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401B1 -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401B1
KR101918401B1 KR1020170051896A KR20170051896A KR101918401B1 KR 101918401 B1 KR101918401 B1 KR 101918401B1 KR 1020170051896 A KR1020170051896 A KR 1020170051896A KR 20170051896 A KR20170051896 A KR 20170051896A KR 101918401 B1 KR101918401 B1 KR 10191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andle
stick
lev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490A (ko
Inventor
장병택
Original Assignee
장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택 filed Critical 장병택
Priority to KR102017005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40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켜 조향조작을 가하는 조향조작의 방법과 핸들을 좌우로 기울임 주어서 조향조작을 가하는 두 방법을 효과적인 구성에 의하여 동시에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STEERING MEANS FOR KICKSCOOTER}
본 발명은 아동이 양 손으로 핸들을 파지하고, 한 발을 보드에 얹고, 다른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장소의 이동, 유희를 위한 놀이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삼륜 형태의 킥스쿠터와 관련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킥스쿠터에 있어서 전륜이 좌우 복륜으로 조합된 조향장치와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킥스쿠터는 도 1 A의 예시처럼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11), 상단에 상기 핸들을 고정하는 핸들스틱(12) 및 하단의 좌우 양측에 구름운동 가능케 복륜으로 구비되는 전륜(15)을 포함하는 전륜부(10)와; 발을 얹는 보드(21) 및 상기 보드의 후단에 구름운동 가능케 구비되는 후륜(22)을 포함하는 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전륜부의 상단에 구비된 핸들(11)을 손으로 파지한 채로 방향조정 및 균형을 유지하고, 한 쪽 발을 상기 보드(21)에 얹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얻는다.
전륜이 좌우 복륜으로 구성되는 상술한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와 관련하여 널리 공지되어 있거나 상업적으로 공용되고 있다.
상기 킥스쿠터의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전륜 조향방법처럼 핸들이 좌우로 회전 가능케 축받이 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서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 도 1 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핸들스틱(12)을 보드(21)의 전단에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고 보드부(20) 자체가 핸들부(10)와 함께 좌우로 기울여질 수 있도록 (핸들을 좌우로 돌리는 대신에) 핸들을 기울여 조향하는 방법이 최근의 트랜드로 자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 C의 예시에서, 자동차의 조향방법처럼 좌우 한 쌍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전륜(15) 사이로 조향레버(14a)를 두고 사절링크(14b) 방식으로 링케이지(linkage) 결합을 취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조향레버(14a)를 동작시키는 조작 대신에, 조향장치(14) 몸체를 앞으로 기울여 캐스터각(14b)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구성하게 되면, 도 1 B의 경우처럼 핸들스틱(12)에 기울임(a1)을 주는 방향으로 전륜이 방향전환(a2)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바램은 전륜이 복륜으로 구성되는 킥스쿠터를 라이딩 시에, 필요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자전거 핸들을 조작하는 것처럼 핸들을 좌우로 돌려서 조향을 가하고 싶을 때도 있고, 최근의 트랜드처럼 핸들을 좌우로 기울임을 주어서 조향조작을 바라는 때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핸들을 돌려서 조향작용을 가하거나 핸들을 좌우로 기울여서 조향작용을 가하는 각각의 다른 킥스쿠터를 별도로 구입하는 방법밖에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이 복륜인 킥스쿠터에 있어서 핸들(및 핸들스틱)을 회전시켜 조향조작을 가하고 동시에 좌우로 기울여 조향조작을 가하는 욕구를 효과적인 구성으로 충족시키고 더하여, 코너링 시에 원심력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는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 봉 형태를 취하여 직립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이 고정되는 핸들스틱; 상기 핸들스틱의 하단이 결합되도 직립된 스틱끼임공을 포함하는 조향장치; 및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핸들스틱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상기 조향장치에 의해 각각 축받이 되는 한 쌍의 전륜;을 포함하는 전륜부와,
윗커버로부터 뒤로 판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을 얹는 보드; 및 상기 보드의 후단에,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축받이 되는 후륜;을 포함하는 보드부로, 이루어지는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캐스터각이 주어져서 킥스쿠터의 차체를 좌우로 틸팅 시켜서 조향조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을 회전조작하는 조향조작이 함께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에 따르면,
전륜이 복륜인 킥스쿠터 및 그 조향장치에 있어서,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켜 조향조작을 가하는 조향조작의 방법과 핸들을 좌우로 기울임 주어서 조향조작을 가하는 두 방법을 간편하고도 효과적인 구성에 의하여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향조작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각기 다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좌우로 기울임을 주어 조향작용을 수행하는 배경기술과 관련하는 것으로서, 도 1 A는 킥스쿠터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1 B는 작동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도 1 C는 다른 부분을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사시도 및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조향장치(14)를 위주로 보인 사시도 및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 도면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예시와 함께 본 발명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먼저, 배경기술과 관련하여 도 1에서 복수의 전륜을 한 쌍 갖는 전륜부(10) 및 보드부(20)를 포함하여서 제공되는 킥스쿠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륜부(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11); 봉 형태를 취하여 직립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이 고정되는 핸들스틱(12); 상기 핸들스틱(12)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천공되거나 파이프 형태를 취한) 직립된 스틱끼임공(13)을 포함하는 조향장치(14); 및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핸들스틱(12)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상기 조향장치(14)에 의해 각각 축받이 되는 한 쌍의 전륜(15);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장치(14)는 핸들(11)/핸들스틱(12)/보드부(20) 전체의 킥스쿠터 차체를 좌우로 틸팅(tilting, 기울임)을 인가하여 조향조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는 바,
