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433A - 스틱보드 - Google Patents

스틱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433A
KR20110057433A KR1020090113842A KR20090113842A KR20110057433A KR 20110057433 A KR20110057433 A KR 20110057433A KR 1020090113842 A KR1020090113842 A KR 1020090113842A KR 20090113842 A KR20090113842 A KR 20090113842A KR 20110057433 A KR20110057433 A KR 20110057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oard
fork
hinge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임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우 filed Critical 임선우
Priority to KR102009011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433A/ko
Publication of KR2011005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unchangeable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board)에 3륜과 한 쌍의 스틱(stick)을 구성하여 스틱의 전후 연동으로 동력과 조향을 제공하고 발에 의한 스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틱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향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를 구비한 보드프레임과,
상기 뒷바퀴를 연동하기 위한 체인과 연결되는 스프로켓, 이 스프로켓의 회전을 변속하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속기어 그리고 변속기어의 전·후진의 제어와 회전시키기 위한 양방향클러치, 상기 양방향클러치를 전후로 연동시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틱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성과,
상기 한 쌍의 스틱을 사용자가 전후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동력을 얻고 이 동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스틱의 클러치노브로 클러치를 제어하여 전후 진행의 제어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방향을 제어함과,
앞바퀴와 안전바퀴를 구성하여 안전한 승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충분한 속도감 및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에 기여될 수 있은 유희용의 스틱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스틱보드, 클러치

