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262A -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262A
KR20100134262A KR1020090052792A KR20090052792A KR20100134262A KR 20100134262 A KR20100134262 A KR 20100134262A KR 1020090052792 A KR1020090052792 A KR 1020090052792A KR 20090052792 A KR20090052792 A KR 20090052792A KR 20100134262 A KR20100134262 A KR 2010013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orsion
external force
frame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하
Original Assignee
구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하 filed Critical 구본하
Priority to KR102009005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4262A/ko
Publication of KR2010013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6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in the form of a bicycle, with or without rider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발판을 벌리고 오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는 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토션부; 상기 토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며, 저면에 후방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포함한다.
놀이기구. 자체추진. 원심력. 토션부.

Description

놀이기구{P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발판을 벌리고 오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전방에 형성된 핸들에 양 손을 파지한 후 한발은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로 지면을 차면서 주행하도록 하는 놀이 기구 중의 하나로, 근래에 와서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연령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레저 용도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는 전후에 전, 후방 바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 후방 바퀴 사이에 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킥보드는 핸들에 의해서만 조향되는데, 가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급격히 회전을 가했을 경우엔 원심력이 발생되어 중심을 잃어 넘어지거나, 또는 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프레임이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통해 자체추진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할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는 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토션부; 상기 토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며, 저면에 후방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션부는 재질 특성상 비틀림 및 탄성복원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특히,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두께 일부가 절개되어 관통공이 형성되거나 일부구간에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외력에 의해 상호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한 쌍의 발판부는 탄성복원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부와 한 쌍의 연결프레임 사이에 각각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토션부와 한 쌍의 스프링 및 한 쌍의 연결프레임은 일체 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부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관통하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선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선단이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부가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바퀴는 회전축이 기울어진 방향성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발판을 벌리고 오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추진력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향부와 후방바퀴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회전시 조향부를 지면방향으로 틸팅하여 원심력 제어에 의해 안정적인 조향 및 주행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실시 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서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1)는 조향부(10)와 토션부(20)와 한 쌍의 연결프레임(31)과 한 쌍의 발판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부(10)는 전방바퀴(13)와, 상기 전방바퀴(13)에 연결되는 프레임(1 2)과, 상기 프레임(12)에 지지되는 핸들(11)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부(20)는 상기 조향부(10)에 외력을 가하여 비틀림되고, 또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두께방향 중심이 절개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션부(20) 및 한 쌍의 연결프레임(31)은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20a,31a)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하중 또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31)의 선단부를 관통하는 볼트(51)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51)의 끝단에는 너트(53)가 체결되고, 각각 한 쌍의 연결프레임(31) 내에서 압축스프링(52)이 개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발판부(32)가 이격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52)은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벌어진 한 쌍의 연결프레임(3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트 대신 리벳 등 선재로 기타 연결프레임의 이격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발판부(32)가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우 레탄 소재의 완충부재(54)가 더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완충부재(54)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31)은 상기 토션부(20)의 끝단으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소정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31)의 끝단에는 각각 발판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32)의 저면에는 후방바퀴(33)가 부착된다.
상기 한 쌍의 발판부(32)는 외력에 의해 상호 접근 또는 이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 때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4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연결프레임(31)과 토션부(20) 사이에 형성되는데, 특히, 토션부(20)와 연결프레임(31)과 스프링(40)과, 발판부(32)는 모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등 합성수지로 일체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0)은 굽힘 탄성에너지를 갖도록 설계된다.
물론, 합성수지가 아니더라도 토션부(20)의 비틀림 및 복원력,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 등의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발판부(32) 각각의 저면에는 후방바퀴가(33)가 장착된다. 상기 후방바퀴(33)는 방향성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한데, 방향성 캐스터는 회전축(ℓ1)을 중심으로 360°회전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캐스터와 동일한데, 상기 회전축방향(ℓ1)이 수직선(ℓ0)으로부터 소정각도(θ) 기울어지게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발판부(32)의 저면에 소정각도를 갖고 부착되는 브라켓(33a)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롤러암(33b)과, 상기 롤러암 사이에 구비되는 롤러(33c)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놀이기구의 추진동작을 설명하면, 한 쌍의 발판부(32)가 벌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서로 이격되면서 후방바퀴(33)인 방향성 캐스터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5a 참조).
이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한 쌍의 발판부(32)가 오무려지면서 서로 접근하면서 방향성 캐스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5b 참조).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사용자가 지면을 발로 구르지 않더라도 자체추진력이 발생되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다른 방법으로도 자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은 좌측으로 틸팅하게 되면, 지면에 근접하게 되고, 이 때 토션부(20)가 비틀리게 된다. 이 때 후방바퀴(33)의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틸팅을 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토션부(20)의 비틀림이 풀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을 우측으로 틸팅하게 되면, 핸들이 지면에 근접하게 되고, 이 때 토션부(20)가 아까와는 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된다. 이 때 후방바퀴(33)의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방향성 캐스터가 우측, 좌측으로 번갈아가며 회전되면서 방향성 캐스터의 특성에 의해 자체 추진력이 발생되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토션부(20)는 자체 추진력을 얻는데에도 작용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놀이기구가 어느 정도의 속력을 갖고 진행하던 중 급격한 커브로 회전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심력에 의해 넘어지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급격한 커브로 회전시 몸을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눕힐 수 있어 원심력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놀이기구는 전방바퀴(13)가 프레임(12)을 통해 핸들(11)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핸들(11)의 움직임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된다. 만약 고속으로 주행하는 중 사용자가 실수가 핸들(11)을 과도하게 움직이는 경우 넘어져서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1)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방바퀴(13)를 조작하는 대신, 조향부(20)를 틸팅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토션부의 작동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조향할 수 있는 것이다(도 6a 및 도 6b 참조).
이와 같이 토션부(20)가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자체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회전시 원심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바퀴(13)의 직접적인 조작 대신 조향부(10)의 틸팅으로 안정적인 조향 및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놀이기구 10: 조향부
11: 핸들 12: 프레임
13: 전방바퀴 20: 토션부
21: 관통공 31: 연결프레임
32: 발판부 33: 후방바퀴
40: 스프링 51: 볼트
52: 압축스프링 53: 너트

