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34B1 -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 Google Patents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34B1
KR100823934B1 KR1020050101607A KR20050101607A KR100823934B1 KR 100823934 B1 KR100823934 B1 KR 100823934B1 KR 1020050101607 A KR1020050101607 A KR 1020050101607A KR 20050101607 A KR20050101607 A KR 20050101607A KR 100823934 B1 KR100823934 B1 KR 10082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proportional
oscillating
traveling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83A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05010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9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63C17/012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with a truck, i.e. with steering mechanism comprising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to convert lateral tilting of the board in steering of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선출원 보행식 비클에 관한 것으로, 주행수단이 전방; 중간; 후방 또는 그 각각의 사이에 있을때에 요구되는 각의변화까지를 완전자동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Figure R1020050101607
비클(vehicle): 여기서는 스케이트보드, 킥보드와 같은 탈 것

Description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omitted}
삭제
도1 내지 도5는 참고도 :
도1 선출원 출원번호10-2004-0032424의 도1 내지 도12를 간략히 표시한 간략도 : (가)제 일의 형태 간략도 (나)다른 형태의 간략도
도2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서, 주행수단(dr)이 비클 몸체에서 슬라이딩하여 전후로 거리 변동을 하는 동작을 간략히 예시한 동작도 : (가)우측 주행수단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을 시작하는 동작도; (나)양 측의 주행수단이 나란하게 되는 동작도; (다)우측 주행수단이 후방으로 위치변동 하고, 좌측 주행수단의 경우는 그 반대가 되는 동작도
도3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서, 상기 도2에서 좌우측 어느 일 측의 주행수단이 전방과 후방 사이를 위치변동하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조향 또는 추진할 때 상기 주행수단의 각 변화를 간략히 표시한 표시도
도4는 상기 도2와 상기 도3에서 비클이 우측으로 조향을 시도할시에 주행수단의 전후방에서의 동작도 : (가)우측 주행수단이 전방에서는 우측으로 조향되고 좌측 주행수단이 후방에서는 좌측으로 조향되는 동작도; (나)중간에서는 좌우측 주행수단이 조향되지 않는 무조향시의 동작도; (다)좌측 주행수단이 전방에서는 우측으로 조향되고 우측 주행수단이 후방에서는 좌측으로 조향되는 동작도
도5는 상기 도1 형태의 비클에서 요동수단 좌우측의 전후 경사각을 이용하여 상기 조향을 비례조향하는 것을 가략히 표시한 동작도 : (가)는 상기 도4 (가)에 해당하는 동작도; (나)는 상기 도4 (나)에 해당하는 동작도; (다)는 상기 도4 (다)에 해당하는 동작도; (라)는 상기 요동수단의 전후위치에 따른 지면과의 각변화를 간략히 표시하여 보여주는 표시도; (마)는 상기 요동수단 양측이 만나는(나란한) 때의 각을 표시하는 표시도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
도6 (가, 나)경사비례트럭수단(3410) : (가)좌상측이 평면도, 좌하측이 정면도, 우하측이 측면도 단, 도시의 편의상 상기 평면도에서 풋패트는 점선으로 도시되고 상기 측면도에서 주행수단(병렬형 륜)은 점선으로 도시됨; (나)사시도
도6 (다, 라)다른실시례의 경사비례트럭수단(3410) : (라)포크수단(3412, 3412`)과 축받이수단(3411, 3411`)이 피봇조인트(pv)되기 전 분해 사시도; (라)상기 포크수단(3412`)과 상기 축받이수단(3411`)이 피봇조인트(pv)되어 조립되고 상기 축받이 수단(3411`)의 양측에 륜(wl)이 각 구비되는 사시도
