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766B1 -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 Google Patents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766B1
KR100781766B1 KR1020070002584A KR20070002584A KR100781766B1 KR 100781766 B1 KR100781766 B1 KR 100781766B1 KR 1020070002584 A KR1020070002584 A KR 1020070002584A KR 20070002584 A KR20070002584 A KR 20070002584A KR 100781766 B1 KR100781766 B1 KR 10078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upport frame
sprocket
dri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옥
Original Assignee
김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옥 filed Critical 김현옥
Priority to KR102007000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지지프레임에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과, 주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연동시키는 체인과, 구동축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바퀴, 및 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운전석을 포함하는 전방체 및 후방체를 구성하고, 후방체는 그 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서 각각 전방체에 구비되는 운전석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일정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체의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조향팔, 및 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 및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광고홍보용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도록 하며, 후단부가 후방체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전방체의 지지프레임에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방체와 후방체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를 제공한다.
외측 구동판, 내측 구동판, 운전석, 조향팔, 연결프레임, 보조 조향팔

Description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two-seat four-wheel drive type four-wheeled cycle for advertisement-publicity 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의 구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동구조를 구성하는 일측 구동바퀴 부분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구동구조를 구성하는 구동판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방체 2: 후방체
3: 페달 5, 5': 주동 스프로킷
10, 10': 크랭크축 15, 15': 종동 스프로킷
20, 20': 체인 30, 30': 구동축
33: 고정브라켓 35: 베어링
50, 50': 구동바퀴 53: 베어링
55: 허브 57: 타이어
60: 구동 래칫스프로킷 65: 외측 구동판
68, 78: 스프로킷 수용부 69, 79: 체결공
71: 관통공 75: 내측 구동판
85: 체결수단 100: 전방지지프레임
150, 150': 운전석 200: 후방지지프레임
250: 조향팔 255: 손잡이
300: 연결프레임 350: 연결수단
400: 패널지지프레임 450: 광고홍보용 패널
500: 견인고리 550: 보조 조향팔
555: 손잡이 X: 수직축
Y: 수평축
본 발명은 사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두 개의 구동축 상에 각각 한 쌍의 구동바퀴가 장착되며, 광고홍보용 페널을 장착할 수 있음 에 따라 이동용 광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포스트와, 핸들포스트 상부에 대략 수평으로 배열되는 핸들과, 핸들포스트 하부에 포크를 통해 장착되는 하나의 전륜과, 지지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장착되는 하나의 후륜과, 지지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고정되는 안장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페달 및 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크렝크축과 후륜에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을 구비하여, 주동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륜과 후륜을 각각 하나씩 구비하는 인라인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륜 자전거의 구동구조는 사용자가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에 힘을 가하여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크랭크축에 설치된 주동 스프로킷을 이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주동 스프로킷의 회전으로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 스프로킷을 회전시켜 후륜에 전진방향의 토크가 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자전거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륜 자전거는 중심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또한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속도를 필요로 하며,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등 체력부담이 있는 노약자에게는 바람직하지 못한 여러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근래 들어, 이상과 같은 이륜 자전거의 여러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4개의 지지점에서 지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숙련된 균형감각이나 일정 정도 이상의 속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륜 자전거가 제공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륜 자전거와는 달리 노약자의 경우에도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사륜 자전거는, 좌우 한 쌍의 전륜과 한 쌍의 후륜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이륜 자전거와 유사하게 페달 및 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크렝크축과 한 쌍의 후륜이 설치되는 구동축에 종동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주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축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사륜 자전거의 구동구조는 방향전환 없이 똑바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겠으나, 곡선 도로에 순응하는 주행을 하거나 방향전환을 위해 회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 쌍의 구동바퀴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구동축 양단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원활한 회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즉, 곡선주행이나 회전시에는 구동축에 설치되는 좌우 구동바퀴가 서로 다른 회전반경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속도가 각각의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어야만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후륜구동 자동차의 경우와 같이 