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264B1 - 다기통 회전 압축기 - Google Patents

다기통 회전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264B1
KR101157264B1 KR1020050126766A KR20050126766A KR101157264B1 KR 101157264 B1 KR101157264 B1 KR 101157264B1 KR 1020050126766 A KR1020050126766 A KR 1020050126766A KR 20050126766 A KR20050126766 A KR 20050126766A KR 101157264 B1 KR101157264 B1 KR 10115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efrigerant
pressure chamber
chamber side
rotar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347A (ko
Inventor
타카히로 니시카와
히로츠구 오가사와라
마사유키 하라
히로유키 사와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several pump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서의 운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제공한다.
구동 요소로서의 전동(電動) 요소(14)의 회전수를 조정함과 동시에, 파워 세이브(power save) 기구(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controller)(C1)를 구비하고, 컨트롤러(C1)는, 로터리 콤프레셔(rotary compressor)(10)(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小能力) 운전시에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작동시켜,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을 연통(連通)시킨다.

Description

다기통 회전 압축기{MULTICYLINDRICAL ROTARY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의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파워 세이브 기구(160)의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C1, C2 컨트롤러
1O 로터리 콤프레셔 12 밀폐 용기
14 전동 요소
16 회전축
18 회전 압축기구부
2O 터미널
22 스테이터
24 로터
26 적층체
28 스테이터 코일
3O 적층체
32 제1 회전 압축 요소
34 제2 회전 압축 요소
36 중간 칸막이 판
38 제1 실린더
4O 제2 실린더
42, 44 편심부
46 제1 롤러
48 제2 롤러
47, 49 토출 포트
47A, 49A 토출 밸브
5O 제1 베인
52 제2 베인
54 상부 지지 부재
56 하부 지지 부재
58, 6O 흡입 통로
62, 64 토출 소음실
63, 68 컵 부재
92, 94, 174 냉매 도입관
96 냉매 토출관
100, 101, 102 냉매 배관
105, 106 전자 밸브
152 실외측 열교환기
154 팽창 밸브
156 실내측 열교환기
본 발명은,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 요소의 회전수가 제어되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는, 이용측(실내측 열교환기)의 능력에 따라,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능력이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주류이다. 특히, 최근에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하여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회전수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많고, 이것에 의해 다기통 압축기의 회전수를 O에서부터 소정의 회전수까지 임의로 변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다기통 회전 압축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한 2기통 회전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에 구동 요소와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수납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는, 제1 및 제2 실린더와,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偏心部)에 끼워 맞춰서 각 실린더 내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roller)와, 이 제1 및 제2 실린더에 접하여 각 실린더 내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각각 구획하는 제1 및 제2 베인(v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베인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각각 제1 및 제2 롤러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 요소가 구동되면, 흡입 포트(port)를 통하여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각 실린더의 저압실측으로 저압 냉매가스가 흡입되어, 각 롤러와 각 베인의 동작에 의해 각각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고, 각 실린더의 고압실측에서 토출 포트를 통하여 토출 소음실로 토출된 후, 밀폐 용기 내로 토출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5-99172호 공보
이와 같은 다기통 회전 압축기는, 경부하(輕負荷)시나 저속 회전등의 소능력(小能力) 운전시가 되면, 인버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회전수를 낮게 하여 운전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회전수가 너무 낮으면 구동 요소의 효율이 저하함과 동시에, 누락 손실이 증대하여 운전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하는 문제가 생겼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서 운전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에 구동 요소와 이 구동 요소 의 회전축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수납하고, 이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제1 및 제2 실린더와,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 맞춰서 각 실린더 내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와, 이 제1 및 제2 롤러에 접하여 각 실린더 내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에 각각 구획하는 제1 및 제2 베인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소정의 위상으로 연통시키는 파워 세이브 기구를 구비한 다기통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파워 세이브 기구의 작동 및 구동요소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은,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파워 세이브 기구를 작동시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시키서, 상기 구동 요소의 회전수가 상승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는, 상기 발명에 더하여 제1 실린더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포트와, 이 토출 포트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파워 세이브 기구에 의해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서 토출 밸브를 개방하는 제1 롤러의 위상 각도 부근에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다음으로,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에 의해 냉매 회로가 구성된 냉동 장치로서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는, 실내를 공기조절하는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컨트롤러(C1)에 의해 운전이 제어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는, 로터리 콤프레셔(rotary compressor)(1O)(다기통 회전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로서의 실외측 열교환기(152), 조임 수단으로서의 팽창 밸브(154), 이용측 열교환기로서의 실내측 열교환기(156)을 환상(環狀)으로 배관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외측 유니트(AO)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0)(다기통 회전 압축기), 실외측 열교환기(15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내측 유니트(AI)에는, 팽창 밸브(154), 실내측 열교환기(15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즉, 로터리 콤프레셔(10)의 냉매 토출관(96)은 실외측 열교환기(152)의 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측 열교환기(152)의 출구에 접속된 배관은 팽창 밸브(154)에 접속되어 팽창 밸브(154)를 나온 배관은 실내측 열교환기(156)에 접속되고 있다. 또, 실내측 열교환기(156)의 출구 측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냉매 배관(100)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로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2, 34)를 구비한 내부 고압형의 로터리 콤프레셔(10)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이 로터리 콤프레셔(10)의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종단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각 도에 있어서, 실시예의 로터리 콤프레셔(10)는 내부 고압형의 로터리 콤프레셔로, 강판으로 된 종형원통 모양의 밀폐 용기(12) 내에, 이 밀폐 용기(12)의 내부 공간의 위쪽에 배치된 구동 요소로서의 전동(電動) 요소(14)와 이 전동 요소(14)의 아래 쪽에 배치되어 전동 요소(14)의 회전축(16)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2, 34)로 이루어진 회전 압축기구부(18)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전동 요소(14)는 후술하는 인버터(INV)에 의해 회전수가 제어되고 있다.
