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845Y1 - 킥 보드 - Google Patents

킥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845Y1
KR200318845Y1 KR20-2003-0010445U KR20030010445U KR200318845Y1 KR 200318845 Y1 KR200318845 Y1 KR 200318845Y1 KR 20030010445 U KR20030010445 U KR 20030010445U KR 200318845 Y1 KR200318845 Y1 KR 200318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handle
kick board
fram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조
Original Assignee
유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조 filed Critical 유인조
Priority to KR20-2003-0010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드부(11)의 전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전ㆍ후륜(12,13)과, 전륜(12)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14)과, 핸들(14)에 설치한 제동레버(15)의 당김으로 후륜(13)을 제동하되, 상기 보드부(11)의 하단에 위치하고, 힌지봉(21)에 의해 서로 양측으로 양분되는 프레임(20)(20A)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20A)을 연결하는 힌지봉(21)에 개재되고, 양단이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보드부(11)를 상하로 가압시키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후륜(13)이 설치된 프레임(20A)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는 킥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12)의 연결관(12a)상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고, 좌우의 회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요홈(41)과 간섭되는 멈춤볼트(42)를 구비하는 핸들(40); 상기 프레임(20)(20A)의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을 대신하여 중앙에서 힌지봉(21)을 지지하는 판스프링(50); 및 상기 후륜(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역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 베어링(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본출원인이 선등록한 킥 보드를 보완하여 사용에 있어 안전하면서 실용성과 작동성이 향상되어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더욱 더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킥 보드{Kick board}
본 고안은 킥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출원인이 선등록한 킥 보드를 보완하여 사용에 있어 안전하면서 실용성과 작동성이 향상되어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더욱 더 증진할 수 있는 킥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 보드(Kick board)는 한쪽 발을 보드부 위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로는 지면을 지치면서 발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행기구 중의 하나로서, 주로 어린이나 청소년들 사이에서 운동이나 놀이 수단 및 단거리 이송수단으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킥 보드는 사용자(어린이, 청소년 등)가 한 발을 보드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차면서 전진시켜 이동하고, 핸들을 이용하여방향을 전환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킥 보드는 한쪽 발을 놀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밀면서 전진시켜 추진력을 얻어 작동하는 것으로서 이는 한쪽 발만을 이용하기에 사용자들의 운동 효과를 전혀 누릴 수 없을 뿐더러, 킥 보드의 작동법이 너무 단조로와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쉽게 권태로움과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307828호(출원번호 2002-39130 호, 2002년 12월 31일)"에 언급된 바와같이 킥 보드를 제공하였다.
도 1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킥 보드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킥 보드(10)는 보드부(11)의 하단에 힌지봉(21)에 의해 서로 양측으로 양분되는 프레임(20)(20A)이 설치된다. 프레임(20)(20A)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봉(22)에 코일스프링(30)의 양단이 얹혀지고 힌지봉(21)에 개재된다. 이러한 방식의 킥 보드(10)는 보드부(11)를 상하로 가압시키면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후륜(13)이 설치된 프레임(20A)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킥 보드에 비하여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동시에 증진시킨다.
