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08B1 -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08B1
KR101267708B1 KR1020110126999A KR20110126999A KR101267708B1 KR 101267708 B1 KR101267708 B1 KR 101267708B1 KR 1020110126999 A KR1020110126999 A KR 1020110126999A KR 20110126999 A KR20110126999 A KR 20110126999A KR 101267708 B1 KR101267708 B1 KR 10126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wheel
shaft
coupled
sl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
Original Assignee
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 filed Critical 임원
Priority to KR102011012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스케이트보드는,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스케이트보드는, 탑승자가 데크를 한번 눌러 하강시켰을 때,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더 큰 추진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탑승자는 동일한 동작으로 더 멀리 전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는, 탑승자가 발판의 역할을 하는 데크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땅을 밀치는 동작을 몇 차례 반복함으로써, 추진력을 얻는다. 이렇게 탑승자의 발로 추진력을 얻을 경우, 많은 힘이 필요해, 탑승자가 쉽게 피로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810577(이하 "등록특허"라 칭함)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는, 탑승자가 체중으로 데크를 눌러줌으로써, 추진력을 얻는다. 이렇게 탑승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을 경우, 많은 힘이 필요 없어, 탑승자가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다.
도 1(a),(b)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데크와 꺽쇠와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1(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데크와 꺽쇠와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b)에 도시된 직선화살표는 데크를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곡선화살표는 앞바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도 2(a),(b)는, 도 1(a),(b)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를 3차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a),(b) 및 도 2(a),(b)를 참조하여,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데크(2) 위로 탑승자가 올라탄다.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데크(2)가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하강하고,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꺽쇠(3)가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꺽쇠(3)가 회전하면서, 조향축(4)과 바퀴축(5)을 거쳐 앞바퀴(6)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주고, 조향축(4)과 바퀴축(5)을 거쳐 뒷바퀴(7)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준다.
이때, 앞바퀴(6)와 바퀴축(5) 사이 그리고, 뒷바퀴(7)와 바퀴축(5) 사이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베어링이 개재(介在)되어 있어, 앞바퀴(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나, 뒷바퀴(7)는 회전하지 못하고 스케이트보드(1)를 후측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해준다. 이로 인해, 스케이트보드는 전진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8은 인장스프링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인 추진원리는 등록특허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데크를 한번 눌러 하강시켰을 때,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더 큰 추진거리를 갖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케이트보드는,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드봉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바퀴축;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고정삽입되는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드봉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인 스케이트보드는, 탑승자가 데크를 한번 눌러 하강시켰을 때,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더 큰 추진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탑승자는 동일한 동작으로 더 멀리 전진할 수 있다.
도 1(a),(b)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데크와 꺽쇠와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1(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데크와 꺽쇠와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a),(b)는, 도 1(a),(b)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를 3차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데크와 레일축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3(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데크와 레일축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4(a),(b)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를 3차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b),(c)는, 도 3(a)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5(b)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올라타는 순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리는 순간)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5(c)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완전히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에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의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방향 전환을 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방향이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b),(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가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추진거리가 얼마나 더 긴지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b)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의 추진거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추진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압축스프링의 압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압축스프링의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데크에 탑승자가 올라타기 전과 올라탄 후의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b),(c)는, 도 11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b)는, 도 13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데크와 레일축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3(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데크와 레일축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직선화살표는 데크를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곡선화살표는 앞바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앞,뒤 바퀴의 회전방향은 일방항베어링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a),(b)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를 3차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b) 및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데크(110), 레일축(120), 바퀴축(130), 일방향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 바퀴부(140), 인장스프링들(150)로 구성된다.
데크(110)는, 판상(板狀)이다. 데크(110) 위로 탑승자가 올라타면,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데크(110)가 하강한다. 데크(110) 위에서 탑승자가 점프하면, 탑승자의 체중이 데크(110)로 순간적으로 가해지지 않아, 인장스프링들(150)의 복원력에 의해 데크(110)가 제자리로 상승한다.
데크(110) 위에서 탑승자가 점프한 후, 데크(110)위로 착지할 때, 탑승자의 체중에 점프높이에 따른 위치에너지까지 데크(110)로 가해져, 데크(110)가 더 빠르게 하강하며, 전,후방의 바퀴(141,142)를 외측으로 더 강하게 밀어낸다.