밀폐 용기(12)는 바닥부를 오일저장소로 하여, 전동 요소(14)와 회전 압축기구부(18)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12A)와, 이 용기 본체(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대략 사발모양의 엔드 캡(end cap)(덮개)(12B)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편, 이 엔드 캡(12B)의 표면에는 원형의 부착구멍(12D)이 형성되고, 이 부착구멍(12D)에는 전동 요소(14)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terminal)(배선을 생략)(2O)이 장착되어 있다.
또, 엔드 캡(12B)에는 후술하는 냉매 토출관(96)이 장착되고, 이 냉매 도입관(96)의 일단은 밀폐 용기(12) 내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밀폐 용기(12)의 바닥부에는 설치용 대좌(臺座)(110)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요소(14)는, 밀폐 용기(12)의 내주면을 따라서 환상(環狀)으로 용접 고정된 스테이터(stator)(22)와, 이 스테이터(22)의 안쪽에 약간의 간격을 마련하여 삽입 설치된 로터(rotor)(24)로 구성되어 있어 이 로터(24)는 중심을 대로 연직 방향으로 늘어난 회전축(16)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22)는, 도넛(doughnut) 모양의 전자강판을 적층한 적층체(26)와, 이 적층체(26)의 이빨부에 직권(直卷)(집중 말림) 방식으로 감겨진 스테이터 코일(28)을 가지고 있다. 또, 로터(24)도 스테이터(22)와 마찬가지로 전자강판의 적층체(3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와의 사이에는 중간 칸막이 판(36)이 끼워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는, 중간 칸막이 판(36)과 이 중간 칸막이 판(36)의 상하로 배치된 제1 및 제2 실린더(38 ,4O)와, 이 제1 및 제2 실린더(38 ,4O) 내를 18O도의 위상차이를 가지고 회전축(16)에 설치된 상하 편심부(42 ,44)에 의해 끼워 맞춰서 각 실린더(38 ,40) 내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46 ,48)와, 이 제1 및 제2 롤러(46 ,48)에 접하여 각 실린더(38 ,40) 내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에 각각 구획하는 제1 및 제2 베인(5O ,52)과, 제1 실린더(38)의 위쪽의 개구면 및 제2 실린더(40)의 아래쪽의 개구면을 폐색하여 회전축(16)의 베어링을 겸용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로 구성된다.
또, 제1 및 제2 실린더(38 ,40)에는 도시하지 않는 흡입 포트를 통하여 제1 및 제2 실린더(38 ,40)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는 흡입 통로(58 ,60)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입 통로(58 ,6O)에는 후술하는 냉매 도입관(92, 94)이 각각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지지 부재(54)의 위쪽에는 토출 소음실(62)이 설치되어 있어 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 포트(47)를 통하여, 이 토출 소음실(62)로 토출된다. 이 토출 소음실(62)은, 중심에 회전축(16) 및 회전축(16)의 베어링을 겸용하는 상부 지지 부재(54)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상부 지지 부재(54)의 전동 요소(14)측(위쪽)을 덮는 대략 사발모양의 컵(cup) 부재(63)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컵 부재(63)의 위쪽에는, 컵 부재(63)와 소정간격을 두어, 전동 요소(14)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지지 부재(56)의 아래쪽에는 토출 소음실(64)이 설치되어 있고, 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 포트(49)를 통하여 해당 토출 소음실(64)로 토출된다. 이 토출 소음실(64)은, 중심에 회전축(16) 및 회전축(16)의 베어링을 겸용하는 하부 지지 부재(56)를 관통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하부 지지 부재(56)의 전동 요소(14)와는 반대측(아래 쪽)을 덮는 대략 사발모양의 컵 부재(68)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실린더(38 ,40)의 고압실측과 각 토출 소음실(62, 64)과는 토출 포트(47 ,49)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또, 토출 소음실(62)의 하면에는, 토출 포트(47)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토출 밸브(47A)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 밸브(47A)는 세로가 긴 대략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토출 밸브(47A)의 위쪽에는 토출 밸브 억제판으로서의 배커(backer) 밸브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 부재(5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밸브(47A)의 일단이, 토출 포트(37)에 접하여 밀폐됨과 동시에, 타측은 토출 포트(37)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설치된 상부 지지 부재(54)의 도시하지 않는 부착구멍으로 코킹 핀(caulkimg pin)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린더(38)내에서 압축되어, 소정의 압력에 이른 냉매 가스가, 도의 아래쪽에서부터 토출 포트(37)를 닫고 있는 토출 밸브(47A)를 눌러 내려서 토출 포트(37)를 열고, 토출 소음실(62)로 토출시킨다. 이때, 토출 밸브(47A)는 타측이 상부 지지 부재(54)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토출 포트(37)에 접하고 있는 일측이 반대로 올라가고, 토출 밸브(47A)의 열림량을 규제하고 있는 배커 밸브에 접한다. 냉매 가스의 토출이 종료되는 시기가 되면, 토출 밸브(47A)가 배커 밸브로부터 멀어져, 토출 포트(37)를 폐색한다.
