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497B1 -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 Google Patents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497B1
KR101155497B1 KR1020100038005A KR20100038005A KR101155497B1 KR 101155497 B1 KR101155497 B1 KR 101155497B1 KR 1020100038005 A KR1020100038005 A KR 1020100038005A KR 20100038005 A KR20100038005 A KR 20100038005A KR 101155497 B1 KR101155497 B1 KR 10115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water suppl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417A (ko
Inventor
박희웅
박노마
최환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97B1/ko
Priority to CN201110071059.6A priority patent/CN102235775B/zh
Priority to EP11162296.5A priority patent/EP2381192B1/en
Priority to US13/091,513 priority patent/US8850837B2/en
Publication of KR2011011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4Desuper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공조운전을 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제 2 냉매가 급탕조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를 포함하고, 급탕 회로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와; 급탕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용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와;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급탕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냉동 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급탕조의 출수온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면서,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 운전이나 급탕운전시의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히트펌프식 급탕장치{Heat pump type speed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열이 급탕과 공조에 이용될 수 있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 펌프는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이다.
히트 펌프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고, 최근에는 화석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냉매로 물을 가열하여 급탕에 이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JP 2001-263857 A (2001.9.26)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급탕 열교환기에서 물을 가열하고, 급탕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물이 급탕조로 공급되므로 급탕 온도를 높이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온 냉동 사이클과 고온 냉동 사이클에 의해 급탕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저온 냉동 사이클의 냉매가 급탕에 이용된 후 공조에 이용될 수 있어 효율이 높은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공조운전을 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제 2 냉매가 급탕조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탕 회로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와; 상기 급탕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급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급탕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 운전이 가능하고 급탕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물을 가열한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로 연결된 수냉매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와 난방수 배관으로 연결된 바닥 난방 배관과, 상기 난방수 배관에 설치된 바닥난방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탕조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수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탕 수배관에는 급탕 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상기 급탕수 배관과 난방수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축열 배관으로 연결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게 설치된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 중 하나를 바이패스 하도록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 사이로 안내하게 연결된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기구는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냉매조절부는 급탕운전시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조건이 되면, 상기 보조 냉매조절부는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는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절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제 1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실내 팽창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액냉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기구는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 사이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되는 기상 냉매를 조절하게 상기 인젝션 라인에 설치되고,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안정화 이후 개방되는 인젝션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 팽창기구의 사이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냉매를 상기 급탕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탕 압축기로 인젝션되는 기상 냉매를 조절하게 상기 인젝션 라인에 설치되고,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안정화 이후 개방되는 인젝션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는 냉/난방 절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는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와 급탕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급탕 유로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급탕유입유로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로 유동되는 급탕유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탕유입유로와 급탕유출유로는 상기 압축기와 냉/난방 절환밸브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급탕 회로가 급탕조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가열하면서 응축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를 모두 통과하면서 공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탕과 바닥난방과 공간공조를 모두 함께 실시할 수 있어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급탕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 중 하나를 바이패스하는 것에 의해 급탕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탕운전의 도중에 실외 열교환기를 제상시키면서 연속하여 급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탕운전시 압축기로 응축압력과 증발압력 사이의 중간압력 냉매가 인젝션되어 실외 저온 환경에서 급탕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의 응축 성능을 높여 급탕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급탕운전시 급탕 압축기로 응축압력과 증발압력 사이의 중간압력 냉매가 인젝션되어 급탕 열교환기의 응축 성능을 높여 급탕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바닥난방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바닥난방운전이면서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공간냉방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공간냉방운전이면서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3 실시예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제 1 냉매가 실내를 공조시키는 냉동 사이클 회로(2)와, 제 2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10)를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저온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고, 급탕 회로(10)는 저온 냉동 사이클과 열교환되는 고온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제 1 냉매와 제 2 냉매는 응축 온도 및 증발 온도가 서로 상이한 냉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냉매가 응축 온도 및 증발 온도가 낮은 R410a인 경우, 제 2 냉매는 제 1 냉매 보다 응축 온도 및 증발 온도가 높은 R134a로 이루어진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압축기(12)와 실외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6)(17)와 실내 열교환기(18)를 포함하고, 제 1 냉매가 압축기(12)와 실외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6)(17)와 실내 열교환기(18)를 순환하면서, 실내를 공조시킬 수 있다.
냉동 사이클 회로(2)의 공조 운전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 공조하는 공간난방운전과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방 공조시키는 공간냉방운전을 갖을 수 있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압축기(12)의 흡입유로(22)에 압축기(12)로 제 1 냉매 중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어큐물레이터(24)가 설치되고, 압축기(12)의 토출유로(26)에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와 오일 중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12)로 회수하는 오일분리기(28)가 설치된다.
실외 열교환기(14)는 제 1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하는 것으로서, 실외 공기가 제 1 냉매와 열교화되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냉각수가 제 1 냉매와 열교환되는 수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14)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될 경우, 실외팬(30)이 실외 열교환기(14)로 실외 공기를 송풍하게 설치된다.
실외 열교환기(14)는 실내 열교환기(18)와 열교환기 연결배관(32)로 연결된다.
팽창기구(16)(17)는 열교환기 연결배관(32)에 설치된다.
팽창기구(16)(17)는 실외 열교환기(14)와 실내 열교환기(18) 중 실외 열교환기(14)에 근접하게 설치된 실외 팽창기구(16)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내 열교환기(18) 중 실내 열교환기(18)에 근접하게 설치된 실내 팽창기구(17)를 포함한다.