삭제
도7은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을 구비한 보행식 비클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놓여 그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도 : (가)상측 도면은 지면에 좌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완전히 지면 바닥에 누워 있는 자세를 취할 경우에 상기 축받이수단(3411)의 조향 방향을 도시, 하측 도면은 지면에 입상하여 서있는 경우 상기 축받이수단(3411)의 조향 방향을 도시; (나)상기 요동수단 양 측의 주행수단(또는 상기 병렬형 륜 또는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이 나란하도록 도5 (나)처럼 자세를 취하는 경우로서 이 때에는 상기 요동수단의 좌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기울임인 방향전환 조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도시하며, 상기 요동수단하측과 그에 피봇조인트(pv)된 상기 축받이수단(3411) 만을 부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다)는 상기 요동수단 양 측의 주행수단 중 어느 일 주행수단이 전방에 위치하고 또, 좌우측 어느 일 측으로 경사질 때 상기 축받이수단(3411)의 방향전환 동작과 상기 방향전환에 기인한 조향을 표시하며 상기 요동수단하측과 그에 피봇조인트(pv)된 상기 축받이수단(3411) 만을 부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8은 상기 도1 형태의 비클에 대한 참고도 : (가)좌우 한 쪽으로 기울 때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길이가 신축수단(et)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도시; (나)상기 신축수단의 일 예임--스프링(sp)을 사용하여 상기 요동수단이 좌우로 경사질 때 어느정도 저항을 주고, 상기 길이조절이 되고 난 후 신축수단의 원상복귀를 가능케 함을 도시; (다)복수의 굴절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요동수단 좌우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적응함을 도시; (라)방향구속수단을 사용하여 더욱 양측의 주행수단(dr)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도시
본 출원인 선출원(출원일자 2004. 05, 보행식 비클) 및 (출원일자 2004. 05, 조향이 편한 보행식 비클) 등과 관련하여,
도1에서 상기 보행식 비클은 요동수단(1000)과 상기 요동수단을 굴절시켜 상기 요동수단 좌우 양 하측을 상호 요동가능케하는 굴절수단(1100)과 상기 요동수단 각 하측에 구비되는 풋보드(3000)와 상기 풋보드는 탑승자의 발을 얹는 풋패드(3100)와 륜(wl) 또는 일방향회전륜을 장착한 휠어셈블리(3200)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여 주행하는 주행수단(dr)과 선택적으로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또는 전개)를 제한하는 요동각제한수단(2000)을 구비하고 상기 풋보드는 상기 요동수단 각 하측에 피봇조인트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풋패드로 상기 주행수단(dr)을 좌우 조향할 수 있게 되어있거나 또는,
도2에서와 같이 비클의 몸체(bd) 좌우측을 슬라이딩하며 좌우(L, R)측 풋보드간 (또는 주행수단간) 상호 거리변동을 할 수 있는 기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dr)을 좌우로 틀어 방향전환하여 조향하거나, 전후/좌우로 위치를 움직여 일반 보행 또는 스케이트식 보행을 구사하여 추진하게 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스케이트 타는식의 보행방법은 일 주행수단(dr)은 전측방으로 향하여 내밀고 타 주행수단(dr)은 후측방으로 향하여 밀어내는데, 상기 동작이 무리없이 진행되기 위해선 상기 주행수단(dr)간의 좌우로 틀어지는 각이 중요하고 상기 각을 유지하기 위해선 탑승자에게 일정한 숙련을 요구한다.
본 출원인 선출원 (출원번호10-2003-0053935, 방향구속 보행식 비클)에서는 어느 일 측의 풋보드 또는 주행수단(dr)의 각을 조절하면 자동으로 다른 측의 주행수단(dr) 방향전환 각을 구속하게되어 편하게 양 주행수단(dr)의 각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고, 이에 일 진보하여 선출원(접수번호 1-1-2003-5152678-34, 캐스터 보행식 비클)에서는 캐스터를 사용하여 발로 상기 주행수단(dr)을 미는 동작만으로 상기 각이 자동 조절되게 한 바 있다.
