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45Y1 - 구름판 - Google Patents

구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45Y1
KR200387845Y1 KR20-2005-0009176U KR20050009176U KR200387845Y1 KR 200387845 Y1 KR200387845 Y1 KR 200387845Y1 KR 20050009176 U KR20050009176 U KR 20050009176U KR 200387845 Y1 KR200387845 Y1 KR 200387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frame
wheel
coupled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20-2005-0009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름판(킥보드,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이나 막대기로 땅을 미는 대신 운전자가 타고 있는 상태에서 앞발(두발 중 앞선 발)과 뒷발(두발 중 뒤에 놓인 발)을 벌리고 오므리는 것을 반복하여 나아가는 힘(추진력)을 내는 구름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은 하부 면에 전륜(23)을 구비한 전방플레이트(20), 하부 면에 후륜(60) 및 상기 후륜(60)에 일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후방 플레이트(40)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앞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프레임(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탑승자의 앞발(두발 중 앞선 발)을 전방플레이트(20)에 올리고 뒷발(두발 중 뒤에 놓인 발)은 후방플레이트(40)에 올린 상태에서 두 발의 간격을 벌렸다 오므리는 것을 반복하여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진행한다.

Description

구름판{Skateboard}
본 고안은 구름판(킥보드,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이나 막대기로 땅을 미는 대신운전자가 타고 있는 상태에서 앞발과 뒷발을 벌리고 오므리는 것을 반복하여 나아가는 힘(추진력)을 내는 특징과, 전륜(23)의 방향을 핸들(26)을 사용하여 손으로 조종하거나, 앞발(두발 중 앞선 발)로 조종하거나, 몸의 중심을 좌우로 기울여 조종이 가능하여 마음먹은 대로 되는 특징을 갖는 구름판(1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는 앞발을 올려놓을 수 있고 조향장치가 설치된 전방플레이트(20)와,
전방플레이트(20)에 연결되며 전 후로 길게 되고 하부에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을 부착한 수평프레임(30)과,
상기수평프레임(30)과 끼워져서 서로 왕복(슬라이드)되고 뒷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후방플레이트(40)와,
클러치베어링(61)이 구비된 스프라킷(65)과, 클러치베어링(61)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이 전달되는 후륜(60) 그리고 상기 스프라킷(65)과 맞물리는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 또는 무한괘도체인(53)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 끼워져서 내측(전륜과 후륜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행될 때 수평프레임(30)의 하단에 설치된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이 후방플레이트(40) 하부에 구비된 스프라킷(65)을 회전시키면 스프라킷(65)은 뒤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스프라킷(65)의 내부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61)에 의해 후륜(60)은 공전되어 스프라킷(65)의 회전력이 후륜(60)에는 전달되지 않으며,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 내측으로 진행이 끝나고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 외측으로 진행(전륜과 후륜이 멀어지는 방향)하게 되면 수평프레임(30)의 하단에 설치된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이 후방플레이트(40) 하부의 설치된 스프라킷(65)을 앞 방향(종전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프라킷(65) 내부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61)은 후륜(60)에 스프라킷(65)의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므로 구름판(10)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한편 이제까지 있어온 구름판의 일종인 스케이트보드는 하나의 긴 발판 밑에 네 개의 바퀴를 달아놓은 네 바퀴 구름판으로, 스케이트보드는 운전자가 발로써 발판을 기울여 앞바퀴와 뒷바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을 수 있게 되어있으나 회전반경이 커서 흥미를 지속하기가 어렵거나 놀이 장소의 선택에 어려움이 있었고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한발로 땅을 밀어내거나 경사진 도로를 내려오는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한쪽 발로 땅을 밀지 않고 억지로 발판 앞쪽을 들어 틀면서 나아가는 힘(추진력)을 내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기술이 뛰어난 이들도 힘든 어려운 방법이다.
또한 스케이트보드의 일종으로 하나의 긴 발판에 핸들과 핸들축과 하나의 조향륜인 전륜을 설치하고 한개 또는 두개의 후륜을 설치한 킥보드도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한발로 땅을 밀거나 경사진 도로를 내려오는 방법뿐이며 한발로 땅을 밀어내는 방법에서도 속도를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 두발을 구름판(10)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도구의 도움 없이 앞발과 뒷발을 벌리고 오므리는 것을 반복하여 나아가는 힘(추진력)을 내는 특징과 조향 바퀴의 방향을 핸들(26)을 사용하여 손으로 조종하거나 앞발(두발 중 앞선 발)을 좌우로 회전시켜 조종하거나, 몸의 중심을 좌, 우로 기울여 짧은 회전반경으로 좌우 회전 할 수 있는 구름판(10)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은 그 하부면에 전륜(23)을 구비한 전방플레이트(20), 그 하부면에 후륜(60) 및 상기 후륜(60)에 일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후방 플레이트(40)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앞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프레임(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름판의 상기 수평프레임(30)은 그 하부면에 랙(52) 또는 직선형 체인(5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랙(52) 또는 직선형 체인(51)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상기 후륜에 전달하는, 내부에 클러치베이어링(61)을 구비한 스프라킷(6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후방플레이트(40)는 그 하부면에 공회전이 가능한 공회전기어(63)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의 스프라킷(65)과 상기 수평프레임(30)의 공회전기어를 연결시키는 무환괘도체인(53)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프레임(30)은 그 하부면에 상기 수평프레임(30)이 상기 후방플레이트(40)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무한괘도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라킷(6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래칫이 구비된 체인이송틀(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후륜(60)에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베어링(61)이 구비된 풀리(651), 일 측은 수평프레임(30) 또는 전방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풀리(651)에 연결되는 줄(52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줄이 상기 풀리(651)를 회전시키면서 풀리면, 상기 줄이 다시 상기 풀리(651)에 기존의 상태대로 감기도록 상기 풀리(65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태엽(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은 일 측은 상기 수평프레임(30) 또는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방향으로 당겨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지닌 고무줄 또는 되돌림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수평프레임(30) 또는 상기 후방플레이트(40)는 좌우측면에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간의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이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된 반대쪽의 수평프레임(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과도하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과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39)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은 상기 후방플레이트(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과 접촉하여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브레이크 패드(74)와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74)에 힘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패달(71) 및 상기 브레이크 패달(71)에 가해지는 힘이 없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74)를 상기 후륜과 이격시키는 페달스프링을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74), 상기 페달 스프링,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일 측이 결합되어 있어 탑승자가 당기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후륜에 접촉하여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 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동손잡이(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전방플레이트(20)는 상기 전륜(23)과 결합되어 상기 전륜(23)의 방향을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전방플레이트(20)는 상기 수평프레임(3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플레이트(20)에 위치한 탑승자의 발의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전륜(23) 역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전륜(23)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 또는 상기 전방플레이트(20)에 일 측이 결합되어 있고 타 측은 수평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23)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 이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조향복원스프링(3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전륜(23)은 상기 구름판(10)이 좌우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서 좌 또는 우로 회전하는 방향성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0) 또는 수평프레임(30) 중 어느 일방에는 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결합되고 타방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과는 별도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만을 좌우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봉(5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30)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좌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 진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평유지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수평프레임(30)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있는 제1수평프레임(310)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는 다른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연결시키는 제2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름판의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무재질 또는 그 표면이 요철모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승자의 앞쪽 발이 위치하는 앞발판(28)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면에 결합위어 있으며 고무재질 또는 그 표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탑승자의 뒤쪽 발이 위치하는 뒷발판(4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앞발판(17) 또는 뒷발판은 그 중앙부분이 낮고 앞뒤 양쪽 끝단이 높아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클러치베어링(61)은 일방향베어링 이라고도 하며 자전거 후륜의 스프라킷의 내측에도 쓰이는 베어링으로 일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베어링이며, 직선형체인(51)은 무한괘도체인(53)의 한쪽을 절단하여 랙(52)처럼 펴놓은 체인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에 추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이 추진력을 얻는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후방플레이트(40)를 뒤로 밀어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후방플레이트(40)를 뒤로 밀어낸 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c)는 랙이 피니언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1은 직선형체인(51) 또는 랙(52)의 길이, R1은 스프라킷(65)의 지름, R2는 후륜(60)의 지름, L2는 후륜(60)이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며, 수평프레임(30)에 설치된 랙(52) 또는 직선형체인(51)이 L1 만큼 이동하면서 스프라킷(65)을 회전시키면 스프라킷(65)은 L1/(R1ㅧ3.14) 바퀴회전하고 스프라킷(65)과 축으로 연결된 후륜(60)의 회전수는 스프라킷(65)의 회전수와 동일하므로 L1/(R1ㅧ3.14) 바퀴회전 한다. 이때 후륜(60)이 이동한 거리 L2 = R2ㅧ3.14ㅧL1/(R1ㅧ3.14) 이다.