열교환기 연결배관(32)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가 연결되는 실외 열교환기-실외 팽창기구 연결배관(34)과,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가 연결되는 팽창기구 연결배관(36)과,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가 연결되는 실내 팽창기구-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38)을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기(18)는 실내 공기가 제 1 냉매와 열교환되면서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것으로서, 실내팬(39)이 실내 열교환기(18)로 실내 공기를 순환하게 설치된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6)(17)와 실내 열교환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되게 연결되어 실내 열교환기(18)가 증발기로 기능하면서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8)와 팽창기구(16)(17)와 실외 열교환기(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되게 연결되어 실내 열교환기(14)가 응축기로 기능하면서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난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6)(17)와 실내 열교환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되고 냉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8)와 팽창기구(16)(17)와 실외 열교환기(1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실내 열교환기(18)가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 시키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냉,난방 운전을 절환할 수 있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제 1 냉매가 압축기(12)와 실외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6)(17)와 실내 열교환기(18) 순서로 유동되게 하거나, 압축기(12)와 실내 열교환기(18)와 팽창기구(16)(17)와 실외 열교환기(14) 순서로 유동되게 하는 냉/난방 절환밸브(40)를 더 포함한다.
냉난방 절환밸브(40)는 압축기(12)와 압축기 흡입유로(22) 및 압축기 토출 유로(26)로 연결되고,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열교환기 연결배관(42)으로 연결되며, 실내 열교환기(18)와 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44)으로 연결된다.
급탕조(4)는 외부의 물이 급탕조(4)로 급수되는 급수부(5)와, 급탕조(4)의 물이 출수되는 출수부(6)가 연결된다.
급탕조(4)는 급탕 회로(10)의 후술하는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수 배관(7)으로 연결되고, 급탕수 배관(7)에는 급탕 펌프(8)가 설치된다.
급탕조(4)는 급탕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후 급탕조(4)로 유입된 물이 출수부(6)로 직접 출수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급탕조(4)는 내부에 급탕수 배관(7)과 연결되는 급탕 코일이 설치되어, 급탕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물이 급탕 코일을 통과하면서 급탕조(4) 내부를 가열하고, 급수부(5)로 입수된 물이 급탕 코일에 의해 가열되어 출수부(6)로 출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급탕 회로(10)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52)와, 급탕 압축기(52)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54)와, 급탕 열교환기(54)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56)와,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급탕 팽창기구(56)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포함한다.
급탕 압축기(52)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압축기 흡입유로(51)로 연결되고, 급탕 열교환기(54)와 압축기 토출유로(53)로 연결된다.
급탕 열교환기(54)는 급탕 팽창기구(56)와 급탕 열교환기-급탕 팽창기구 연결배관(55)으로 연결된다.
급탕 팽창기구(56)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급탕 팽창기구-케스케이드 열교환기 연결배관(57)로 연결된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압축기(12)에서 과열된 제 1 냉매가 급탕에 이용되는 제 2 냉매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되는 일종의 디슈퍼히터(desuperheater)이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과열된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제 1 냉매 유로와, 급탕에 이용되는 제 2 냉매가 통과하는 제 2 냉매 유로를 갖는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제 1 냉매 유로와 제 2 냉매 유로가 열전달부재를 사이에 두고 내,외로 형성된 이중관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냉매 유로와 제 2 냉매 유로가 열전달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형성된 판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제 2 냉매 유로가 급탕 압축기(52)와 압축기 흡입유로(51)로 연결된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급탕 압축기(52)를 연결하는 압축기 흡입유로(51)에는 급탕 압축기(52)로 액냉매가 유입되지 않게 액냉매가 축적되는 어큐물레이터(59)가 설치된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후 냉동 사이클 회로(2)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연결된다.
즉,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응축된 후, 냉동 사이클 회로(2)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으므로,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을 동시에 하면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제 1 냉매에 의해 증발된 제 2 냉매가 급탕 열교환기(54)에서 응축되면서 급탕 열교환기(54)의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제 1 냉매가 급탕 열교환기(54)를 직접 통과하면서 급탕 열교환기(54)의 물을 가열하는 경우 보다 급탕 온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냉동 사이클 회로(2)에 급탕 유로(60)로 연결된다.
급탕 유로(60)는 냉동 사이클 회로(2)의 제 1 냉매 특히,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제 1 냉매 유로로 유동되는 급탕유입유로(62)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제 1 냉매 유로에서 유출된 제 1 냉매가 냉동 사이클 회로(2) 특히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는 급탕유출유로(64)를 포함한다.
급탕유입유로(62)와 급탕유출유로(64)는 그 각각이 압축기(12)와 냉/난방 절환밸브(40)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급탕유입유로(62)는 일단이 압축기 토출유로(26)에 연결되고 타단이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 연결된다.
급탕유출유로(64)는 일단이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기 토출유로(26)에 연결된다.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가열한 제 1 냉매가 곧바로 냉동 사이클 회로(2)로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내를 바닥 난방하거나 실내를 공조 난방하는데 이용된 후 냉동 사이클 회로(2)로 유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가열한 제 1 냉매가 실내를 바닥 난방하거나 실내를 공조 난방하는데 이용된 후 냉동 사이클 회로(2)에서 공조에 다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물을 가열한 후 냉동 사이클 회로(2)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70)로 연결된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냉매 열교환기(72)는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70)가 급탕 유로(60)에 연결된다.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70)는 급탕유출유로(64)의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입되는 바닥난방유입유로(74)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급탕유출유로(64)로 유출되는 바닥난방유출유로(76)을 포함한다.
바닥난방유출유로(76)에는 급탕유출유로(64)의 제 1 냉매가 바닥난방유출유로(76)를 통과해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78)가 설치된다.
수냉매 열교환기(72)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1차로 응축된 냉매가 물과 열교환되면서 추가로 응축되는 응축 열교환기이다.
수냉매 열교환기(72)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바닥 난방이나 실내 공조 난방에 이용되는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를 갖는다.
수냉매 열교환기(72)는 냉매 유로와 물 유로가 열전달부재를 사이에 두고 내,외로 형성된 이중관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냉매 유로와 물 유로가 열전달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형성된 판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수냉매 열교환기(72)가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바닥 난방 배관(80)과 난방수 배관(82)으로 연결되고, 난방수 배관(82)에 바닥난방펌프(84)가 설치될 경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열은 실내의 바닥 난방에 추가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를 포함한다.
