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897Y1 - 삼륜 자전거 - Google Patents

삼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897Y1
KR200375897Y1 KR20-2004-0033670U KR20040033670U KR200375897Y1 KR 200375897 Y1 KR200375897 Y1 KR 200375897Y1 KR 20040033670 U KR20040033670 U KR 20040033670U KR 200375897 Y1 KR200375897 Y1 KR 200375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upport frame
sprocket
main fram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한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규 filed Critical 한상규
Priority to KR20-2004-0033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8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mechanical, e.g. using a power-take-off mechanism for taking power from a rotating shaft of the vehicle and applying it to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원으로 족답력에 의한 구동 및 동력수단에 의한 구동을 병행함으로 해서 운전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하도록 안장 후방으로 유아용 보조의자 또는 짐바구니를 선택 결합한 기능성을 높인 삼륜 자전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메인프레임(2)의 전방으로 핸들(3)에 의해 조향하도록 설치된 전륜(4)과, 메인프레임(2) 후방으로 조립된 지지프레임(5)과, 지지프레임(5)에 설치되며 구동축(7)과, 구동축(7)에 결합된 한 쌍의 후륜(13) 및 구동축(7)에 축 설치된 스프라켓(11)과 체인(12)으로 연결되며 메인프레임(2) 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페달(10)과 일체 결합된 스프라켓(11)을 포함하는 삼륜자전거(1)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동축(7)은 양분하여 차동기어장치(6)로 상호 연결하고, 지지프레임(5)에는 핸들(3)에 마련되는 컨트롤러(14)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는 배터리(20)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21) 또는 유류를 연료로 하는 소형 엔진과 같은 동력수단(15)을 설치하여 구동축(7)에 설치된 스프라켓(16)과 체인(17)으로 연결하며, 지지프레임(5) 상측으로는 후륜보호커버(18)를 고정하고, 그 상측에는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를 결합 고정한 것으로서, 운전의 편리성이 보장되므로 근거리는 물론이고 원거리의 이동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출퇴근 교통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바퀴가 삼륜으로 구성되어 넘어질 염려가 없는바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삼륜 자전거{A tricycle}
본 고안은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력원으로 족답력에 의한 구동 및 동력수단에 의한 구동을 병행함으로 해서 운전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하도록 안장 후방으로 유아용 보조의자 또는 짐바구니를 선택 결합한 기능성을 높인 삼륜자전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으로 핸들로 조향하는 전륜과, 족답력으로 구동하는 후륜이 설치되며 탑승자가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양발로 페달을 가압하여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자전거의 경우 근거리를 이동함에 있어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승용물로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자전거는 인력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고 오르막길 등에서 체력 소모가 많아 원거리(10㎞)를 출퇴근하는 교통수단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균형 감각이 떨어지는 사람 또는 유아를 대동하는 사람 등도 자전거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자전거의 여러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2개의 후륜을 구비하여 안전성 있는 탑승 및 주행이 이루어지게 하고, 구동에 있어 족답력과 모터 또는 엔진과 같은 동력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양측 후륜을 차동기어장치로 연결 구성함으로 해서 주행성 및 운전 편리성을 제공토록 하고, 안장 후방으로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도록 유아용 보조의자 또는 짐바구니를 선택 결합함으로서 자전거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한 기능성을 높인 삼륜 자전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삼륜자전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삼륜자전거의 후륜보호커버를 분리한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 계통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후륜보호커버에 유아용 보조의자 또는 짐바구니를 분리 및 결합상태 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삼륜자전거(1)는 메인프레임(2)의 전방으로 핸들(3)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4)을 축 설치하고, 메인프레임(2)의 후방으로 지지프레임(5)을 조립 구성하되, 지지프레임(5)에는 차동기어장치(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축(7)을 수개의 베어링(8)에 지지되게 축 설치하고, 구동축(7)에는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라켓(9)을 설치하여 메인프레임(2) 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페달(10)과 일체 결합된 스프라켓(11)과 체인(12)으로 연결한다.
