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80Y1 -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 Google Patents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80Y1
KR200361980Y1 KR20-2004-0016953U KR20040016953U KR200361980Y1 KR 200361980 Y1 KR200361980 Y1 KR 200361980Y1 KR 20040016953 U KR20040016953 U KR 20040016953U KR 200361980 Y1 KR200361980 Y1 KR 20036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output
gear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20-2004-0016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80Y1/ko
Priority to PCT/KR2005/001840 priority patent/WO2005123493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un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00Un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5/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rank shafts and coupl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자전거, 킥 보드 등과 같은 승용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동방식에 있어서 전륜을 체인 없는 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 다양한 승용물으로 변형 실시, 구동 안전성 및 고장률이 낮은 승용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직경이 큰 전륜(3)의 링(4) 내측으로 가이드(4a)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4a)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5)(5')사이에 축 결합되는 복수의 안내롤러(6)와, 체인 없는 구동수단(2)의 출력롤러(7)를 면접시키고, 구동수단(2)이 설치되는 프레임(5)(5')에는 상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핸들(8)과, 전륜(3)과 마찰되며 핸들(8)에 제어레버(9)가 달린 브레이크패드(10)를 설치하며, 프레임(5)(5')의 후측으로는 직경이 작은 후륜(11)이 축 설치된 발판프레임(12)을 회동되게 축 설치하며, 구동수단(2)은 양측 프레임(5)(5') 내측으로 페달(18)이 결합된 크랭크축(19)상에 입력기어(20)를 결합하고, 출력롤러(7)가 결합된 롤러축(7a)상에 출력기어(21)를 전진 구동만 이루어지게 일방향베어링(7b)으로 결합하되, 이들 양측 입/출력기어(20)(21)는 연결기어(22)로 기어 결합하여 페달(18)의 족답력에 의해 크랭크축(19)이 회전할 때 출력이 이루어지게 하며,
발판프레임(12)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장공(12a)을 형성하고 이 결합장공(12a)에 안장프레임(14)을 핀(15)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고, 발판프레임(12)에는 스프링(16a)에 탄지되며, 조작레버(16b)에 의해 출납되는 스토퍼 핀(16c)으로 구성된 고정수단(16)을 마련하여 안장프레임(14) 및 안장프레임(14)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14a)상에 관통되어 있는 고정구멍(17)에 스토퍼 핀(16c)이 결합되게 하여 안장프레임(14)을 세우거나 눕혀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장프레임(14)을 세우거나 눕혀서 고정하는 수고로움만으로 자전거 또는 킥 보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 운전 안전성을 보장 할 수 있고, 구동수단(2)의 경우도 종래와 같은 체인방식이 아닌 기어방식 임으로 고장이 적고, 전체적인 크기가 콤팩트함으로 차량에 싣고 이동 사용하기가 좋은 등 휴대성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A front wheel driving scooter without chain}
본 고안은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자전거, 킥 보드 등과 같은 승용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동방식에 있어서 전륜을 체인 없는 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휴대의 간편성, 다양한 승용물으로 변형 실시, 구동 안전성 및 고장률이 낮은 승용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승용물로는 자전거, 킥 보드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자전거의 경우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승용물로서, 이의 구성은 전륜과 후륜을 프레임에 축 결합하고, 프레임에는 족답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페달을 설치하고, 페달이 결합된 구동축과 후륜 중심축에 축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한 구성이다. 