한편, 토출 소음실(64)의 상면에는, 토출 포트(49)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토출 밸브(49A)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 밸브(49A)는 상기 토출 밸브(47A)와 마찬가지로 세로가 긴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금속판으로부터 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토출 밸브(49A)의 위쪽에는 토출 밸브 억제판으로서의 배커 밸브가 배치되어, 하부 지지 부재(5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밸브(49A)의 일단이, 토출 포트(39)에 접하여 밀폐함과 동시에, 타측은 토출 포트(39)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설치된 하부 지지 부재(56)의 도시하지 않는 부착구멍에 코킹 핀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실린더(40) 내에서 압축되어 소정의 압력에 이른 냉매 가스가, 도의 윗쪽에서부터 토출 포트(39)를 닫고 있는 토출 밸브(49A)를 눌러 내려서 토출 포트(39)를 열고, 토출 소음실(64)로 토출시킨다. 이때, 토출 밸브(47A)는 타측을 하부 지지 부재(56)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토출 포트(39)에 접하고 있는 일측이 반대로 올라가고, 토출 밸브(49A)의 열림량을 규제하고 있는 배커 밸브에 접한다. 냉매 가스의 토출이 종료하는 시기가 되면, 토출 밸브(49A)가 배커 밸브로부터 멀어져 토출 포트(39)를 폐색한다.
한편, 양 실린더(38 ,40)에는, 제1 및 제2 베인(50, 52)을 수납하는 안내홈(7O, 72)이 각각 형성되고 있고, 각 안내홈(70, 72)의 외측, 즉, 각 베인(50, 52)의 배면 측에는, 용수철 부재로서의 스프링(74, 76)을 수납하는 수납부(70A, 7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74, 76)은 각 베인(50, 52)의 배면측 단부에 접하여, 항상 각 베인(50, 52)을 각 롤러(46 ,48) 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수납부(70A, 72A)에는, 예를 들면 밀폐 용기(12) 내의 후술하는 토출측 압력(고압)도 도입되어, 각 베인(50, 52)의 배압으로서 인가된다. 그리고, 수납부(70A, 72A)는 안내홈(70, 72) 측과 밀폐 용기(12)(용기 본체(12A)) 측으로 개구하고 있어, 각 수납부(70A, 72A)에 수납된 스프링(74, 76)의 밀폐 용기(12) 측에는 금속제의 플러그(137, 138)가 설치되어, 각 스프링(74, 7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측면에는, 제1 실린더(38)와 제2 실린더(40)의 흡입 통로(58 ,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리브(sleeve)(141, 142)가 각각 용접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141) 내에는 제1 실린더(38)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이 삽입 접속되고, 이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은 제1 실린더(38)의 흡입 통로(58)로 연통한다. 이 냉매 도입관(92)의 타단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146)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슬리브(142) 내에는 제2 실린더(40)로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이 삽입 접속되고, 이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은 제2 실린더(40)의 흡입 통로(60)로 연통한다. 이 냉매 도입관(94)의 타단은 상기 냉매 도입관(92)과 마찬가지로 어큐뮬레이터(146) 내에서 개구하고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46)는 흡입 냉매의 기액분리(氣液分離)를 실시하는 탱크이고,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상부 측면에 브래킷(bracket)(147)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46)에는 냉매 도입관(92) 및 냉매 도 입관(94)이 바닥부로부터 삽입되어, 그 어큐뮬레이터(146) 내의 위쪽에 타단의 개구가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 어큐뮬레이터(146) 내의 상부에는 냉매 배관(10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토출 소음실(64)과 토출 소음실(62)은, 제1 및 제2 실린더(38 ,40)나 중간 칸막이 판(36)을 축심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로(12O)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 압축되어, 토출 소음실(64)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그 연통로(120)를 통하여 토출 소음실(62)로 토출되어, 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와 합류한다.