Description

스틱보드{Stick board}
본 발명은 스틱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board)에 3륜과 한 쌍의 스틱(stick)을 구성하여 스틱의 전후 연동으로 동력과 조향을 제공하고 발에 의한 스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틱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핸들이 판상의 프레임 보드를 관통하여 상기 핸들로 방향을 조절하는 앞바퀴가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발을 보드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발로 지면을 재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진 이동하고 또한 핸들을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완구형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한발을 킥보드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쪽 다리로 이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한쪽 다리에 편중되는 운동량의 증가로 피로감과 성장장애를 가증하는 단점이 있고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4013호에서는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2개의 발판을 구비하여 균형잡힌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발판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켜 편심된 크랭크축의 화전으로 뒷바퀴의 동력을 구현하여 전진하도록 한 구성으로서 발판의 상하 운동에 의한 동력은 킥보드의 운행속도가 느려 속도감을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9-0061816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도록 핸들로 조향되는 앞바퀴를 프레임에 구성하고 이 프레임 좌우로 한 쌍의 발판을 힌지시켜 사용자가 발판을 밟아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발판 하부에 위치된 크랭크를 상하연동하며 이 크랭크는 기어박스 내의 소대기어를 연동하고 이러한 기어의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속도가 증가되는 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구성에서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또한 많은 부품 수 및 정밀도 등에 의한 원가상승으로 보편된 사용을 이룰 수 없으며 특히 사용자가 어린이들 일 때, 어린이들이 보드상에 서서 발을 상하로 움직이는 발판을 밝아가면서 전진할 때 중심을 잡기가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향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를 구비한 보드프레임과,
상기 뒷바퀴를 연동하기 위한 체인과 연결되는 스프로켓, 이 스프로켓의 회전을 변속하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속기어 그리고 변속기어의 전·후진의 제어와 회전시키기 위한 양방향클러치, 상기 양방향클러치를 전후로 연동시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틱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성과,
상기 한 쌍의 스틱을 사용자가 전후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동력을 얻고 이 동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스틱의 클러치노브로 클러치를 제어하여 전후 진행의 제어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여 이동방향을 제어함과,
앞바퀴와 안전바퀴를 구성하여 안전한 승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충분한 속도감 및 상체운동 및 하체운동에 기여될 수 있은 유희용의 스틱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구성되는 보드판과 이송용 바퀴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틱보드의 앞바퀴(12)와 뒷바퀴(10)를 포크(20)와 보조포크(22) 내로 구성한 보조프레임(28)과,
상기 뒷바퀴(20)에 연결봉(21)을 구성하여 제1, 2, 3, 4힌지부(23,24,25,26)를 구성함과,
제1힌지부(23)에 스틱(40)을 축설치하여 연동으로 전·후진을 이루고 제2힌지부(24)에는 동력을 뒷바퀴(10)로 제공함과,
제3힌지부(25)는 양측으로 구성되는 포크(20)를 보드프레임(28)으로 연결과 기울기를 제공함과,
제4힌지부(26)는 방향제어간(52)의 조향간(53)을 연동하여 앞바퀴(12)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함과,
스틱(40)은 클러치노브(41)로 양방향클러치(44)를 제어하여 대변속기어(30)의 전후진 동력을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틱에 의한 전후진과 방향전환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청소년과 성인들의 유희구 또는 운동과 스포츠용으로 이용가능하고
스틱을 이용한 자유로운 진행과 회전등으로 운전에 흥미를 더하여 재미있는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과,
구성이 간단하고 고장이 없는 특징이 발휘되는 스틱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과 구성에 따른 작 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b)는 본 발명의 스틱을 연동하여 보드를 전진시키는 작동설명도이며,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스틱을 연동하여 보드를 후진시키는 작동설명도 및 도 4의 (a)는 본 발명을 전진시킬 때의 클러치 작동설명도이며, (b)는 본 발명을 후진시킬 때의 클러치 작동설명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시의 작동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구동스프라켓(11)을 구비한 뒷바퀴(10)를 힌지하고 연결봉(21)으로 고정된 삼각형상의 포크(20)와 일체로 보조포크(22)를 구성함과,
상기 연결봉(21)에는 상하로 제1, 2, 3, 4힌지부(23,24,25,26)를 구성하되, 제1힌지부(23)에는 대변속기어(30)와 대변속기어(30)와 고정된 스틱(40)을 축설치하고, 제2힌지부(24)에는 상기 대변속기어(30)와 연동하는 소변속기어(31)와 연동스프라켓(32)을 축설치하며 연동스프라켓(32)은 체인(33)으로 구동스프라켓(11)을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뒷바퀴(10)로 동력을 전달하여 바퀴 굴림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스틱(40)에는 클러치노브(41)와 연동와이어(42)로 연동되고 스프링(43)에 탄력된 양방향클러치(44)를 힌지하여 클러치노브(41)의 조작으로 양방향클러치(44)의 발톱(45)이 대변속기어(30)의 기어산에 물림과 미끄럼되게 조작하도록 한다.
상기한 양방향클러치(44)의 발톱(45)은 어느 한 방향에서 기어산에 맞물림될 때 기어산을 당겨 대변속기어(30)를 회전하고 후진에서는 미끄럼으로 기어산과 슬라이드로 복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발톱(45)과 물림 및 이격되는 대변속기어(30)는 발톱(45)이 걸림되는 래치기어와 대소기어의 맞물림의 평기어의 기능이 함께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힌지부(24)의 하부와 보조포크(22) 단부에 구성되는 제3힌지부(25)는 “
Figure 112009072104333-PAT00001