이러한 자전거의 경우 전체적인 크기가 커서 보관이 어렵고, 여성이나 어린이 등이 타기가 어려우며, 또한 타 승용물(킥 보드)로 전환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구동력을 체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바, 체인의 벗겨짐 우려가 있고 특히 자전거를 처음 배우는 사람의 경우 중심 잡기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자전거 및 킥 보드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의 승용물을 제공함에 고안을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직경이 큰 전륜의 링 내측으로 체인 없는 족답식 또는 전기식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이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상측으로 핸들을 후측으로 직경이 작은 후륜이 축 설치된 발판프레임을 회동되게 축 설치하며, 발판프레임에 절첩식 안장을 시설하여 자전거 및 킥 보드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린이나 여성 등이 용이하게 자전거 또는 킥 보드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크기가 작아 휴대 보관이 용이하고, 구동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수단 결합을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동수단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안장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들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승용물 2:구동수단
3:전륜 4:링
4a:가이드 5,5':프레임
6:안내롤러 7:출력롤러
7a:롤러축 7b:일방향베어링
8:핸들 9:제어레버
10:브레이크패드 11:후륜
12:발판프레임 12a:결합장공
13:안장 14:안장프레임
15:핀 16:고정수단
16a:스프링 16b:조작레버
16c:스토퍼 핀 17:고정구멍
18:페달 19:크랭크축
20,26:입력기어 21:출력기어
22:연결기어 23:조작레버
24:변속기 25:DC모터
27:배터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수단 결합을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동수단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안장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승용물(1)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전거 또는 킥 보드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외형을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체인 없는 족답식 또는 전기식 구동수단(2)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직경이 큰 전륜(3)의 링(4) 내측으로 가이드(4a)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4a)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5)(5')사이에 축 결합되는 복수의 안내롤러(6)와, 체인 없는 족답식 또는 전기식 구동수단(2)의 출력롤러(7)를 면접시키고, 상기 구동수단(2)이 설치되는 프레임(5)(5')에는 상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핸들(8)과, 전륜(3)의 링(4)과 마찰되며 핸들(8)에 제어레버(9)가 달린 브레이크패드(10)를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5)(5')의 후측으로는 직경이 작은 후륜(11)이 축 설치된 발판프레임(12)을 회동되게 축 설치하며, 발판프레임(12)에는 절첩식이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상측으로 안장(13)을 회동되도록 설치된 안장프레임(14)을 설치한다. 이때 후륜(11)은 단독 또는 복수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발판프레임(12)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장공(12a)을 형성하며 이 결합장공(12a)에는 안장프레임(14)을 내입하고 핀(15)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고, 발판프레임(12)에는 스프링(16a)에 탄지되며, 조작레버(16b)에 의해 출납되는 스토퍼 핀(16c)으로 구성된 고정수단(16)을 마련하여 안장프레임(14) 및 안장프레임(14)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14a)상에 관통되어 있는 고정구멍(17)에 스토퍼 핀(16c)이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 중 족답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8)이 결합된 크랭크축(19)상에 입력기어(20)를 결합하고, 출력롤러(7)가 결합된 롤러축(7a)상에는 출력기어(21)를 전진 구동만 이루어지게 일방향베어링(7b)으로 결합하고 이들 양측 입/출력기어(20)(21)는 연결기어(22)로 기어 결합하여 페달(18)의 족답력에 의해 크랭크축(19)이 회전할 때 출력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일방향베어링(7b)의 경우 입력기어(20) 또는 출력기어(21)상에 결합구성해도 무방하다.
이때 입/출력기어(20)(21) 사이에는 도 5와 같이 핸들(8)에 설치되는 조작레버(23)에 의해 다단으로 증속 출력할 수 있는 변속기(24)를 배치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할 수도 있으며, 페달(18)이 결합되는 크랭크축(19)의 경우 전륜(3)의 중심 앞쪽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중심 뒤쪽에 축 설치함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수단(2) 중 전기식은 도 6과 같이 감속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DC모터(25)를 설치하고 모터축상에 입력기어(26)를 결합하여 출력롤러(7)가 결합된 롤러축(7a)상에 결합된 출력기어(21)를 구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DC모터(2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7)는 후륜(11)이 축 결합되는 발판프레임(12)에 고정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1)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전거 또는 킥 보드 등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을 자전거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발판프레임(12)에 결합되어 있는 