좌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를 각각의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동기어장치(differential gear system)와 같은 수단이 부재함에 따라 주행안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급회전시에는 쉽게 전복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사륜 자전거는 이륜 자전거나 삼륜 자전거와 같은 단순한 조향구조를 갖지 못하며, 따라서 자동차의 경우와 같이 렉-앤드-피니언 방식의 복잡한 조향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거리 이동수단으로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자전거의 원가를 과도하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축에 각각 좌우 한 쌍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면서도, 회전시 좌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가 각각의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구조를 구비하며, 광고홍보용 패널을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이동용 광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향이 용이하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절감에 바람직한 조향구조를 구비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지지프레임과, 전방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페달과 제1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제1크랭크축과, 전방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구동축에 제1주동 스프로킷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1종동 스프로킷과, 제1주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1체인과, 제1구동축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구동바퀴, 및 전방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운전석을 포함하는 전방체;
후방지지프레임과, 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기 전방체에 구비되는 제1운전석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일정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조향팔, 후방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페달과 제2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제2크랭크축과, 후방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구동축에 제2주동 스프로킷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2종동 스프로킷과, 제2주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2체인과, 제2구동축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구동바퀴, 후방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2운전석, 및 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 및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광고홍보용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방체; 및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에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방체와 상기 후방체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단부 또한 상기 후방지지프레임에 전후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방체와 상기 후방체가 전후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기 후방체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보조 조향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전단부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어, 상기 전방체 및 후방체의 구동구조는 각각,
상기 크랭크축과,
상기 전방지지프레임 또는 후방지지프레임에 좌우 한 쌍의 고정브라켓 및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과,
각각 허브를 포함하는 휠과 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가 각각의 허브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축과의 중첩부위에 베어링을 삽입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자유롭도록 상기 구동축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상기 구동바퀴와,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 구분되어 일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며, 내륜이 각각의 상기 구동바퀴의 허브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래칫스프로킷과,
각각 상기 구동축 양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각각의 내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의 외륜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측 구동판과, 각각의 중심부에 상기 구동바퀴의 허브가 자유롭게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각 구동바퀴의 허브와 구동 래칫스프로킷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 외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의 외륜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를 구비하는 내측 구동판, 및 외측 구동판과 내측 구동판이 일체화 되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구동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지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지지프레임(100)과 제1운전석(150) 및 한 쌍의 제1구동바퀴(50)를 포함하는 전방체(1)와, 후방지지프레임(200)과 제2운전 석(150') 및 한 쌍의 제2구동바퀴(50')를 포함하는 후방체(2), 그리고 전방체(1)와 후방체(2)를 연결함과 더불어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방체(1)는 전방지지프레임(100)과, 전방지지프레임(100)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페달(3)과 제1주동 스프로킷(5)을 포함하는 제1크랭크축(10)과, 전방지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30)과, 제1구동축(30)에 제1주동 스프로킷(5)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1종동 스프로킷(15, 도 4참조)과, 제1주동 스프로킷(5)과 제1종동 스프로킷(15)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1체인(20)과, 제1구동축(30)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구동바퀴(50), 및 전방지지프레임(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운전석(1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방체(2)는 후방지지프레임(200)과, 후방지지프레임(200)의 좌우측에서 각각 전방체(1)에 구비되는 제1운전석(150)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일정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운전석(150)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조향팔(250)과, 후방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며 