”자 형상의 힌지부로 구성하되, 이 제3힌지부(25)내에 회전축(27)을 축설치하고 이 회전축(27)은 양측의 포크가 일체로 연결되게 보드프레임(28)을 고정하여 양측 포크가 일체로 구성되는 기체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3힌지부(25)의 전후 보드프레임(28)에 뒷바퀴(10)와 앞바퀴(12)를 각기 구성하되, 선단 보드프레임(28)에서 연장된 가이드판(29)을 구성하여 이 가이드판(29)의 편심축(13)에 조향헤드(50)를 편심되게 힌지하고 하부로 앞바퀴(12)를 구성하며, 이 조향헤드(50)의 선단측에 힌지된 헤드파트(51)에 상기한 연결봉(21)에 세로형 힌지부인 제 4힌지부(26)로 힌지된 방향제어간(52)을 앞 방향으로 돌출한 조향간(53)의 단부가 상기 헤드파트(51)에 관통되게 축설치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0은 보드이며, 14는 보조바퀴로서 사용자가 보드(100)상에서 뒤로 치우쳐 위치할 때 보드가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바퀴를 도시한 것이며, 46은 스틱의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쌍으로 구성된 스틱(40) 상단에 마련된 손잡이(46)를 잡고 발을 보드(100)에 올려 전신을 본 발명에 승차하게 된다.
그리고 양손을 이용하여 스틱(40)을 전후로 이동하게 되면 이러한 왕복운동으로 스틱(40)은 도 2의 (a)에서와 같이 즉,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손잡이(46)를 당기면 스틱(40)은 제1힌지부(23)를 기점으로 하여 후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은 상기 스틱(40)에 힌지된 양방향클러치(44)의 한쪽 발톱(45)이 대변속기어(30)의 기어산에 맞물림 상태로 당겨지면서 대변속기어(30)을 일정량 회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왼손으로 왼쪽의 스틱(40)을 순차적으로 당김으로써 상기와 같이 스틱(40)과 양방향클러치(44)가 대변속기어(30)를 회전시키고 이 대변속기어(30)은 소변속기어(31)에 의한 증속과 함께 회전하면서 동일축상의 연동스프라켓(32) 그리고 체인(33)을 통해 뒷바퀴(10)의 구동스프라켓(11)을 회전하여 동일축상의 뒷바퀴(10)를 회전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보드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 스틱(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른쪽과 왼쪽을 교차로 당기거나 동시에 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틱(40)을 교호로 연속하여 순차적인 당김은 속도를 빠르게 하고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틱(40)을 동시에 당길 때에는 속도와 거리가 적어지는 반면에 비탈면 등에서의 등판힘을 가중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틱(40)을 당긴 후 다시 복귀하여 다시 전진력을 얻기 위하여서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스틱(40)을 후진방향에서 전진방향으로 밀어내면 제1힌지부(23)를 기점으로 복귀되는 스틱(40)과 이 스틱(40)에 힌지된 양방향클러치(44)는 그 발톱(45)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쪽이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대변속기어(30)의 기어산과 걸림 없이 자연스러운 미끄럼으로 산을 넘어가면서 대변속기어(30)와 충돌되지 않고 이동되며 또한 스프링(43)의 탄축력이 발휘되면서 기어산의 높낮이에 따라 신축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드를 후진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틱(40)의 상단의 클러치노브(41)를 잡은 상태로 스틱(40)을 전진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즉, 클러치노브(41)를 손으로 잡아 당기면 연동와이어(42)가 스프링(43)에 탄발된 양방향클러치(44)의 한쪽을 상부로 당겨 양방향클러치(44)의 전진방향 발톱(45)을 대변속기어(30)의 기어산에서 이탈된 상태로 이동함과 함께 후진방향 발톱(45)은 대변속기어(30)의 기어산에 맞물림 상태로 하강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진방향 발톱(45)이 기어산에 물림된 상태에서 스틱(40)을 전진방향으로 밀어내어 이동함으로써 발톱(45)은 대변속기어(30)를 회전시키는 이동과 이 대변속기어(30)는 소변속기어(31)를 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일축상의 연동스프라켓(32)과 체인(33)및 구동스프라켓(11)으로 하여금 뒷바퀴(10)를 후진방향으로 연동 회전시켜 보드가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진에서도 스틱(40)을 교호로 조작하거나 동시에 실시하여 힘의 속도증강 내지는 등판력을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으로 전진과 후진하도록 함과 함께 진행 중에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도시한 전진 또는 후진상태에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틱(40)을 좌·우측 중 진행하고자 하는 선택된 방향으로 기울이면 포크(20)와 일체의 연결봉(21)에 힌지된 스틱(40)에 의해 연결봉(21)과 포크(20) 등이 함께 기울어 지고 이때 보드(100)와 보드프레임(28)은 상기 연결봉(21)하단의 제3힌지부(25)에 의한 회전으로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보드(100)상의 사용자는 넘어지지 않고 팔만 기울이게 되는 안전성이 지속되며,
그리고 상기에 의해 기울어진 연결봉(21)에 구성된 제4힌지부(26)가 함께 이동하면서 제4힌지부(26)에 힌지된 조향간(53)과 일체의 방향제어간(52)이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으로 방향제어간(52)은 끝단에 힌지된 헤드파트(51)를 가이드판(29)의 편심축(13)을 기점으로 회전시켜 가이드판(29)에 힌지된 조향헤드(50)의 선단을 회전 이동하므로 조향헤드(50)에 구성된 앞바퀴(12)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앞바퀴(12)는 바퀴를 축의 앞이나 뒤로 기울어지게 편심구성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통상의 캐스터(caster)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틱(40)에 의한 전·후진과 방향전환이 자유롭고 이동성 및 회전성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어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들의 유희구로서 또는 운동, 스포츠용으로서 매우 효과적인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스틱을 연동하여 보드를 전진시키는 작동설명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스틱을 연동하여 보드를 후진시키는 작동설명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을 전진시킬 때의 클러치 작동설명도.
(b)는 본 발명을 후진시킬때의 클러치 작동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방향전환시의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뒷바퀴 11: 구동스프라켓 12: 앞바퀴
13: 편심축 20: 포크 21: 연결봉
22: 보조포크 23: 제1힌지부 24: 제2힌지부
25: 제3힌지부 26: 제4힌지부 27: 회전축
28: 보드프레임 29: 가이드판 30: 대변속기어
31: 소변속기어 32: 연동스프라켓 33: 체인
40: 스틱 41: 클러치노브 42: 연동와이어
43: 스프링 44: 양방향클러치 45: 발톱
50: 조향헤드 51: 헤드파트 52: 방향제어간
53: 조향간