상기 구동축(7)에는 지지프레임(5)의 바깥측으로 한 쌍의 후륜(13)을 축 결합하고, 지지프레임(5)에는 핸들(3)에 마련되는 컨트롤러(14)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는 동력수단(15)을 설치하고, 구동축(7)에는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게 스프라켓(16)을 설치하여 상호 체인(17)으로 연결하며, 지지프레임(5) 상측으로는 후륜보호커버(18)를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19)으로 고정한다.
상기 동력수단(15)은 지지프레임(5)에 안치되는 배터리(20)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21) 또는 유류를 연료로 하는 소형 엔진(미도시)을 선택 사용한다.
한편 상기 후륜보호커버(18)의 상측에는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를 선택 결합하여 본 고안 삼륜자전거(1)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결합은 후륜보호커버(18)에 후방이 개방된 고정홈(18a)을 형성하고,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하측으로 고정돌기(24)를 형성하여 상호 슬라이드 끼움 결합하고, 이들의 고정수단(25)으로는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후방 하측으로 스프링(25a)의 장력이 제공되는 스토퍼(25b)를 설치하고, 후륜보호커버(18)에 고정구멍(18b)을 천공하여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를 결합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은 구동축(7)에 설치된 브레이크드럼을 도시한 것이고, 27은 브레이크 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삼륜자전거(1)는 원거리 운전의 편리성을 보장하고,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삼륜자전거(1)는 지지프레임(5)의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후륜(13)이 차동기어장치(6)에 의해 연결 구성된 구동축(7)에 축 설치되므로 방향 전환 시 양측 후륜(13)이 차동기어장치(6)에 의해 서로 다른 회전비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안전성 있는 운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후륜(13)을 구동함에 있어서도 기존 자전거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 즉, 구동축(7)이 메인프레임(2) 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페달(10)과 일체 결합된 스프라켓(11) 및 지지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수단(15)과 각각 체인(12)(17)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들을 선택 사용하여 구동하면 되는바, 평지 등에서는 페달(10)을 가압하여 족답력으로 구동하고, 오르막을 오를 때나 짐을 싣고 운전할 때 등에는 동력수단(15)을 이용하여 운전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후륜보호커버(18)에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를 선택 결합할 수 있는바, 유아와 함께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각종 물건 등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 있는 것이다.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결합은 후륜보호커버(18)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8a)에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기(24)를 끼움한 후 이들의 후방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수단(25)인 스토퍼(25b)를 후륜보호커버(18)에 천공된 고정구멍(18b)에 삽입하면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삼륜자전거(1)는 구동이 족답력 또는 모터나 엔진과 같은 동력수단(15)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고, 구동축(7)에 차동기어장치(6)를 설치하여 방향전환 시에 양측 후륜(13)이 서로 다른 회전비로 회전되게 하며, 후륜보호커버(18) 상측으로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를 분해/조립되게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의 편리성이 보장되므로 근거리는 물론이고 원거리의 이동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출퇴근 교통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바퀴가 삼륜으로 구성되어 넘어질 염려가 없는바 유아와 함께 탑승하거나 각종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기능성도 제공하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제공하는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삼륜자전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삼륜자전거의 후륜보호커버를 분리한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 계통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후륜보호커버에 유아용 보조의자 또는 짐바구니를 분리 및 결합한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삼륜자전거 2:메인프레임
3:핸들 4:전륜
5:지지프레임 6:차동기어장치
7:구동축 8:베어링
9:스프라켓 10:페달
11:스프라켓 12:체인
13:후륜 14:컨트롤러
15:동력수단 16:스프라켓
17:체인 18:후륜보호커버
18a:고정홈 18b:고정구멍
19:고정수단 20:배터리
21:모터 22:유아용 보조의자
23:짐바구니 24:고정돌기
25:고정수단 25a:스프링
25b:스토퍼