또, 토출 소음실(62)과 밀폐 용기(12) 내부와는 컵 부재(63)를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구멍으로 연통되어 있고, 이 구멍으로부터 제1 회전 압축 요소(32)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 압축되어, 토출 소음실(62)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밀폐 용기(12) 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회전 압축기구부(18)에는 파워 세이브 기구(160)가 설치되어 있다. 파워 세이브 기구(160)는,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을 소정의 위상으로 연통시키는 것이다. 즉, 파워 세이브 기구(160)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47A)가 개방하는 제1 롤러(50)의 위상 각도 부근에서 제1 실린더(38)와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을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이 소정의 하한값(예를 들면, 2.3kW 등)으로 저하한 운전 상태에 있어서, 토출 밸브(47A)가 개방하는 제1 롤러(46)의 위상 각도 12O° 부근(제1 롤러(46)가 제1 베인(5O)의 안내홈(7O) 을 통과하는 상사점으로부터 제1 롤러(46)의 회전 방향으로 1O0°~ 140°회전한 근처)의 제1 실린더(38)의 내벽면에 후술하는 관통구멍(1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파워 세이브 기구(160)는, 양 실린더(38, 40) 및 중간 칸막이 판(36)의 외주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구멍(162)과 이 연통구멍(162)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된 상하 한 쌍의 피스톤 밸브(164, 165)와 이들 피스톤 밸브(164, 165)의 일면에 접하여, 이것들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 부재로서의 스프링(167)과 이 연통구멍(162)과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 및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을 각각 연통하는 관통구멍(168, 17O)과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타면에 냉매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냉매 도입구멍(172) 및 후술하는 냉매 도입관(174)을 주요 구성 부재로 하고 있다. 또한, 연통구멍(162)은 중간 칸막이 부재(36)에 있어서, 내경이 피스톤 밸브(164, 165)의 외경보다 소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7)은,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해당 스프링(167)에 접하지 않는 쪽의 면(타면)으로부터 소정 값 이상의 고압이 작용했을 때에 완전하게 압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통구멍(162)은, 중간 칸막이 판(36)의 근방에서 천공된 상기 관통구멍(168, 170)을 통하여 양 실린더(38 ,40)로 연통되어 있다. 또, 양 실린더(38 ,40) 및 중간 칸막이 판(36)에는, 연통구멍(162)에 평행한 상기 냉매 도입구멍(172)이 관통형성되어 있어, 이 냉매 도입구멍(172)으로 냉매 도입관(174)으로부터의 냉매 가스가 도입된다. 또, 냉매 도입관(172)은, 중간 칸막이 판(36) 내에서 수평방향으 로 형성되어, 냉매 도입구멍(172)과 밀폐 용기(12) 내로 개구하는 구멍 내에 삽입 접속되어, 일단은 해당 냉매 도입구멍(172)에서 개구하고 있다. 또한, 상부 지지 부재(54)의 하면의 상기 연통구멍(162)의 상단에 대응하는 개소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상면의 연통구멍(162)의 하단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연통구멍(162)과 냉매 도입구멍(172)을 연통하기 위한 연통 오목부(176, 17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냉매 배관(100)의 중간 부분에는 냉매 배관(101)이 연통 접속되고 있어, 이 냉매 배관(101)은 상기 전자 밸브(105)를 통하여 전술한 냉매 도입관(17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냉매 토출관(96)의 중간 부분에도 냉매 배관(102)이 연통 접속되어 있어, 상기 냉매 배관(101)과 마찬가지로 전자 밸브(106)를 통하여 상기 냉매 도입관(17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자 밸브(105) 및 전자 밸브(106)는 후술하는 컨트롤러(C1)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컨트롤러(C1)는, 실외측 유니트(AO)의 제어를 맡는 제어 수단으로, CPU를 시작으로 하여, ROM, RA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C1) 는, 실내측 유니트(AI)의 컨트롤러(C2)와의 사이에서 서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행하고, 이 컨트롤러(C2)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인버터(INV)의 2차 전류·전압 및 1차 전류·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각 센서(S1, S2)로부터의 입력 정보 등에 기초하여,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로터리 콤프레셔(10)(다기통 회전 압축기)의 회전수를 인버터(INV)에 의해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C1)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전동 요소(14)(DC 모터)를 미리 설정된 최고 회전수(HzMAX)(예를 들면, 15O HZ)와 최저 회전수(HzMlN)(예를 들면, 1OHz)의 범위 내에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또, 컨트롤러(C1)는 파워 세이브 기구(160)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C2)는, 실내측 열교환기(156)(이용측 열교환기 )로 냉방되는 피냉각 공간의 온도(Tr)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 등에 기초하여, 이 피냉각 공간의 온도(Tr)를 소망하는 설정값(TrS)에 가깝게 상기 컨트롤러(C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즉, 컨트롤러(C2)는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설정값(TrS)보다 높은 경우, 컨트롤러(C1)에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증대하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1)는 인버터(lNV)를 제어하여, 상기 최고 회전수(HzMAX)를 상한으로 하여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부하에 대항하여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인버터(INV)로부터 전동 요소(14)로 흐르는 2차 전류도 상승하고,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도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서, 냉매 회로 내의 냉매 순환량도 증대하므로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은 증대하고, 피냉각 공간은 실내측 열교환기(156)에 의해 강력하게 냉방되어 간다.
컨트롤러(C2)는 소정의 샘플링 주기마다 상술한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C1) 로 송신한다. 그리고, 여전히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설정값(TrS)보다 높은 경우에는, 더욱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올리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C2)는 전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더욱 소정 스텝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상승시켜(상기 최고 회전수(HzMAX)가 상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상승시켜서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을 더욱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냉방에 의해,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저하하여 설정값(TrS)에 다가가면, 컨트롤러(C2)는 이번은 컨트롤러(C1)에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내리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1)는, 인버터(INV)를 제어하고, 상기 최저회전수(HzMIN)를 하한으로 하여 전동요소(14)의 회전수를 소정 스텝 저하시킨다. 회전수의 저하에 의해서 전동 요소(14)의 부하도 가벼워지므로 인버터(INV)로부터 전동 요소(14)로 흐르는 2차 전류도 저하하여,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도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서, 냉매 회로 내의 냉매 순환량도 감소하므로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도 저하하여, 피냉각 공간의 냉방 효과는 약하게 되어 간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C2)는 소정의 샘플링(sampling) 주기마다 상술한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C1)로 송신한다. 그리고, 여전히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저하하여 예를 들면 설정값(TrS)보다 낮아지면, 더욱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내리도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C2)는 전술과 같이 더욱 소정 스텝(step)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저하시켜(상기 최저 회전수(HzMIN)가 하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저하시켜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을 더욱 저하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S1)는 인버터(INV)의 2차 전류 및 2차 전압(인버터(INV)의 출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 함과 동시에, 센서(S2)는 인버터(lNV)의 1차 전류 및 1차 전압(인버터(INV)의 입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각각 컨트롤러(C1)로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C1)는 센서(S1)가 검출하는 인버터(INV)의 2차 전류 및 2차 전압(전동 요소(14)의 입력)으로부터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을 산출하고 있다.