수냉매 열교환기(72)는 급탕유출유로(64)와 직접 연결되어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항상 바닥 난방에 이용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나, 사용자 등이 바닥난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사용자 등이 바닥난방을 선택하는 시기에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제 1 냉매가 통과하게 하는 바닥난방밸브이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운전이 바닥난방운전을 포함할 경우,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동되게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고,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운전이 바닥난방운전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게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바닥난방운전시와, 바닥난방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시와, 바닥난방운전과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여기서, 공조운전은 실내열교환기(18)가 실내의 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간냉방운전과 실내의 공간을 난방시키는 공간난방운전을 포함한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로(60) 특히 급탕유출유로(64)에 설치되어 제 1 냉매의 유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삼방밸브일 경우, 입구부와 제 1 출구부가 급탕유출유로(64)와 연결되고, 제 2 출구부가 바닥난방유입유로(74)에 연결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조절부(90)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운전이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포함할 경우,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운전이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 모두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급탕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바닥난방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냉매 조절부(90)는 공조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된다. 즉, 냉매 조절부(90)는 공간냉방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공간난방운전시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된다.
냉매조절부(6)는 냉동 사이클 회로(2)에 설치되어 냉매 유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매조절부(6)는 삼방밸브일 경우, 입구부와 제 1 출구부가 압축기 유출유로(26)와 연결되고, 제 2 출구부가 급탕유입유로(62)에 연결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내 열교환기(18) 중 하나를 바이패스 하도록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4)와 실내 열교환기(18) 사이로 안내하게 연결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는 일단이 급탕 유로(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내 팽창기구(17)와 실외 팽창기구(16) 사이에 연결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는 일단이 급탕 유로(60) 중 급탕유출유로(64)에 연결되고, 타단이 팽창기구 연결배관(36)에 연결되어,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를 실내 팽창기구(17)와 실외 팽창기구(16) 사이로 안내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안내된 냉매는 실내 팽창기구(17)에서 팽창된 후 실내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되어 압축기(12)로 회수되거나, 실외팽창기구(16)에서 팽창된 후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증발되어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해 실내 팽창기구(17)와 실외 팽창기구(16) 사이로 안내될 경우, 냉동 사이클 회로(2)에서는 응축과정이 발생되지 않고 팽창과정과 증발과정만이 발생되게 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수냉매 열교환기(72)의 열전달량은 증대되며, 급탕효율과 바닥난방효율은 상승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 냉매조절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운전이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두 운전을 포함할 경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공조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바닥난방운전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게 조절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조건이 되면,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이때, 냉동 사이클 회로(2)는 실외 열교환기(14)의 제상을 위해 난방운전에서 냉방운전으로 절환되며, 실외 열교환기(14)는 제상된다. 실외 열교환기(14)의 제상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에 설치되어 냉매 유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냉매조절부(94)는 삼방밸브일 경우, 입구부와 제 1 출구부가 급탕유출유로(64)와 연결되고, 제 2 출구부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에 연결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에 설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실내 팽창기구(17)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액냉매 밸브(98)를 더 포함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바닥난방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일 경우 개방되고, 공조운전이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일 경우 폐쇄된다.
액냉매 밸브(98)는 공조운전이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일 경우 개방되고,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바닥난방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일 경우 폐쇄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냉동 사이클 회로(2)가 실외기(O)와 실내기(I)를 갖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고, 급탕유닛(H)이 실외기(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2)와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외팬(30)은 실외기(O)에 설치된다.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는 실내기(I)에 설치된다.
급탕 압축기(52)와 급탕 열교환기(54)와, 급탕 팽창기구(56)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급탕 펌프(8)는 급탕유닛(H)에 설치된다.
수냉매열교환기(72)와 바닥난방 펌프(84)와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닛(H)에 설치된다.
냉매조절부(90)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보조 냉매조절부(94)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와 액냉매 밸브(98)는 실외기(O)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시,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압축기(12)는 구동되고,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향해 유동되게 조절되며,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과하게 조절되고, 실외팬(30)은 회전되며, 실내팬(39)은 회전되지 않으며, 냉/난방 절환밸브(40)는 난방 모드로 구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개방되며, 액냉매 밸브(98)는 밀폐되고, 급탕펌프(8)와 급탕 압축기(52)는 구동되고, 바닥난방펌프(84)는 구동되지 않는다.
압축기(12)의 구동시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냉매조절부(90)와 급탕유입유로(62)를 통과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2)에서 과열된 제 1 냉매가 제 2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급탕 압축기(52)의 구동시, 급탕 압축기(52)에서 압축된 제 2 냉매는 급탕 열교환기(54)에서 응축된 후 급탕 팽창기구(56)에서 팽창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제 1 냉매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며, 급탕 압축기(52)로 회수된다.
급탕 펌프(8)의 구동시 급탕조(4)의 물은 급탕수 배관(7)을 통해 급탕 열교환기(54)로 유동되어 급탕 열교환기(54)를 통과한 후 급탕조(4)로 순환되고, 급탕조(4)의 내부에는 급탕 회로(10)가 없는 경우 보다 고온의 물이 입수된다.
한편,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로 유입되고,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여 보조 냉매조절부(94)로 유입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로 유입된 제 1 냉매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를 통과한 후 실외팽창기구(16)에서 팽창된다. 실외팽창기구(16)에서 팽창된 제 1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고,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외 열교환기(14)와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제 2 냉매를 증발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며, 급탕 열교환기(54)가 제 2 냉매를 응축시키고, 급탕 열교환기(54)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시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고, 제 1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경우 보다 급탕조(4)의 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운전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가 증발기로 기능하므로, 실외 열교환기(14)에 서리가 착상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14)를 제상시켜야 하는 제상조건이 되면, 급탕운전을 계속하면서 실외 열교환기(14)를 제상하도록 전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게 보조 냉매조절부(94)를 조절하고, 냉동 사이클 회로(2)를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절환한다.