Claims (2)

  1. 메인프레임(2)의 전방으로 핸들(3)에 의해 조향하도록 설치된 전륜(4)과, 메인프레임(2) 후방으로 조립된 지지프레임(5)과, 지지프레임(5)에 설치되며 구동축(7)과, 구동축(7)에 결합된 한 쌍의 후륜(13) 및 구동축(7)에 축 설치된 스프라켓(11)과 체인(12)으로 연결되며 메인프레임(2) 하단에 축 설치되어 있는 페달(10)과 일체 결합된 스프라켓(11)을 포함하는 삼륜자전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7)은 양분하여 차동기어장치(6)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5)에는 핸들(3)에 마련되는 컨트롤러(14)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는 배터리(20)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모터(21) 또는 유류를 연료로 하는 소형 엔진과 같은 동력수단(15)을 설치하여 구동축(7)에 설치된 스프라켓(16)과 체인(17)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프레임(5) 상측으로는 후륜보호커버(18)를 볼트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19)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보호커버(18)의 상측에는 후방이 개방된 고정홈(18a)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8a)에는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돌기(24)를 결합하여 고정수단(25)으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수단(25)은 유아용 보조의자(22) 또는 짐바구니(23)의 후방 하측으로 스프링(25a)의 장력이 제공되는 스토퍼(25b)와, 후륜보호커버(18)에 천공한 고정구멍(18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KR20-2004-0033670U 2004-11-27 2004-11-27 삼륜 자전거 KR200375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70U KR200375897Y1 (ko) 2004-11-27 2004-11-27 삼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70U KR200375897Y1 (ko) 2004-11-27 2004-11-27 삼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897Y1 true KR200375897Y1 (ko) 2005-03-08

Family

ID=4367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670U KR200375897Y1 (ko) 2004-11-27 2004-11-27 삼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89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66B1 (ko) 2007-01-09 2007-12-04 김현옥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781765B1 (ko) 2007-01-09 2007-12-04 김현옥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830346B1 (ko) 2007-01-10 2008-05-20 김현옥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WO2017126803A1 (ko) * 2016-01-22 2017-07-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인 구동 방식 차동기어장치
CN107588165A (zh) * 2017-11-01 2018-01-16 郭俱全 一种齿轮齿条传动机构
KR20200142225A (ko) 2019-06-12 2020-12-22 정효진 유아 보조 지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66B1 (ko) 2007-01-09 2007-12-04 김현옥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781765B1 (ko) 2007-01-09 2007-12-04 김현옥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830346B1 (ko) 2007-01-10 2008-05-20 김현옥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KR100942912B1 (ko) * 2009-07-24 2010-02-16 김용겸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WO2017126803A1 (ko) * 2016-01-22 2017-07-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인 구동 방식 차동기어장치
CN107588165A (zh) * 2017-11-01 2018-01-16 郭俱全 一种齿轮齿条传动机构
KR20200142225A (ko) 2019-06-12 2020-12-22 정효진 유아 보조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20100148460A1 (en) Convertible multimodal child vehicle
US20060103105A1 (en) Standing cycle
CA2930589A1 (en) Bicycle equipped with versatile dual chain drive
US20060125205A1 (en) Front wheel drive mechanism for bicycle
KR200375897Y1 (ko) 삼륜 자전거
US7661690B2 (en) Mechanical advantage drive system for cycles
US9394027B2 (en) Frame for a human-powered vehicle
US20100059963A1 (en) Dual-drive bicycle
CN201816699U (zh) 一种无链条前驱式自行车
CZ27840U1 (cs) Ekologické vozidlo pro přepravu osob
JP4215528B2 (ja) 三輪自転車
CN201021336Y (zh) 伞型折叠式电动自行车
CN2891759Y (zh) 可骑行的旅行箱
CN204161596U (zh) 脚踏驱动式脚踏车
CN219857505U (zh) 一种自行车脚踏助力装置
CZ36356U1 (cs) Pohon jízdního kola
CN202863639U (zh) 独轮自行车
CN100491185C (zh) 一种轻便三轮车
CN201317432Y (zh) 结构优化的便携式轻快自行车
KR200472560Y1 (ko) 기능성 자전거
CN2248677Y (zh) 前驱动后转向低座位自行车
CN203186500U (zh) 脚踏老人车
CZ2020206A3 (cs) Pohon Fourcyklu - Twocykl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