레일축(120)은, 지지대(121), 슬라이드봉(122), 이탈방지캡(123)으로 구성된다.
지지대(121)는, 데크(1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지지대(121)는, 데크(110)와 볼트결합되거나, 데크(110)와 용접될 수도 있다. 지지대(121)는, 데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데크(110)의 중앙에 위치한다.
슬라이드봉(122)은, 지지대(121)의 양 끝단에 결합된다. 슬라이드봉(122)은, 지지대(121)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룬다.
이탈방지캡(123)은, 슬라이드봉(122)의 끝단에 결합된다. 이탈방지캡(123)은, 슬라이드봉(122)이 하강할 때, 슬라이드봉(122)이 슬라이드공(13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캡(123)의 외경은 슬라이드공(131)의 내경보다 크다.
바퀴축(130)은, 데크(110)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바퀴축(130)은, 데크(110)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바퀴축(130)의 중앙에는 슬라이드공(131)이 구비된다. 슬라이드봉(122)은, 슬라이드공(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데크(110) 하강시, 슬라이드봉(122)은 슬라이드공(131)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하강한다. 데크(110) 상승시, 슬라이드봉(122)은 슬라이드공(131)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상승한다.
바퀴부(140)는, 앞바퀴(141)와 뒷바퀴(142)로 구성된다.
앞바퀴(141)는, 데크(110)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양 끝단 각각에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앞바퀴(141)와 바퀴축(130) 사이에는 일방향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된다. 일방향베어링(미도시)으로 인해, 앞바퀴(141)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뒷바퀴(142)는, 데크(110)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양 끝단 각각에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뒷바퀴(142)와 바퀴축(130) 사이에는 일방향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된다. 일방향베어링(미도시)으로 인해, 뒷바퀴(141)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들(150)은, 제1스프링(151), 제2스프링(152), 제3스프링(153), 제4스프링(154)으로 구성된다.
제1스프링(151)은, 지지대(121)의 좌측과, 데크(110)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좌측을 연결한다.
제2스프링(152)은, 지지대(121)의 우측과, 데크(110)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우측을 연결한다.
제3스프링(153)은, 지지대(121)의 좌측과, 데크(110)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좌측을 연결한다.
제4스프링(154)은, 지지대(121)의 우측과, 데크(110)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의 우측을 연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a),(b),(c)는, 도 3(a)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5(b)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올라타는 순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리는 순간)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5(c)는 탑승자가 데크 위로 완전히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에 슬라이드봉과 바퀴축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데크(110) 위로 탑승자가 올라타면, 도 5(a)에 도시된 데크(110)와 슬라이드봉(122)이 하강하면서 도 5(b)에 도시된 위치를 거쳐, 도 5(c)에 도시된 위치까지 바퀴축(130)을 밀어낸다. 도 5(a)에 도시된 인장스프링들(150)은, 도 3(b), 도 4(b) 및 도 5(c)에 도시된 만큼 인장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크(110) 위로 탑승자가 올라타면, 도 3(b),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1)의 전측에 위치한 슬라이드봉(122)은 하강하면서, 데크(110)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을 전측으로 밀고, 지지대(121)의 후측에 위치한 슬라이드봉(122)은 하강하면서, 데크(110)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을 후측으로 민다.
전측으로 밀린 바퀴축(130)은 앞바퀴(141)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주고, 후측으로 밀린 바퀴축(130)은 뒷바퀴(142)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준다.
일방향베어링(미도시)으로 인해, 앞바퀴(14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뒷바퀴(1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앞바퀴(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케이트보드(100)는 전진하고, 뒷바퀴(142)는 스케이트보드(100)가 후측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해 준다.
한편, 일방향베어링에 의해 스케이트보드(100)를 후측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해 주는 뒷바퀴(142)는, 지면(地面)과의 반작용에 의해 전측으로 스케이트보드(100)를 밀어줌으로써, 스케이트보드(100)의 총 추진거리는, 앞바퀴(141)의 추진거리의 2배가 된다.