안장프레임(14)을 세워서 고정수단(16)으로 고정하고, 다음으로 안장프레임(14) 및 핸들(8)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 고정한 상태에서 안장(13)에 앉은 상태에서 크랭크축(19)상에 결합되어 있는 페달(18)을 전방으로 발로 밟으면 크랭크축(19)과 출력롤러(7)상에 결합되는 입/출력기어(20)(21) 및 연결기어(22)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에 의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페달(18)을 후방으로 발로 밟을 경우 롤러축(7a)상에 결합되는 출력기어(21)가 일방향베어링(7b)에 의해 결합 구성되므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족답력이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출력롤러(7)에 전달되면 출력롤러(7)는 전륜(3)의 링(4)상에서 마찰 구름운동을 하게 되므로 출력롤러(7) 및 복수의 안내롤러(6)가 링(4)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4a)와 면접되어 있는전륜(3)이 지면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전거를 처음 타는 초보자의 경우 후륜(11)이 복수인 것을 사용하면 되고, 구동수단(2)으로 도 7과 같은 전기식 구성의 것을 선택 사용할 경우 족답력 없이도 주행이 가능하므로 발을 발판프레임(12)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주행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킥 보드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발판프레임(12)에 결합되어 있는 안장프레임(14)을 눕혀서 고정수단(16)으로 고정하고, 다음으로 핸들(8)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 고정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킥 보드를 사용할 때와 같이 한쪽 발을 발판프레임(12) 위에 올려놓고 다른 발을 구름발로 해서 전진 후 어느 정도 속력이 날 때 양쪽 발을 발판프레임(12) 위에 올려서 놀이를 즐기면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수단(2)으로 사용되는 크랭크축(19)상에 결합된 페달(18) 등은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분해 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1)은 전륜(3)의 내측으로 프레임(5)(5')에 축 결합되는 안내롤러(6)와 족답식 또는 전기식 구성의 구동수단(2)을 설치하고, 프레임(5)(5') 후방으로 안장프레임(14)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후륜(11)이 축 결합된 발판프레임(12)을 축 결합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안장프레임(14)을 세우거나 눕혀서 고정하는 수고로움만으로 자전거 또는 킥 보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 운전 안전성을 보장 할 수 있고, 구동수단(2)의 경우도 종래와 같은 체인방식이 아닌 기어방식임으로 고장이 적고, 전체적인 크기가 콤팩트함으로 차량에 싣고 이동 사용하기가 좋은 등 휴대성도 보장할 수 있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직경이 큰 전륜(3)의 링(4) 내측으로 가이드(4a)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4a)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5)(5')사이에 축 결합되는 복수의 안내롤러(6)와, 체인 없는 구동수단(2)의 출력롤러(7)를 면접시키고,
    상기 구동수단(2)이 설치되는 프레임(5)(5')에는 상측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핸들(8)과, 전륜(3)과 마찰되며 핸들(8)에 제어레버(9)가 달린 브레이크패드(10)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5)(5')의 후측으로는 직경이 작은 후륜(11)이 축 설치된 발판프레임(12)을 회동되게 축 설치하며,
    상기 구동수단(2)은 양측 프레임(5)(5') 내측으로 페달(18)이 결합된 크랭크축(19)상에 입력기어(20)를 결합하고, 출력롤러(7)가 결합된 롤러축(7a)상에 출력기어(21)를 전진 구동만 이루어지게 일방향베어링(7b)으로 결합하고 이들 양측 입/출력기어(20)(21)는 연결기어(22)로 기어 결합하여 페달(18)의 족답력에 의해 크랭크축(19)이 회전할 때 출력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프레임(12)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장공(12a)을 형성하고 이 결합장공(12a)에 안장프레임(14)을 핀(15)으로 축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고, 발판프레임(12)에는 스프링(16a)에 탄지되며, 조작레버(16b)에 의해 출납되는 스토퍼 핀(16c)으로 구성된 고정수단(16)을 마련하여 안장프레임(14) 및 안장프레임(14) 하단에 형성된 브라켓(14a)상에 관통되어 있는 고정구멍(17)에 스토퍼 핀(16c)이 결합되게 하여 안장프레임(14)을 세우거나 눕혀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기어(20)(21) 사이에는 핸들(8)에 설치되는 레버조작(23)에 의해 다단으로 증속 출력할 수 있는 변속기(24)를 배치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은 양측 프레임(5)(5') 내측으로 감속기 일체형으로 구성된 DC모터(25)를 설치하고 모터축상에 입력기어(26)를 결합하여 출력롤러(7)가 결합된 롤러축(7a)상의 출력기어(21)를 구동할 수 있게 하고, DC모터(26)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를 후륜(11)이 축 결합된 발판프레임(12)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KR20-2004-0016953U 2004-06-16 2004-06-16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KR20036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53U KR200361980Y1 (ko) 2004-06-16 2004-06-16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PCT/KR2005/001840 WO2005123493A1 (en) 2004-06-16 2005-06-15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53U KR200361980Y1 (ko) 2004-06-16 2004-06-16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80Y1 true KR200361980Y1 (ko) 2004-09-13

