴축(41)으로 축설치되는 뒤바퀴(23)와 이 뒤바퀴축(41)에 체결된 연동피니어(41-1)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드본체(20-1)상단에 한쪽부로 치우친 힌지부(24)에 의해 힌지 된 발판(25)을 탄발스프링(45)으로 탄력설치하여 승하강되고 그 끝단측에 포크형상의 구동랙(30)을 구비하여 상기 뒤바퀴(23)내측의 보드본체(20-1)에 힌지된 일방향키(51)로 구성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와 동일축상의 구동기어(50-1)을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일방향클럿치기어(50)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작용을 실시하고 이 일방향클럿치기어(50)가 뒤바퀴축(41)의 연동피니언(41-1)을 밸트(52)로 연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각각 표현된 피니언은 체인기어 등의 기어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발판(25)에 체중으로 가압함으로써 발판(25)이 탄발스프링(45)을 신축시키고 이러한 발판(25)의 승하강으로 구동랙(30)이 승하강하면서 구동랙(30)이 일방향클럿치기어(50)을 구동함으로써 회전력이 발생되어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의 사시도와 도 7의 본 고안을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쪽 발을 기다란 보드(20)에 올려놓고 핸들(10)을 잡고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되며 다른 한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밀어내면 공지와 같이 본 고안의 스틱보드는 앞뒤바퀴(13,23)의 굴림으로 전지하게 되며, 사용 후 공지의 절곡장치부(21)에서 미도시된 체결레버를 이용하여 체결부를 이탈시킴으로써 공지와 같이 핸들(10)과 보드(20)가 절곡되어 접히게 되고 이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이송 또는 보관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틱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한 핸들(10)과 보드(20)를 펼치고 절곡장치부(21)에서 미도시된 체결레버를 이용하여 절곡장치부(21)가 고정되게 체결하게 됨으로써 도 1및 도 7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스틱보드를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조절하면서 한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밀어내어 공지와 같이 앞뒤바퀴(13,23)의 굴림으로 전지하게 되는 스틱보드의 사용과 함께 놀이의 즐거움을 더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20)에 얹혀진 발과 핸들(10)을 잡은 손을 이용하여 스틱보드에 체중을 실어 강하게 누르면 핸들(10)과 보드(20)에 설치된 탄발스프링(45)이 신축되면서 보드(20)가 하강되고 상기 탄발스프링(45)의 탄발과 사용자의 신체가 상승하면서 동시에 점핑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때 핸들(10)쪽과 보드(20)쪽을 분리하여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이 동시에 실시하는 점핑을 할수 있고 이러한 것은 사용자의 놀이에 따라 또는 즐거움에 따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보드(20)의 하강과 상승이 되면서 이 보드(20)의 끝단측 하부에 힌지된 구동랙(30)이 함께 하강과 상승하는 작용을 하면서 이 구동랙(30)의 전후다리(31)에 형성된 랙은 그 랙에 결합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를 연동하고 이 일방향클럿치기어(50)를 축설치한 뒤바퀴축(41)이 함께 회전하면서 뒤바퀴(23)의 굴림으로 스틱보드가 전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인 가압과 점프로서 본고안의 스틱보드는 계속적으로 앞 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되어 어린이들의 유희와 레포츠의 즐거움을 더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보드(20)의 승하강에 의한 전진은 보드(20)의 승하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는 구동랙(30)이 승강하고 이 구동랙(30)의 전후다리(31)에 구성된 랙에 연동되는 일방향키(51)가 체결된 한 쌍의 일방향클럿치기어(50)중 하나가 구동되며 다른 하나는 공전상태에 있다가 하강하는 랙에 의해 연동되면서 회전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승강시 회전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는 공전상에 있는 것이다.
즉, 구동랙(30)이 승강할 때에는 일방향키(51)가 체결된 하나의 일방향클럿치기어(50)을 회전시켜 뒤바퀴축(41)과 뒤바퀴(23)의 구동과 다른 하나의 일방향클럿치기어(50)는 공전상태에 있고 다시 구동랙(30)이 하강할 때에 상기 회전한 일방향클럿치기어(50)는 공전되고 다른 하나가 구동하여 뒤바퀴축(41)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스틱보드가 계속적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도 8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도와 도 9의 중요부분 확대 작동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T”형 핸들(10)을 잡고 발판(25)에 한쪽 발을 언진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밀어내면 공지와 같이 본 고안의 스틱보드는 앞뒤바퀴(13,23)의 굴림으로 전지하게 되며, 또한 즐거움을 더하거나 상기에서 발로 누르는 발판(25)이 승하강하면서 이 발판(25)이 힌지부(24)를 기점으로 뒤쪽이 승하강하고 승하강되는 발판(25)에 힌지된 구동랙(30)이 승하강한다.