여기서, 제상조건은 급탕운전의 적산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조건과,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가 설정시간 이상 설정 온도 이하인 조건 등이 만족하는 조건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의 도중에 보조 냉매조절부(94)가 냉매를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시키게 조절되고, 냉/난방 절환밸브(40)가 냉방 모드로 구동되며, 액냉매 밸브(98)가 개방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가 폐쇄된다.
압축기(12)에서 압축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보조 냉매조절부(9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여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입된다.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한 제 1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4)로 유동되어 실외 열교환기(14)를 제상시키면서 재차 응축되고, 이후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면서 팽창되며,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증발된다. 실내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와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냉매를 재차 응축시키면서 제상되며, 급탕 열교환기(54)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시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계속하여 가열하면서 실외 열교환기(14)를 제상시키므로, 급탕조(4)의 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높일 수 있고 급탕 효율은 높아진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바닥난방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바닥난방운전시,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압축기(12)는 구동되고,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향해 유동되게 조절되며,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하게 조절되고,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과하게 조절되고, 실외팬(30)은 회전되며, 실내팬(39)은 회전되지 않으며, 냉/난방 절환밸브(40)는 난방 모드로 구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개방되며, 액냉매 밸브(98)는 밀폐되고, 급탕펌프(60) 및 급탕 압축기(52)는 구동되지 않으며, 바닥난방펌프(84)는 구동된다.
바닥난방펌프(84)의 구동시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은 난방수 배관(82)을 통해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동되어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한 후 바닥 난방 배관(80)으로 순환된다.
압축기(12)의 구동시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냉매조절부(90)와 급탕유입유로(62)를 통과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열교환 없이 통과한 후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로 유입된다.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로 유입된 제 1 냉매는 바닥난방유입유로(74)를 통해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입되고,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하면서 물과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수냉매 열교환기(72)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바닥난방유입유로(76)를 통해 급탕유출유로(64)로 유출되고, 이후 보조 냉매조절부(94)를 통과하여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된 제 1 냉매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를 통과한 후 실외팽창기구(16)에서 팽창되고, 이후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증발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수냉매 열교환기(72)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외 열교환기(14)와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수냉매 열교환기(72)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며, 수냉매 열교환기(72)가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바닥난방운전시 제 1 냉매가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고, 제 1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경우나 급탕 펌프(60) 및 급탕 압축기(52)가 구동되는 경우 보다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바닥난방운전이면서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바닥난방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시,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압축기(12)는 구동되고,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향해 유동되게 조절되며,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하게 조절되고,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과하게 조절되고, 실외팬(30)은 회전되며, 실내팬(39)은 회전되지 않으며, 냉/난방 절환밸브(40)는 난방 모드로 구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개방되며, 액냉매 밸브(98)는 밀폐되고, 급탕펌프(8) 및 급탕 열교환기(52)는 구동되고, 바닥난방펌프(84)는 구동된다.
압축기(12)의 구동시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냉매조절부(90)와 급탕유입유로(62)를 통과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2)에서 과열된 제 1 냉매가 제 2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급탕 압축기(52)의 구동시, 급탕 압축기(52)에서 압축된 제 2 냉매는 급탕 열교환기(54)에서 응축된 후 급탕 팽창기구(56)에서 팽창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제 1 냉매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며, 급탕 압축기(52)로 회수된다.
급탕 펌프(8)의 구동시 급탕조(4)의 물은 급탕수 배관(7)을 통해 급탕 열교환기(54)로 유동되어 급탕 열교환기(54)를 통과한 후 급탕조(4)로 순환되고, 급탕조(4)의 내부에는 급탕 회로(10)가 없는 경우 보다 고온의 물이 입수된다.
한편,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로 유입되고, 바닥난방유입유로(74)를 통해 수냉매 열교환기(72)로 유입되며,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하면서 물과 열교환되어 재차 응축된다. 수냉매 열교환기(72)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바닥난방유입유로(76)를 통해 급탕유출유로(64)로 유출되고, 이후 보조 냉매조절부(94)를 통과하여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된 제 1 냉매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를 통과한 후 실외팽창기구(16)에서 팽창되고, 이후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증발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수냉매 열교환기(72)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외 열교환기(14)와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수냉매 열교환기(72)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제 2 냉매를 증발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며, 급탕 열교환기(54)가 제 2 냉매를 응축시켜 급탕조(56)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수냉매 열교환기(72)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1차로 응축된 제 1 냉매를 재차 응축시키면서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바닥난방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가 급탕조(4)의 물과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을 함께 가열하는데 이용되고, 제 2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며, 제 1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경우 보다 급탕조(4)의 물 온도와 바닥 난방 배관(80)의 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공간냉방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조운전 중 공간냉방운전일 경우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압축기(12)는 구동되고, 냉매조절부(90)는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 및 수냉매 열교환기(72)와 보조 냉매조절부(94)를 바이패스하면서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의 제 1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실외팬(30)과 실내팬(39)은 회전되며, 냉/난방 절환밸브(40)는 냉방 모드로 구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밀폐되며, 액냉매 밸브(98)는 개방되고, 급탕펌프(60)와 급탕 압축기(52)와 바닥난방펌프(84)는 구동되지 않는다.
압축기(12)의 구동시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냉매조절부(90)를 통과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여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고, 이후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 중 적어도 하나에서 팽창되고, 실내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된다. 실내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와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응축하고, 실내 열교환기(18)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며, 실내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18)와 열교환되면서 냉각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간냉방운전시 제 1 냉매가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이용된다.