한편, 데크(110)에 올라탄 탑승자가 점프하여 데크(110)에 순간적으로 체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4개의 인장스프링들(150)이 원래대로 수축되면서, 바퀴축(130), 슬라이드봉(122) 및 데크(110)를 도 3(a), 도 4(a)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탑승자는 데크(110) 위에서 점프와 착지를 반복하면서 스케이트보드(100)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스케이트보드(100)의 전진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데크(110) 위에서 점프 후 착지하는 순간, 지지대(121)와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는 슬라이드봉(122)이 하강하면서, 데크(110)를 수직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바퀴축(130)을 수평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변환시킨다.
변환된 힘에 의해, 바퀴축(130)이 외측으로 밀리고, 바퀴축(130)에 연결된 바퀴(141,142)도 외측으로 밀린다. 이때, 어느 한 방향으로 바퀴(141,142)의 회전을 제어하는 일방항베어링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어, 스케이트보드(100)가 전진한다.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의 방향 전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방향 전환을 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방향이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b)에 도시된 직선화살표는 데크의 우측을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도 6(b)에 도시된 곡선화살표는 데크의 우측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스케이드보드 진행도중, 탑승자가 데크(110)의 우측에 힘을 주어 데크(110)를 우측으로 기울여 주면, 스케이트보드(100)는 우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스케이드보드 진행도중, 데크(110)의 좌측을 힘을 주어 데크(110)를 좌측으로 기울여 주면, 스케이트보드(100)는 좌회전하게 된다.
참고로, 슬라이드봉(122)이 지면 및 데크(110)와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일 경우에는,
슬라이드봉(122)은 제자리에서 회전만 할 뿐, 바퀴축(130)에 방향전환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슬라이드봉(122)이 지면 및 데크(110)에 대해 항상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탑승자가 데크(110)에 체중을 가한 상태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데크(2) 위에서 순간적으로 점프하여 체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케이트보드(10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슬라이드봉(122) 하나로 스케이트보드(100)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케이트보드(100)의 추진방향도 바꿀 수 있으므로, 스케이트보드(100)의 구조가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보다 간단해 진다.
도 7(a),(b),(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가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추진거리가 얼마나 더 긴지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b)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의 추진거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추진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d)에 도시된 직선화살표는 데크를 누르는 힘을 나타낸다.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데크(2)를 누르면, 꺽쇠(3)는 회전한다. 여기서, 꺽쇠(3)의 중심 회전부와 바퀴(6.7)의 중앙부까지의 길이는 L1이고, 탑승자가 데크(2)를 누르면 꺽쇠(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 회전한다고 가정한다.
한편, 도 7(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데크(110)를 누르면, 슬라이드봉(122)은 슬라이드공(131)내에서 슬라이딩 하강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봉(122)의 길이는 L1이고 지면 및 데크와의 각도는 45° 이며, 탑승자가 데크(110)를 누르면 L1만큼 하향 슬라이딩한다고 가정한다.
이하, 앞바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데크(2)를 누르면, 꺽쇠(3)는 회전하면서, 조향축(4)과 바퀴축(5)을 거쳐 앞바퀴(6)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주어, 앞바퀴(6)를 L2만큼 이동시킨다. L2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1095293363-pat00001
도 7(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데크(110)를 누르면, 슬라이드봉(122)은 하강하면서, 데크(110)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130)을 전측으로 밀어, 앞바퀴(141)를 L3만큼 이동시킨다. L3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1095293363-pat00002
여기서, L2와 L3의 비는,
Figure 112011095293363-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에 비해, 탑승자가 데크를 한번 눌러 하강시켰을 때, 2.41425배 더 이동할 수 있다.