그리고 구동랙(30)은 뒤바퀴(23)내측의 보드본체(20-1)에 힌지된 일방향키(51)로 구성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을 연동하여 이에 연동되는 연동기어(50-1)과 밸트(52)에 의해 뒤바퀴축(41)의 연동피니언(41-1)을 연동시킴으로써 뒤바퀴(23)굴림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은 핸들(10)과 발판(25)에 각각의 탄발스프링(45)이 구비되어 턴성을 증대함으로 그 탄발력으로 가볍게 점핑되는 효과를 발휘함으로서 놀이에서 점핑효과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스틱보드의 전진기능에 더하여 점핑과 이 점핑의 상승으로 바퀴굴림을 더 제공하여 어린이들이 스틱보드를 이용한 점핑및 자동전진이 이루워짐으로서 더 많은 흥미를 유도하여 건간한 유산소운동을 즐길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청장년층에서도 흥미유발에 의한 레포츠로서 활용가능한 특징을 발휘하는 고안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통상의 스틱보드에서 점핑기능을 추가하고 점핑에 의한 전진효과를 더 창출하여 어린이들의 흥미유발과 레포츠로서의 기능증대 효과를 창출함과,
오랜 사용으로 흥미가 저감된 스틱보드의 새로운 기능이 부가됨으로서 새로운 상품성을 창출시켜 사업성의 증대기능 및 청장년층의 레포츠로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유산소운동으로 국민건강에 크게 이바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진행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핸들(10)을 구비한 핸들봉(11)에 앞바퀴(13)를 구성하고 핸들봉에 끼워진 해드파이프(12)의 브라킷(16)으로 판상의 보드(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절곡장치부(21)를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스틱보드에 있어서,
    핸들(10)을 구비하는 핸들봉(11)에 앞바퀴(13)를 구성하되, 상기 해드파이프(12)와 앞바퀴포크(14)상단으로 탄발스프링(15)을 구비함과,
    상기 해드파이프(12)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드(20)에 힌지된 구동랙(30)을 구성하고 보드(20)의 보강돌기부(22) 한쪽이 힌지되어 탄발스프링이 구성되어 승하강되는 스프링지지판(40)의 끝단에 뒤바퀴축(41)으로 축설치되는 뒤바퀴(23)와
    뒤바퀴축(23)에 체결된 일방향키(51)로 구성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를 상기 구동랙에 연동시켜 보드와 구동랙의 승하강으로 일방향클럿치기어가 회전되어 전진하고 전후의 탄발스프링의 신축으로 점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드파이프(12)에 고정된 브라킷(16)에 절첩가능한 보드본체(20-1)의 끝단에 뒤바퀴축(41)으로 축설치되는 뒤바퀴(23)와 이 뒤바퀴축(41)에 체결된 연동피니어(41-1)과,
    상기 보드본체(20-1)상단에 한쪽부로 치우친 힌지부(24)에 의해 힌지된 발판 (25)을 탄발스프링(45)으로 탄력설치하고 끝단측에 힌지된 구동랙(30)과,
    상기 뒤바퀴(23)내측 보드본체(20-1)에 힌지된 일방향클럿치기어(50)가 연동하도록 구동랙을 구성하며
    일방향클럿치기어(50)와 뒤바퀴축(41)의 연동피니언(41-1)을 밸트(52)로 연동시켜 뒤바퀴굴림과 탄성스프링에 의한 점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
KR2020060002540U 2006-01-27 2006-01-27 점핑스틱보드 KR20041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40U KR200413865Y1 (ko) 2006-01-27 2006-01-27 점핑스틱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540U KR200413865Y1 (ko) 2006-01-27 2006-01-27 점핑스틱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865Y1 true KR200413865Y1 (ko) 2006-04-11

Family

ID=4176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540U KR200413865Y1 (ko) 2006-01-27 2006-01-27 점핑스틱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8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635B1 (ko) * 2007-09-06 2009-08-05 이종호 탑승용 보드 기구
WO2010117211A2 (ko) * 2009-04-10 2010-10-14 Gang Sin Gi 킥보드
CN115092723A (zh) * 2022-08-01 2022-09-23 深圳市格睿尔科技有限公司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635B1 (ko) * 2007-09-06 2009-08-05 이종호 탑승용 보드 기구
WO2010117211A2 (ko) * 2009-04-10 2010-10-14 Gang Sin Gi 킥보드
WO2010117211A3 (ko) * 2009-04-10 2011-03-10 Gang Sin Gi 킥보드
KR101158493B1 (ko) 2009-04-10 2012-06-21 오상우 킥보드
CN115092723A (zh) * 2022-08-01 2022-09-23 深圳市格睿尔科技有限公司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CN115092723B (zh) * 2022-08-01 2024-01-26 深圳市格睿尔科技有限公司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KR100832558B1 (ko) 발판동력 발생장치를 갖는 미니 바이크
US8636288B2 (en) Street board
US7980573B1 (en) Spring board
KR200413865Y1 (ko) 점핑스틱보드
US6074305A (en) Implement for playing, walking and training
CN106005213B (zh) 一种利用人体坐力不断前进的儿童滑板车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0446184Y1 (ko)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US2062830A (en) Self-propelling scooter
CN201164710Y (zh) 旱地滑雪式轮板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100908317B1 (ko) 점핑 자전거
KR20110057433A (ko) 스틱보드
KR101532475B1 (ko) 트라이크
KR200250482Y1 (ko) 슬라이딩 동력에 의한 승강놀이구
KR20070036986A (ko) 점핑 자전거
KR101156136B1 (ko) 스탭식 킥보드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KR200397801Y1 (ko) 놀이용 자전거
KR200318845Y1 (ko) 킥 보드
KR200192214Y1 (ko) 근거리 이동용 기구
KR101140445B1 (ko) 스테핑 운동용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