Claims (14)

  1. 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에 연결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핸들를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며, 비틀림 및 탄성복원이 가능한 토션부;
    상기 토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에 연결되며, 저면에 후방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는 두께 일부가 절개되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는 일부구간에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는 외력에 의해 상호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한 쌍의 발판부는 탄성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와 한 쌍의 연결프레임 사이에 각각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와 한 쌍의 스프링 및 한 쌍의 연결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을 관통하는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판부가 과도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바퀴는 회전축이 기울어진 방향성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
KR1020090052792A 2009-06-15 2009-06-15 놀이기구 KR2010013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92A KR20100134262A (ko) 2009-06-15 2009-06-15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792A KR20100134262A (ko) 2009-06-15 2009-06-15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262A true KR20100134262A (ko) 2010-12-23

Family

ID=4350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792A KR20100134262A (ko) 2009-06-15 2009-06-15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4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7411A (ja) * 2015-02-11 2020-03-12 レイザ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回転接続部を備えたスクーター
USD1003365S1 (en) 2017-09-12 2023-10-31 Razor Usa Llc Personal mobility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7411A (ja) * 2015-02-11 2020-03-12 レイザ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回転接続部を備えたスクーター
US11383786B2 (en) 2015-02-11 2022-07-12 Razor Usa Llc Scooter with rotational connection
US11904979B2 (en) 2015-02-11 2024-02-20 Razor Usa Llc Scooter with rotational connection
USD1003365S1 (en) 2017-09-12 2023-10-31 Razor Usa Llc Personal mobility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5593B1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8939454B2 (en) Scooters and scooter steering systems
US10661151B2 (en) Laterally-sliding board with bifurcated trucks
JPH10211313A (ja) 自走式ローラーボードにおける操舵装置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KR20100134262A (ko) 놀이기구
CN1274380C (zh) 一种组合玩具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KR101158493B1 (ko) 킥보드
KR100987927B1 (ko) 보드
KR101918401B1 (ko) 아동용 킥스쿠터의 조향장치
KR100965096B1 (ko) 제동수단을 개선시킨 링크 동력 킥보드
JP2016174679A (ja) 倒立二輪車
JP6494489B2 (ja) 電動車椅子
KR101244951B1 (ko) 카빙 선회방식의 트라이보드
KR20160103472A (ko) 조향수단을 구비하는 킥스쿠터
KR20200001763U (ko)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KR20190140201A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101347501B1 (ko) 방향캐스터를 가진 보드
KR20110114019A (ko) 놀이기구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KR200454652Y1 (ko) 스윙 보드
CN106422282A (zh) 滑板
KR20080003088U (ko) 스케이트 보드
KR20100002165A (ko)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