컨트롤러(C1)는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이 소정의 하한값(WL)(예를 들면 2.3kW 등)보다 높은 경우(통상 운전)에는,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오프(OFF)하고 있다. 즉,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는 컨트롤러(C1)는 전자 밸브(105)를 닫고, 전자 밸브(106)를 여는 것에 의해 냉매 토출관(96)과 냉매 도입관(174)이 연통된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피스톤 밸브(164)의 표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토출측 압력이 인가된다. 이 토출측 압력의 인가에 의해, 스프링(167)은 양 피스톤 밸브(164, 165)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눌러지게 되어 완전하게 압축된다. 그리고,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외주면에 의해 양 관통구멍(168, 170)이 완전하게 폐색 되기 때문에, 제1 실린더(38) 내와 제2 실린더(40) 내와의 냉매 유통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과는 연통되지 않기 때문에, 양 회전 압축 요소(32, 34)는 100%운전된다.
한편, 전술과 같이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저하하여, 부하가 가벼워져 전술과 같이 산출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이 하한값(WL) 이하로 저하하면(이 상태가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이 작아지는 소능력 운전이다), 컨트롤러(C1)는,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온(ON)한다. 즉, 이러한 소능력 운전시에는 전자 밸브(105)를 열고, 전자 밸브(106)를 닫는다. 이것에 의해, 냉매 배관(100)과 냉매 도입관(174)이 연통되어 피스톤 밸브(164)의 표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으로 로타리 콤프레셔(10)의 흡입측 압력이 인가되게 된다.
이때,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일면에 인가되는 흡입측 압력보다, 스프링의 용수철력이 크기 때문에, 피스톤 밸브(164)와 피스톤 밸브(165)와는 이 스프링(167)에 의해 각각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피스톤 밸브(164)는 상부 지지 부재(54)의 하면에, 피스톤 밸브(165)는 하부 지지 부재(56)의 표면에 꽉 눌린다.이것에 의해, 양 관통구멍(168, 170)이 개방되고,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이 연통되어,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의 일부가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의 일부는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으로 방출하게 된다. 또한,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가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방출함으로써, 제1 실린더(38)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이 감소 함과 동시에, 제2 실린더(40)로의 흡입 냉매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체적 효율이 저하한다. 체적 효율의 저하에 의해, 냉매 회로 내를 흐르는 냉매 순환량도 저하하기 때문에,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은 한층 저하하므로, 실내측 열교환기(156)에서 냉각되는 피냉각 공간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피냉각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술과 같이 컨트롤러(C2)에 의해 컨트롤러(C1)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올리도록 제어 신호가 송신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1)는, 전술과 같이 인버터(INV)에 의해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소정 스텝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도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는 높게 유지되게 되어, 저회전수에 있어서의 전동 요소(14)의 운전 효율의 저하나 회전 압축 요소(32, 34)에 있어서의 냉매 누락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과 같이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이 소정의 하한값(예를 들면, 2.3kW 등)으로 저하한 운전 상태에 있어서, 토출 밸브(47A)가 개방하는 제1 롤러(46)의 위상 각도 12O°부근에서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저압실측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의 냉매를 효율적으로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에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C1)는 전술과 같이 산출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이 소정의 복귀값(WR)(예를 들면, 2.5kW 등)까지 상승하면,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오프하여 회전 압축 요소(32 ,34)를 100% 운전으로 복귀시킨다.
이상의 구성으로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실내측 유니트(AI)의 컨트롤러(C2)의 운전 지령에 근거하여, 컨트롤러(C1)는 인버터(INV)를 제어하여 전동 요소(14)를 구동한다. 또한, 기동시에 있어서, 컨트롤러(C1)는 냉매 배관(101)의 전자 밸브(105)를 닫고, 냉매 배관(102)의 전자 밸브(106)를 연다. 이것에 의해, 냉매 배관(102)과 냉매 도입관(174)이 연통되어, 피스톤 밸브(164)의 표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토출측 압력이 인가된다. 이 토출측 압력의 인가에 의해, 스프링(167)은 양 피스톤 밸브(164, 16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눌러져서 완전하게 압축된다. 그리고,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외주면에 의해 양 관통구멍(168, 170)이 완전하게 폐색되기 위해, 제1 실린더(38) 내와 제2 실린더(40) 내와의 냉매 유통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과는 연통되지 않기 때문에, 양 회전 압축 요소(32, 34)는 100% 운전이 된다.