그리하여 L2= R2ㅧ(L1/R1)이 성립되고, L1/R1 =L2/R2 이므로 후륜(60)의 지름보다 스프라킷(65)의 지름이 작으므로 양발을 벌리거나 오므릴 때의 간격(랙의 이동거리)인 L1 보다 후륜(65)이 이동한 거리L2 의 거리가 길게 된다.
예를 들어 R2 가 R1 보다 지름이 2배 클 경우 양발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간격(랙의 이동거리) 이L1 이면 L2 의 거리는 L1ㅧ2 가 된다. 그러므로 후륜(60)의 이동 거리 L2=L1ㅧ(R2/R1) 이고, 전륜(23)과 랙(52)은 수평프레임(30)과 함께 움직이므로 전륜(23)의 이동거리는{L1ㅧ(R2/R1)}+L1 이 된다. 그리하여 랙(52)이 L1 의 거리 움직일 때 구름판(10)의 평균 이동거리는 {L1ㅧ(R2/R1)}+L1/2 가 된다.
도3의(c)는 랙과 피니언의 원리에 의한 후륜(60)의 역학관계의 다른 예로 L1/R1 =L2/R2 는 도3(a),도3(b)와 동일하지만 전륜(23)의 이동거리는{L1ㅧ(R2/R1)}-L1 이 된다.
이는 랙(52)의 위치가 도3(a)와 도3(b)는 스프라킷(65)의 상부에 위치하고 도3의(c)는 스프라킷(65)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서와 같이 R1 보다 R2가 클수록 구름판(10)의 L1 의 길이를 같은 속도로 발을 움직이면 발로 L1 의 길이만큼 밀어내는 것보다 상대 적으로 본 고안의 구름판(10)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69는 지면을 의미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첫 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은 전방플레이트(20), 위 전방플레이트(20)에 접속되어 있는 수평프레임(30), 위 수평프레임(30)과 슬라이딩되면서 앞뒤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후방플레이트(40), 위 전방플레이트(20)의 하부 면에 접속되어 있는 전륜(23), 상기 수평프레임(30)의 하부 면에 접속되어 있는 고정틀(68),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하부 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후발플레이트(40)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상기 고정틀(68)에 의하여 회전력을 제공받는 클러치베어링(61), 클러치베어링(6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구름판 전체를 전진시키는 후륜(60), 상기 수평프레임(30)으로부터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이탈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39)를 포함하며, 참조번호 52는 상기 고정틀(68)의 랙을 의미하며 참조번호 51은 직선형체인을 의미한다.
도1의 확대한 부분은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틀(68)에 부착된 랙(52)과 직선형체인(51)을 확대한 모양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에는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20)는 그 상부에 탑승자의 앞쪽 발을 올릴 수 있는 판으로 탑승자의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그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앞발판(28)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하부 면에는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수평프레임(30)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하여, 일정한 각도가 되면 상기 수평프레임(30)의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하부면 중앙부분에는 수평프레임(30)과 전방플레이트(20)를 결합시키면서 위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의 전류지지대 고정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륜지지대 고정부(25)는 회전 시 수평프레임(3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인 전축베이링(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륜지지대 고정부(2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앞쪽 바퀴인 전륜(23)을 지지하여 위 구름판(10)의 하중을 위 전륜(23)에 전달하는 전륜지지대(24)가 결합된다. 한편 전륜지지대(25)는 그 측면의 일측에 수평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있는 전륜지지대(25)가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원력을 위 전륜지지대(25)에 제공하는 조향복원스프링(34)과 결합되는 스프링고정부a(3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수평프레임(30)은 그 앞쪽에 위 전륜지지대(25)와 결합되는 홀인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조향복원스프링(34)가 결합되는 스프링고정부b(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수평프레임(30)의 하부 면에는 후방플레이트(40)가 앞뒤로 왕복운동을 할 때 전방플레이트(20)로부터 후방플레이트(40)가 멀어진 경우에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되돌림스프링(36)이 결합되는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a(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위 수평프레임(30)의 하부 면에는 구름판(10)의 뒤쪽 바퀴인 후륜(6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베어링(61)에 위 수평프레임(30)에 대하여 후방플레이트(40)가 앞뒤로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회전력을 공급하는 고정틀(68)이 구비된다. 위 고정틀(68)에는 위 클러치베어링(61)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라킷(65)에 대응되는 구조인 랙(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위 수평프레임(30)의 끝단에는 위 후방플레이트(40)가 과도하게 뒤쪽으로 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39)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후방플레이트(40)는 위 수평프레임(30)의 상부 면, 양측 면 및 밑면의 좌우 일정부분을 감싸고 있는 형상이며, 그 밑면의 중아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빈 공간이 형성되어 위 수평프레임(30)에 구비된 고정틀(68)이 수용될 수 있는 후방플레이트절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 면에는 탑승자의 뒤쪽발이 위치할 수 있으며 위 탑승자의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 또는 그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뒷발판(43)이 구비될 수 있고, 위 수평프레임(30)의 하부면의 좌우 양쪽 일부면을 감싸는 후방플레이트(40)의 밑면에는 위 후륜(60) 및 클러치베어링(61)을 지지하여 위 구름판의 하중을 위 후륜(60)에 전달하는 후륜지지대(64)의 좌우양쪽 부분이 위 후방플레이트절개부(42)의 좌우양쪽으로 결합된다.