본 출원에서는 주행수단(dr)의 방향전환(또는 조향)을 자동조절하는 상기 선출원의 다른 실시례를 제공하며 또한, 보다 일 진보한 조향 및 추진수단을 가능케하여 상기 주행수단(dr)이 전방, 중간, 후방 또는 그 각각의 사이에 있을때에 요구되는 적절한 각의 변화까지를 완전 자동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하고, 구체적으로 탑승자의 좌우 무게중심이동에 의한 실시례를 제공하고자 하며, 상기 방향전환하여 조향을 하거나 추진을 위하여 탑승자의 발로 상기 풋패드를 좌우로 각을 트는 동작을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완전히 자동처리하여 탑승자는 전혀 상기 각을 유지하는데 전혀 신경을 쓰지않고 쉽고 편하게 상기 주행수단(dr)을 조향하고 더 나아가 상기 비클을 추진할 수 있게하여 스케이트 타는 동작이 서투른 초보자도 금방 익숙하여 방향 조향을 쉽게 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스케이트식의 추진력을 쉽 게 발생시켜, 누구나 고된 훈련없이 쉽게 즐길 수 있게한다.
상기한 본 출원인 선출원 등과 같이, 지면에 입상한 요동수단과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의 각 하측이 상호 거리변동이 가능하고 상기 요동수단 하측에 각 주행수단(dr)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수단을 조향하는 조향수단을 구비한 보행식 비클을 포함하는, 상호 거리변동이 가능한 주행수단 한 쌍을 구비하는 버클에 있어서, 하기 비례조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주행수단(dr)이 전방에서 조향조작되는 경우 정조향; 타 주행수단과 나란하여 조향조작되는 경우 무조향; 후방에서 조향조작되는 경우 역조향되는 비율로 비례조향되는 비례조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례조향수단 일 례로 탑승자의 중심이동으로 조향조작하는 수단과;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조작이 상기 비례조향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3에서 상기 비례조향수단의 작동예를 간략표시하여 설명하는 것으로서 비클을 탑승하는 탑승자가 무게 중심이동하여 상기 조향조작을 하게하고, 상기 비례 조향되는 비율은 탑승자가 상기 중심이동을 우측(R)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조향조작하는 경우, ⓐ전방(F)에서는 우측으로 각을 틀어 정조향되고; ⓒ타 주행수단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중간에서는 조향되지않아 무조향되며; ⓔ후방(B)에서는 좌측으로 각을 틀어 역조향되게 하며; 그사이에 ⓑ와 ⓓ는 상기 조향되는 각이 변하는 중간과정이며,
탑승자가 상기 중심이동을 좌측(L)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조향조작하는 경우, ⓐ'전방에서는 좌측으로 각을 틀어 정조향되고; ⓒ'타 주행수단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중간에서는 조향되지않아 무조향되며; ⓔ'후방에서는 우측으로 각을 틀어 역조향되는데; 그사이에 ⓑ'와 ⓓ'는 상기 조향되는 각이 변하는 중간과정이 되고,
도4에서는 상기 도2의 비클 몸체(bd) 좌우(L, R)측에 각 구비되고 슬라이딩하여 전후(F, B)로 위치변동할 수 있는 주행수단(dr)과 탑승자가 상기 비클의 우측으로 무게중심을 중심이동 하고,
우측(R)의 주행수단(dr)이 전방(F)에서 후방(B)으로 이동하였다고 할 때에 (가)와 같이 상기 주행수단(dr)이 전방(F)에서는 우측으로 각을 틀어 조향이 되어 상기 도3의 ⓐ정조향 상태가 되고; (나)와 같이 중간에서는 ⓒ무조향상패가 되고; (다)와 같이 후방(B)에서는 좌측으로 ⓔ역조향되고,
좌측(L)의 주행수단은(dr)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였다고 할 때에 (가)후방에서는 ⓔ역조항; (나)중간에서는 ⓒ무조향, (다)전방에서는 ⓐ정조향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비클은 우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본 출원인 선출원 요동수단을 이용한 비클의 경우 상기 비례조향수단은 상기 중심이동으로 상기 요동수단을 좌우 경사조작하여 상기 조향조작하는 수단과;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위치에 따른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 경사에의해 상기 비례조향되는 경사비례조향수단(3400)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5에서 요동수단 좌우(L, R)측의 요동에 의해 도4와 같이 상기 주행수단 (dr)이 전후(F, B)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탑승자는 상기 풋패드를 밀고 당겨 가령 우측 풋보드의 경우 (가)에서 전방에 위치하고; (나)중간에 위치하여 타측의 풋보드와 나란하고; (다)후방에 위치하여 위치변동하고,
이 경우 역시 상기와 같이 탑승자의 좌우 중심이동에 의해 상기 조향작동을 하고 상기 주행수단(dr)의 전후 위치변동에 따라 상기 비례조향을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데 탑승자의 상기 좌우 중심이동에 의하여 상기 요동수단이 좌우로 경사지게 눕혀지고, (라)에서 상기 요동수단(1000) 각 측의 전후 위치 변동에 의한 전후 경사각(θ F, θ B)에 의해 상기 주행수단(dr)의 전후위치 및 (마)에서 중간(90˚ )의 위치가 인식되어 상기 전후 경사각으로 인하여 상기 경사에 의해 비례조향된다.