페달(3)과 제2주동 스프로킷(5')을 포함하는 제2크랭크축(10')과, 후방지지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30')과, 제2구동축(30')에 제2주동 스프로킷(5')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2종동 스프로킷(15')과, 제2주동 스프로킷(5')과 제2종동 스프로킷(15')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2체인(20')과, 제2구동축(30')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 우 한 쌍의 제2구동바퀴(50'), 후방지지프레임(2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2운전석(1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후방체(2)는 후방지지프레임(200)의 좌우측 및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패널지지프레임(400)을 더 포함하여 광고홍보용 패널(4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지지프레임은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수직봉과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으로 구성되어 후방지지프레임(2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후방체(2)의 좌우측면과 후면을 광고홍보용도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향팔(250)은 제1운전석(150)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팔을 뻗지 않더라도 손을 통해 쉽게 의지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단부에 손을 사용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255)를 갖는다. 이 손잡이(255)에는 브레이크 레버(미도시)나 경우에 따라 변속기 레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전방체(1)와 후방체(2)는 연결프레임(300)을 통해 연결되어 사륜 자전거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은 그 후단부(320)가 후방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되고 전단부(310)가 전방지지프레임(100)에 수직축(X)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방체(1)와 후방체(2)가 수직축(X)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한, 연결프레임(300)은 그 후단부(320) 또한 후방지지프레임(200)에 전후 방향 수평축(Y)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전방체(1)와 후방체(2)가 전후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노면이 울퉁불퉁한 경우와 같이 노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사륜 자전거의 네 구동바퀴(50)(50')가 모두 노면에 접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구동바퀴(50)(50')가 노면과 접지되지 못하여 사륜 자전거의 구동이 불안정해지고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프레임(300)의 후단부(320)와 후방지지프레임(200)의 연결부분 및 연결프레임(300)의 전단부(310)와 전방지지프레임(100)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예를 들어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직으로 배열되는 리벳형 연결부재와 같은, 연결수단(350)(350')이 각각 수직 또는 수평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되어, 전방지지프레임(100)과 후방지지프레임(200)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직축(X)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행 중에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평축(Y)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행 중에 모든 구동바퀴(50)(50')가 안정적인 접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력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정적인 자세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사륜 자전거는 전방지지프레임(100)의 좌우측에서, 다시 말해 제1운전석(150)의 등받이 부분에서, 각각 후방체(2)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150')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운전석(150')에 착석하 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보조 조향팔(550)을 더 포함한다. 이는 후방체(2)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150')에 착석하는 운전자도 보조 조향팔(550)을 통해 주행 중에 사륜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방체(1)에 구비되는 제1운전석(150)에만 운전자가 승차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후방체(2)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150')에만 운전자가 승차하는 경우에도 사륜 자전거의 주행과 방향전환이 모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제1운전석(150)과 제2운전석(150')에 모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에는 후방체(2)의 제2운전석(150')에 승차하는 운전자는 보조 조향팔(550)에 몸을 의지하지 않도록 하여 제1운전석(150)의 운전자에 의한 주행방향 조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보조 조향팔(550) 역시 제2운전석(150')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팔을 뻗지 않더라도 손을 통해 쉽게 의지할 수 있는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그 단부에 손을 사용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555)를 갖는다. 이 손잡이(555)에는 브레이크 레버(미도시)나 경우에 따라 변속기 레버(미도시)가 또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방지지프레임(100)의 전단부에는 좌우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견인고리(500)가 구비된다. 이는 경사가 급한 언덕과 같은 곳에서 운전자가 운전석(150)(150')에 착석한 채로 페달(3)을 밟는 힘 만으로 전진이 불가능한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사륜 자전거를 끌고 갈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자동차나 오토바이와 같은 수단에 의해 사륜 자전거를 견인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견인고리(500)에는 또한 브레이크 레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람이 견인고리(500)를 잡은 상태에서 끌고 이동하는 중에도 필요에 따라 사륜 자전거를 제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는 서로 수직축(X)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방지지프레임(100)과 후방지지프레임(200)으로 뼈대를 구성하고, 전방지지프레임(100) 상에 제1운전석(150)을 구비하며, 후방지지프레임(200)에서 제1운전석(150) 좌우측 전방으로 연장되는 조향팔(250)을 구비함으로써, 제1운전석(150)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가볍게 팔을 뻗어 손을 통해 조향팔(250)에 의지한 상태에서 몸의 움직임을 통해 사륜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용이하고 단순한 형태의 경제적인 조향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체(2)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150')에만 운전자가 승차하는 경우에도 보조 조향팔(550)을 