도 1 C의 예시와 같이 캐스터각(14c)이 주어지고, 조향레버(14a)의 양단이 전륜(15)의 각 회전축(15a)을 축받이 하는 조향브라킷(14b)를 통하여 4절 링크(linkage)방법으로 연결되어서, 도 1 B와 같이 킥스쿠터의 틸팅(a1)으로 조향조작(a2)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드부(20)는,
위로 볼록한 형상의 윗커버(upper cover)로부터 뒤로 판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을 얹는 보드(21); 및 상기 보드의 후단에,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축받이 되는 후륜(22);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조향장치(14)는 전륜 한 쌍이 좌우로 병렬 배치된 킥스쿠터의 방향전환(조향)을 위하여 킥스쿠터의 차체를 좌우로 기울이는 틸팅 동작 및 상기 핸들(11)의 회전 조작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도 2 이하의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조향장치(1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조향조작 때에 틸팅 조작과 동시에 핸들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조향장치(14)는,
몸체가 상기 스틱끼임공(13)에 회전 가능케 끼워져 고정되며(축받이 되며) 상단이 상기 핸들스틱(12)의 하단과 체결되어 상기 핸들(11)/핸들스틱(12)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조작스틱(13b)을 구비한다.
도 2의 아랫 도면에서 상기 윗커버(upper cover)의 저면 좌우측 각각의 아랫 방향으로 돌출부위(st)가 형성되고, 이곳에 몸체가 걸려서 상기 조작스틱(13b)이 회전할 수 있는 한계가 정해지도록, 도 3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16b)와; 상기 조작스틱(13b)의 회전력을 다음 구성요소에 전달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물방울 형상을 취하여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조작돌기(1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향조작뭉치(1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조작돌기(16a)에는 수직방향으로 체결공이 천공된다(구멍이 뚫린다).
도 3에서, 몸체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공이 천공되어서 상기 조작돌기(16a)의 체결공에 결합핀을 통하여 링크(h0)(힌지결합)되고, 좌우 양단에 다른 구성요소와 힌지결합을 할 수직방향의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 중간의 뒷 쪽(후단)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2 개의 돌기가 각각 수직 아래로 연장(돌출) 형성되어 제공되는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14a1)을 포함하는 조향레버(14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스프링고정편(14a1)의 몸체에는 전후방향으로 스프링고정공(f1)이 천공된다.
철사 형태의 탄성체가 ㄷ 형상을 취하도록 두 번 절곡(17c)되고, 맨 앞 쪽의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스프링끼움편(14a1)의 고정공(f1)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좌우 각 몸체(17a)에는 적어도 1회 이상 감겨서 탄성력을 극대화하는 코일부(17b)가 제공되고, 상기 두 번 절곡(17c)된 사이의 후방 몸체(17e)에 의해 상기 좌우측 몸체(17a)가 연결되어서 조향조작 후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조향탄성체(17) 및
장방형상의 판 형태로서 전단의 양측 모서리는 각각 상기 좌우측의 코일부(17b)에 대응하여 호 형태로 절개되어서 상기 각 코일부(17b)의 뒷 쪽 일부가 안착되고, 몸체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되는 한 쌍의 체결홈(17d1)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윗커버(upper cover)의 저면에 고정볼트로 고정되게 되고, 상기 조향탄성체(17)의 후방 몸체(17e)가 윗 방향으로 압착되게 하면서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걸림작용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스프링 고정판(17d)을 포함하는 조향탄성부를 구비한다.
한 쌍으로 구비된 후 상기 조향레버(14a) 좌우 양측에 캐스터각(14c)을 갖도록 각각 배치되며, 강철판이 ㄷ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취해서 가운데 수직판의 상하측에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수직판에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전륜(15)이 축받이 되는 회전축(15a)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판이 일시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되고 이 곳이 상기 윗커버(upper cover)에 각각 축받이되어 수평 회전할 수 있는 링크(h2)가 구비되고, 도 3의 윗 도면 및 도 4에서 하판의 후단에 상기 캐스터각(14c)을 상쇄하는 상쇄각(-14c)을 갖도록 절곡되어 수평방향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레버체결편(14b1)을 좌우 한 쌍 포함하는 조향브라킷(14b)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좌우 각 레버체결편(14b1)에는 수직방향으로 체결공이 천공되어서, 이 곳이 상기 조향레버(14a)의 좌우 양단의 체결공과 각각 링크(h1) 결합된다.
보통의 경우에는 전륜이 좌우 복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틸팅의 작용이 용이하지 않지만,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터각(14c)을 이용하여 틸팅에 의한 조향조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핸들(11)의 회전력을 조향조작뭉치(16)에 링크(h0)된 조향레버(14a)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바꾸고, 상기 조향레버(14a)의 좌우 양단이 좌우 조향브라킷(14b)과 4절링크(linkage)로 연결된 구성을 통하여 조향브라킷(14b)에 축받이된 전륜에 조향작용을 인가하여 조향조작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핸들 조작과 함께 좌우 코너링시에 원심력을 이겨내고 상쇄할 수 있도록 틸팅이 이루어지므로 넘어짐 없이 안전하게 코너링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수평방향으로 이동 동작하는 상기 조향레버(14a)와 상기 캐스터각(14c)이 인가되어 조향회전 동작하는 조향브라킷(14b)은 그 이동하는 궤적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를 극복할 수단이 필요하다. 도 4에서, 조향레버(14a)의 좌우 양단은 각각 좌우 조향브라킷(14b)의 레버체결편(14b1)과 링크 체결핀을 통하여 링크(h1) 결합을 하는데 이때, 상기 궤적에 따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초기에, 상기 궤적의 차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이격된 간극(ds)을 부여하도록 배치하여 조립,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궤적 차이가 진행되는 때에 동시에, 상기 이격된 간격 내에서 체결공이 상기 체결핀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간격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다.
전륜부(10);
스틱끼임공(13);
조향장치(14);
조향레버(14a);
조향브라킷(14b);
조향조작뭉치(16);
보드부(20);