Family

ID=3550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953U KR200361980Y1 (ko) 2004-06-16 2004-06-16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61980Y1 (ko)
WO (1) WO200512349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KR100779301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다기능 자전거
KR100868202B1 (ko) 2007-04-04 2008-11-12 이규상 핸들링 간섭방지용 전륜 구동부를 갖는 주행체
KR100918262B1 (ko) 2007-04-18 2009-09-18 목영래 전륜 구동과 후륜 방향 조종 자전거
KR20110044232A (ko) * 2008-07-17 2011-04-28 프로젝트갈릭 리미티드 사이클
CN107776331A (zh) * 2016-08-31 2018-03-09 谢杰川 一种无轮毂车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3408A (zh) * 2010-04-26 2010-09-08 盛永瑞 自行车
EP2604497A1 (en) * 2011-12-14 2013-06-19 Mondo S.p.A. Scooter
KR101516473B1 (ko) * 2013-04-18 2015-05-04 고종화 씽싱바퀴
DE102013010645B3 (de) * 2013-06-26 2014-10-09 Friedrich Ruschitzka Kinderfahrzeug
RU2607692C2 (ru) * 2014-11-17 2017-01-10 Олег Петрович Айдаков Веломобиль
CN109878625B (zh) * 2019-04-12 2023-10-20 四川大学 一种可驱动分离的前后轮双驱动自行车
FR3111112A1 (fr) * 2020-06-06 2021-12-10 Jérôme DELAYE Système de transmission à assistance motorisée pour vélo et vélo équipé dudit système
WO2022029296A1 (de) * 2020-08-06 2022-02-10 Volker Heise Fahrradartiges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7068A (en) * 1981-11-19 1984-05-08 Le Ester Brooks Bicycle drive mechanism
US4471972A (en) * 1982-04-20 1984-09-18 Young Raymond L Propulsion and safety device for a conventional wheelchair
US5125677A (en) * 1991-01-28 1992-06-30 Ogilvie Frank R Human powered machine and conveyance with reciprocating pedals
US5486015A (en) * 1994-04-13 1996-01-23 Lau; James C. K. Human powered ground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KR100779301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다기능 자전거
KR100868202B1 (ko) 2007-04-04 2008-11-12 이규상 핸들링 간섭방지용 전륜 구동부를 갖는 주행체
KR100918262B1 (ko) 2007-04-18 2009-09-18 목영래 전륜 구동과 후륜 방향 조종 자전거
KR20110044232A (ko) * 2008-07-17 2011-04-28 프로젝트갈릭 리미티드 사이클
KR101667268B1 (ko) * 2008-07-17 2016-10-19 프로젝트갈릭 리미티드 사이클
CN107776331A (zh) * 2016-08-31 2018-03-09 谢杰川 一种无轮毂车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3493A1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1980Y1 (ko) 체인 없는 전륜 구동식 승용물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CN101801778B (zh) 踏板作为发动机的微型踏板车
CN102892669A (zh) 脚踏板驱动型滑板车
US20100320716A1 (en) Human-driven traveling apparatus
JP3101174U (ja) 自転車
KR101177784B1 (ko) 서서 타기식 자전거의 구조
KR101127513B1 (ko)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CN104290853A (zh) 脚踏驱动式脚踏车
WO2008006292A1 (fr) Cyclorameur entraîné par levier à va-et-vient
KR100668623B1 (ko) 보행 운동 기구
CN204137281U (zh) 脚踏车
KR200328320Y1 (ko) 발판 구동 스쿠터
CN204161597U (zh) 一种脚踏车
KR100435265B1 (ko) 페달로라보드
KR100743461B1 (ko) 출력변환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200375897Y1 (ko) 삼륜 자전거
KR200350432Y1 (ko) 후륜구동수단을 구비한 킥보드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CN204161596U (zh) 脚踏驱动式脚踏车
CN204623741U (zh) 一种新型脚踏车驱动装置
KR200202695Y1 (ko) 래칫 휠식 인력차
KR200287327Y1 (ko)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하강 장치
KR20090049675A (ko) 뒷바퀴 접이식 자전거
KR20040083320A (ko) 발판 구동 스쿠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