이때, 이와 같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킥 보드에 있어서 스프링(30)의 성능, 이와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핸들, 바퀴(전륜과 후륜)의 구조는 중요한 설계요소이다. 더구나 킥 보드의 사용자는 대부분 활동량이 많은 청소년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심한 충격으로 스프링(30)이 손상되어 탄성력이 약화되기 쉬운데, 스프링(30)의 치수를 증가시키면 관련 부분의 크기도 증가되므로 전체적으로 중량이 증가하게된다. 따라서, 킥 보드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최적설계는 실용성과 작동성을 성공하기 위한 당면 과제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출원인이 선등록한 킥 보드를 보완하여 사용에 있어 안전하면서 실용성과 작동성이 향상되어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더욱 더 증진할 수 있는 킥 보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킥 보드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드부(11)의 전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전ㆍ후륜(12,13)과, 전륜(12)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14)과, 핸들(14)에 설치한 제동레버(15)의 당김으로 후륜(13)을 제동하되, 상기 보드부(11)의 하단에 위치하고, 힌지봉(21)에 의해 서로 양측으로 양분되는 프레임(20)(20A)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20A)을 연결하는 힌지봉(21)에 개재되고, 양단이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보드부(11)를 상하로 가압시키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후륜(13)이 설치된 프레임(20A)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는 킥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12)의 연결관(12a)상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고, 좌우의 회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요홈(41)과 간섭되는 멈춤볼트(42)를 구비하는 핸들(40); 상기 프레임(20)(20A)의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을 대신하여 중앙에서 힌지봉(21)을 지지하는 판스프링(50); 및 상기 후륜(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역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 베어링(13a)을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핸들(40)은 양측으로 전개와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43)(43A)와, 손잡이(43)(43A)의 전개와 절첩을 제어하는 푸시버튼(45)과, 한 쌍의 후륜(13)을 개별적으로 제동하는 제동레버(46)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킥 보드에 관련되는 바, 특히 통상의 킥 보드와 같이 발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전진할 수 있을 뿐아니라,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쿠션을 주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는 킥 보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출원인 선등록한 고안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부호를 개재하였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가능한 생략하였다.
본 고안은 보드부(11)의 전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전ㆍ후륜(12,13)과, 전륜(12)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14)과, 핸들(14)에 설치한 제동레버(15)의 당김으로 후륜(13)을 제동하되, 상기 보드부(11)의 하단에 위치하고, 힌지봉(21)에 의해 서로 양측으로 양분되는 프레임(20)(20A)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20A)을 연결하는 힌지봉(21)에 개재되고, 양단이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보드부(11)를 상하로 가압시키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후륜(13)이 설치된 프레임(20A)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는 킥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12)의 연결관(12a)상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고, 좌우의 회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요홈(41)과 간섭되는 멈춤볼트(42)를 구비하는 핸들(40)이 설치된다. 핸들(40)은 미설명된 도면부호 40a는 핸들(40)과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관으로, 전륜(12)의 연결관(12a)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된다. 지지관(40a)은 외경에 요홈(41)을 100∼105°정도의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하고 이를 간섭하는 멈춤볼트(42)는 연결관(12a)을 통해 장착된다. 즉, 연결관(12a)은 지지관(40a)을 수용한 상태에서 요홈(41)에 멈춤볼트(42)를 끼워 지지관(40a)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핸들(40)의 회동반경을 제한한다. 