Claims (1)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11); 봉 형태를 취하여 직립되며, 상단에 상기 핸들이 고정되는 핸들스틱(12); 상기 핸들스틱(12)의 하단이 결합되도 직립된 스틱끼임공(13)을 포함하는 조향장치(14); 및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핸들스틱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상기 조향장치에 의해 각각 축받이 되는 한 쌍의 전륜(15);을 포함하는 전륜부(10)와,
    윗커버(upper cover)로부터 뒤로 판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을 얹는 보드(21); 및 상기 보드의 후단에, 바닥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축받이 되는 후륜(22);을 포함하는 보드부(20)로,
    이루어지는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캐스터각(14c)이 주어져서 킥스쿠터의 차체를 좌우로 틸팅 시켜서 조향조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을 회전조작하는 조향조작이 함께 수행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조향장치(14)는,

    몸체가 상기 스틱끼임공(13)에 회전 가능케 끼워져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핸들스틱(12)의 하단과 체결되어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조작스틱(13b)을 구비하고,

    상기 윗커버(upper cover)의 저면 좌우 각각의 아랫 방향으로 돌출부위(st)가 형성되고, 이곳에 몸체가 걸려서 상기 조작스틱(13b)이 회전할 수 있는 한계가 정해지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돌기(16b)와; 상기 조작스틱(13b)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평면에서 보아 물방울 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체결공이 천공된 조작돌기(16a)를; 포함하는 조향조작뭉치(16)를 구비하고,