그리고, 전동 요소(14)가 기동하여 로터(24)가 회전하면 회전축(16)과 일체로 설치된 상하 편심부(42, 44)에 끼워 맞춰진 제1 및 제2 롤러(46 ,48)가 제1 및 제2 실린더(38 ,40) 내를 편심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저압 냉매가 로터리 콤프레셔(10)의 냉매 배관(100)으로부터, 어큐뮬레이터(146) 내로 유입한다. 상술과 같이 냉매 배관(100)의 전자 밸브(105)는 닫혀져 있으므로, 냉매 배관(100)을 통과하는 냉매는, 냉매 도입관(174)으로 유입하는 일 없이, 모두 어큐뮬레이터(146)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46) 내로 유입한 저압 냉매는, 거기서 기액분리된 후, 냉매 가스만이 해당 어큐뮬레이터(146) 내로 개구한 각 냉매 토출관(92 ,94) 내로 들어간다. 냉매 도입관(92)으로 들어간 저압의 냉매 가스는 흡입 통로(58)를 거쳐,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제1 실린더(38)의 저압실측에 흡입된다.
제1 실린더(38)의 저압실측으로 흡입된 냉매 가스는, 제1 롤러(46)로 제1 베인(50)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고,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47) 내를 통하는 토출 소음실(62)로 토출된다.
한편, 냉매 도입관(94)으로 들어간 저압의 냉매 가스는 흡입 통로(60)를 거쳐서,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흡입된다. 제2 실린 더(40)의 저압실측으로 흡입된 냉매 가스는, 제2 롤러(48)로 제2 베인(52)의 동작에 의해 압축된다.
그 후, 제2 실린더(40) 내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는, 제2 실린더(40)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49) 내를 통한 토출 소음실(64)로 토출되고, 상기 연통로(120)를 경유하여, 토출 소음실(62)로 토출되어, 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 압축된 냉매와 합류한다. 합류한 냉매는, 컵 부재(63)를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구멍으로 밀폐 용기(12) 내로 토출된다.
그 후, 밀폐 용기(12) 내의 냉매는, 밀폐 용기(12)의 엔드 캡(12B)에 형성된 냉매 토출관(96)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어, 실외측 열교환기(152)로 유입한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배관(102)의 전자 밸브(106)는 열려져 있으므로, 냉매 토출관(96)을 통과하는 양 회전 압축 요소(32, 24)의 토출측 냉매의 일부는, 냉매 배관(102)으로부터 냉매 도입관(174)으로 들어가, 상기 피스톤 밸브(164)의 상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으로 인가된다.
다른 한편, 실외 열교환기(152)로 유입한 냉매 가스는, 거기서 방열하고, 팽창 밸브(154)로 감압된 후, 실내측 열교환기(156)로 유입한다. 이 실내측 열교환기(156)에서 냉매는 증발하여, 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로부터 흡열하는 것으로써 냉각 작용을 발휘하여 실내를 냉방 한다. 그리고, 냉매는 실내측 열교환기(156)로부터 나와 로터리 콤프레셔(10)로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한편, 피냉각 공간의 온도(Tr)가 저하하고, 부하가 가벼워져 전술과 같이 산출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kW)이 하한값(WL) 이하로 저하하면(소능력 운 전), 컨트롤러(C1)는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온 한다. 즉, 컨트롤러(C1)는, 전자 밸브(105)를 열고, 전자 밸브(106)를 닫는다. 이것에 의해, 냉매 배관(100)과 냉매 도입관(174)이 연통되어, 피스톤 밸브(164)의 상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으로 로터리 콤프레셔(1O)의 흡입측 압력이 인가된다.
이때, 양 피스톤 밸브(164, 165)의 일면으로 인가되는 흡입측 압력보다,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크기 때문에, 피스톤 밸브(164)와 피스톤 밸브(165)와는 이 스프링(167)에 의해 각각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피스톤 밸브(164)는 상부 지지 부재(54)의 하면으로, 피스톤 밸브(165)는 하부 지지 부재(56)의 상면으로 꽉 눌린다. 이것에 의해, 양 관통구멍(168, 170)이 개방되고,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이 연통되어,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의 일부가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으로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의 일부는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방출한다. 제1 실린더(38)의 고압실측의 냉매가 제2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방출함으로써, 제1 실린더(38)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제2 실린더(40)로의 흡입 냉매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체적 효율이 저하한다. 체적 효율의 저하에 의해, 냉매 회로 내를 흐르는 냉매 순환량도 저하하기 때문에, 냉매 회로의 냉동 능력은 한층 저하하므로, 전술과 같이 실내측 열교환기(156)에서 냉각되는 피냉각 공간의 온도는 상승한다.