Claims (3)

  1. 프레임에 구성되는 보드판과 이송용 바퀴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스틱보드에 있어서.
    앞바퀴(12)와 뒷바퀴(10)를 포크(20)와 보조포크(22)내로 구성한 보조프레임(28)과,
    상기 뒷바퀴(20)에 연결봉(21)을 구성하여 제1, 2, 3, 4힌지부(23,24,25,26)를 구성함과,
    제1힌지부(23)에 스틱(40)을 축설치하여 연동으로 전·후진을 이루고 제2힌지부(24)에는 동력을 뒷바퀴(10)로 제공함과,
    제3힌지부(25)는 양측으로 구성되는 포크(20)를 보드프레임(28)으로 연결과 기울기를 제공함과,
    제4힌지부(26)는 방향제어간(52)의 조향간(53)을 연동하여 앞바퀴(12)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함과,
    스틱(40)은 클러치노브(41)로 양방향클러치(44)를 제어하여 대변속기어(30)의 전후진 동력을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11)을 구비한 뒷바퀴(10)를 힌지하고 연결봉(21)으로 고 정된 삼각형상의 포크(20)와 일체로 보조포크(22)와,
    상기 연결봉(21)에는 제1, 2, 3, 4힌지부(23,24,25,26)를 구성하되, 제1힌지부(23)에는 대변속기어(30)와 대변속기어(30)와 고정된 스틱(40)을 축설치하고,
    제2힌지부(24)에는 대변속기어(30)와 연동하는 소변속기어(31)와 연동스프라켓(32)을 축설치하여 체인(33)으로 뒷바퀴(10)의 동력을 제공함과,
    상기 스틱(40)에는 클러치노브(41)와 연동와이어(42)로 스프링(43)에 탄력된 양방향클러치(44)를 조작하여 발톱(45)이 대변속기어(30)와 맞물림 제어와,
    상기 제3힌지부(25)는 “
    Figure 112009072104333-PAT00002
    ”자 형상에 회전축(27)이 축설치하여 양측의 포크가 일체로 연결되게 보드프레임(28)을 고정함과 함께,
    상기 전후 보드프레임(28)에 뒷바퀴(10)와 앞바퀴(12)를 각기 구성하되, 선단 보드프레임(28)에서 연장된 가이드판(29)을 구성하여 가이드판(29)의 편심축(13)으로 조향헤드(50)와 하부로 앞바퀴(12)를 구성하며
    조향헤드(50)의 선단측에 힌지된 헤드파트(51)에 제4힌지부(26)로 힌지된 방향제어간(52)의 조향간(53) 단부가 관통시켜 스틱(40)의 기울기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20)와 일체로 수직된 연결봉(21)에 제1, 2, 3, 4 힌지부 (23,24,25,26)를 구성시켜 스틱(40)과 변속기어(43,31) 및 연동스프라켓(32)을 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보드.
KR1020090113842A 2009-11-24 2009-11-24 스틱보드 KR20110057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842A KR20110057433A (ko) 2009-11-24 2009-11-24 스틱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842A KR20110057433A (ko) 2009-11-24 2009-11-24 스틱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433A true KR20110057433A (ko) 2011-06-01

Family

ID=4439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842A KR20110057433A (ko) 2009-11-24 2009-11-24 스틱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4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232A (zh) * 2012-02-27 2012-07-11 上海体育学院 一种推拉式旱冰轮
CN107226162A (zh) * 2017-07-25 2017-10-03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带高低档调速传动机构的手摇自行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232A (zh) * 2012-02-27 2012-07-11 上海体育学院 一种推拉式旱冰轮
CN107226162A (zh) * 2017-07-25 2017-10-03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带高低档调速传动机构的手摇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064B2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US5092582A (en) Sporting and exercise apparatus
JP4906850B2 (ja) 腕および足で動力を供給する自転車
KR100632354B1 (ko) 육상 조정 기구
JP4806094B1 (ja) 自転歩行器
TW200848115A (en) Structure of an auxiliary fitness device
CA2736919A1 (en) Street board
WO2020249057A1 (zh) 一种爬行姿态骑行的车
KR20110057433A (ko) 스틱보드
KR20090043621A (ko) 양측 발판을 일체로 한 레저 자전거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KR200413865Y1 (ko) 점핑스틱보드
KR200446184Y1 (ko)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CN202966563U (zh) 跑步式健身自行车
CN107029391A (zh) 多功能健身移动平台
KR100927202B1 (ko) 전륜의 구동력을 손잡이에 의해 운행되도록 하는 퀵보드
KR100942442B1 (ko) 시소 구동식 킥보드
KR100981801B1 (ko) 피쉬 보드
KR200250482Y1 (ko) 슬라이딩 동력에 의한 승강놀이구
TWI723818B (zh) 復健助行器
KR200397801Y1 (ko) 놀이용 자전거
KR101156147B1 (ko) 스탭식 킥보드
KR200395612Y1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101140445B1 (ko) 스테핑 운동용 자전거
KR20010016341A (ko) 슬라이딩 동력에 의한 승강놀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