또한 위 되돌림스프링(36)의 한쪽 끝단부분이 결합되는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b(38)가 위 후방플레이트(40)의 밑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 사이의 왕복(슬라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로, 도4(a)는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이동레일(821,822)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4(b)는 수평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정레일(811,812)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5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5(a)는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3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5(b)는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3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방플레이트(40)의 내측에서 수평프레임(30)이 가볍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위해 이동레일롤러(84)가 부착된 이동레일(821,822)을 후방플레이트(40)의 내측 좌우에 각각 부착하고, 고정레일롤러(83)가 부착된 고정레일(811,812)을 이동레일(821,822)과 대응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30)에 좌, 우에 각각 설치하여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왕복(슬라이드) 할 때 이동레일(821,822)의 이동레일롤러(84)는 고정레일(811,812)의 고정레일하부지지편(85)에 접촉하고 고정레일(811,812)의 고정레일롤러(83)는 이동레일(821,822)의 이동레일상부지지편(86)과 이동레일하부지지편(87) 사이에서 이동레일상부지지편(86) 또는 이동레일하부지지편(87)과 접촉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왕복(슬라이드)되는 장치로 레일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으나 공지의 여러 왕복(슬라이드)장치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예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 끼워져서 내측(전륜과 후륜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행될 때 수평프레임(30)의 고정레일(81)과 후방플레이트(40)의 이동레일(82)이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서로 왕복(슬라이드) 되기 쉽게 하며 수평프레임(30)의 하단에 설치된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이 후방플레이트(40) 하부에 구비된 스프라킷(65)을 회전시키면 스프라킷(65)은 뒤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스프라킷(65)의 내부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61)에 의해 후륜(60)은 공전되어 스프라킷(65)의 회전력이 후륜(60)에는 전달되지 않으며,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 내측으로 진행이 끝나고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 외측으로 진행(전륜과 후륜이 멀어지는 방향)하게 되면 수평프레임(30)의 하단에 설치된 랙(52)이나 직선형체인(51)이 후방플레이트(40) 하부의 설치된 스프라킷(65)을 앞 방향(종전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스프라킷(65) 내부에 설치된 클러치베어링(61)은 후륜(60)에 스프라킷(65)의 회전력을 전달시켜 주므로 구름판(10)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때 수평프레임(30)의 타부에 결합된 이탈방지캡(39)은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서 완전히 빠져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며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와 왕복(슬라이드)시 행정의 최대범위 중 한점을 결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와 왕복(슬라이드)시 행정의 최대범위의 다른 한점은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 끼워져서 내측(전륜과 후륜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끝에서 결정되며 최대범위의 다른 한점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전방플레이트(20)의 뒤쪽과 후방플레이트(40)의 앞쪽이 만나거나 가까운 투근에서 결정되도록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에 서로 맞물리는 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후방플레이트(40)의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홀인 개구부(44)가 구비될 수 있고, 수평프레임(30)의 중앙부분에는 위 개구부(44)에 대응되는 홀인 수평프레임절개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4(a)에 도시된 수평프레임(30)에 수평프레임절개부(35)와 도4(b)에 도시된 후방플레이트(40) 상부에 개구부(44)는 후륜(60)이 큰 경우 또는 브레이크페달(71)을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한데, 후륜(6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몰이꾼(탑승자) 뒷발의 지상고를 낮추어 주행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프레임절개부(35)의 길이는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30)이 왕복(슬라이드) 될 때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된 후륜(60)의 일부가 수평프레임절개부(35)를 관통하게 되는데 관통하는 후륜(60)의 일부라도 후방플레이트(40)와 왕복(슬라이드)하는 수평프레임(30)에 간접하지 않을 만큼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방플레이트(40)의 개구부(44)는 후륜(6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브레이크페달(71)을 포함한 제동장치의 장착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또는 도 12를 설명할 때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6은 상기 도1의 첫 번재 실시예의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간에 되돌림스프링(36)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상기 도6의 되돌림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7(a)는 후방플레이트(40)가 전방플레이트(20)에 최대한 밀착된 경우에 되돌림스프링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7(b)는 후방플레이트(40)가 전방플레이트(20)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한 경우에 되돌림스프링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되돌림스프링(36)은 전방이 수평프레임(30)에 연결되고 후방은 후방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몰이꾼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 후방플레이트(40)를 뒷발로 밀어낼 때 미는 힘을 방해하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되돌림스프링(36)의 장력이 너무 강하게 되면 추진력을 얻는데 방해가 되므로 추진력을 얻는데 큰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되돌림스프링(36)의 장력이 결정되어야한다. 되돌림스프링(36)은 인장력을 지닌 코일스프링을 사용 할 수 있으나 탄성을 지닌 고무줄도 가능하다.
도6에서는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되돌림스프링(36)의 전방이 끼워지는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a(37)가 수평프레임(30)에 구비되고 되돌림스프링(36)의 후방이 끼워지는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b(38)는 후방플레이트(40)에 구비하는데 되돌림스프링(36)의 작동예시도로 도7(a)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후방플레이트(40)가 위치하는 상태이고 도7(b)는 몰이꾼이 후방플레이트(40)를 밀어낸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7(b)에서의 되돌림스프링(36)은 도7(a)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쪽으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한편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a(37)를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하고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b(38)는 후방플레이트(40)의 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a(37)의 뒤쪽에 위치하되 수평프레임(30)에 설치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되돌림스프링(36)은 전방이 후방플레이트(40)에 연결되고 후방은 수평프레임(30)에 연결되어 몰이꾼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 후방플레이트(40)를 뒷발로 밀어낼 때 미는 힘을 도와주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뒷발을 앞으로 당길 때는 방해하는 쪽으로 작용한다. 그리하여 되돌림스프링(36)의 설치방법에 따라 몰이꾼이 주로 사용하는 근육이 달라지고 구름판(10)을 타는 재미도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전방플레이트를, 23은 전륜을, 60은 후륜을 나타낸다.
도8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후방플레이트(40)에 구비될 수 있는 제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9는 상기 도8의 제동장치의 단면도로, 도9(a)는 후륜이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9(b)는 후륜이 큰 경우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동장치는 후방플레이트(40)에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후방플레이트(40)에는 개구부(44)가 구비되어야 하며 위 제동장치는 후방플레이트(40) 및 후방플레이트절재부(42)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 제동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수평프레임(30)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30)에는 수평프레임절개부(35)(도 4 참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동장치는 위 개구부(44)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구름판(10)의 진행속도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뒷발로 밟는 브레이크페달(71), 후륜(60)과 접촉하여 후륜(60)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패드(74), 위 브레이크페달(71)로부터 제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위 브레이크페드(74)에 전달하는 브레이크연결대(73) 및 위 브레이크페달(71)로부터 탑승자위 뒷발이 이탈된 경우 위 브레이크페달(71)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페달스프링(72)로 구성되는데, 후륜(60)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위 브레이크연결대(73)는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위 제동장치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동장치는 후륜(60)이 구비된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하는데, 제동장치를 설치하기위해서는 후방플레이트(40)의 중앙부위에 개구부(44)가 형성되고 개구부(44)에 브레이크페달(71)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브레이크페달(71)의 하부에 브레이크연결대(73)를 고정 체결하고 브레이크연결대(73)의 하부에 브레이크패드(74)가 구비되어 구름판(10)이 추진력을 얻어 진행하거나 언덕을 내려갈 때 구름판(10)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후방플레이트(40)에 올려져 있는 뒷발로 브레이크페달(71)을 밟으면 브레이크페달(71)과 연결된 브레이크패드(74)가 후륜(60)의 외경부위를 눌러서 구름판(10)을 제동시키는 구조이다.