상기 경사비례조향수단(3400)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하는 주행수단(dr)과; 상기 주행수단을 상기 요동수단에 연결하는 경사비례트럭수단(3410)과; 상기 요동수단을 좌우로 경사조작하는 경사조작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 경사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수단을 좌우 조향하고;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 경사에의해 상기 비례조향하는데 구체적인 예로,
상기 경사조작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각 하측 또는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에 구비된 풋패드이고; 상기 주행수단은 병렬형 륜(wl)이고;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은 상기 병렬형 륜축(ax)의 축받이수단(3411)와 상기 축받이수단(3411)가 상기 요동수단 하측의 전후면 방향으로 상기 요동수단 하측 또는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에 피봇조인트(pv)수단으로 구비(선출원은 상기 요동수단 하측 단면에 피봇조인트 됨)되게 하는 것으로서 도면과 함께 일 실시례를 보면,
도6에서 상기 륜축 축받이수단(3411)의 양 단에 상기 병렬형 륜(wl)이 각(핀 조인트 등으로)회동결합되고 상기 축받이수단(3411) 중간은 상기 요동수단 하측의 전후면 방향에 대해 피봇조인트(pv)시켜 상기 요동수단이 상기 축받이수단(3411)에 대해 좌우로 경사지게 기울 수 있도록하고,
(가, 나)에서와 같이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은 상기 축받이(3411)와 상기 요동수단 하측의 전후면 방향으로 상기 축받이수단(3411)를 피봇조인트(pv)하는 포크수단(3412)과 상기 포크수단을 상기 요동수단하측에 고정하는 브라켓수단(b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요동수단 하측이 직접 포크형태인 상기 포크수단(3412)으로 구성하고 상기 축받이수단(3411) 몸통을 상기 포크수단(3412)에 끼워 피봇조인트(pv)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요동수단 하측의 포크수단(3412)까지 포함하여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을 구성하고,
상기 풋패드 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하측에 직접 구비되건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에 구비되건 상관 없으며
(다, 라)에서는 상기 (가)형태의 포크수단(3412) 구조를 간단히하거나 또는, 상기 (가, 나)의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의 구조를 간단히 한 것으로 상기 포크수단 한 쪽을 생략한 외날 형태의 포크수단(3412')으로서, 상기 포크수단(3412'/3412)에 상기 요동수단 하측 전후면 방향에 상기 축받이수단(3411)를 피봇조인트(pv) 시킨 것이고, {상기 외날형 포크수단(3412')은 상기 포크수단(3412)에 포함됨}
(다)도면과 같이 상기 축받이수단(3411)만 상기 포크수단(3412)에 결합된 경 우를 중심으로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도7에서 상기 도6 (다) 형태의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을 구비한 본 출원인 선출원 보행식 비클이 지면에 놓여 있는 것을 지면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도시의 편의상 풋패드는 생략), (가)의 상측 도면 ⓕ는 상기 비클의 굴절수단(1100)이 거의 지면에 닿을 정도로 경사지게 상기 비클이 지면에 누워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하측 도면 ⓖ는 상기 비클이 지면에 서 있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목할 점은 상기 요동수단의 전후로 벌려진 각과 상기 비클을 좌우로 경사지게 눕히는 각의 정도에 따라, 상기 축받이수단(3411)의 방향과 상기 방향이 틀어지는 정도가 경사지는 쪽으로 ⓕ와 ⓖ에서의 도면처럼 변하여 상기 비례조향되는 것이고,
상기 비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를 예로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나)에서 상기 요동수단 좌우 양 측이 나란하여 지면에 전후 방향으로 직각일 때 즉, 상기 주행수단이 중간에 있을 때에는 상기 비클(또는 요동수단)을 좌우로 경사지게 기울이더라도 상기 무조향되며; (다)와 같이 상기 요동수단 일측이 전방으로 내밀어져 전후방측으로 경사지고 이때, 상기 요동수단이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되면 도면에서처럼 상기 축받이수단(3411)는 좌우 경사지는 측으로 방향이 틀어지게 된다.{도면상 도7 (다)는 도3의 ⓐ' 또는 ⓑ' 상태임}