피냉각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술과 같이 컨트롤러(C2)에 의해 컨트롤러(C1)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올리도록 제어 신호가 송신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C1)는, 전술과 같이 인버터(INV)에 의해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전동 요소(14)의 회전수를 소정 스텝 상승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C1)는 전술과 같이 산출된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이 소정의 복귀값(WR)(예를 들면, 2.5k W 등 )까지 상승하면,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오프 하고, 전자 밸브(105)를 닫고, 전자 밸브(106)를 연다. 이것에 의해, 냉매 토출관(96)과 냉매 도입관(174)이 연통되어, 피스톤 밸브(164)의 표면 및 피스톤 밸브(165)의 하면에는 로터리 콤프레셔(10)의 토출측 압력이 인가되므로, 양 관통구멍(168, 170)이 완전하게 폐색 되기 위해, 제1 실린더(38) 내와 제2 실린더(40) 내와의 냉매 유통은 행해지지 않게 되어, 회전 압축 요소(32 ,34)를 100% 운전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로터리 콤프레셔(10)로 구성하여, 컨트롤러(C1)에서 상술과 같이 제어하는 것으로, 공기 조화기 전체의 성능 및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C1)가 로터리 콤프레셔(10)의 압축일을 산출하고, 압축일이 소정의 하한값(WL)으로 되면,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온 하여, 소정의 복귀값이 되면 오프 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와 같은 압축일에 의해 파워 세이브 기구(160)를 온/오프 하는 제어에 한정하지 않고, 컨트롤러(C1)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파워 세이브 기구를 작동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로터리 콤프레셔(10)의 회전수에 의해 파워 세이브 기구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어도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6)을 종치형으로 한 로터리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회전축을 횡치형으로 한 로터리 콤프레셔에서도 적응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더욱, 3기통, 혹은, 그 이상의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한 다기통 로터리 콤프레셔에 적응하여도 지장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수단은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파워 세이브 기구를 작동시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시키므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의 냉매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제2 실린더로의 흡입 냉매량이 감소하고, 냉매 회로 내를 흐르는 냉매 순환량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만큼, 구동 요소의 회전수를 상승할 수 있게 되어, 저회전시에 있어서의 구동 요소의 운전 효율의 저하나 각 회전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냉매 누락 손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은 제어 수단은, 파워 세이브 기구에 의해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있어서 토출 밸브를 개방하는 제1 롤러의 위상 각도 부근에서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하게 되면,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의 냉매를 효율적으로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동 장치의 냉매 회로를, 상기 각 발명의 다기통 회전 압축기로 구성 하고, 예를 들면, 냉매 회로를 다기통 회전 압축기, 열원측 열교환기, 조임 수단 및 이용측 열교환기를 환상으로 배관 접속하여 구성하고, 그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상기 각 발명과 같이 제어함으로써, 냉동 장치 전체의 성능 및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밀폐 용기 내에 구동 요소와,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으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수납하고, 이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제1 및 제2 실린더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偏心部)에 끼워 맞춰서 상기 각 실린더 내에서 각각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와, 이 제1 및 제2 롤러에 접하여 상기 각 실린더내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각각 구획하는 제1 및 제2 베인(vane)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소정의 위상으로 연통(連通)시키는 파워 세이브(power save) 기구를 구비한 다기통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외주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구멍; 상기 연통구멍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된 상하 한 쌍의 피스톤 밸브; 상하 한 쌍의 상기 피스톤 밸브 사이에 접하여 상하 한 쌍의 상기 피스톤 밸브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 부재; 상기 연통구멍과 상기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각각 연통하는 관통구멍; 상하 한 쌍의 상기 피스톤 밸브의 타면에 냉매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냉매 도입구멍; 및 상기 냉매 도입구멍으로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 도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의 작동 및 상기 구동 요소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은, 상기 다기통 회전 압축기를 구성하는 냉매 회로의 소능력(小能力) 운전시에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連通)시켜서, 상기 구동 요소의 회전수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 내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포트(port)와, 이 토출 포트를 개폐하는 토출 밸브(valve)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파워 세이브 기구에 의해 상기 냉매 회로의 소능력 운전시에 상기 토출 밸브를 개방하는 상기 제1 롤러의 위상 각도 부근에서 상기 제1 실린더의 고압실측과 상기 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을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회전 압축기.