통해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조향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륜 자전거의 구동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동구조를 구성하는 일측 구동바퀴 부분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구동구조를 구성하는 구동판 어셈블리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는 전방체(1)와 후방체(2)에 각각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의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구비하며, 이와 같이 두 세트의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구비함에 따라 사륜구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하의 구동구조와 관련한 설명에서는 전방체(1)와 후방체(2)에 각각 구비되는 아륜구동형 구동구조의 상호 대응하는 구성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륜 자전거의 구동구조와 마찬가지로, 전방지지프레임(100) 또는 후방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며 페달(3)과 주동 스프로킷(5)(5')을 포함하는 크랭크 축(10)(10')과, 체인(20)(20')을 통해 주동 스프로킷(5)(5')과 연동하게 되는 종동 스프로킷(15)(15')을 포함한다. 다만, 종동 스프로킷(15)(15')은 직접 구동바퀴(50)(50')와 결합되지 않고, 전방지지프레임(100) 또는 후방지지프레임(200)에 좌우 한 쌍의 고정브라켓(33) 및 베어링(35)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30)(30')에 설치된다. 여기서, 종동 스프로킷(15)(15')은 주동 스프로킷(5)(5')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하는 구동축(30)(30') 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체인(20)(20')을 통한 원활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불어, 종동 스프로킷(15)(15')으로는 내륜과 외륜으로 구분되어 일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며, 내륜이 구동축(30)(3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공지의 래칫스프로킷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축(30)(30') 역회전시 종동 스프로킷(15)(15')이 함께 회전하여 주동 스프로킷(5)(5')을 회전하도록 함으 로써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가운데 크랭크축(10)(10')이 회전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구동축(30)(30')의 좌우 양단부에 한 쌍의 구동바퀴(50)(50')가 각각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각 구동바퀴(50)(50')는 허브(55)를 포함하는 휠과 타이어(57)로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0)(30')의 양단부가 각각의 허브(55)를 관통한 상태에서, 구동축(30)(30')과 중첩되는 부위 다시 말해 허브(55)의 양측에 매립되는 구조로 좌우 하나씩의 베어링(53)을 삽입하여, 구동축(30)(30') 상에서 구동축(30)(30')의 회전에 직접적으로 구속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동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외측이라 함은 구동축(30)(30')의 양단부가 지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내측은 종동 스프로킷(15)(15')이 설치되는 구동축(30)(30')의 중앙 방향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각 구동바퀴(50)(50')의 허브(55) 외측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을 포함한다.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은 종동 스프로킷(15)(15')과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공지의 래칫스프로킷이 사용된다. 즉, 각각 내륜(61)과 외륜(63)으로 구분되어 일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륜(61)이 각 구동바퀴(50)(50')의 허브(55)의 외측에,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55) 외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되는 수나사(56)와 내륜(6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62)를 통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더불어,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을 통해 구동축의 회전력을 각 구동바 퀴(50)(50')에 전달하기 위하여 좌우 한 쌍의 구동판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판 어셈블리는 각각 구동축(30)(30') 양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구동축(30)(30')과 함께 회전하는 외측 구동판(65)과, 각각 중심부에 구동바퀴(50)(50')의 허브(55)가 자유롭게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공(71)을 구비하여 각 구동바퀴(50)(50')의 허브(55)와 구동 래칫스프로킷(60)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구동판(75), 및 이들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체결수단(85)으로 구성된다.
외측 구동판(65)과 구동축(30)(30')의 나사결합을 위해, 구동축(30)(30')의 양끝에서 일정 길이의 영역에는 각각 수나사(31)가 형성되고, 각 외측 구동판(65)의 중심부 내측에 암나사(67)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 구동판(65)은 내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68)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측 구동판(75)은 외측 구동판(65)과 마찬가지로 각각 외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78)를 또한 구비한다.
더불어, 외측 구동판(65)및 내측 구동판(75)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일대일 대응하며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에 형성되는 이(tooth)와 이 사이의 골과 일치될 수 있는 다수의 체결공(69)(79)을 구비하며, 각 체결공(69)(79)을 통해 체결수단(85)이 체결됨으로써 서로 일체화된다. 일 예로서, 볼트가 체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볼트의 삽입이 용이하고 체결공구를 사용한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 구동 판(65)에 형성되는 체결공(69)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외측 구동판(65)에 형성되는 체결공(69)의 직경을 볼트의 헤드부 직경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내측 구동판(75)의 체결공(79) 내주면에 볼트의 수나사(8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암나사(83)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외측 구동판(65) 중 구동축(30)(30')의 우측단에 결합되는 외측 구동판(65)은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구동축(30)(30')의 좌측단에 결합되는 외측 구동판(65)은 시계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축(30)(30')이 주로 자전거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안하여, 구동축(30)(30')과 나사결합되는 외측 구동판(65)이 구동축(30)(30')의 회전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륜 자전거의 구동구조를 통한 동력전달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페달(3)에 사람의 발을 통한 힘이 작용하여 크랭크축(10)(10')이 회전하면, 주동 스프로킷(5)(5') 또한 회전하게 된다.