도9(a)는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44)의 크기가 제동장치만을 설치하고 작동 할 수 있는 정도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9(b)는 후륜(60)의 직경이 큰 경우에 후륜(60)의 일부가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에 구비된 개구부(44)를 아래에서 위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할 때 후륜(6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로 개구부(44)를 형성한 모양을 도시한 것인데, 이때는 브레이크연결대(73)가 없이 브레이크페달(71)의 하부에 브레이크패드(74)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동장치의 예를 들어 서술하였으나, 본 고안에서 도20과 같이 핸들(26)과 핸들축(27)을 전방플레이트(20)에 장착한 경우에는 공지의 자전거에 설치된 것과 같이 후륜을 제동할 수 있는 제동장치를 설치하고 핸들(26)에 제동레버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에서 핸들(26)과 핸들축(27)이 전방플레이트(20)에 장착되지 않은 예들 의 경우에는 후륜(60) 쪽에 설치된 제동장치를 몰이꾼이 구름판(10)에 올라 어느 한쪽 손에 제동레버를 잡기 적당한 길이로 케이블을 연결하며 케이블의 제동레버측이 구름판에 고정되지 않고 몰이꾼이 구름판(10)에 올라 자유자재로 제동레버를 잡은 손을 움직일 수 있는 제동장치도 가능하다.
도10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0(a)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b)는 추진력을 발생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은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발이나 막대기로 땅을 미는 대신 운전자가 타고 있는 상태에서 앞발과 뒷발을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발을 오므려 가까이 한 상태에서 도10(b)와 같이 두발을 벌리면서 앞쪽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전발플레이트, 23은 전륜, 40은 후방플레이트, 30은 수평프레임, 60은 후륜을 의미한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바람직한 두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2는 상기 도11의 두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한 실시예의 랙(52) 또는 직선형체인(51) 대신에 무한괘도체인(53)을 설치하는데, 도11에서와 같이 상기 무한괘도체인(53)의 일측은 후방플레이트(40) 하부에 후륜지지대(64)와 직선상에 나란히 후륜지지대(64)의 앞쪽에 설치되는 공전기어지지대(62)에 구비된 공전기어(63)에 연결하고, 타측은 후륜(60)의 축과 나란히 구비된 스프라킷(65)에 걸게 되며, 공전기어(63)와 후륜(60)의 스프라킷(65) 사이의 무한괘도체인(53)은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와 왕복(슬라이드) 될 때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프라킷(65)과 공전기어(63) 사이를 왕복하는 체인이송틀(90)에 끼워진다.
체인이송틀(90)은 중앙에 상, 하로 2개의 체인이송구멍(97, 98)이 형성되고 체인이송구멍(97,98)에는 공전기어(63)와 스프라킷(65)에 걸려있는 무한괘도체인(53)의 중간 부위가 상, 하로 끼워진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수평프레임(30)에는 수평프레임절개부(35)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플레이트(40)에는 개구부(44)가 형성되어 후륜(60)이 위 수평프레임절개부(35) 및 개구부(44)에 수용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임의로 태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39는 위에서 설명한 이탈방지캡을, 참조번호 42는 후방플레이트절개부를 의미한다.
도 1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의 일부인 체인이송틀(9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14(a), 도14(b)는 본 고안에 따른 체인이송틀(9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 체인이송틀(90)은 무한괘도체인(53)을 수용하고 있는 두 개의 홀인 상부체인이송구멍(97)과 하부체인이송구멍(98)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 상부체인이송구멍(97)의 하부면 및 하부체인이송구멍(98)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부래칫(921) 및 하부래칫(922)을 구비하고 있는 상부래칫설치구(951) 및 하부래칫설치구(9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래칫설치구(951) 및 하부래칫설치구(952)에는 상기 상부래칫(921) 및 하부래칫(922)이 위 무한괘도체인(53)에 눌리지 않았을 때는 상기 상부래칫(921) 하부래칫(922)을 상기 무한괘도체인(53)에 밀착시켜 위 상부래칫(921) 및 하부래칫(922)이 상기 무한괘도체인(53)의 홈에 걸리도록 하는 래칫스프링(99)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 참조번호 63은 위 무한괘도체인(53)의 진행방향을 바꿔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전기어이다.
위에서 래칫은 각각 도14(a), 도14(b)에서와 같이 체인이송틀(90)이 전, 후로 왕복할 때 무한괘도체인(53)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체인이송틀(90)이 작동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4(a)에서와 같이 몰이꾼이 뒷발로 후방플레이트(40)를 밀어내면 상대적으로 앞발이 올려지는 전방플레이트(20)와 전방플레이트(20)에 연결된 수평프레임(30)이 앞으로 이동하고 그로이해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고정된 체인이송틀(90)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체인이송구멍(97)의 상부래칫(921)이 상부체인이송구멍(97)속에 위치하는 무한괘도체인(53)의 일부를 걸어서 함께 이동하며 이때 하부래칫(922) 은 하부체인이송구멍(98)을 통과하는 무한괘도체인(53)에 눌려서 하부래칫설치구(952)에 들어가게 되어 하부체인이송구멍(98)에 끼워진 무한괘도체인(53)은 뒷방향으로 그냥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도14(b)에서와 같이 몰이꾼이 뒷발로 후방플레이트(40)를 밀어내기를 끝내고 후방플레이트(40)를 뒷발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대적으로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고정된 체인이송틀(90)이 후진하게 되는데 이때 하부체인이송구멍(98)의 하부래칫(922) 이 하부체인이송구멍(98)에 위치하는 무한괘도체인(53)의 일부를 걸어서 무한괘도체인(53)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고 후륜(60)의 스프라킷(65)을 돌려주게 된다.
한편 상부체인이송구멍(97)의 상부래칫(921) 은 상부체인이송구멍(97)을 통과하는 무한괘도체인(53)에 눌려서 상부래칫설치구(951)에 들어가게 되고 상부체인이송구멍(97)에 끼워진 무한괘도체인(53)은 뒷방향으로 그냥 흘러가게 된다. 그리하여 몰이꾼이 후방플레이트(40)를 발로 밀어내거나 잡아당길 때 모두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15는 상기 도11의 두 번 째 실시예의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5(a)는 두발을 가까이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b)는 두발을 벌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몰이꾼이 양발의 간격을 벌렸다 좁혔다 하면서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서 참조번호 20은 전방플레이트이며, 23은 전류이고, 30은 수평프레임이며, 40은 후방플레이트이고, 60은 후륜이며, 90은 체인이송틀이며, 53은 무한괘도체인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에는 체인이송틀(90)의 내부에 상부래칫(921) 만 설치하거나 하부래칫(922)만 설치하여 후방플레이트(40)를 발로 밀어낼 때만 추진력을 얻거나, 잡아당길 때만 추진력을 얻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후륜(60)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프라킷(65)의 클러치베어링(61)을 제거한, 후륜(60)과 상시 연동되는 스프라킷(65)을 설치할 수 도 있고, 후륜(60)의 스프라킷(65)에 클러치베어링(61)이 설치된 경우에는 체인이송틀(90)의 상부체인이송구멍에 끼워지는 무한괘도체인의 일부를 체인이송틀(90)에 고정시켜서 무한괘도체인(53)은 몰이꾼의 발의 움직임에 따라 상부체인이송구멍(97)에 끼워지는 무한괘도체인(53)은 체인이송틀(90)과 함께 왕복가능하고 하부체인이송구멍(98)에 끼워지는 무한괘도체인(53)은 하부체인이송구멍(98)을 상시 자유로이 왕복하며 후륜의 측면에 설치된 스프라킷(65)의 클러치베어링(61)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추진력을 전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무한괘도체인(53)을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고, 또한 첫 번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제동장치와 왕복(스라이드)장치 그리고 되돌림스프링(36)등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스프라킷(65)의 지름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후륜(60)의 지름이 클 경우에는 구름판(10)의 속도는 빠를 수 있으나 몰이꾼 발의 지상고가 높아져서 주행안정성이 떨어지는데 상기의 수평프레임절개부(35)와 후방플레이트(40)의 개구부(44)는 몰이꾼 발의 지상고를 낮추어 주행안전성을 높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도13은 이 경우의 구름판(10)의 평면도(도 13 (a)) 및 측면도(도 13 (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3에서 참조번호 30은 수평프레임을, 35는 수평프레임절개부를, 40은 후방플레이트를, 60은 후륜을, 65는 스프라킷을, 53은 무한괘도체인을, 63은 공전기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16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바람직한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17은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투시도이고, 도18은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며, 도19는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9(a)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9(b)는 추진력을 발생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구름판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된 후륜(60)을 수평프레임(30)의 수평프레임절개부(35)에 설치하고, 첫 번째 실시예에서 수평프레임(30)에 설치된 랙(52) 또는 직선형체인(51)을 후방플레이트(40)하부 내측에 고정시킨 형태이다.