한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조운전 중 공간난방운전일 경우 냉/난방 절환밸브(40)의 모드만 난방 모드이고, 기타의 조절은 공조운전 중 공간냉방운전과 동일하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간난방운전일 경우 실내 열교환기(18)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며, 실내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18)와 열교환되면서 가열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1 실시예가 공간냉방운전이면서 급탕운전일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히트펌프식 공간냉방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 운전시,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압축기(12)는 구동되고,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향해 유동되게 조절되며,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보조 냉매조절부(94)는 급탕유출유로(64)의 냉매가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바이패스하여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실외팬(30)은 회전되며, 실내팬(39)은 회전되며, 냉/난방 절환밸브(40)는 냉방 모드로 구동되고,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밀폐되며, 액냉매 밸브(98)는 개방되고, 급탕펌프(8)와 급탕 압축기(52)는 구동되고, 바닥난방펌프(84)는 구동되지 않는다.
압축기(12)의 구동시 압축기(12)에서 압축된 제 1 냉매는 냉매조절부(90)와 급탕유입유로(62)를 통과한 후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유동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압축기(12)에서 과열된 제 1 냉매가 제 2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된다.
급탕 압축기(52)의 구동시, 급탕 압축기(52)에서 압축된 제 2 냉매는 급탕 열교환기(54)에서 응축된 후 급탕 팽창기구(56)에서 팽창되고,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통과하면서 제 1 냉매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며, 급탕 압축기(52)로 회수된다.
급탕 펌프(8)의 구동시 급탕조(4)의 물은 급탕수 배관(7)을 통해 급탕 열교환기(54)로 유동되어 급탕 열교환기(54)를 통과한 후 급탕조(4)로 순환되고, 급탕조(4)의 내부에는 급탕 회로(10)가 없는 경우 보다 고온의 물이 입수된다.
한편,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86)로 유입되고, 수냉매 열교환기(72)를 바이패스하여 보조 냉매조절부(94)로 유입된다. 보조 냉매조절부(94)로 유입된 제 1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40)으로 유동되고,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재차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응축된 제 1 냉매는 실외팽창기구(16)와 실내팽창기구(17) 중 하나를 통과하면서 팽창되고, 실내 열교환기(18)을 통과하면서 증발되며, 이후 냉/난방 절환밸브(40)를 통과하여 압축기(12)로 회수된다.
즉,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제 1 냉매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와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과 냉/난방 절환밸브(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압축기(12)로 회수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가 제 1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제 2 냉매를 증발시키고, 실외 열교환기(14)가 제 1 냉매를 재차 응축시키며, 실내 열교환기(18)가 제 1 냉매를 증발시키고, 급탕 열교환기(54)가 제 2 냉매를 응축시키고, 급탕 열교환기(54)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과 공간냉방운전의 동시운전시 제 1 냉매 및 제 2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고, 제 1 냉매가 급탕조(4)의 물을 가열하는데 이용된 후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이용되며, 급탕조(4)의 물 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높이면서 동시에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일 때 냉매의 열이 축열될 수 있는 축열조(100)를 더 포함하고, 축열조(10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열조(100)는 야간과 같이 전력공급가가 낮을 때 축열하였다가 주간과 같이 전력공급가가 비쌀 때, 축열조(100)의 열을 급탕조(4)나 바닥난방 배관(8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축열조(100)는 급탕수 배관(7)과 난방수 배관(8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급탕운전이나 바닥난방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시 축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급탕운전이나 바닥난방운전과 별도로 축열운전이 별도로 설시되어 축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축열운전은 축열조(100)로 제 1 냉매와 제 2 냉매의 열이 축열되거나, 제 1 냉매의 열이 축열되는 운전으로서, 급탕운전과 동일하게 운전되거나 바닥난방운전과 동일하게 운전될 수 있다.
즉, 축열운전시 압축기(12)와 급탕 압축기(52)가 함께 구동되거나 압축기(12)가 구동될 수 있다.
축열조(100)는 급탕수 배관(7)에 연결되고 난방수 배관(82)에 연결되지 않아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로 통과할 때 축열되었다가 이후에 급탕조(4)로 축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급탕수 배관(7)에 연결되지 않고 난방수 배관(82)에 연결되어 제 1 냉매가 수냉매 열교환기(72)를 통과할 때 축열되었다가 바닥 난방 배관(80)으로 축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열조(100)는 급탕수 배관(7)과 난방수 배관(82) 중 하나에만 연결될 경우, 제 1 냉매와 제 2 냉매의 열이 함께 축열될 수 있는 급탕수 배관(7)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조(100)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한 운전시 축열하거나 별도의 축열운전시 축열할 수 있도록 급탕수 배관(7)과 난방수 배관(82) 모두와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축열조(100)는 급탕수 배관(7)과 제 1 축열 배관(102)으로 연결되고, 난방수 배관(82)과 제 2 축열 배관(104)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축열조(100)는 급탕조(4)와 병렬로 연결되어, 급탕 펌프(8)에서 펌핑된 물이 축열조(100)와 급탕조(4)로 공급되고, 축열이 사용되는 시기에 급탕 펌프(8)가 구동되면, 축열조(100)와 급탕조(4)의 물이 순환되면서 급탕조(4)를 승온시킬수 있다.
축열조(100)는 수냉매 열교환기(72)와 병렬로 연결되어, 바닥 난방 배관(80)에서 펌핑된 물이 축열조(100)와 수냉매 열교환기(72)로 공급되고, 축열이 사용되는 시기에 바닥 난방 펌프(84)가 구동되면, 축열조(100)와 바닥난방 배관(80)의 물이 순환되면서 바닥 난방 배관(80)을 승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열조(100)는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이거나 바닥난방운전인 도중에 급탕 열교환기(54) 또는 수냉매 열교환기(72)의 열이 축열된다.