이와 더불어 전륜(12)의 회동반경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킥 보드(10) 사용시에 핸들이 회전하여 전륜(12)이 180°각도로 유지할 경우에 킥 보드의 하중이 한쪽 방향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여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것에 비해, 본 고안의 킥 보드(10A)는 핸들(40)의 회동반경을 100∼105°로 제한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미리 예방하기 때문에 기존의 킥 보드(10)보다는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때, 상기 핸들(40)은 양측으로 전개와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43)(43A)와, 손잡이(43)(43A)의 전개와 절첩을 제어하는 푸시버튼(45)과, 한 쌍의 후륜(13)을 개별적으로 제동하는 제동레버(46)를 더 구비한다. 핸들(40)은 양측의 손잡이(43)(43A)가 슬라이드동작으로 전개와 절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이를 푸시버튼(45)을 통해 이를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손잡이(43)(43A)는 킥 보드(10A)내로 절첩이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43)(43A)는 한 쌍의 제동레버(46)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륜(13)을 개별적으로 제동한다. 즉, 손잡이(43)(43A)에 설치한 제동레버(46)의 당김조작으로 케이블에 이어진 브레이크판(46a)이 후륜(13)에 접촉하여 제동하게 되고, 제동을 풀게 되면 후륜(13)내에 설치되는 미설명된 도면부호 13b인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판(46a)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프레임(20)(20A)의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을 대신하여 중앙에서 힌지봉(21)을 지지하는 판스프링(50)을 구비한다. 지지봉(22)은 판스프링(50)을 통해 가해진 외력이 더 이상 하부로 향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은 수행한다. 판스프링(50)은 양측으로 지지봉(22)에 안착되고, 중앙에 힌지봉(21)을 지지한다. 한편, 기존의 킥 보드(10)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30)을 사용한 것에 반해,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판스프링(50)으로 대체한 것이다. 판스프링(50)은 명칭대로 판(板)의 스프링으로서, 한끝을 고정하고 다른 끝으로 하중을 지지하거나 또 양끝을 지지하여 중앙에서 하중을 지지한다. 한 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여러 장을 겹쳐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50)은 코일스프링(30)에 비해 비교적 간단히 취부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여러 장을 겹쳐 사용할 수 있어 그 만큼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후륜(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역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 베어링(13a)을 구비한다. 즉, 간단히 설명하면기존의 킥 보드(10)의 전륜(12)에 설치되는 클러치베어링(12a)을 본 고안에서는 후륜(13)에도 클러치베어링(13a)을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전륜(12)과 후륜(13)에 클러치베어링(12a)(13a)을 설치하여 보다 더 작동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쿠션을 주어 판스프링(50)의 탄성력으로 상하부로 튀어 오를 시에 전륜(12)과 후륜(13)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전방으로 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킥 보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우선 사용자가 킥 보드(10A)의 보드부(11)를 양발을 올라 탄 상태나 한쪽 발을 올라탄 상태는 선택하여 시행하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쿠션을 주게 되면 판스프링(50)의 일측단은 지지봉(22)에 의해 외력을 계속적으로 받게 되고, 이때 보드부(11)를 통해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판스프링(50)에 축적된 외력을 상부로 향하게 된다. 즉, 보드부(11)를 통하여 외력이 하부로 가해지면 판스프링(50)은 그 외력을 축척하게 되고, 축척된 외력은 지지봉(22)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향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하부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판스프링(50)에 축적된 외력은 다시 상부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판스프링(50)의 탄성력을 킥 보드(10A)에 적용한 것으로, 보드부(11)를 통해 계속적인 쿠션(외력을 주거나 제거)을 지속적으로 주게 되면 판스프링(50)의 탄성력이 후단프레임(20A)에 전해지면서 상하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반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프레임(20A)의 후륜(13)이 조금씩 전진하게 된다. 이로서, 킥 보드(10A)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핸들(40)을 전후로 움직여도 킥 보드(10A)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는 전방프레임(20)의 높낮이를 가변시켜 판스프링(50)에 외력을 가하는 것으로 상기에 설명한 것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충격과, 핸들(40)의 손잡이(43)(43A)를 좌우로 움직이는 등 이와 같은 동작을 동시에 작동시키면 보다 더 빠른 속도로 킥 보드(10A)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보다 더 왕성한 운동효과를 추구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43)(43A)의 양측에 설치된 제동레버(46)중에서 일측의 제동레버를 제동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이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충격을 줄 경우에는 킥 보드(10A)의 회전도 가능하다. 즉 일측의 제동레버(46)를 제동함으로 인하여 이와 연계된 일측의 후륜의 회전을 정지하게 되고 이와 대응하는 타측의 후륜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킥 보드(10A)가 회전된다.