KR1020050126766A 2004-12-21 2005-12-21 다기통 회전 압축기 KR101157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9117A JP2006177194A (ja) 2004-12-21 2004-12-21 多気筒回転圧縮機
JPJP-P-2004-00369117 2004-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347A KR20060071347A (ko) 2006-06-26
KR101157264B1 true KR101157264B1 (ko) 2012-06-15

Family

ID=3609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766A KR101157264B1 (ko) 2004-12-21 2005-12-21 다기통 회전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7202B2 (ko)
EP (1) EP1681468B1 (ko)
JP (1) JP2006177194A (ko)
KR (1) KR101157264B1 (ko)
CN (1) CN1793660A (ko)
TW (1) TW2006221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3137B (en) * 2004-07-08 2012-05-01 Sanyo Electric Co Compression system,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106738A (ja) * 2006-09-29 2008-05-08 Fujitsu General Ltd 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EP2306021A4 (en) * 2008-05-28 2012-04-04 Sanden Corp ELECTRIC COMPRESSOR
JP6000452B2 (ja) * 2013-05-24 2016-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WO2017214484A1 (en) * 2016-06-10 2017-12-14 Franklin Electric Co., Inc. Motor drive with moisture control features
CN106704188B (zh) * 2017-02-24 2018-09-1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和具有其的制冷系统
CN107061277B (zh) * 2017-03-24 2019-10-08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变容旋转式压缩机和具有其的制冷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089A (ja) * 1988-01-29 1989-08-03 Toshiba Corp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ー
JPH08200259A (ja) * 1995-01-30 1996-08-06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JPH09151891A (ja) * 1995-11-29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回転圧縮機
JPH10196570A (ja) 1997-01-17 1998-07-31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993U (ja) * 1981-11-12 1983-05-19 三菱電機株式会社 2気筒回転式圧縮機
JPS61272492A (ja) * 1985-05-25 1986-12-02 Toshiba Corp 多気筒形回転圧縮機
JPS6270686A (ja) * 1985-09-20 1987-04-01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KR900003716B1 (ko) * 1986-09-30 1990-05-30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통 회전식 압축기
JPH081182B2 (ja) * 1987-02-19 1996-01-10 株式会社東芝 2シリンダロ−タリコンプレツサ
JPH0794832B2 (ja) * 1988-08-12 1995-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H0826853B2 (ja) * 1988-10-31 1996-03-21 株式会社東芝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JP2904572B2 (ja) * 1990-10-31 1999-06-14 株式会社東芝 多気筒型回転圧縮機
JPH04241791A (ja) * 1991-01-10 1992-08-28 Toshiba Corp 多気筒型回転圧縮機
JPH0599172A (ja) 1991-10-03 1993-04-20 Sanyo Electric Co Ltd 2気筒回転圧縮機
JP3414797B2 (ja) * 1993-08-12 2003-06-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多気筒形回転圧縮機
US5678985A (en) * 1995-12-19 1997-10-21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capacity modulation
US5823755A (en) * 1996-12-09 1998-10-20 Carrier Corporation Rotary compressor with discharge chamber pressure relief groove
TW336270B (en) * 1997-01-17 1998-07-11 Sanyo Electric Ltd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US5871342A (en) * 1997-06-09 1999-02-16 Ford Motor Company Variable capacity rolling piston compressor
US6102677A (en) * 1997-10-21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rmetic compressor
JP2000111176A (ja) * 1998-10-05 2000-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空調装置
TW552352B (en) * 1999-06-29 2003-09-11 Sanyo Electric Co Sealed rotary compressor
JP3778730B2 (ja) * 1999-07-01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多気筒回転圧縮機の製造方法
KR100336134B1 (ko) * 1999-07-28 2002-05-09 구자홍 저소음 회전식 압축기
JP2001132673A (ja) * 1999-11-04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ロータリー圧縮機
US6293767B1 (en) * 2000-02-28 2001-09-25 Copeland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asymmetrical bleed hole
US6551069B2 (en) * 2001-06-11 2003-04-22 Bristol Compressors, Inc. Compressor with a capacity modulation system utilizing a re-expansion chamber
CN1423055A (zh) * 2001-11-30 2003-06-11 三洋电机株式会社 回转压缩机、其制造方法、及使用该压缩机的除霜装置
KR100466620B1 (ko) * 2002-07-09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TWI301188B (en) * 2002-08-30 2008-09-21 Sanyo Electric Co Refrigeant cycling device and compressor using the same
KR20040063217A (ko) * 2003-01-06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형 회전압축기
KR100500985B1 (ko) * 2003-03-06 2005-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JP4343627B2 (ja) 2003-03-18 2009-10-1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ロータリ式密閉形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040241010A1 (en) * 2003-03-27 2004-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US6799956B1 (en) * 2003-04-15 2004-10-05 Tecumseh Products Company Rotary compressor having two-piece separator plate
KR20050031792A (ko) * 2003-09-30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241791B2 (ja) 2006-09-1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光スキャナ、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089A (ja) * 1988-01-29 1989-08-03 Toshiba Corp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ー
JPH08200259A (ja) * 1995-01-30 1996-08-06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JPH09151891A (ja) * 1995-11-29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回転圧縮機
JPH10196570A (ja) 1997-01-17 1998-07-31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3660A (zh) 2006-06-28
TW200622105A (en) 2006-07-01
KR20060071347A (ko) 2006-06-26
US20060222511A1 (en) 2006-10-05
EP1681468A3 (en) 2009-12-16
EP1681468B1 (en) 2013-10-23
JP2006177194A (ja) 2006-07-06
EP1681468A2 (en) 2006-07-19
US8277202B2 (en)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64B1 (ko) 다기통 회전 압축기
EP1614902B1 (en)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1268612B1 (ko) 주파수 가변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JP4856091B2 (ja) 容量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冷却システム
EP2233742B1 (en) Multistage rotary compressor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20050214137A1 (en)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compressing system and refrigerating unit provided with same
JP2002161878A (ja) 空調装置及びスクロール式圧縮機用の容量調整装置
KR101738458B1 (ko)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US7891957B2 (en) Capacity variable type rotary compres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017048B2 (en) Variable capacity type rotary compressor, coo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020916B1 (ko) 냉매 사이클 장치
EP3244065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having same
EP1643130A1 (en) Sealed type compressor with suction filter
JP2006022723A (ja) 圧縮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4766872B2 (ja) 多気筒回転圧縮機
KR100677527B1 (ko) 로터리 압축기
JP4024056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0747495B1 (ko) 용량가변 로터리 압축기
JP2000105006A (ja) 回転式圧縮機
JP2004027899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293973A (ja) 多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WO2006126399A1 (ja) 密閉型圧縮機と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6009756A (ja) 圧縮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