상기와 같이 축열조(100)에 제 1 냉매의 열과 제 2 냉매의 열이 축열되거나 제 1 냉매의 열이 축열된 상태에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으로 운전되어야 하는 경우(즉, 급탕 부하와 공조 부하가 함께 있을 경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조운전으로 운전되고 급탕펌프(8)가 구동되어 축열조(100)의 물이 급탕조(4)로 순환되면서 급탕조(4)를 가열한다.
즉,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 하여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급탕 압축기(52)가 구동되지 않으며, 급탕펌프(8)가 구동된다.
제 1 냉매는 압축기(12)와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을 순환하면서 실내를 공조시키고, 축열조(100)의 물은 급탕조(4)와 축열조(100)를 순환하면서 급탕조(4) 내부를 가열한다.
한편, 축열조(100)에 제 1 냉매의 열과 제 2 냉매의 열이 축열되거나 제 1 냉매의 열이 축열된 상태에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으로 운전되어야 하는 경우(즉, 바닥난방 부하와 공조 부하가 함께 있을 경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공조운전으로 운전되고 바닥난방펌프(84)가 구동되어 축열조(100)의 물이 바닥 난방 배관(80)으로 순환되면서 바닥 난방 배관(80)을 가열한다.
즉, 냉매조절부(90)는 제 1 냉매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를 바이패스 하여 냉/난방 절환밸브(40)로 유동되게 조절되고, 바닥난방펌프(84)가 구동된다.
제 1 냉매는 압축기(12)와 냉/난방 절환밸브(40)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와 실내 열교환기(18)를 순환하면서 실내를 공조시키고, 축열조(100)의 물은 바닥 난방 배관(80)과 축열조(100)를 순환하면서 바닥 난방 배관(80)을 가열한다.
한편, 축열조(100)는 실내 열교환기(18)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축열조(100)가 실내 열교환기(18)와 연결될 경우, 실내 열교환기(18)는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 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제 1 냉매의 열이 물 유로를 통해 축열조(100)에 축열되었다가 이후에 물 유로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8)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
축열조(100)는 공조운전시 축열하였다가 이후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일 때,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급탕운전이나 바닥난방운전과 같이 운전되는 것에 의해 축열조(100)의 축열이 실내 열교환기(38)에서 이용되면서, 급탕과 바닥난방의 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3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압축기(12′)가 제 1 냉매를 다단 압축하는 다단 압축기로 이루어진다.
압축기(12′)는 저압측 압축부(12a)와, 저압측 압축부(12a)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축되게 저압측 압축부(12a)와 연결된 고압측 압축부(12b)를 포함한다.
압축기(12′)는 저압측 압축부(12a)와 고압측 압축부(12b)가 직렬로 연결되고, 저압측 압축부(12a)에 압축기의 흡입유로(22)가 연결되며, 고압측 압축부(12b)에 압축기의 토출유로(26)가 연결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실외 팽창기구(16)와 실내 팽창기구(17) 사이에 기액 분리기(110)가 설치되며, 기액분리기(110)에 기상 냉매를 압축기(12′)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112)이 연결된다.
기액분리기(110)는 급탕운전과 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이거나 난방운전일 때 압축기(12′)로 기상 냉매를 인젝션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와 실외팽창기구(16) 사이에 설치된다.
인젝션 라인(112)은 일단이 기액분리기(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저압측 압축부(12a)와 고압측 압축부(12b)의 사이에 연결된다.
인젝션 라인(112)에는 압축기(12′)로 인젝션되는 기상 냉매를 조절하게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가 설치된다.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는 기액 분리기(110)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온/오프 제어되어 개방/폐쇄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개도 제어되어 개도가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안정화 이후에 개방된다.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안정화 이후에 상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안정화 이후에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에 따라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14)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18)가 설치되고,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의 안정화된 이후에 온도 센서(118)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개방될 수 있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과 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이거나 난방운전일 때 기액 분리기(110) 내부의 액냉매가 인젝션 라인(112)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인젝션 라인(112)으로 인젝션 되는 기상 냉매의 압력을 급탕 열교환기(4)의 응축압력과 실외 열교환기(14)의 증발압력의 사이의 중간 압력으로 낮추는 전자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팽창밸브는 보조 냉매조절부(10)와 기액분리기(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와 기액분리기(1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보조 냉매조절부(94)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가 전자 팽창밸브로 이루어질 경우,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이거나 바닥난방운전일 때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92)를 통과하는 냉매를 응축압력과 증발압력 사이의 중간 압력으로 낮추고,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운전되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공조운전과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공조운전일 때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기(12′)와,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와, 기액 분리기(110)와, 인젝션 라인(112)과,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급탕운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시,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운전되고,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가 기동된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실외 열교환기(14)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는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응축압력과 실외 열교환기(14)의 증발압력 사이의 압력으로 냉매를 팽창시키고,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는 개방된다.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96′)의 냉매 팽창과 인젝션 냉매 조절부(114)의 개방시, 압축기(12′)의 저압측 압축부(12a)와 고압측 압축부(12b)의 사이로는 인젝션 라인(112)을 통해 인젝션 되는 중간압력의 냉매가 유입되고, 중간압력의 냉매 유입에 따른 압축일 감소와,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응축 용량 증대에 의해 한랭지나 실외 저온일때 효율적인 급탕이 가능하게 되고, 압축기(12′)의 최고 관리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바닥난방운전과 급탕운전의 동시운전이나 바닥난방운전일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중간압력의 냉매가 압축기(12′)로 주입될 수 있고,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게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 압축기(52′)가 제 2 냉매를 다단 압축하는 다단 압축기로 이루어진다.
압축기(52′)는 저압측 압축부(52a)와, 저압측 압축부(52a)에서 압축된 냉매가 압축되게 연결된 고압측 압축부(52b)를 포함한다.