수평프레임(30)에 설치된 랙(52) 또는 직선형체인(51)이 후륜(60)과 연결된 클러치베어링(61)의 스프라킷(65) 하부와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3(c)의 역학관계가 성립되는데 후방플레이트(40)의 뒷발이 올라가는 후방에는 전후 길이로 되어 돌출되는 후륜(60)의 상부가 나오고 돌출된 후륜(60)이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의 왕복(슬라이드)시에도 후륜(6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후방플레이트(40)에 개구부(44)를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개구부(44) 보다 길게 형성한다.
이 경우 장점으로는 후륜(60)의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하더라도 몰이군의 뒷발의 지상고를 최대한 낮출 수 있고 구름판(10)이 추진력을 발생하며 진행할 때 전륜(23)과 후륜(60)의 거리변화가 없어서 주행 중 조향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19(a) 도19(b)는 본 고안의 구름판(10) 중 세 번째 실시예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28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네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9는 상기 도28의 네 번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후륜(60)과 클러치베어링(61)과 후륜지지대(64)의 구성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나 스프라킷(65) 대신에 풀리(651)가 구비되고, 풀리(651)와 후륜지지대(64) 사이에 테엽(66)이 설치되며, 랙(52) 또는 직선형체인(51) 대신에 상기의 풀리(651)에 감거나 풀 수 있는 줄(521)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인데, 상기 줄(521)의 재료나 모양은 풀리(651)에 감거나 풀기에 적당하며 구름판(10)을 타는데 있어서 끊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인장력을 지녀야한다.
후륜(60)의 일측에는 클러치베어링(61)이 설치되고 후륜축(601)에 의해 후륜(60)과 클러치베어링(61)의 내측은 고정되고, 클러치베어링(61)의 외측은 풀리(651)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며, 풀리(651)에 형성된 줄고정부(652)에는 상기 줄(521)의 타측이 핀(523)에 의해 끼워지고 상기 줄(521)의 일측은 고정볼트(522)에 의해 수평프레임의 하부 또는 전방플레이트(20)의 후부에 고정되며, 상기 풀리(651)의 측면에는 태엽고정부b(653)를 구비하는데 테엽고정부b(653)에는 풀리(651)와 후륜지지대(64) 사이에 설치되는 테엽(66)의 일측인 테엽말단a(661)가 끼워지고 상기 테엽(66)의 타측인 테엽말단b(662)는 후륜지지대(64)에 형성된 테엽고정부a(641)에 끼워진다.
도30은 상기 도29의 동력전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30(a)는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벌린 두발을 가까이 모은 상태의 동력전달장치 단면예시도이고, 도30(b)는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두발을 벌려서 추진력을 발생시킨 후의 동력전달장치 단면예시도이다.
여기서 도30(b)는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두발을 벌려서 추진력을 발생시킨 후의 단면예시도로 줄(521)은 풀리(651)로부터 풀려나간 상태이며 이때에는 테엽(66)이 강제로 감겨지고, 감겨진 테엽(66)은 풀려나간 줄(521)을 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테엽(66)의 풀리려는 힘이 강할수록 몰이꾼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되며 테엽(66)의 풀리려는 힘이 너무 약하면 구름판위에서 몰이꾼이 벌린 두발을 가까이 모았을 때 풀리(651)에서 풀려나간 줄(521)을 풀리(651)에 전부 되감지 못하여 줄이 너무 느슨해지므로 테엽(66)의 세기는 몰이꾼의 체력에 맞는 적당한 정도에서 결정되어야한다.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벌린 두발을 가까이 모으게 되면 도30(a)의 예시도와 같이 되는데 풀려나간 줄(521)은 감겨져있던 테입(66)에 의해 자연스럽게 풀리(651)에 감기게 되며 테엽(66)은 적당히 풀려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네 번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의 테엽(66)은 몰이꾼에 의해 구름판(10)에 별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앞서 기술했던 되돌림스프링(36)의 기능 중 한가지인 후방플레이트(40)를 전방플레이트(20)에 근접시키는 쪽으로 힘이 작용하는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61은 클러치베어링이며, 641은 태엽고정부이며, 653은 태엽고정단b이며, 652는 태엽고정단a이다.
도 26은 본 고안에 적용가능한 조향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26(a)는 본 고안에 따라 전방플레이트(20)를 좌 우 회전시키는 조향장치의 실시예 중 구름판에 조향복원스프링(34)이 판스프링인 도면이고, 도26(b)는 본 고안에 따라 전방플레이트(20)를 좌 우 회전시키는 조향장치의 실시예 중 구름판에 조향복원스프링(34)이 코일스프링인 경우의 도면이다.
상기에 서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는 수평프레임(30)의 전방에 조향장치가 구비된 전방플레이트(20)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2에서와 같이 상단에 앞발을 올릴 수 있는 판이며, 판에 올려놓은 앞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 재질이거나 요철이 형성된 앞발판(28)이 올려진 전방플레이트(20)와 전륜(23)이 설치된 전륜지지대(24)를 수평프레임(30)의 전방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1)을 통하여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평프레임(30)의 관통공(31)에는 전축베어링(22)이 설치되어 관통공(31)에 끼워진 전방플레이트(20)와 전륜지지대(24)가 수평프레임(30)임을 사이에 두고 함께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전방플레이트(20)를 이용하여 방향전화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26(a),도26(b)에서와 같이 전방플레이트(20) 하부 양쪽에는 돌출부(21)를 형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21)는 전방플레이트(20)를 일정각도 이상 움직일 때 돌출부(21)가 수평프레임(20)의 측면에 걸려서 필요 이상으로 전륜(23)방향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26(a),도26(b)에서와 같이 전륜지지대(24)와 수평프레임(30) 사이에는 전륜(23)이 평상시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조향복원스프링(34)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전륜지지대(24)의 후부에 조향복원스프링(34)의 전방을 끼울 수 있는 스프링고정부a(32)가 구비되고 조향복원스프링(34)의 후방은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고정부b(33)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프링고정부b(33)는 수평프레임(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향복원스프링(34)의 후방이 끼워지는데 도26(a)의 확대한 부분은 조향복원스프링(34)이 판스프링인 경우를 나타내며 도26(b)는 조향복원스프링(34)이 코일스프링인 경우의 예를 보여준다.