    조향레버(14a)를 구비하되,
    상기 조향레버(14a)의 몸체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체결공이 천공되어서 상기 조작돌기(16a)의 체결공에 결합핀을 통하여 힌지결합 링크(h0)가 되고,
    상기 조향레버(14a)의 좌우 양단에 다른 구성요소와 힌지결합을 할 수직방향의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조향레버(14a)의 몸체 중간 뒷 쪽에는, 상기 조향레버(14a)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2 개의 돌기가 각각 수직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제공되는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14a1)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프링고정편(14a1)의 몸체에는 전후방향으로 스프링고정공(f1)이 천공되고,

    조향탄성체(17) 및 스프링 고정판(17d)을 포함하는 조향탄성부를 구비하되,
    상기 조향탄성체(17)는,
    두 번 절곡(17c)된 ㄷ 형상을 취해서 상기 두 번 절곡(17c)된 사이의 후방 몸체(17e)에 좌우 몸체(17a)가 연결되고, 상기 좌우 몸체(17a)에는 각각 1회 이상 감긴 코일부(17b)가 제공되고, 맨 앞 쪽의 좌우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스프링끼움편(14a1)의 고정공(f1)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서 조향조작 후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판(17d)은,
    장방형상을 취하되 그 전단의 양측 모서리는 상기 코일부(17b)에 대응된 호 형태로 절개되고 이곳에 상기 각 코일부(17b)의 뒷 쪽 일부가 안착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판(17d)의 몸체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되는 한 쌍의 체결홈(17d1)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윗커버(upper cover)의 저면에 고정볼트로 고정되어서, 상기 후방 몸체(17e)가 윗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동시에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걸림작용으로 고정되도록 제공되고,

    레버체결편(14b1)을 포함하는 조향브라킷(14b)을 구비하되,
    상기 레버체결편(14b1)에 수직방향의 체결공이 천공되어서 상기 조향레버(14a)의 체결공과 링크(h1)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KR1020170051896A 2017-04-21 2017-04-21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KR101918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96A KR101918401B1 (ko) 2017-04-21 2017-04-21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896A KR101918401B1 (ko) 2017-04-21 2017-04-21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90A KR20180118490A (ko) 2018-10-31
KR101918401B1 true KR101918401B1 (ko) 2018-11-13

Family

ID=6409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896A KR101918401B1 (ko) 2017-04-21 2017-04-21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63B1 (ko) * 2018-11-19 2019-01-17 김주호 리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38645Y (zh) 2000-07-26 2001-07-11 梁素满 溜溜车转向机构
KR100373794B1 (ko) 2000-10-25 2003-03-04 권오성 퀵보드
JP2016068942A (ja) 2014-09-29 2016-05-09 教世 山内 乗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38645Y (zh) 2000-07-26 2001-07-11 梁素满 溜溜车转向机构
KR100373794B1 (ko) 2000-10-25 2003-03-04 권오성 퀵보드
JP2016068942A (ja) 2014-09-29 2016-05-09 教世 山内 乗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63B1 (ko) * 2018-11-19 2019-01-17 김주호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90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399U (ja) 立ち乗り電動車
JP5887687B2 (ja) 自転車
KR200438635Y1 (ko) 조향수단의 독립 틸팅이 가능한 트라이크
KR20110060798A (ko) 스케이터
US20030201621A1 (en) Vehicle having auxiliary controlling device
KR101918401B1 (ko)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CN1274380C (zh) 一种组合玩具
JP3176946U (ja) キックスクーターのブレーキ機構およびキックスクーター
KR20170033361A (ko) 구형 바퀴를 구비한 차량
WO2022191115A1 (ja) 車両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KR101922335B1 (ko)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0987927B1 (ko) 보드
JP7420693B2 (ja) 車両
US4230331A (en) Rider propelled toy vehicle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JPS6020552Y2 (ja) 乗用玩具
KR20100007111A (ko) 스케이트 보드
JP6494489B2 (ja) 電動車椅子
KR200427358Y1 (ko) 퀵 보드
KR101782780B1 (ko) 전기 자전거의 스탠드
KR20100134262A (ko) 놀이기구
JP2001138926A (ja) 農薬散布車
KR101244951B1 (ko) 카빙 선회방식의 트라이보드
CN211167234U (zh) 一种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