급탕 압축기(52′)는 저압측 압축부(52a)와 고압측 압축부(52b)가 직렬로 연결되고, 저압측 압축부(52a)에 압축기 흡입유로(51)가 연결되며, 고압측 압축부(52b)에 압축기 토출유로(53)가 연결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 열교환기(54)와 급탕 팽창기구(56) 사이에 기액 분리기(120)가 설치되며, 기액분리기(120)에 기상 냉매를 급탕 압축기(52′)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122)이 연결된다.
기액분리기(120)와 인젝션 라인(122)은 급탕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일 때 급탕 압축기(52′)로 기상 냉매를 인젝션하는 것으로서, 인젝션 라인(122)은 일단이 기액분리기(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급탕 압축기(52)의 저압측 압축부(52a)와 고압측 압축부(52b) 사이에 연결된다.
인젝션 라인(122)에는 급탕 압축기(52′)로 인젝션되는 냉매를 조절하게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가 설치된다.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는 기액 분리기(120)에서 유출된 기상 냉매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온/오프 제어되어 개방/폐쇄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개도 제어되어 개도가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는 급탕 회로(10)의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급탕 회로(10)의 안정화 이후 개방된다.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일 때 기액 분리기(120) 내부의 액냉매가 인젝션 라인(122)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인젝션 라인(122)으로 인젝션 되는 냉매의 압력을 급탕 열교환기(54)의 응축압력과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증발압력 사이의 중간 압력으로 낮추는 전자 팽창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팽창밸브(126)는 급탕 열교환기(54)와 기액분리기(120) 사이에 설치된다.
급탕 압축기(52′)와, 전자 팽창밸브(126)와, 기액 분리기(120)와, 인젝션 라인(122)과,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는 급탕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의 동시운전이거나 급탕운전과 바닥난방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운전일 때,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같이 운전되고,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가 기동된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전자 팽창밸브(126)는 급탕 열교환기(54)의 응축압력과 케스케이드 열교환기(58)의 증발압력의 사이의 중간 압력으로 냉매를 팽창시키고,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는 개방된다.
전자 팽창밸브(126)의 냉매 팽창과 인젝션 냉매 조절부(124)의 개방시, 급탕 압축기(52′)의 저압측 압축부(52a)와 고압측 압축부(52b)의 사이로는 인젝션 라인(122)을 통해 인젝션 되는 중간압력의 냉매가 유입되고, 중간압력의 냉매 유입에 따른 급탕 압축기(52′)의 압축일 감소와, 급탕 열교환기(54)의 응축 용량 증대에 의해 효율적인 급탕이 가능하게 되고, 급탕 압축기(52′)의 최고 관리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펌프식 급탕장치가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70)와 수냉매 열교환기(72)와 체크밸브(78)와 바닥 난방 배관(80)과 난방수 배관(82)과 바닥난방펌프(84)와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 조절부(86)를 포함하지 않고, 바닥난방운전 없이 공조운전과 급탕운전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으로 운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냉동 사이클 회로 4: 급탕조
10: 급탕 회로 12: 압축기
14: 실외 열교환기 16: 실외 팽창기구
17: 실내 팽창기구 18: 실내 열교환기
40: 냉/난방 절환밸브 52: 급탕 압축기
54: 급탕 열교환기 56: 급탕 팽창기구
58: 케스케이드 열교환기 60: 급탕 유로
62: 급탕유입유로 64: 급탕유출유로
60: 급탕 펌프 72: 수냉매 열교환기
74: 바닥난방유입유로 76: 바닥난방유출유로
84: 바닥난방펌프 86: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
90: 냉매조절부 92: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
94: 보조 냉매조절부 96: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
98: 액냉매 밸브 100: 기액분리기
102: 인젝션 라인 104: 인젝션 냉매조절부
110: 축열조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공조운전을 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제 2 냉매가 급탕조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탕 회로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와;
    상기 급탕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급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급탕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 운전이 가능하고 급탕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물을 가열한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수냉매 열교환기 연결 유로로 연결된 수냉매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와 난방수 배관으로 연결된 바닥 난방 배관과, 상기 난방수 배관에 설치된 바닥난방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탕조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수 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탕수 배관에는 급탕 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급탕수 배관과 난방수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축열 배관으로 연결되는 축열조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게 설치된 수냉매 열교환기 냉매조절부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부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7.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공조운전을 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제 2 냉매가 급탕조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탕 회로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와;
    상기 급탕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급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급탕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 운전이 가능하고 급탕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 중 하나를 바이패스 하도록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 사이로 안내하게 연결된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구는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 사이에 연결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거나 바이패스하게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과한 제 1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냉매조절부는 급탕운전시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되게 조절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운전의 도중에 제상조건이 되면,
    상기 보조 냉매조절부는 제 1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를 바이패스하게 조절되고,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는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절환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어 제 1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열교환기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바이패스 유로와 실내 팽창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는 액냉매 밸브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구는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와 실외 팽창기구 사이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을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 인젝션되는 기상 냉매를 조절하게 상기 인젝션 라인에 설치되고,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안정화 이후 개방되는 인젝션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식 급탕장치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와 급탕 팽창기구의 사이에 설치된 기액분리기와,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냉매를 상기 급탕 압축기로 인젝션하는 인젝션 라인을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압축기로 인젝션되는 기상 냉매를 조절하게 상기 인젝션 라인에 설치되고, 기동운전시 폐쇄되며, 안정화 이후 개방되는 인젝션 냉매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18. 제 1 냉매가 통과하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공조운전을 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 회로와;
    제 2 냉매가 급탕조의 물을 가열하는 급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탕 회로는 제 2 냉매가 압축되는 급탕 압축기와;