도20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적용 가능한 조향장치 중 핸들(26)을 부착한 실시예로, 도20(a)는 측면도이고, 도20(b)는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20(c)는 핸들을 방향전환 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즉, 위에서 설명한 조향장치는 전방플레이트(20)를 앞발로 회전시키면서 구름판(10)의 진행방향을 조종하는 형태였으나, 또 다른 조향장치로는 도20과 같이 전방플레이트(20)가 수평프레임(30)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에 전륜(23)을 구비하고 상부에 핸들(26)을 포함하는 핸들축(27)을 전방플레이트(20)에 설치하여 초보자나 어린이 또는 나이 드신 분들이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상기에 서술한 킥보드 형태의 구름판(1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름판(10)에 적용 가능한 또 다른 조향장치를 도25에서 보이고 있다. 도2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륜에 커다란 방향성바퀴를 바퀴를 부착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5(a)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일체인 경우의 측면도이고, 도25(b)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일체인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25(c)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25(d)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25를 참조하면, 도25(a), 도25(b)와 같이 전방플레이트(20)가 수평프레임(30)에 완전히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전륜(23)에는 방향성바퀴를 설치하는데, 방향성바퀴는 도21(a)에서와 같이 바퀴의 굴대가 한축R을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는 캐스터를 지니도록 하며, 상기 방향성바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인 방향성바퀴베어링(29)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21(b)와 같이 hs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은 전방플레이트의 좌우로 기울어진 각도 X가 얼마인가에 따라 전륜의 조향각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의 방향성바퀴를 부착한 구름판(10)은 도22(a),도22(b)에서와 같이 전방플레이트(20)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바퀴가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구름판(10)이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전방플레이트(20)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바퀴가 우측으로 기울어져서 구름판(10)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다른 조향장치로는 상기의 방향성바퀴를 전방플레이트(20)에 설치하되 전방플레이트(20)가 수평프레임(30)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도25(c), 도25(d)와 같이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 사이에 별도의 연결봉(56)을 설치하여 전륜(23)의 방향 조종을 위해 전방플레이트(20)를 좌, 우로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도23 및 도24를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3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연결봉을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2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상기 도23의 연결봉이 적용된 경우에 조향복원스프링을 적용시킨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24(a)는 조향복원스프링(34)이 장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2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복원스프링(34)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플레이트(20)를 한쪽으로 기울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3 및 도24를 참조하면, 도23과 같이 전방플레이트(20)의 후부에 연결봉(56)의 일측을 연결봉고정나사로 고정시키는 연결봉전방지지대(57)와 전방플레이트(20)의 연결봉전방지지대(57)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수평프레임(30)에 고정되어 설치된 연결봉후방지지대(58)에 연결봉베어링(59)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되 타측의 인접부위에 스프링지지대(55)를 끼울 수 있는 연결봉홈(561)을 형성한 연결봉(56)과 수평프레임(30)의 전방 하부에 고정되며 연결봉(56)의 타측을 수용하되 연결봉(56)과의 사이에 연결봉베어링(59)이 설치되어 연결봉(56)이 수평프레임(30)에서 빠지지 않고 서로 헛돌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봉후방지지대(58)와 연결봉홈(561)에 중심부위가 끼워지며 수평유지스프링(54)이 좌우에 끼워지는 스프링지지대(55)와 수평프레임(30)과 스프링지지대(55)사이에 설치되어 수평프레임(30)과 전방플레이트(20)가 몰이꾼의 앞발과 뒷발에 의해 서로 비틀리는 힘이 작동할 때는 수평프레임(30)과 전방플레이트(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여지지만 비트는 힘이 사라지면 수평프레임(30)과 전방플레이트(20)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스프링(54)으로 구성된 수평유지수단을 구비한 조향장치도 가능하다.
도24(a),도24(b)는 수평유지스프링(54) 을 구름판의 정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도24(a)는 구름판을 비트는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24(b)는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와 수평프레임을 서로 비틀었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27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적용 가능한 전륜과 후륜을 배치시키는 여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로, 본 고안의 구름판(10)을 밑에서 본 모습들이다. 도27을 참조하면, 조향장치 중 도20에 도시한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0)에 완전히 고정된 전방플레이트(20)에 핸들(26)과 핸들축(27)을 설치된 경우와,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각자 좌 우회전 가능한 도2에서 도시한 조향장치의 실시예는 도27(a) (b) (c) (d)의 바퀴 배열이 가능하고, 수평프레임(30)에 완전히 고정된 전방플레이트(20)에 방향성 바퀴를 설치한 도25(a),도25(b)에서 도시된 조향장치의 실시예는 도27(a) 배열이 가능하고,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각자 좌 우로 기울어지며 전방플레이트(20)에 방향성 바퀴를 구비한 도25(a),도25(b),도23의 경우는 도27(a)도27(b)의 배열이 가능하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전방플레이트를, 23은 전륜을, 30은 수평프레임을, 40은 후방플레이트를, 60은 후륜이다.
도2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적용 가능한 조향장치 중 남돌이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로, 도21(a)는 방향성이 없는 민향성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1(b)는 방향성이 있는 방향성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20)과 수평프레임(3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방향성바퀴를 장착한 실시예로, 도22(a)는 전방플레이트(20)를 좌로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2(b)는 전방플레이트(20)를 우로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전발플레이트를, 23은 전륜을, 30은 수평프레임이다.
도31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고정레일(811,812)과 이동레일(821,822)이 도4의 경우와 달리 수평프레임(30)의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즉, 도31은 이동레일(811, 812) 및 고정레일(821,822)를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안으로 감싸듯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위 레일부위( 고정레일 및 이동레일 )가 보호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30은 수평프레임을, 40은 후방플레이트를, 60은 후륜을, 601은 후륜축을, 61은 클러치베어링을, 64는 후륜지지대를, 65는 스프라킷을, 651은 풀리를, 811 및 812는 고정레일을, 821 및 822는 이동레일을 의미한다.
도3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전후방의 완충스프링을 장착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수평프레임(30)은 항상 후방플레이트(40)의 내부에 위치하며, 수평플레이트(30)의 끝단에는 좌우 양쪽에 완충턱(3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플레이트(40)는 그 내부에 앞쪽 좌우양쪽에는 전방완충스프링(46)을 구비하고 있으며 뒤쪽 좌우양쪽으로는 후방완충스프링(47)을 구비하고 있어, 후방플레이트(40)가 수평프레임(30)를 따라서 앞뒤로 슬라이딩되면서 완복운동을 할 때 후방플레이트(40)과 수평프레임(30)의 완충턱(301)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되도록 한다.