이외에도, 킥 보드(10A)의 보드부(11)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엠보를 넣어 사용시에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회사상호, 캐릭터, 다양한 모양의 그림이나 문구, 문양 등을 새기거나 부착하여 보드부(11)를 이용하여 대외적으로 홍보 및 전시효과를 누리고, 장식성 및 캐릭터 효과를 표현할 수 있어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출원인이 선등록한 킥 보드를 보완하여 통상의 킥 보드와 같이 발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전진할 수 있을 뿐아니라, 보드부(11)에 지속적인 쿠션을 주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함에 따라 사용에 있어 안전하면서 실용성과 작동성이 향상되어 운동의 효과와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쉽게 권태감과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흥미를 더욱 더 증진하게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출원인이 선등록한 킥 보드를 보완하여 사용에 있어 안전하면서 실용성과 작동성이 향상되어 운동의 효과와 흥미를 더욱 더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보드부(11)의 전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전ㆍ후륜(12,13)과, 전륜(12)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14)과, 핸들(14)에 설치한 제동레버(15)의 당김으로 후륜(13)을 제동하되, 상기 보드부(11)의 하단에 위치하고, 힌지봉(21)에 의해 서로 양측으로 양분되는 프레임(20)(20A)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20)(20A)을 연결하는 힌지봉(21)에 개재되고, 양단이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보드부(11)를 상하로 가압시키면 코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후륜(13)이 설치된 프레임(20A)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는 킥 보드에 있어서:
    상기 전륜(12)의 연결관(12a)상에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고, 좌우의 회동반경을 제한하기 위해 요홈(41)과 간섭되는 멈춤볼트(42)를 구비하는 핸들(40);
    상기 프레임(20)(20A)의 지지봉(22)에 안착되는 코일스프링(30)을 대신하여 중앙에서 힌지봉(21)을 지지하는 판스프링(50); 및
    상기 후륜(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역회전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러치 베어링(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0)은 양측으로 전개와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43)(43A)와, 손잡이(43)(43A)의 전개와 절첩을 제어하는 푸시버튼(45)과, 한 쌍의 후륜(13)을 개별적으로 제동하는 제동레버(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 보드.
KR20-2003-0010445U 2003-04-07 2003-04-07 킥 보드 KR200318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45U KR200318845Y1 (ko) 2003-04-07 2003-04-07 킥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45U KR200318845Y1 (ko) 2003-04-07 2003-04-07 킥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845Y1 true KR200318845Y1 (ko) 2003-07-04

Family

ID=4941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45U KR200318845Y1 (ko) 2003-04-07 2003-04-07 킥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8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992A2 (en) * 2009-09-10 2011-03-17 Bpg Inc. Personal transport vehicle
KR101267708B1 (ko) 2011-11-30 2013-05-24 임원 스케이트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992A2 (en) * 2009-09-10 2011-03-17 Bpg Inc. Personal transport vehicle
WO2011031992A3 (en) * 2009-09-10 2011-09-29 Bpg Inc. Personal transport vehicle
KR101267708B1 (ko) 2011-11-30 2013-05-24 임원 스케이트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GB2387824A (en) Scooter with treadmill action
KR20160061882A (ko) 다기능 운동기구
TWM507387U (zh) 能增加滑板車前進動能之傳動機構
KR200361980Y1 (ko)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US4515362A (en) Exercise tricycle
KR200318845Y1 (ko) 킥 보드
KR101907543B1 (ko)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KR200413865Y1 (ko) 점핑스틱보드
KR200392906Y1 (ko) 구름판
GB2367793A (en) Scooter with swingable footplates
KR200307828Y1 (ko) 킥 보드
KR100965096B1 (ko) 제동수단을 개선시킨 링크 동력 킥보드
US20110241308A1 (en) Children's vehicle
CN202670034U (zh) 一种可骑行与行走的木马
KR102578355B1 (ko) 운동방향의 전환 구조를 가지는 보드
KR200225665Y1 (ko) 절첩식 소형 자전거
KR200283361Y1 (ko) 롤러 썰매
CN102627136B (zh) 一种可骑行与行走的木马
CN214485615U (zh) 一种行走驱动机构及其制成的四肢动物骑行玩具
US11071921B2 (en) Ride-on toy
KR200387845Y1 (ko) 구름판
KR200395612Y1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100947919B1 (ko) 익스보드
KR100908317B1 (ko) 점핑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