    상기 급탕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2 냉매가 물을 가열하면서 응축되는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급탕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제 2 냉매가 팽창되는 급탕 팽창기구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급탕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제 2 냉매를 증발시킨 후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서 응축,팽창,증발될 수 있게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급탕운전과 공조운전의 동시 운전이 가능하고 급탕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는 냉/난방 절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는 상기 냉동 사이클 회로와 급탕 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급탕 유로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 1 냉매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로 유동되는 급탕유입유로와, 상기 케스케이드 열교환기에서 유출된 제 1 냉매가 상기 냉/난방 절환밸브로 유동되는 급탕유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급탕유입유로와 급탕유출유로는 상기 압축기와 냉/난방 절환밸브 사이에 각각 연결된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20100038005A 2010-04-23 2010-04-23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115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05A KR101155497B1 (ko) 2010-04-23 2010-04-23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CN201110071059.6A CN102235775B (zh) 2010-04-23 2011-03-21 热泵式热水供给装置
EP11162296.5A EP2381192B1 (en) 2010-04-23 2011-04-13 Heat pump type speed heating apparatus
US13/091,513 US8850837B2 (en) 2010-04-23 2011-04-21 Heat pump type speed h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005A KR101155497B1 (ko) 2010-04-23 2010-04-23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17A KR20110118417A (ko) 2011-10-31
KR101155497B1 true KR101155497B1 (ko) 2012-06-15

Family

ID=4435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005A KR101155497B1 (ko) 2010-04-23 2010-04-23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50837B2 (ko)
EP (1) EP2381192B1 (ko)
KR (1) KR101155497B1 (ko)
CN (1) CN1022357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32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085B1 (ko) * 2010-08-17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US9127851B2 (en) * 2012-06-28 2015-09-08 Yixin Yang Heating and cooling system including a heat pump and a heat storage tank
JP5978099B2 (ja) * 2012-10-29 2016-08-2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給湯機
CN104315751B (zh) * 2014-08-28 2017-12-01 朱建雨 一种太阳能集热结合超低温空气源热泵的供热与制冷系统
SE541234C2 (en) * 2015-11-20 2019-05-07 Sens Geoenergy Storage Ab Methods and systems for heat pumping
CN106766722B (zh) * 2016-12-27 2022-07-29 浙江省能源与核技术应用研究院 颗粒状农林产品热泵干燥储存一体仓
WO2018193658A1 (ja) * 2017-04-19 2018-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WO2019231017A1 (ko) * 2018-05-3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순환수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순환수 전달 시스템
CN108534210B (zh) * 2018-06-14 2023-12-01 济南金孚瑞供热工程技术有限公司 叠加式蓄能型热泵供热系统的实施方法
USD1029211S1 (en) * 2021-10-01 2024-05-28 Bootbox Labs, Inc. Window mountable heat pu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71A (ja) * 1982-07-15 1984-01-24 サンデン株式会社 ヒ−トポンプ式冷暖房湯沸かし装置
KR100497161B1 (ko) * 2003-03-27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257231A (ja) * 2004-03-15 2005-09-22 Fujitsu General Ltd ヒートポンプ給湯エアコン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4741B (sv) * 1974-04-18 1977-07-04 Projectus Ind Produkter Ab Vermepumpsystem
JPS5537417A (en) 1978-09-01 1980-03-15 Hitachi Shipbuilding Eng Co Dehydrating water crushing equipment
JPS5537417U (ko) * 1978-09-04 1980-03-10
JPS5815170A (ja) 1981-07-22 1983-01-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2エンジン塔載機による電池放電状態表示回路
JPS5815170U (ja) * 1981-07-22 1983-01-29 株式会社東芝 冷暖房給湯装置
JPS58133546A (ja) * 1982-02-02 1983-08-0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ヒ−トポンプ式床暖房装置
JPS60261A (ja) * 1983-06-17 1985-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サイクル
JPH0464063A (ja) 1990-07-03 1992-02-28 Sapporo Breweries Ltd 食品汚染菌の検出法
JPH04143559A (ja) * 1990-10-02 1992-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ポンプ装置
JPH0464063U (ko) * 1990-10-16 1992-06-01
JP3985394B2 (ja) * 1999-07-30 2007-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JP4610688B2 (ja) 2000-03-17 2011-01-12 パナソニック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暖房給湯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3925383B2 (ja) * 2002-10-11 2007-06-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給湯装置、空調給湯システム、及び給湯システム
JP4143559B2 (ja) * 2004-01-28 2008-09-03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2005299935A (ja) * 2004-04-06 2005-10-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装置
JP2006283989A (ja) *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冷暖房システム
JP5118340B2 (ja) * 2006-12-01 2013-01-16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凍回路の往復動型圧縮機
JP5197576B2 (ja) * 2007-03-27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WO2009098751A1 (ja) * 2008-02-04 2009-08-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空調給湯複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71A (ja) * 1982-07-15 1984-01-24 サンデン株式会社 ヒ−トポンプ式冷暖房湯沸かし装置
KR100497161B1 (ko) * 2003-03-27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257231A (ja) * 2004-03-15 2005-09-22 Fujitsu General Ltd ヒートポンプ給湯エアコ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32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22258B1 (ko) * 2013-12-31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1192B1 (en) 2017-07-19
EP2381192A2 (en) 2011-10-26
CN102235775A (zh) 2011-11-09
US8850837B2 (en) 2014-10-07
KR20110118417A (ko) 2011-10-31
US20110259024A1 (en) 2011-10-27
EP2381192A3 (en) 2015-07-08
CN102235775B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346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KR101155496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1155497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1758179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KR101190492B1 (ko) 히트펌프 연동 급탕장치
JP5641875B2 (ja) 冷凍装置
WO2015045247A1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EP2522934A2 (en) Heat storing apparatus having cascade cycle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JP4317793B2 (ja) 冷却システム
KR101321549B1 (ko) 히트 펌프
KR20120083139A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JP2015068564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JP2009156496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61381B1 (ko) 냉동 사이클 장치
JP201716115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1212686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EP3193103B1 (en) Air conditioner
JP6029569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KR101155471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2165353B1 (ko) 냉매 시스템
KR20140000937A (ko) 공기조화기
JP2015117919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JP2015068565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