이하, L1=100mm이라고 가정하고, 구체적인 총 추진거리의 차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의 앞바퀴(6)의 추진거리 L2는, 29.289mm로 계산되고, 총 추진거리는 추진거리 L2의 2배인, 58.578mm(29.289mm×2)로 계산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의 앞바퀴(141)의 추진거리 L3는, 70.711mm로 계산되고, 총 추진거리는 추진거리 L3의 2배인, 141.422mm(70.711×2)로 계산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데크를 한번 눌러 하강시켰을 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에 비해, 82.844mm(141.422mm - 58.578mm)만큼 더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가,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보다 더 멀리 전진할 수 있는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는 길이가 L1인 꺽쇠(3)가 45° 회전하여 바퀴축(5)을 밀어내는 구조를 가진다. 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는, 길이가 L1이며 45° 경사진 슬라이드봉(122)에 의하여 바퀴축(130)을 밀어내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 보다 바퀴(141,142)를 더 멀리 밀어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a)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타기 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데크에 체중이 실리지 않은 상태), 압축스프링의 압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탑승자가 데크에 올라탄 후 (또는, 탑승자가 데크 위에서 점프를 한 후 낙하하여 데크에 체중이 실린 상태), 압축스프링의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b) 및 도 8(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200)는, 압축스프링(2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압축스프링(2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압축스프링(250)은, 슬라이드봉(222)에 삽입되며 이탈방지캡(223)과 바퀴축(230)의 사이에 위치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210)에 탑승자의 체중이 가해져 데크(210)가 하강하면, 슬라이드봉(222)이 하강하면서 전,후방의 바퀴축(230)을 데크(21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압축스프링(250)을 압축시킨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점프하여 데크(210)에 순간적으로 체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압축스프링(250)이 팽창되면서, 전,후방의 바퀴축(230)을 데크(210)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슬라이드봉(222)을 상승시키고, 데크(210)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200)는, 1개의 압축스프링(250)을 사용하므로, 4개의 인장스프링(151,152,153,154)을 사용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드보드(100) 보다 부품수가 줄어든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b)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300)는, 슬라이드봉(322)과 바퀴축(3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슬라이드봉(322)과 바퀴축(3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슬라이드봉(322)의 외주면에는 톱니(322a)가 형성된다. 바퀴축(330)의 외주면에는 톱니(322a)와 맞물리는 톱니(331)가 형성된다.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데크에 탑승자가 올라타기 전과 올라탄 후의 슬라이드봉의 위치를 나타낸다.
탑승자가 데크(310)에 올라타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322)이 하강하면서 바퀴축(330)을 밀어내며 이때 슬라이드봉(322)의 톱니(322a)와 맞물린 바퀴축(330)의 톱니(331)에 의하여 바퀴축(330)과 바퀴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3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보다 더 많은 거리(L3+α)를 전진할 수 있다.
참고로, 바퀴축(330)의 톱니(331) 개수보다, 슬라이드봉(322)의 톱니(322a) 개수가 많을 수록 바퀴축(330)이 더 많이 회전되어, 스케이트보드(300)가 더 멀리 전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b),(c)는, 도 11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b)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4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에 회전축(460)이 더 포함된 스케이트보드이다. 회전축(4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과 동일하므로, 회전축(4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회전축(460)은, 바퀴축(430)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460)과 바퀴축(430)사이에는, 회전축(460)이 회전후 복귀할 수 있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회전축(460)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바퀴(440)가 설치된다.
탑승자가 데크(410)에 올라타면, 도 1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422)이 하강하면서 바퀴축(430)을 밀어주어 1차적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회전축(460)이 회전하면서 바퀴(440)를 밀어 2차적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4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보다 더 많은 거리(L2+L3)를 전진할 수 있다.
참고로, 탑승자가 데크(410)에 체중을 가할 경우, 도 12(a),(b),(c)로 도시된 작동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왜냐하면, 도 12(b)의 상태에서 도 12(a)상태로 바퀴축을 원상 복귀시키는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의 세기와, 도 12(c)의 상태에서 도 12(b)의 상태로 회전축을 원상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의 세기에 따라 작동 순서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b)는, 도 13에 도시된 스케이트보드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도 13 및 도 14(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에, 기어트레인(561)이 구비된 회전축(560)과, 스톱퍼(562)와, 압축스프링(563)를 더 포함한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10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축(560)의 내부에는 기어트레인(561)이 내장될 공간이 구비된다.