주동 스프로킷(5)(5')이 회전하면 체인(20)(20')을 통해 동력이 종동 스프로킷(15)(15')에 전달되고, 종동 스프로킷(15)(15')과 함께 구동축(30)(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축(30)(30')이 회전하게 되면 좌우의 외측 구동판(65)이 각각 회전하게 되고, 각 외측 구동판(65)과 체결수단(85)에 의해 일체화되는 내측 구동 판(75)이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측 구동판(65)과 내측 구동판(75)은 서로 일체화됨과 더불어 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을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구속하게 되어,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정방향으로 외륜(63)이 회전할 때 내륜(61) 또한 외륜(63)에 구속되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내측 구동판(75)과 외측 구동판(65)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85)은, 체결상태에서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에 형성되는 이(tooth)와 이 사이의 골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됨에 따라,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외륜(63)과 각 구동판(65)(75) 간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형상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정확한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 래칫스프로킷(60)의 내륜(61)이 회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래칫스프로킷(60)의 내륜(61)과 결합되는 구동바퀴(50)(50')의 허브(55)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사륜 자전거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구동바퀴(50)(50')가 회전하게 되고, 사륜 자전거의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구조를 이루는 구동판 어셈블리는 구동 래칫스프로킷(60)과 함께 자동차에 적용되는 차동기어장치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하나의 구동축(30)(30')에 좌우에 각각 두 구동바퀴(50)(50')가 장착된 경우에, 두 구동바퀴(50)(50')는 항상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속되지 않는다. 즉, 각 구동바퀴(50)(50')는 구동판 어셈블리와 구동 래칫스프로킷(60)에 의해 간접적으로 구동축(30)(30')에 장착됨에 따라, 하나의 구동축(30)(30')에 장착되는 두 구동바퀴(50)(50')가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상과 같은 구동구조가 적용되었을 때, 코너링이나 방향전환시와 같이 좌우 두 구동바퀴(50)(50)의 회전반경이 다르게 되는 경우에도 각 구동바퀴(50)(50')의 회전속도가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구동축(30)(30')에 좌우 한 쌍의 구동바퀴(50)(50')를 장착한 형태의 사륜 자전거라 할지라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상과 같은 구동구조가 전방체(1)와 후방체(2)에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세트의 구동구조를 갖는다 주행안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축에 좌우 한 쌍의 구동바퀴가 장착되는 구조이면서도 곡선주행이나 회전시에 좌우 구동버퀴의 회전속도가 각각의 회전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자연스러운 코너링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복사고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 주행안정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효과와, 전방체와 후방체에 각각 구비되는 운전석 중 어느 하나에만 운전자가 승차하여도 주행과 조향이 가능하며, 더불어 조향구조가 주행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단순화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이륜 자전거와는 달리 중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힘과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운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부가적으로 광고홍보용 패널을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이동용 광고수단으로도 탁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전방지지프레임과, 전방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페달과 제1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제1크랭크축과, 전방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구동축에 제1주동 스프로킷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1종동 스프로킷과, 제1주동 스프로킷과 제1종동 스프로킷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1체인과, 제1구동축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1구동바퀴, 및 전방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운전석을 포함하는 전방체;
    후방지지프레임과, 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기 전방체에 구비되는 제1운전석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일정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제1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조향팔, 후방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페달과 제2주동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제2크랭크축과, 후방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구동축에 제2주동 스프로킷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제2종동 스프로킷과, 제2주동 스프로킷과 제2종동 스프로킷을 연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제2체인과, 제2구동축의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제2구동바퀴, 후방지지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2운전석, 및 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 및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광고홍보용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후방체; 