도 32의 (a)는 후방플레이트(40)가 앞쪽으로 운동하여 완충턱(301)이 후방완충스프링(47)에 의하여 완충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으며, (b)는 후방플레이트(40)가 뒤쪽으로 운동하여 완충턱(301)이 전방완충스프링(46)에 의하여 완충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으며,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30) 및 후방플레이트(4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즉, 본 고안의 구름판(10)에는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왕복 시에 충격의 완화를 위해서 완충수단을 구비하는데, 몰이꾼이 구름판(10)에 올려진 두발을 가까이 모으면 구름판(10)의 측면 단면도 모양은 도32(a)와 같은데 전륜(23)과 후륜(60)이 가까워지며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가 슬라이드되는데 이때 후방완충스프링(47)은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몰이꾼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 두발을 벌리면 구름판(10)의 측면단면도 모양은 도32(b)와 같은 모양이 되는데 도32(b)에서보면 전륜(23)과 후륜(60)이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수평프레임(30)후부의 돌출턱(301)이 전방완충스프링(46)을 누르게 되어 수평프레임(30)이 후방플레이트(40)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압축된 전방완충스프링(46)의 탄성은 몰이꾼의 다음 동작인 다리를 모으는 동작을 조금 더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에서는 스프링(46,47)을 사용하였으나 고무 성분의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 및 후방플레이트의 윗면을 경사지도록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33(a)는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 및 후방플레이트의 단면도이며, 도33(b)는 탑승자가 구름판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3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름판(10)은 추진력을 내기위해 두발을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특성상 몰이꾼의 발이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에서 미끄러지거나 발목 관절에 무리를 주기 쉬운데 상기 앞발판(28)과 뒷발판(43)의 역할인 미끄럼방지를 보완하며 몰이꾼의 발목 관절을 보호하기위해,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를 V자 형태로 만든 것이다. 도33(a)에서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의 수직 축 Y와 Y"를 기준으로 A, a, B, b 를 각각 9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하여 몰이꾼이 발을 올려놓고 편히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의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를 제공한다. 도33(b)는 도33(a)에 몰이꾼이 두발을 올리고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를 가까이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33에서 참조번호 23은 전륜을, 60은 후륜이다.
도3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34(a)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34(b)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이 모두 겹쳐져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34를 참조하면, 도3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구름판(10)은 전방플레이트(20)와 후방플레이트(40) 사이에 제1수평프레임(310)과 제2수평프레임(3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34(a)는 구름판을 길게 편 상태이며, 도34(b)는 구름판을 접어놓은 상태로, 상기와 같이 제1수평프레임(310) 및 제2수평프레임(320)을 구비한 경우의 장점으로는 전방플레이트(20)와, 제1수평프레임(310), 제2수평프레임(320) 그리고 후방플레이트(40)를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도34(b)와 같이 접었을 경우 구름판(10)의 전체길이가 짧아져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구름판(10)을 탈 때 회전반경의 변화가 크므로 특별한 재미를 더 느낄 수 있다. 제2수평프레임(320)은 내측으로 제1수평프레임(310)이 왕복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있으며, 제1수평프레임(310)과 연결되는 레일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수평프레임(320)이 후방플레이트(40)의 내측으로 왕복 슬리이드되며 후방플레이트(40) 내측의 레일과 대응하는 레일을 구비한다. 도34에서 참조번호 521은 줄, 522는 줄고정볼트, 60은 후륜, 64는 후륜지지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름판(10)은 앞발(두발 중 앞선 발)을 전방플레이트(20)에 올리고 뒷발(두발 중 뒤에 놓인 발)은 후방플레이트(40)에 올린 상태에서 두 발의 간격을 벌렸다 오므리는 것을 반복하여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진행한다. 전륜(23)의 방향을 핸들(26)을 사용하여 손으로 조종하거나, 앞발(두발 중 앞선 발)을 이용하여 좌우로 회전시켜 조종하거나, 몸의 중심을 좌우로 기울여 조종이 가능하여 마음먹은 대로 되는 특징을 갖는 구름판(10)으로,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은 그 탑승자가 땅에 발을 딛지 않고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진행하며 자유자재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공지의 스케이트보드나 킥보드 등의 놀이기구와는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 두발을 벌렸다 오므리는 동작을 해야 하므로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은 물론이고 온몸의 균형감각을 익히는데 효과적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바람직한 첫 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이 추진력을 얻는 원리를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후방플레이트(40)를 뒤로 밀어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b)는 후방플레이트(40)를 뒤로 밀어낸 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c)는 랙이 피니언의 하부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 사이의 왕복(슬라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로, 도4(a)는 후방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이동레일(821,822)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4(b)는 수평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정레일(811,812)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5(a)는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3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5(b)는 후방플레이트(40)와 수평프레임(3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상기 도1의 첫 번재 실시예의 수평프레임(30)과 후방플레이트(40)간에 되돌림스프링(36)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도6의 되돌림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7(a)는 후방플레이트(40)가 전방플레이트(20)에 최대한 밀착된 경우에 되돌림스프링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7(b)는 후방플레이트(40)가 전방플레이트(20)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한 경우에 되돌림스프링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후방플레이트(40)에 구비될 수 있는 제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상기 도8의 제동장치의 단면도로, 도9(a)는 후륜이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9(b)는 후륜이 큰 경우 제동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0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0(a)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b)는 추진력을 발생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바람직한 두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상기 도11의 두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3은 상기 도11의 두번째 실시예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13(a)는 평면도(a)이고, 도13(b)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의 일부인 체인이송틀(9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상기 도11의 두 번 째 실시예의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5(a)는 두발을 가까이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b)는 두발을 벌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바람직한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7은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투시도이다.
도18은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19는 상기 도16의 세번째 실시예의 개략적인 작동예시도로, 도19(a)는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9(b)는 추진력을 발생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적용 가능한 조향장치 중 핸들(26)을 부착한 실시예로, 도20(a)는 측면도이고, 도20(b)는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20(c)는 핸들을 방향전환 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2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적용 가능한 조향장치 중 남돌이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로, 도21(a)는 방향성이 없는 민향성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1(b)는 방향성이 있는 방향성바퀴를 부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20)과 수평프레임(30)이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방향성바퀴를 장착한 실시예로, 도22(a)는 전방플레이트(20)를 좌로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2(b)는 전방플레이트(20)를 우로 기울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3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연결봉을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2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상기 도23의 연결봉이 적용된 경우에 조향복원스프링을 적용시킨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24(a)는 조향복원스프링(34)이 장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2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복원스프링(34)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플레이트(20)를 한쪽으로 기울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륜에 커다란 방향성바퀴를 바퀴를 부착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25(a)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일체인 경우의 측면도이고, 도25(b)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이 일체인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25(c)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25(d)는 전방플레이트(20)와 수평프레임(30)을 연결봉(56)으로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고안에 적용가능한 조향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26(a)는 본 고안에 따라 전방플레이트(20)를 좌 우 회전시키는 조향장치의 실시예 중 구름판에 조향복원스프링(34)이 판스프링인 도면이고, 도26(b)는 본 고안에 따라 전방플레이트(20)를 좌 우 회전시키는 조향장치의 실시예 중 구름판에 조향복원스프링(34)이 코일스프링인 경우의 도면이다.
도27 본 고안에 따른 구르판에 적용가능한 전륜과 후륜을 배치시키는 여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28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1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네 번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9는 상기 도28의 네 번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0은 상기 도29의 동력전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참고도로, 도30(a)는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벌린 두발을 가까이 모은 상태의 동력전달장치 단면예시도이고, 도30(b)는 구름판(10)위에서 몰이꾼이 두발을 벌려서 추진력을 발생시킨 후의 동력전달장치 단면예시도이다.