기어트레인(561)은, 바퀴축(530)에 결합된 제1기어(561a)와, 바퀴부(540)의 앞바퀴(541) 또는 뒷바퀴(542)에 결합된 제2기어(561b)와, 제1기어(561a)와 제2기어(561b)에 맞물리는 제3기어(561c)들로 구성된다.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축(530)에 연결된 제1기어(561a)의 측면에는 홈(561aa)들이 구비된다. 홈(561aa)들은 제1기어(561a)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동일원상에 동일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톱퍼(562)는, 바퀴축(530)에 삽입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63)은, 스톱퍼(562)의 후측으로, 바퀴축(530)에 삽입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63)은, 스톱퍼(562)를 제1기어(561a)의 측면으로 밀어서, 스톱퍼(562)의 끝단을 홈(561aa)에 삽입시킨다.
상기 스톱퍼(562)의 끝단에는, 경사부(562a)와 수직부(562b)가 구비된다.
데크(510)가 하강하면서 앞쪽 회전축(5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홈(561aa)이 수직부(562b)에 걸린다. 따라서, 앞쪽 바퀴축(530)에 연결된 제1기어(561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고정된 제1기어(561a)가 제2기어(561b)와 제3기어(561c)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추가적인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데크(510)가 상승하면서 앞쪽 회전축(5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홈(561aa)이 경사부(562a)를 타고 넘어 감으로써 더 이상 제1기어(561a)를 구속하지 않는다.
즉, 탑승자가 점프하여 데크(510)가 상승하고 회전축(560)이 토션스프링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때 스톱퍼(562)는, 제1기어(561a)를 더 이상 고정하지 않는다.
한편, 데크(510)가 하강하거나 상승하면, 뒷쪽 회전축(560)은 앞쪽 회전축(560)과 반대로 회전한다. 따라서, 뒷쪽 바퀴축(530)에 삽입된 스톱퍼(562)의 경사부(562a)와 수직부(562b)의 위치는, 앞쪽 바퀴축(530)에 삽입된 스톱퍼(562)의 경사부(562a)와 수직부(562b)의 위치와 반대가 되어야 한다. 나머지 뒤쪽 회전축(560)이 회전하면서 추가적인 추진력 발생원리는, 앞쪽 회전축(560)이 회전하면서 추가적인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탑승자가 데크(510)에 올라타면, 도 12의 (a),(b)에 도시된 슬라이드봉(422)과 같이, 슬라이드봉(522)이 하강하면서 바퀴축(530)을 밀어주어 1차적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회전축(560)이 회전하면서 스톱퍼(562)에 의해 고정된 제1기어(561a)는 제3기어들(561c)과 제2기어(561b)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추가적인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추진거리는 상기 제1기어(561a), 제3기어들(561c), 제2기어(561b)의 톱니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1차 추진력과 기어에 의한 추가적인 추진력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400)보다 더 많이 전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에서, 앞쪽 또는 뒷쪽 회전축(560) 모두에 기어트레인(561)과 스톱퍼(562)를 구비하는 대신, 앞쪽 또는 뒷쪽 회전축(560) 중 어느 한쪽에만 기어트레인(561)과 스톱퍼(562)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600)는, 스톱퍼(562)를 일방향베어링(662)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와 동일하므로, 일방향베어링(66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일방향베어링(662)은, 바퀴축(630)과 제1기어(661a)의 사이에 개재된다.
일방향베어링(662)은, 내측부(662a), 외측부(662b)로 구성된다.
내측부(662a)는, 바퀴축(630)과 키(key) 결합되며, 외측부(662b)는, 제1기어(661a)와 키 결합된다. 외측부(662b)는, 바퀴축(630)과 키(key) 결합되어 고정된 내측부(662a)에 대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다.
일방향베어링(662)은, 데크(610)가 하강하면서 앞쪽 회전축(6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앞쪽 바퀴축(630)에 연결된 제1기어(661a)가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시키고, 반대로, 데크(610)가 상승하면서 앞쪽 회전축(6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일방향베어링(662)은, 앞쪽 바퀴축(630)에 연결된 제1기어(661a)가 회전할 수 있게 풀어준다.
또한, 일방향베어링(662)은, 데크(610)가 하강하면서 뒷쪽 회전축(6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뒷쪽 바퀴축(630)에 연결된 제1기어(661a)가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시키고, 반대로, 일방향베어링(662)은, 데크(610)가 상승하면서 뒷쪽 회전축(6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뒷쪽 바퀴축(630)에 연결된 제1기어(661a)가 회전할 수 있게 풀어준다.