도8에서 (가)는 상기 비클이 좌우로 경사지게 될 때 상기 요동수단 상측에 일 굴절수단만 구비된 경우 양 하측의 좌우측 간격 때문에 상기 요동수단 양 측의 길이 조절이 필요한데 이때 상기 선 출원 보행식 비클에서 소개된 상기 요동수단상 에 신축수단(et)을 사용할 수 있고; (나)처럼 복수의 굴절수단을 사용하여 지면과 평행사변형을 이루면서 좌우 경사지게 기울일 수 있으며 또한, (라)에서처럼 상기 축받이수단(3411)를 상호 좌우방향전환을 구속하는 방향구속수단(3300)을 사용하여 상기 양 측의 축받이수단(3411)의 좌우 조향을 더욱 조화를 이루게 도울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상기 방향전환하여 조향을 하거나 추진을 위하여 탑승자가 발로 상기 풋패드를 좌우로 각을 트는 동작을 완전히 자동처리하여 탑승자는 상기 각을 유지하는데 전혀 신경을 쓰지않아도 상기 주행수단은 전방, 중간, 후방에 또는 그 각각의 사이에 있을 때 방향전환 (또는 조향)이 되는 방향과 정도를 와전 자동조절하며 특히, 단지 좌우로 무게중심을 이동하는 방법 등으로 편하게 상기 주행수단을 조향하고 더 나아가 상기 비클을 추진할 수 있게하여 스케이트 타는 동작이 서투른 초보자도 금방 익숙하여 방향 조향을 쉽게 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스케이트식의 추진력을 쉽게 발생시켜, 누구나 고된 훈련없이 쉽게 즐길 수 있게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면에 입상한 요동수단(1000)과 상기 요동수단 좌우측의 각 하측이 상호 거리변동이 가능하고 상기 요동수단 하측에 각 주행수단(dr)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수단을 조향하는 조향수단을 구비한 비클에 있어서,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주행수단이 전방에서 조향조작되는 경우 정조향; 타주행수단과 나란하여 조향조작되는 경우 무조향; 후방에서 조향조작되는 경우 역조향되는 비율로 비례조향되는 비례조향수단이고,
    상기 비례조향수단은 탑승자의 중심이동으로 조향조작하는 수단과;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위치에 따라 상기 조향조작이 상기 비례조향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례조향수단은 상기 중심이동으로 상기 요동수단을 좌우 경사조작하여 상기 조향조작하는 수단과;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위치에 따른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 경사에의해 상기 비례조향되는 경사비례조향수단(3400)이고;
    상기 경사비례조향수단(3400)은 좌우로 수평을 유지하는 주행수단(dr)과; 상기 주행수단을 상기 요동수단에 연결하는 경사비례트럭수단(3410)과; 상기 요동수단(1000)을 좌우로 경사조작하는 경사조작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좌우 경사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수단을 좌우 조향하고; 상기 요동수단 각 측의 전후 경사에의해 상기 비례조향 가능케하는 수단이고,
    상기 경사조작수단은 상기 요동수단 하측 또는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에 구비된 풋패드(3100)이고; 상기 주행수단은 병렬형 륜(wl)이고;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3410)은 상기 병렬형 륜축의 축받이수단(3411)와 상기 축받이수단이 상기 요동수단 하측 전후면 방향에 피봇조인트(pv)수단으로 구비되게 하는 수단인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조인트수단(pv)은 상기 요동수단 하측을 포크수단(3412)으로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수단(3411) 몸통을 상기 포크수단에 피봇조인트(pv)하는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비례트럭수단은 상기 축받이수단(3411)과 상기 축받이수단을 상기 요동수단 전후면 방향으로 피봇조인트(pv)하는 포크수단(3412)과 상기 포크수단을 상기 요동수단 하측에 고정하는 브라켓수단(br)으로 구성되는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9. 삭제
KR1020050101607A 2005-10-25 2005-10-25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KR10082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07A KR100823934B1 (ko) 2005-10-25 2005-10-25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07A KR100823934B1 (ko) 2005-10-25 2005-10-25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83A KR20060119683A (ko) 2006-11-24
KR100823934B1 true KR100823934B1 (ko) 2008-04-22

Family