도31은 상기 도1의 첫 번째 실시예의 고정레일(811,812)과 이동레일(821,822)이 도4의 경우와 달리 수평프레임(30)의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전후방의 완충스프링을 장착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 및 후방플레이트의 윗면을 경사지도록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33(a)는 구름판의 전방플레이트 및 후방플레이트의 단면도이며, 도33(b)는 탑승자가 구름판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3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름판에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34(a)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34(b)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0,300)이 모두 겹쳐져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구름판 20:전방플레이트 21:돌출부
22:전축베어링 23:전륜 24:전륜지지대
25:전륜지지대고정부 26:핸들 27:핸들축
28:앞발판 29:방향성바퀴베어링 30:수평프레임
301: 돌출턱 310:제1수평프레임 320:제2수평프레임
31:관통공 32:스프링고정부a 33:스프링고정부b
34:조향복원스프링 35:수평프레임절개부 36:되돌림스프링
37: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a 38:되돌림스프링고정고리b 39:이탈방지캡
40:후방플레이트 41:브레이크설치부 42:후방플레이트절개부
43:뒷발판 44:개구부 46:전방완충스프링
47:후방완충스프링
51:직선형체인 52:랙 521:줄
522:줄고정볼트 523:핀 53:무한괘도체인 54:수평유지스프링 55:스프링지지대 56:연결봉 561:연결봉홈 57:연결봉전방지지대 571:연결봉고정나사 58:연결봉후방지지대 59:연결봉베어링
60:후륜 601:후륜축 61:클러치베어링 62:공전기어지지대 63:공전기어 64:후륜지지대
641:테엽고정부 65:스프라킷 651:풀리
652줄고정부 653:테엽고정부b 66:테엽
661테엽말단a 662테엽말단b 68:고정틀
69:지면
71:브레이크페달 72:페달스프링 73:브레이크연결대
74:브레이크패드 811,812:고정레일 821,822:이동레일
83:고정레일롤러 84:이동레일롤러 85:고정레일하부지지편
86:이동레일상부지지편 87:이동레일하부지지편 90:체인이송틀
921,922:래칫(921:상부래칫, 922:하부래칫) 951:상부래칫설치구
952:하부래칫설치구 97:상부체인이송구멍 98:하부체인이송구멍
99:래칫스프링

Claims (18)

  1. 하부면에 전륜(23)을 구비한 전방플레이트(20);
    하부면에 후륜(60) 및 상기 후륜(60)에 일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후방 플레이트(40);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앞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프레임(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은 그 하부면에 랙(52) 또는 직선형 체인(5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랙(52) 또는 직선형 체인(51)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상기 후륜에 전달하는, 내부에 클러치베이어링(61)을 구비한 스프라킷(6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레이트(40)는 그 하부면에 공회전이 가능한 공회전기어(63)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의 스프라킷(65)과 상기 수평프레임(30)의 공회전기어를 연결시키는 무환괘도체인(53)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프레임(30)은 그 하부면에 상기 수평프레임(30)이 상기 후방플레이트(40)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무한괘도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라킷(6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래칫이 구비된 체인이송틀(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후륜(60)에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베어링(61)이 구비된 풀리(651), 일 측은 수평프레임(30) 또는 전방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풀리(651)에 연결되는 줄(52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줄이 상기 풀리(651)를 회전시키면서 풀리면, 상기 줄이 다시 상기 풀리(651)에 기존의 상태대로 감기도록 상기 풀리(65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태엽(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5. 제 1 항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수평프레임(30) 또는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방향으로 당겨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제자리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지닌 고무줄 또는 되돌림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 또는 상기 후방플레이트(40)는 좌우측면에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간의 슬라이딩 시 마찰을 줄이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된 반대쪽의 수평프레임(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후방플레이트(40)가 과도하게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과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39)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레이트(4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과 접촉하여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브레이크 패드(74)와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74)에 힘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패달(71) 및 상기 브레이크 패달(71)에 가해지는 힘이 없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패드(74)를 상기 후륜과 이격시키는 페달스프링을 구비하는 제동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74), 상기 페달 스프링,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일 측이 결합되어 있어 탑승자가 당기면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후륜에 접촉하여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타 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동손잡이(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는
    상기 전륜(23)과 결합되어 상기 전륜(23)의 방향을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는 상기 수평프레임(3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플레이트(20)에 위치한 탑승자의 발의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전륜(23) 역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전륜(23)을 지지하는 전륜지지대 또는 상기 전방플레이트(20)에 일 측이 결합되어 있고 타 측은 수평프레임(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23)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경우 이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조향복원스프링(3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전륜(23)은
    상기 구름판(10)이 좌우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서 좌 또는 우로 회전하는 방향성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 또는 수평프레임(30) 중 어느 일방에는 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결합되고 타방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과는 별도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만을 좌우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봉(5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플레이트(20)가 좌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 진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30)과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평유지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10).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30)은
    상기 전방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 있는 제1수평프레임(310);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40)와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는 다른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프레임(310)과 상기 후방플레이트(40)를 연결시키는 제2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무재질 또는 그 표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탑승자의 앞쪽 발이 위치하는 앞발판(28);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4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무재질 또는 그 표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탑승자의 뒤쪽 발이 위치하는 뒷발판(4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발판(28) 또는 뒷발판은 그 중앙부분이 낮고 앞뒤 양쪽 끝단이 높아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판.
KR20-2005-0009176U 2005-04-04 2005-04-04 구름판 KR200387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176U KR200387845Y1 (ko) 2005-04-04 2005-04-04 구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176U KR200387845Y1 (ko) 2005-04-04 2005-04-04 구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45Y1 true KR200387845Y1 (ko) 2005-06-28

Family

ID=4368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176U KR200387845Y1 (ko) 2005-04-04 2005-04-04 구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4370B1 (ja) 2023-08-18 2023-11-06 哲夫 村山 電動モビリテ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4370B1 (ja) 2023-08-18 2023-11-06 哲夫 村山 電動モビリテ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831A (en) Exercise treadmill
US5833256A (en) User powered vehicle and propulsion mechanism
US8398095B2 (en) Skibob and method for riding a chairlift
WO2013128437A1 (en) Urban vehicle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5895065A (en) Method and means of enhancing human powered locomotion
KR200392906Y1 (ko) 구름판
US20140327225A1 (en) Device of Human Conveyance
KR200387845Y1 (ko) 구름판
CN101314389B (zh) 一种踏板车
KR200380754Y1 (ko) 구름판
KR10137402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0646130B1 (ko) 구름판
US9745015B2 (en) Mechanism to facilitate bicycle drifting
KR200332074Y1 (ko) 양발 페달 구동 스쿠터
GB2568652A (en) Motorised sledge
KR100985732B1 (ko) 보드의 제동장치
CN101391634B (zh) 滑板车
KR200380850Y1 (ko) 트라이씨클
CN211705863U (zh) 一种滑草装置
SK282622B6 (sk) Koliesková lyža
EP3056253A1 (en) Foot 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EP1174335A2 (de) Tretroller, ggf. zusammenklappbar, und Tragbandeinrichtung dafür
KR20030017836A (ko) 스키식 구동 킥보드
KR101719798B1 (ko) 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