일방향베어링(662)에 의해 고정된 제1기어(661a)가 제3기어들(661c)과 제2기어(661b)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는, 스톱퍼(562)에 의해 고정된 제1기어(561a)가 제3기어들(561c)과 제2기어(561b)를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제5실시예에 기재된 원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70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또는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600)에서 슬라이드봉(522,622)을 짧게 하여 슬라이드공(531,631)에 고정삽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또는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60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700)의 짧은 슬라이드봉(722)은, 추진력을 발생시키지는 못하나, 데크(710)의 어느 한쪽을 기울일 때 같이 기울어져, 바퀴축(730)에 방향전환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700)는, 기어트레인(761)에 의해 발생된 추진력으로 인해, 등록특허에 개시된 스케이트보드보다 더 많이 전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3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80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의 슬라이드봉(522)과 바퀴축(530) 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600)의 슬라이드봉(622)과 바퀴축(630) 대신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300)의 슬라이드봉(322)과 바퀴축(330)으로 대처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800)는, 회전축(860)에 구비된 톱니들의 비와, 바퀴축(830)에 구비된 톱니(831)와 슬라이드봉(882)에 구비된 톱니(822a)의 비에 의하여 추진거리가 결정되므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500) 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보드(600)보다 더 많은 거리를 전진할 수 있다.

Claims (6)

  1.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2.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드봉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바퀴축;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한 바퀴축의 양 끝단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3.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4.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공이 구비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 또는,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상기 이탈방지캡과 상기 바퀴축의 사이에 위치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5.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중앙에 상기 슬라이드봉이 고정삽입되는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6. 데크;
    상기 데크의 하면에 결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상기 지지대의 후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결합되며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의 끝단에 결합된 이탈방지캡으로 구성된 레일축;
    상기 데크의 전측과 후측에 하나씩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슬라이드봉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바퀴축;
    상기 바퀴축의 양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축에 결합된 제1기어와, 상기 바퀴부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결합된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제3기어들로 구성된 기어트레인;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주는 스톱퍼 또는 일방향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상기 바퀴축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
    상기 데크의 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앞바퀴와, 상기 데크의 후측에 위치된 회전축에 상기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뒷바퀴로 구성된 바퀴부; 및
    상기 바퀴축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데크에 타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들;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20110126999A 2011-11-30 2011-11-30 스케이트보드 KR10126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99A KR101267708B1 (ko) 2011-11-30 2011-11-30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99A KR101267708B1 (ko) 2011-11-30 2011-11-30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708B1 true KR101267708B1 (ko) 2013-05-24

Family

ID=4866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999A KR101267708B1 (ko) 2011-11-30 2011-11-30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45Y1 (ko) 2003-04-07 2003-07-04 유인조 킥 보드
KR100810577B1 (ko) 2007-05-15 2008-03-06 임원 자체추진 스케이트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45Y1 (ko) 2003-04-07 2003-07-04 유인조 킥 보드
KR100810577B1 (ko) 2007-05-15 2008-03-06 임원 자체추진 스케이트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458B2 (en) Single-track scooter
KR20110059837A (ko) 개인용 차량
KR20090072932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JP2012011168A (ja) スケータ
KR100949145B1 (ko) 킥트라이시클
US20150054252A1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US20210046994A1 (en) Scoo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scooter
US20150197311A1 (en) Foot-sliding quad vehicle with tilt-grip steering
EP3066000A1 (en) Combined scooter and handcart
US10463948B2 (en) Self-propelled skateboard
WO2014147752A1 (ja) 自走式スケートボード
CN105209332A (zh) 撑杆推进的脚踏车
KR101267708B1 (ko) 스케이트보드
JP2010521360A (ja) 人間運搬用デバイスおよび人間運搬方法
KR100810577B1 (ko) 자체추진 스케이트보드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US20110031714A1 (en) Hand driven scooter
US20150232149A1 (en) Jumping drive device
KR101269824B1 (ko) 운동 기구
KR200392906Y1 (ko) 구름판
KR200371028Y1 (ko) 핸들조작으로 전진되는 어린이 카
KR100895545B1 (ko) 외발 자전거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EP3661613A1 (en)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and auto-balance based driv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