ID=3770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07A KR100823934B1 (ko) 2005-10-25 2005-10-25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731A1 (zh) * 2012-05-08 2013-11-14 Lu Haiyan 一种通过重心变化实现转向的自动转向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673A (en) 1971-05-17 1973-06-12 Micro Star Skate Co Inc Roller skate construction
US4138127A (en) 1977-11-08 1979-02-06 Mattel, Inc. Two wheel roller skate or the like
US4294455A (en) 1979-05-02 1981-10-13 M & K Industries, Inc. Roller skate construction
US4404311A (en) 1981-08-10 1983-09-13 Monsanto Company Novel compounds and their use in elastomer-containing compositions
KR20040076550A (ko) * 2003-02-25 2004-09-01 박경희 킥스쿠터 추진장치
KR20050105915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조향이 편한 보행식 비클
KR20050105912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보행식 비클
KR20060038344A (ko) * 2005-10-25 2006-05-03 박경희 캐스터 보행식 비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673A (en) 1971-05-17 1973-06-12 Micro Star Skate Co Inc Roller skate construction
US4138127A (en) 1977-11-08 1979-02-06 Mattel, Inc. Two wheel roller skate or the like
US4294455A (en) 1979-05-02 1981-10-13 M & K Industries, Inc. Roller skate construction
US4404311A (en) 1981-08-10 1983-09-13 Monsanto Company Novel compounds and their use in elastomer-containing compositions
KR20040076550A (ko) * 2003-02-25 2004-09-01 박경희 킥스쿠터 추진장치
KR20050105915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조향이 편한 보행식 비클
KR20050105912A (ko) * 2004-05-03 2005-11-08 박경희 보행식 비클
KR20060038344A (ko) * 2005-10-25 2006-05-03 박경희 캐스터 보행식 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6731A1 (zh) * 2012-05-08 2013-11-14 Lu Haiyan 一种通过重心变化实现转向的自动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83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509B2 (en) Ridable kart
US7798510B2 (en) Multi-wheeled vehicle
KR101594767B1 (ko) 3­바퀴형 후방­조향 스쿠터
US4123079A (en) Occupant propelled cambering vehicle
US4036506A (en) Tiltable sled
KR20020042572A (ko)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US20200282295A1 (en) Auto-balancing device with longitudinally disposed and movable platform sections
EP2285654B1 (en) Skating device
KR102310165B1 (ko) 구형 바퀴를 구비한 차량
JP5323839B2 (ja) 拡張足置き台を有する側方移動推進スクーター装置
KR20040052253A (ko) 관절이 있는 장난감 차량
KR100823934B1 (ko) 비례조향 보행식 비클
CN111361674A (zh) 四轮转向机构
US4909538A (en) Vehicle for sporting use
WO2012104622A2 (en) Foot propelled vehicle
TWI731621B (zh) 助行器
CN216102576U (zh) 脚控个人运输器
KR20180117261A (ko)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CN213057358U (zh) 四轮转向机构
KR20070025881A (ko) 스쿠터
JPH0123914Y2 (ko)
TW200916367A (en) Multi-wheeled vehicle
KR100807013B1 (ko) 전지형 자립추진 스케이트보드
AU2001100507A4 (en) Ride-on toy and drive assembly therefor
KR20150075340A (ko) 전개형 트라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