및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단부가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에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방체와 상기 후방체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후단부 또한 상기 후방지지프레임에 전후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방체와 상기 후방체가 전후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좌우측에서 각각 상기 후방체에 구비되는 제2운전석의 좌우측 전방의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가 손을 통해 의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 쌍의 보조 조향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의 전단부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견인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체 및 후방체의 구동구조는 각각,
    상기 크랭크축과,
    상기 전방지지프레임 또는 후방지지프레임에 좌우 한 쌍의 고정브라켓 및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과,
    각각 허브를 포함하는 휠과 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가 각각의 허브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축과의 중첩부위에 베어링을 삽입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자유롭도록 상기 구동축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상기 구동바퀴와,
    각각 내륜과 외륜으로 구분되어 일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며, 내륜이 각각의 상기 구동바퀴의 허브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래칫스프로킷과,
    각각 상기 구동축 양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각각 의 내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의 외륜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측 구동판과, 각각의 중심부에 상기 구동바퀴의 허브가 자유롭게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공을 구비하여 각 구동바퀴의 허브와 구동 래칫스프로킷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 외측에 구동 래칫스프로킷의 외륜을 구속하는 형상의 스프로킷 수용부를 구비하는 내측 구동판, 및 외측 구동판과 내측 구동판이 일체화 되도록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구동판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지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20070002584A 2007-01-09 2007-01-09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78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84A KR100781766B1 (ko) 2007-01-09 2007-01-09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84A KR100781766B1 (ko) 2007-01-09 2007-01-09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766B1 true KR100781766B1 (ko) 2007-12-04

Family

ID=3913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84A KR100781766B1 (ko) 2007-01-09 2007-01-09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7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190U (ko) 1979-12-25 1981-08-01
KR20020081924A (ko) * 2001-04-20 2002-10-30 권선구 4바퀴 자전거
JP2004243949A (ja) 2003-02-14 2004-09-02 Honda Motor Co Ltd 揺動式自動3輪車
KR200375897Y1 (ko) 2004-11-27 2005-03-08 한상규 삼륜 자전거
KR200384072Y1 (ko) 2005-02-15 2005-05-11 채형석 자전거의 견인장치
KR200427334Y1 (ko) 2006-05-03 2006-09-25 박태순 이동식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190U (ko) 1979-12-25 1981-08-01
KR20020081924A (ko) * 2001-04-20 2002-10-30 권선구 4바퀴 자전거
JP2004243949A (ja) 2003-02-14 2004-09-02 Honda Motor Co Ltd 揺動式自動3輪車
KR200375897Y1 (ko) 2004-11-27 2005-03-08 한상규 삼륜 자전거
KR200384072Y1 (ko) 2005-02-15 2005-05-11 채형석 자전거의 견인장치
KR200427334Y1 (ko) 2006-05-03 2006-09-25 박태순 이동식 광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152A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US20100283216A1 (en) Bicycle with two front wheels
KR100781182B1 (ko)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US3709315A (en) Vehicle four wheel driving and steering arrangement
EP1940677A1 (en) Four-wheeled pedal cycle for use on a road or on rails
CN203921060U (zh) 多功能学步车
KR100968763B1 (ko)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781766B1 (ko) 광고홍보용 2인승 사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KR100781765B1 (ko) 광고홍보용 1인승 이륜구동형 사륜 자전거
JP3169458U (ja) 手漕ぎ式自転車
CN109250020A (zh) 一种躺式自行车的摆动控制装置
CN201385731Y (zh) 前驱动后转向躺式三轮自行车
KR100830346B1 (ko)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KR100879236B1 (ko)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20100134950A (ko) 손조작이 필요없는 자전거
CN206485470U (zh) 一种双轮双驱动自行车
KR101099483B1 (ko) 2인용 삼륜 자전거
US7950682B2 (en) Front-wheel driven, rear-wheel steered vehicle
KR200420087Y1 (ko) 포크형 전륜조향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JP3119526U (ja) タンデムの改良構造
CN105599840A (zh) 休闲车
KR100837445B1 (ko) 사륜 자전거용 조향구조
KR101640431B1 (ko) 앞뒤 바퀴 구동 안전 자전거
KR102452848B1 (ko) 자전거
CN100441472C (zh) 多人乘观光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